KR102101808B1 -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808B1
KR102101808B1 KR1020190086119A KR20190086119A KR102101808B1 KR 102101808 B1 KR102101808 B1 KR 102101808B1 KR 1020190086119 A KR1020190086119 A KR 1020190086119A KR 20190086119 A KR20190086119 A KR 20190086119A KR 102101808 B1 KR102101808 B1 KR 10210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il
cnc
chips
cut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원진
Original Assignee
고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원진 filed Critical 고원진
Priority to KR102019008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4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using a magnetic or electr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7Devices for removing chips chip containers located under a machine or under a chip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및 칩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CNC가 배치되어 있는 CNC 작업군; 상기 CNC 작업군 일측에 배치되어 CNC로부터 배출된 CNC 칩과 절삭유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일단에 배치되어 배출된 칩을 저장하는 칩 저장부; 상기 컨베이어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어 절삭작업에 사용된 절삭유를 수거하는 절삭유 포집탱크; 상기 포집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절삭유 내의 미세칩을 분리하기 위한 미세칩분리기; 상기 분리기로부터 회수된 절삭유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 일측에 연결되며, 재사용할 수 없는 절삭유를 폐기하기 위한 폐유통; 상기 저장탱크의 다른 측에 연결되며, 회수된 절삭유를 CNC 작업군에 재공급하기 위한 공급탱크; 상기 공급탱크에 새로운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절삭유 보충부;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절삭유를 펌프 및 배수관을 통하여 상기 CNC 작업군에 재공급하도록 연결된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처리 시스템 {Cutting oil and chip processing system for CNC machine}
본 발명은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및 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NC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유의 순환 및 칩의 효율적인 수거를 가능하게 하며, 수거된 절삭유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칩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공작기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고속 가공기는 가공물을 테이블에 고정한 상태에서 스핀들 홀더(spindle holder)에 장착된 스핀들(spindle)이 가공 툴(tool)과 결합하여 가공물을 오퍼레이션(operation)에 미리 입력된 프로그래밍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화된 CNC 등의 공작기계에는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 절삭유가 공급됨과 동시에 가공 툴이 구비되어 가공물을 가공하게 되고, 이때 가공물의 가공시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고 장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공작물과 가공 툴에 절삭유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작기계가 작동함에 따라 공급되는 절삭유와 함께 가공물의 가공시에 발생하는 가공 부산물인 칩은 공작기계 하측에 별도로 마련된 수거통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수거통으로 낙하하여 수거된 절삭유는 적정의 과정에서 필터링 된 상태로 순환장치를 거쳐 가공 툴과 가공물로 재공급되고, 낙하된 칩은 별도로 수거해야 한다.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공작기계에는 가공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칩은 각각의 공작기계 하부의 수거통에 모여지면 별도의 기구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거 방법은 작업자가 항상 공작기계의 근처에 대기해 있다가 칩의 수거량을 확인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성이 대단히 저조할 뿐만 아니라, 칩 수거 과정에서 함께 버려지는 절삭유가 상당하였다.
이에, 자동으로 복수개의 공작기계에서 배출된 절삭유와 칩을 수거하고, 절삭유와 칩을 분리하는 처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종래의 처리 장치는 칩의 수거에 한정되어 있어, 그 칩과 함께 배출되는 절삭유 처리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수된 절삭유에는 미세칩, 윤활유 등 다량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불순물이 함유된 상태로 절삭유가 순환을 하면서 공급되는 경우 절삭 가공면의 품질저하, 절삭공구의 수명 단축 및 절삭유 분사 노즐의 막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CNC 공작기계로부터 배출되는 절삭유 및 칩을 포집하고, 칩과 절삭유를 분리한 후, 칩은 수거 처리하고, 분리된 절삭유는 필터 및 분리기를 통하여 한번 더 미세칩을 분리하여 줌으로써 절삭유 내에 존재하는 칩을 제거하여 준다. 이렇게 칩이 분리된 절삭유를 다수의 CNC 공작기계 순환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칩을 수거해야 하는 빈도를 줄이고, 절삭유를 재활용함으로서 관련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불순물이 제거된 절삭유를 CNC 공작기계에 공급함으로써, 미세칩으로 인하여 피삭재 또는 절삭유 공급 호스 등이 파손되는 위험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더 정교한 CNC 공작기계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CNC가 배치되어 있는 CNC 작업군; 상기 CNC 작업군 일측에 배치되어 CNC로부터 배출된 CNC 칩과 절삭유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일단에 배치되어 배출된 칩을 저장하는 칩 저장부; 상기 컨베이어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어 절삭작업에 사용된 절삭유를 수거하는 절삭유 포집탱크; 상기 포집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절삭유 내의 미세칩을 