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223B1 -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223B1
KR102101223B1 KR1020180100467A KR20180100467A KR102101223B1 KR 102101223 B1 KR102101223 B1 KR 102101223B1 KR 1020180100467 A KR1020180100467 A KR 1020180100467A KR 20180100467 A KR20180100467 A KR 20180100467A KR 102101223 B1 KR102101223 B1 KR 102101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motor
suspension device
bearing
sid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937A (ko
Inventor
이충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10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2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accumulating utilisable energy, e.g. compress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6Fluid actuator using a pump, e.g. i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작동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인장 챔버와 압축 챔버로 분리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를 공급받아서 운동에너지를 생성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생성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 양측에는 상기 펌프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펌프는 상기 인장 챔버에 연결되는 제1 펌프와, 상기 압축 챔버에 연결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현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Apparatus for regeneration and active suspension with double bi-directional pump}
본 발명은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해서 차량의 주행 성능이나 운전자 및 동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많은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차량의 주행 성능과 관련된 시스템으로는 차량 조향을 위한 조향 시스템, 차량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등이 있고, 승차감 향상을 위한 시스템으로는 현가 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시스템과 연동하여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가 시스템을 예로 들면, 현가 시스템은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화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 상태 등에 따라 댐퍼의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조정 안정성 향상시키는 시스템인데, 이러한 댐퍼의 작동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시스템이 회생형 현가 시스템이다.
종래의 회생형 현가 시스템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0956호에는 댐퍼에 액추에이터를 상호 연결하고, 댐퍼 내부의 피스톤이 상하로 운동함으로써 그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액추에이터로 유동시키며, 이 유동된 유체가 액추에이터 내부의 로터를 회동시킴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기술적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액추에이터 내부에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펌프부와 로터 회전 시 함께 회전하며 전기를 생성하는 코어가 구비된 모터부가 구비되어 있다. 펌프부의 로터와 모터부의 코어는 모터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모터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모터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단일의 펌프부를 이용해서 전기를 생성하므로 유체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이러한 액추에이터를 복수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현가 시스템의 크기가 지나치게 증대되어 차량에 장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액추에이터의 결합 부분에서 유체의 누설 문제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0956호(2016.05.1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일의 모터에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되는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터 회전축의 감지를 위한 감지 부재가 회전축 자체에 구비되는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터 내부 뿐만 아니라 모터와 펌프의 결합부에서 작동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펌프와 모터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한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장치는 내부에 작동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인장 챔버와 압축 챔버로 분리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를 공급받아서 운동에너지를 생성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생성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 양측에는 상기 펌프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펌프는 상기 인장 챔버에 연결되는 제1 펌프와, 상기 압축 챔버에 연결되는 제2 펌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에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모터 하우징과 리어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리어 커버의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는 오링이 배치되는 모터측 오링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제1 펌프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상기 제2 펌프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축 방향으로 함몰된 모터측 장착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2 펌프에는 상기 모터측 장착면에 삽입되는 펌프측 장착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각각 형성된 모터측 장착면은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측 장착면과 상기 펌프측 장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착면에는 오링이 배치되는 외부 오링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모터측 장착면에서 연장되는 베어링 