분리하기 위한 미세칩분리기; 상기 분리기로부터 회수된 절삭유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 일측에 연결되며, 재사용할 수 없는 절삭유를 폐기하기 위한 폐유통; 상기 저장탱크의 다른 측에 연결되며, 회수된 절삭유를 CNC 작업군에 재공급하기 위한 공급탱크; 상기 공급탱크에 새로운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절삭유 보충부;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절삭유를 펌프 및 배수관을 통하여 상기 CNC 작업군에 재공급하도록 연결된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은, 다수의 CNC 공작기계를 하나의 군을 이루어 절삭유 및 칩을 함께 회수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장치에서 칩을 회수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포집된 절삭유로부터 미세칩과 불순물을 제거한 후 절삭유를 재사용함으로써, CNC 공작기계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칩 분리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절삭유 저장탱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미세칩이 제거된 절삭유가 CNC 가공기계로 공급되는 모습을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의 전체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은 다수의 CNC 공작기계를 포함하는 CNC작업군(110), 이송 컨베이어(120), 칩 저장부(129), 절삭유 포집탱크(140), 분리기(150), 절삭유 저장탱크(160), 폐유통(165), 절삭유 보충부(171), 공급탱크(170) 및 절삭유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CNC작업군(110)은 본 발명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CNC 공작기계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게 구성된 것을 말한다. 필요에 따라 20~40대의 CNC 공작기계가 하나의 CNC 작업군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CNC작업군(110)에서 배출되는 칩 및 절삭유는 하나의 칩 처리시스템을 통하여 회수할 수 있고, 회수 후 불순물이 제거된 절삭유는 공급펌프를 이용해 하나의 CNC작업군(1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CNC 공작기계의 측면 또는 하부에 이송 컨베이어(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20)를 통하여 공작기계에서 배출된 칩 중에서 크기가 큰 칩들은 절삭유를 제거하여 칩 저장부(129)로 이동시키며, 절삭유는 절삭유 포집탱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20)는 다수의 공작기계로부터 칩 및 절삭유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전방 상부가 개구된 제 1프레임(121) 및 상기 제 1프레임(121)의 후방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칩을 배출하도록 후방 하구가 개구된 제 2프레임(122)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제 1프레임(121)은 수평면과 평행하게 길게 연장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제 2프레임(122) 방향이 상승하도록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기울여져 배치될 수 있다. 제 1프레임(121)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져 배치되는 경우에는, 칩은 제 1프레임(121)을 따라 상승이동하지만, 절삭유는 중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하강하는 바, 칩과 절삭유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프레임(122)을 통하여 칩이 상승 이동하는 경우, 절삭유는 상승 이동하지 않는 바, 칩과 절삭유를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120)는 스크류형 컨베이어 일 수 있으며, 스크류(123)와 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123)는 복수개의 구멍(hole)(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123)의 회전에 의해, CNC 공작기계(111)에서 배출된 칩은 제 2프레임(122)후방으로 모여 칩 저장부(129)에 저장되며, 절삭유는 스크류의 구멍(hole)(124)으로 배출되어 컨베이어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스크류에 형성된 구멍(124)을 통하여 칩과 절삭유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크류(123)에 가이드 돌기(125)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5)는 스크류(123) 회전 시, 칩이 스크류(12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및 지지해주는 역할 및 칩이 스크류(123)를 타고 칩 저장부(129)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 2프레임(122) 말단 하부에는 배출된 칩을 저장할 수 있는 칩 저장부(129)가 배치된다. 이송 컨베이어(120)의 이동에 의해 칩이 제 2프레임(122) 후방에 도달하는 경우, 칩 저장부(129)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이송컨베이어의 전방 일측은 절삭유 포집탱크(140)와 연결되어 있다. 절삭유 포집탱크(140)는 절삭유의 수용이 가능한 탱크 형태로 구성되며, 배출된 절삭유를 저장해서 후술할 분리기(150)에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120)와 포집탱크(140)의 연결부에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는 자석필터(131), 메쉬 필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필터(131)는 그물모양 형상을 가지고, 절삭유 내에 포함된 자성칩을 분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메쉬 필터(132)는 일정 크기 이상의 칩을 분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분리기(1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리기(150)는 분리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원통형 프레임(152),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드럼(15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분리기 상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회전드럼(153)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리기의 원통형 프레임(152)은 하부가 개방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분리기의 회전에 의해 회전드럼(153) 내부에 절삭유가 배출되고 미세 칩만 남게 되는 경우, 원통형 프레임(152)은 하부를 개방하여 미세칩을 