안착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안착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론트 베어링과 리어 베어링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프론트 베어링과 상기 리어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 안착면에 각각 배치된 이후 상기 프론트 베어링과 상기 리어 베어링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와셔가 각각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리어 커버에 각각 형성된 상기 베어링 안착면은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2 펌프에는 상기 펌프측 장착면이 형성된 펌프 플레이트와, 상기 펌프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펌프 하우징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펌프 플레이트와 상기 펌프 하우징의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는 오링이 배치되는 펌프측 오링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현가 장치는 단일 모터에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되므로 작동 유체의 압력을 이용해서 효과적으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일의 모터 양측에 펌프가 각각 결합되므로 현가 장치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여 차량 장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축 자체에 회전 감지를 위한 감지 부재가 구비되므로 모터의 축 방향 길이가 감소하게 되고, 모터 체결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 내부 뿐만 아니라 모터와 펌프의 결합부에 각각 오링과 오링 홈을 형성하여 작동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모터와 펌프의 결합부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펌프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모터의 베어링과 와셔가 안착되는 안착면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모터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제조 시 부품의 관리가 용이하고, 부품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회전축의 양측에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와 펌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모터 자체 및 모터의 펌프의 결합부에서 작동 유체의 누설 방지를 위해 오링과 오링 홈이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b)는 도 5의 B와 B’ 부분을 각각 확대한 도면이며, (c)는 도 5의 C와 C’ 부분을 각각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회전축의 양측에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와 펌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모터 자체 및 모터의 펌프의 결합부에서 작동 유체의 누설 방지를 위해 오링과 오링 홈이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b)는 도 5의 B와 B’ 부분을 각각 확대한 도면이며, (c)는 도 5의 C와 C’ 부분을 각각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작동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10)와, 이러한 실린더(10) 내부를 인장 챔버(11)와 압축 챔버(12)로 분리하는 피스톤(20)과, 이러한 실린더(10)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를 공급받아서 운동에너지를 생성하는 펌프(200)와, 펌프(200)에서 생성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100)를 포함한다.
전술한 펌프(200)에는 작동 유체의 유입과 유출을 위한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 유체는 실린더(10)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20)의 움직임에 따라 펌프(200)로 유입 또는 유출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펌프(200)로 작동 유체가 유입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00) 내부에 구비된 외측 로터(201)와 내측 로터(202)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펌프(200)의 내측 로터(202)에는 모터(100)의 회전축(110)이 조립되어 있으며, 내측 로터(202)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1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모터(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0)과 함께 회전하도록 조립된 회전 코어(102)와 이에 대향되는 고정 코어(101)가 구비되고, 이러한 회전 코어(102)와 고정 코어(101)의 상대 회전을 통해 전기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때, 모터(100)의 회전축(110) 양측에는 펌프(200)가 각각 구비되되, 이러한 펌프(200)는 인장 챔버(11)에 연결되는 제1 펌프(210)와, 압축 챔버(12)에 연결되는 제2 펌프(220)를 포함한다.
즉, 이와 같이 단일의 모터(100)에 구비된 회전축(110) 양측에 각각 펌프(210, 220)가 구비되므로 작동 유체의 압력을 이용해서 효과적으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으며, 현가 장치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여 차량 장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모터(100)에는 회전 코어(102)와 고정 코어(101)의 상대 회전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감지 부재(11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감지 부재(111)는 회전축(110) 측면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감지 부재(111)로서 리졸버(resolver)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모터 회전축의 회전 감지를 위해 회전축 일단에 구비된 홀센서 마그넷과 이를 감지하는 PCB 기판을 사용했으나,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모터의 축 방향 길이가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분에 펌프를 연결하는 것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 부재(111)로서 리졸버를 사용하게 되면 회전축(110)의 측면에 회전자가 설치되므로 회전축(110)의 양측 끝단에 각각 펌프(210, 22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자의 회전을 감지하는 고정자는 회전축(110)을 감싸는 모터 하우징(120) 또는 리어 커버(130)에 설치해서 할 수 있으나, 회전자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모터(100)의 회전축(110) 측면에 회전 감지를 위한 감지 부재(111)가 구비되므로 모터(100)의 축 방향 길이가 감소하게 되고, 체결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100)에는 회전축(110)을 감싸는 모터 하우징(120)과 리어 커버(130)가 구비되고, 이러한 모터 하우징(120)과 리어 커버(130)는 회전축(110) 뿐만 아니라 회전 코어(102)나 고정 코어(10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게 된다.