배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드럼(153)은 표면에 다양한 지름을 가진 개폐가능한 복수개의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회전드럼(153) 하부에는 미세한 크기의 통공으로 구성되고, 회전드럼(153)의 상부로 갈수록 통공의 크기가 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회전드럼(153)이 회전하는 경우, 밀도가 높은 칩은 회전드럼(153) 아래에 모이게 되므로, 회전드럼(153) 하부의 통공은 지름을 작게 구성하여 칩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회전드럼(153)의 상부는 미세칩이 존재하지 않는 바, 절삭유가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지름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분리기(150)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통공은 닫혀 있을 수 있고, 회전에 따라 칩이 회전드럼(153) 하부에 모이게 되면, 통공이 열리면서 절삭유를 회전드럼(153)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회전드럼(153) 내부에 복수개의 날개구조체(154)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구조체(154)는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회전드럼(153)에 힌지결합 될 수 있다. 날개구조체(154)는 분리기(150) 회전 시, 내부 유체의 속도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분리기(150)의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 날개구조체(154)는 복수개의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분리기(150) 하부에 상하진동장치(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절삭유를 배출한 후, 회전드럼(153) 하부에 있는 미세칩을 배출하기 위하여 분리기의 하부를 개방하는 경우, 상하진동장치가 작동하여 회전드럼(153)이 진동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회전드럼(153) 내부의 미세칩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분리기(150)는 회수된 절삭유에 포함된 미세칩을 제거하기 위한 구조에 해당한다. 분리기(150)는 회전에 의해 절삭유를 회전드럼(153) 외부로 배출하고, 미세칩은 회전드럼(153) 내부에 쌓이도록 하여 절삭유 제거 후, 하부를 개방하여 이를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를 통하여 미세칩이 제거된 절삭유를 재사용하는 경우, 미세칩에 의하여 절삭유 공급 호스, 피삭재 등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CNC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CNC 장비의 가공능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절삭유 저장탱크(16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참조하면, 절삭유 저장탱크(160)는 절삭유 수용이 가능한 탱크 형태로 구성된다. 절삭유 저장탱크(160)는 분리기(150)를 통하여 미세칩이 제거된 절삭유를 저장하고, 재사용여부를 판단한 후, 재사용 가능시 공급탱크(170)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폐유통(165)으로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절삭유 저장탱크(160)는 센서부(161) 및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61)는 절삭유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센서, 절삭유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감지 센서, pH 센서, 산소 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NC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통상의 절삭유는 절삭유와 RO수(Reverse Osmotic Water)가 혼합된 것인바, 그 절삭유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농도 센서가 구성된 것으로, 절삭유의 농도를 측정한 후, 절삭유가 부족한 경우 후술하는 절삭유 보충부(171)로부터 절삭유를 보충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수위 감지센서를 통하여 절삭유의 양을 측정하고 절삭유가 일정 수위에 도달한 경우 공급탱크(170)로 이동시켜 펌프(172)를 통하여 CNC 공작기계에 공급하며, 절삭유가 부족한 경우 절삭유를 공급탱크(170)로 이동시킨 후, 절삭유 보충부(171)로부터 절삭유를 보충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센서부(161)는 절삭유의 pH,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절삭유를 회수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절삭유가 오염이 되어 pH, 산소포화도 등이 변하게 된다. 절삭유의 pH가 8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유제는 내부식성이 감소하고 미생물 번식이 쉬운 환경이 되어 절삭유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절삭유의 산소포화도가 절삭유의 측정 값이 한계에 이르게 되는 경우 역시 미생물 번식 등에 의하여 절삭유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센서부(161)를 통하여 절삭유의 pH, 산소포화도를 측정한 후, 재사용이 부적합한 경우, 절삭유를 폐유통(165)으로 배출하고, 절삭유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경우, 절삭유 공급탱크(170)로 절삭유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 절삭유 저장탱크(160)는 윤활유를 제거하기 위한 탈착가능한 유흡착제(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CNC에서 절삭유가 배출될 때, CNC 및 가공되는 공작물에 도포된 윤활유 등의 다른 액체 불순물과 혼합되어 배출될 수 있으며, 해당 윤활유가 절삭유에 포함된 채로 재공급되는 경우 가공되는 공작물의 표면 조도등의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절삭유가 주로 물과 같은 냉각수로 구성되고, 윤활유가 윤활에 사용되는 기름으로 구성되며, 물보다 기름의 비중이 낮음을 고려할 때, 이들의 혼합 유동은 절삭유 위에 윤활유가 떠 있는 상태로 이루어지며, 또한 절삭유와 윤활유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유동한다는 점은 자명하다. 즉, 절삭유와 윤활유는 밀도 차이에 의해 층상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저장탱크 상부에 윤활유를 제거할 수 있는 유흡착제(162)를 구비하여 윤활유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흡착제(162)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서, 흡착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새로운 유흡착제로 교체가 가능한 바, 높은 흡착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삭제