모터 하우징(120)과 리어 커버(130)를 결합하게 되면 모터(100)의 회전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20)과 리어 커버(13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며, 회전축(110)의 양측에는 펌프(210, 220)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모터 하우징(120)과 리어 커버(130)의 결합면에는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100a)이 배치되는 모터측 오링 홈(MH)이 형성되어 이러한 결합면을 통해 작동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모터측 오링 홈(MH)은 모터 하우징(120)과 리어 커버(130)의 결합면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거나, 모터 하우징(120)과 리어 커버(130)의 결합면 모두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100)의 양측에 펌프(200)를 결합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커버(130)에는 제1 펌프(210)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131)를 형성하고, 모터 하우징(120)에는 제2 펌프(220)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21)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 결합부(131)에는 축 방향으로 함몰된 모터측 장착면(131a)이 형성되고, 제2 결합부(121)에도 축 방향으로 함몰된 모터측 장착면(121a)이 형성된다. 아울러 이에 대응되도록 제1 펌프(210)에는 제1 결합부(131)에 형성된 모터측 장착면(131a)에 결합되는 펌프측 장착면(210a)이 형성되고, 제2 펌프(220)에는 제2 결합부(121)에 형성된 모터측 장착면(121a)에 결합되는 펌프측 장착면(220a)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결합부(131)에 형성된 모터측 장착면(131a)의 내경(d1)과 제2 결합부(121)에 형성된 모터측 장착면(121a)의 내경(d1)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일한 사양 및 크기의 펌프(210, 220)를 공용화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제조 시 부품의 관리가 용이하고, 펌프(210, 22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모터(100)와 제1 펌프(210)의 결합에 있어서 작동 유체의 누설 방지를 위해 제1 결합부(131)에 형성된 모터측 장착면(131a)과 제1 펌프(210)에 형성된 펌프측 장착면(210a)에는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100b)이 배치되는 외부 오링 홈(OH)이 형성된다.
전술한 외부 오링 홈(OH)은 모터측 장착면(131a)과 펌프측 장착면(210a)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거나, 모터측 장착면(131a)과 펌프측 장착면(210a) 모두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터(100)와 제2 펌프(220)의 결합에 있어서도 작동 유체의 누설 방지를 위해 제2 결합부(121)에 형성된 모터측 장착면(121a)과 제2 펌프(220)에 형성된 펌프측 장착면(220a)에는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100b)이 배치되는 외부 오링 홈(OH)이 형성되며, 이러한 외부 오링 홈(OH)은 모터측 장착면(131a)과 펌프측 장착면(210a)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거나, 모터측 장착면(131a)과 펌프측 장착면(210a) 모두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100)에는 회전축(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 베어링(140)과 리어 베어링(150)이 구비되며, 프론트 베어링(140)은 제1 결합부(131)에 장착되고, 리어 베어링(150)은 제2 결합부(121)에 장착된다.
프론트 베어링(140)을 장착하기 위해 리어 커버(130)에는 모터측 장착면(131a)에서 연장되는 베어링 안착면(131b)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 안착면(131b)은 프론트 베어링(140)이 제1 결합부(131)에 장착된 이후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축(110)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프론트 베어링(140)의 측면 둘레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베어링 안착면(131b)은 프론트 베어링(140)이 장착된 이후 장착 방향을 따라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리어 베어링(150)을 장착하기 위해 모터 하우징(120)에는 모터측 장착면(121a)에서 연장되는 베어링 안착면(121b)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 안착면(121b)은 리어 베어링(150)이 제2 결합부(121)에 장착된 이후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축(110)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리어 베어링(150)의 측면 둘레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베어링 안착면(121b)은 리어 베어링(150)이 장착된 이후 장착 방향을 따라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론트 베어링(140)과 리어 베어링(150)이 각각 장착되는 베어링 안착면(131b, 121b)이 형성되면 프론트 베어링(140)과 리어 베어링(150)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조립 상태가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때, 리어 커버(130)에는 프론트 베어링(140)이 베어링 안착면(131b)에 장착된 이후 프론트 베어링(140)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와셔(141)가 조립된다.