절삭유 공급탱크(170)는 저장탱크(160)로부터 재사용 가능한 절삭유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탱크 형태로 구성된다. 저장탱크(160)로부터 공급된 절삭유의 양이 CNC작업군(110)에 공급하기에 부족한 경우, 절삭유를 절삭유 보충부(171)로부터 공급받아, 펌프(172)를 이용하여 CNC 공작기계에 공급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삭유 보충부(171)는 절삭유를 저장하고 이를 절삭유 공급탱크(17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절삭유의 수용이 가능한 탱크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절삭유 보충부(171)를 구성함에 있어, 그 내부에는 상기 절삭유 저장탱크(160)의 센서부(161) 및 제어부와 신호연결되어, 절삭유 센서부(161)에서 농도측정 또는 수위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절삭유의 농도 또는 절삭유의 양이 부족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절삭유를 절삭유 공급탱크(170)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도 4는 펌프를 통해 CNC 공작기계(111)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모습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은 회수하여 미세칩이 제거된 절삭유를 절삭유 공급탱크(170)에 저장 후 공급부를 통하여 각각의 CNC 공작기계(111)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공급부는 펌프(172) 및 분기 공급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펌프(172)는 펌핑작동에 의해 절삭유 공급탱크(170)에 있는 절삭유를 각각의 CNC 공작기계에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분기 공급라인은 각각의 CNC 공작기계(111)에 형성되어 척(chuck)으로 절삭유의 분사가 가능한 분사관(도면중 미도시함)으로 연결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분기 공급라인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CNC 공작기계(111)에 대하여 각각의 분기가 가능한 다수의 분기관으로 구성하거나, 하나의 주관으로부터 배출 및 다시 다수의 분기관으로 분기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필요에 따라, 절삭유 포집탱크, 미세칩 분리기, 절삭유 저장탱크, 폐유통, 절삭유 보충부, 공급탱크의 구성요소 간에 벨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벨브를 이용하여 절삭유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하여 벨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처리 시스템은 다수의 CNC 공작기계로부터 일괄적으로 칩과 절삭유를 회수한 후, 절삭유로부터 미세칩, 윤활유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CNC 공작기계에 절삭유를 재공급하여줌으로써, CNC 공작기계의 신뢰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주며, CNC 작업군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110 CNC작업군 111 CNC 공작기계
120 이송 컨베이어 121 제 1프레임
122 제 2프레임 123 스크류
129 칩 저장부 131 자석필터
132 메쉬 필터 140 절삭유 포집탱크
150 분리기 152 원통형 프레임
153 회전드럼 160 절삭유 저장탱크
161 센서부 162 유흡착제 필터
165 폐유통 170 공급탱크
171 절삭유 보충부 172 펌프

Claims (4)

  1. 다수의 CNC가 배치되어 있는 CNC작업군(110);
    상기 CNC작업군(110) 일측에 배치되어 CNC로부터 배출된 CNC 칩과 절삭유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120);
    상기 컨베이어(120) 일단에 배치되어 배출된 칩을 저장하는 칩 저장부(129);
    상기 컨베이어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어 절삭작업에 사용된 절삭유를 수거하는 절삭유 포집탱크(140);
    상기 포집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절삭유 내의 미세칩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50);
    상기 분리기(150)로부터 회수된 절삭유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60);
    상기 저장탱크(160)의 일측에 연결되며, 재사용할 수 없는 절삭유를 폐기하기 위한 폐유통(165);
    상기 저장탱크(160)의 다른 측에 연결되며, 회수된 절삭유를 CNC작업군(110)에 재공급하기 위한 공급탱크(170);
    상기 공급탱크(170)에 새로운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절삭유 보충부(171);
    상기 공급탱크(170)에 저장된 절삭유를 펌프 및 배수관을 통하여 상기 CNC작업군(110)에 재공급하도록 연결된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120)는,
    스크류(123)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123)는,
    칩과 절삭유가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절삭유가 빠져나갈 수 있는 다수의 홀(hole)(124); 및
    칩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 돌기(125);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절삭유에 포함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자석필터(131); 및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서 절삭유에 포함된 칩을 제거하기 위한 메쉬(mesh) 필터(132);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160) 상부에 설치되어 절삭유에 포함된 윤활유를 제거하기 위한 탈착가능한 유흡착제(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150)는,
    상면에 상기 분리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하부가 개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원통형 프레임(152);
    상기 원통형 프레임(152)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부재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고속으로 회전되고,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드럼(153);
    상기 회전드럼(153)은
    표면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회전드럼(153) 하부에는 미세칩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름이 작은 통공으로 구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절삭유가 배출이 용이하도록 통공의 지름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 처리 시스템.