즉, 베어링 안착면(131b)은 프론트 베어링(140)이 장착된 이후에 장착 방향을 따라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와셔(141)는 프론트 베어링(140)이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와셔(141)는 중앙부가 프론트 베어링(140)의 장착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경사가 형성된 원뿔 모양의 코니컬(conical) 와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원뿔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은 회전축(1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또한, 모터 하우징(120)에는 리어 베어링(150)이 베어링 안착면(121b)에 장착된 이후 리어 베어링(150)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와셔(151)가 조립된다.
즉, 베어링 안착면(121b)은 리어 베어링(150)이 장착된 이후에 장착 방향을 따라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와셔(151)는 리어 베어링(150)이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와셔(1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리어 베어링(150)의 장착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경사가 형성된 원뿔 모양의 코니컬(conical) 와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원뿔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은 회전축(1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와 같이, 베어링 안착면(131b, 121b)과 와셔(141, 151)를 통해 프론트 베어링(140)과 리어 베어링(150)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하면 회전축(110)이 외력에 의해 축 방향 하중을 받는 경우에도 회전축(11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축(110)에도 이러한 프론트 베어링(140)과 리어 베어링(150)에 지지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작동 유체의 강한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회전축(110)이 밀리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회전축(110)이 이동함으로 인해 회전 코어(102)의 축 방향 위치가 달라지게 되어 모터(100) 토크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모터 하우징(120)에 형성된 베어링 안착면(121b)의 내경(d2)과 리어 커버(130)에 형성된 베어링 안착면(131b)의 내경(d2)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일한 크기의 베어링(140, 150)과 와셔(141, 151)를 공용화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제조 시 부품의 관리가 용이하고, 베어링(140, 150)과 와셔(141, 151)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1 펌프(210)와 제2 펌프(220)에는 펌프측 장착면(210a, 220a)이 형성된 펌프 플레이트(211, 221)와, 이에 결합되는 펌프 하우징(212, 222)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펌프 플레이트(211, 221)와 펌프 하우징(212, 222)의 결합면에는 도 5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200a)이 배치되는 펌프측 오링 홈(PH)이 형성되어 이러한 결합면을 통해 작동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펌프측 오링 홈(PH)은 펌프 플레이트(211, 221)와 펌프 하우징(212, 222)의 결합면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거나, 펌프 플레이트(211, 221)와 펌프 하우징(212, 222)의 결합면 모두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0)의 회전축(110)은 펌프 플레이트(211, 221)를 관통한 상태로 내측 로터(202)에 조립된다. 이때, 펌프 플레이트(211, 221) 내면에는 회전축(110)과 펌프 플레이트(211, 221)의 사이로 작동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씰(203)이 장착된다. 펌프(200) 내부에 고압의 작동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이러한 작동 유체가 누설되면 모터(100)의 토크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압에서도 작동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씰(203)이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펌프 플레이트(211, 221) 내면에는 회전축(110)을 지지하는 부시(204)가 장착된다. 이러한 부시(204)는 회전축(110)의 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회전축(110)의 회전 시 일치된 동심도가 틀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펌프 플레이트(211, 221)에는 외측 로터(201)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펌프 베어링(205)이 장착되며, 이를 통해 펌프(200)의 마찰 토크를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실린더 11 : 인장 챔버
12 : 압축 챔버 20 : 피스톤
100 : 모터 100a : 오링
100b : 오링 101 : 고정 코어
102 : 회전 코어 110 : 회전축
111 : 감지 부재 120 : 모터 하우징
121 : 제2 결합부 121a : 모터측 장착면
121b : 베어링 안착면 130 : 리어 커버
131 : 제1 결합부 131a : 모터측 장착면
131b : 베어링 안착면 140 : 프론트 베어링
141 : 와셔 150 : 리어 베어링
151 : 와셔 200 : 펌프
200a : 오링 201 : 외측 로터
202 : 내측 로터 203 : 오일 씰
204 : 부시 205 : 펌프 베어링
210 : 제1 펌프 210a : 펌프측 장착면
211 : 펌프 플레이트 212 : 펌프 하우징
220 : 제2 펌프 220a : 펌프측 장착면
221 : 펌프 플레이트 222 : 펌프 하우징
d1 : 모터측 장착면의 내경 d2 : 베어링 안착면의 내경
MH : 모터측 오링 홈 OH : 외부 오링 홈
PH : 펌프측 오링 홈

Claims (11)