KR1020190086119A 2019-07-17 2019-07-17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처리 시스템 KR102101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19A KR102101808B1 (ko) 2019-07-17 2019-07-17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19A KR102101808B1 (ko) 2019-07-17 2019-07-17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808B1 true KR102101808B1 (ko) 2020-04-17

Family

ID=7046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119A KR102101808B1 (ko) 2019-07-17 2019-07-17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8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5247A (zh) * 2021-12-06 2022-02-18 吴宇鑫 一种可对附有切削液的铁屑进行回收的铣床
CN115351513A (zh) * 2022-09-13 2022-11-18 浙江彰贵轴承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轴承加工方法及装置
KR20230149426A (ko) 2022-04-20 2023-10-27 (주)스마트공작기계코리아 공작기계
KR20230149467A (ko) 2022-04-20 2023-10-27 (주)스마트공작기계코리아 공작기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795A (ko) * 1999-12-08 2001-07-02 최영휴 절삭유의 칩 여과장치
KR101561244B1 (ko) * 2014-05-14 2015-10-19 세퍼레이션디자인테크(주) 금속가공유 및 세척액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795A (ko) * 1999-12-08 2001-07-02 최영휴 절삭유의 칩 여과장치
KR101561244B1 (ko) * 2014-05-14 2015-10-19 세퍼레이션디자인테크(주) 금속가공유 및 세척액 처리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5247A (zh) * 2021-12-06 2022-02-18 吴宇鑫 一种可对附有切削液的铁屑进行回收的铣床
KR20230149426A (ko) 2022-04-20 2023-10-27 (주)스마트공작기계코리아 공작기계
KR20230149467A (ko) 2022-04-20 2023-10-27 (주)스마트공작기계코리아 공작기계
CN115351513A (zh) * 2022-09-13 2022-11-18 浙江彰贵轴承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轴承加工方法及装置
CN115351513B (zh) * 2022-09-13 2024-04-26 浙江彰贵轴承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轴承加工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808B1 (ko) Cnc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 및 칩처리 시스템
KR102019681B1 (ko) 절삭유 복합 쿨런트 장치
KR101634975B1 (ko) 절삭칩과 절삭유 자동 연속 분리장치
CN213888232U (zh) 一种便于废料回收的钻床
JP3521399B2 (ja) 穿孔機用液体循環装置
CN114769666A (zh) 一种用于电气自动化机械制造的加工装置
US10071454B2 (en) Coolant and chip separator apparatus
US6666286B2 (en) Fluid circulating apparatus for drill
KR102299523B1 (ko) 다축 공작기계용 절삭유 순환장치
KR20210048017A (ko) 폐절삭유의 재사용장치
KR20110110458A (ko)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KR20080006380U (ko) 절삭유 재순환장치
CN216657273U (zh) 一种cnc机加工中心自动切削收集装置
JP7133736B1 (ja) クーラント供給装置
CN210588426U (zh) 一种切削装置的切削液循环系统
JP2002126969A (ja) 工作機械
KR102060813B1 (ko) 절삭유 여과필터의 절삭유 공급과 분배장치
JP6440309B2 (ja) 切削装置
JP4089195B2 (ja) 加工装置および加工装置の作動方法
KR100774663B1 (ko) 쿨런트 정온 여과장치
KR102613532B1 (ko) 절삭유 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청소장치
KR101819818B1 (ko) 연마장치용 연마유 회수장치
CN220806523U (zh) 一种低油耗的高精密数控车床
US11964353B2 (en) Machine debris clean out system
JP2008238286A (ja) チップ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