  1. 내부에 작동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인장 챔버와 압축 챔버로 분리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를 공급받아서 운동에너지를 생성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생성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 양측에는 상기 펌프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펌프는 상기 인장 챔버에 연결되어 인장 시 작동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는 제1 펌프와, 상기 압축 챔버에 연결되어 압축 시 작동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모터 하우징과 리어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리어 커버의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는 오링이 배치되는 모터측 오링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제1 펌프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상기 제2 펌프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축 방향으로 함몰된 모터측 장착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2 펌프에는 상기 모터측 장착면에 삽입되는 펌프측 장착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각각 형성된 모터측 장착면은 동일한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장착면과 상기 펌프측 장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착면에는 오링이 배치되는 외부 오링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모터측 장착면에서 연장되는 베어링 안착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안착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론트 베어링과 리어 베어링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프론트 베어링과 상기 리어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 안착면에 각각 배치된 이후 상기 프론트 베어링과 상기 리어 베어링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와셔가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리어 커버에 각각 형성된 상기 베어링 안착면은 동일한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2 펌프에는 상기 펌프측 장착면이 형성된 펌프 플레이트와, 상기 펌프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펌프 하우징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펌프 플레이트와 상기 펌프 하우징의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는 오링이 배치되는 펌프측 오링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KR1020180100467A 2018-08-27 2018-08-27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 KR102101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67A KR102101223B1 (ko) 2018-08-27 2018-08-27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67A KR102101223B1 (ko) 2018-08-27 2018-08-27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37A KR20200023937A (ko) 2020-03-06
KR102101223B1 true KR102101223B1 (ko) 2020-04-16

Family

ID=6980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467A KR102101223B1 (ko) 2018-08-27 2018-08-27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2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499A (ja) * 2003-10-27 2006-03-0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2012247055A (ja) * 2011-05-31 2012-12-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011B1 (ko) 2014-10-31 2021-04-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 발전 장치
KR102534984B1 (ko) * 2016-08-30 2023-05-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완충기의 에너지 회생장치
KR102515669B1 (ko) * 2016-08-30 2023-03-2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현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499A (ja) * 2003-10-27 2006-03-0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2012247055A (ja) * 2011-05-31 2012-12-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37A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0244C2 (ru) Гидростатический привод сцепления
JP4238894B2 (ja) モ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ホイールモータ構造
JP4941778B2 (ja) 車両用駆動装置
US4828063A (en) Mount for steering gear box
CN105691184B (zh) 轮毂驱动总成
US9174618B2 (en) Brake and braking actuation units
US20120097824A1 (en) Hydraulic center bearing
US7723885B2 (en) Hybrid drive unit
JP2008178225A (ja) 回転電機
JP550883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CN103221710A (zh) 具有改善的活塞的可机电操作的车辆制动器
JP2013082368A (ja) 車軸支持構造
CN103339399A (zh) 液体摩擦离合器
KR101930763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CN105691103A (zh) 轮毂驱动总成
JP2008143436A (ja) 車両用電磁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20200006494A (ko)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생성 장치
KR102101223B1 (ko) 이중 양방향 펌프가 구비된 회생 능동 현가 장치
KR101962643B1 (ko) 유체 펌프가 구비된 액추에이터
JP5310783B2 (ja) 動力伝達装置
JP2008215588A (ja) 電磁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95023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JP2008303963A (ja) 電磁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105673736A (zh) 液力缓速器的定子叶轮的安装结构
JP2012189011A (ja) ポンプおよび電動ポン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