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966B1 -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 Google Patents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966B1
KR102100966B1 KR1020190012131A KR20190012131A KR102100966B1 KR 102100966 B1 KR102100966 B1 KR 102100966B1 KR 1020190012131 A KR1020190012131 A KR 1020190012131A KR 20190012131 A KR20190012131 A KR 20190012131A KR 102100966 B1 KR102100966 B1 KR 10210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dlc
electrodes
electrode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박효식
라용호
김진호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코리아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코리아,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1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acids, salts or anhydrides
    • H01L41/080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형태의 소재를 사용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은 박막 형태의 스피커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박막 스피커에 시각적으로 차폐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PDLC(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과; 상기 PDLC 필름 양측면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PDLC 필름 일측면에 부착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상에 부착되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과; 상기 PVDF 필름상에 부착되어 제3 전극과 함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4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전극, GZO(Ga-doped ZnO) 전극, AGNW(AG Nanowire) 전극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4-styrenesulfonate)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THIN FILM SPEAKER USING PDLC}
본 발명은 박막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형태의 소재를 사용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은 박막 형태의 스피커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박막 스피커에 시각적으로 차폐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전 소자는 전기 에너지와 기계 에너지를 상호간에 전환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소자를 말하며, 압전 스피커는 이러한 압전 소자의 기계적 움직임을 전기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품이다.
압전 스피커는 종래 VCM(Voice Coil Motor) 스피커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전력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어 휴대 단말기, PDA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 등의 소형 전자 제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 압전 스피커에는 금속 진동판 상부에 압전체를 덧붙여 제작하는 방식의 압전 스피커와, PVDF(Polyvinylidene Fluoride)와 같은 압전 재료를 필름 형태로 제조한 필름형 압전 스피커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PVDF 필름으로 제조된 압전 스피커의 경우 압전 폴리머 필름이 전기신호에 대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의 기능을 필름 형태에서 구현하게 되는데, 이는 전기적인 신호를 가하게 되면 기계적 진동이 일어나는 원리에 따르므로 자석이 없는 비자기 구동 방식으로 압전 필름의 역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음향을 재생하며, 스피커의 무게와 두께 및 제조비용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PVDF 필름 압전 스피커는 PVDF 내의 분자들을 진동시키기 위하여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하는 전극으로서 고분자 입자들을 유기 용매에 분산시킨 전도성 고분자를 주로 사용하며, 이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 용액을 RTR(Roll-to-roll) 코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Screening printing)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PVDF 필름 위에 도포하여 사용한다.
기술된 바와 같은 PVDF 필름 압전 스피커에서 양질의 사운드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PVDF와 더불어 전극 또한 매우 중요한데 반하여 아직까지는 압전 스피커 전극 소재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지는 않고 있는 것이 현실임에 따라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인 한편, 박막 형태의 제품 특성상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업계에서 PVDF 필름 압전 스피커를 단순히 오디오 출력을 위한 용도로만 활용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다방면으로 제품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22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632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름 형태의 소재를 사용하여 박막 형태로 스피커 제조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이러한 얇고 플렉시블한 스피커에 시각적 차폐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DLC(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과; 상기 PDLC 필름 양측면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PDLC 필름 일측면에 부착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상에 부착되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과; 상기 PVDF 필름상에 부착되어 제3 전극과 함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4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전극, GZO(Ga-doped ZnO) 전극, AGNW(AG Nanowire) 전극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4-styrenesulfonate)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GZO 전극은 PES(PolyEther Sulfone) 필름과, 상기 PES 필름상에 스퍼터링되는 제1 GZO 레이어와, 상기 제1 GZO 레이어상에 스퍼터링되는 Ag 레이어와, 상기 Ag 레이어상에 스퍼터링되는 제2 GZO 레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GNW 전극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상기 PED 필름상에 코팅되는 AgNW 레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AGNW 전극은 ATO(Antimony Tin Oxide, Sb2O3-SnO2) 및 CTO(Cesium Tungsten Oxide, Cs0.33WO3)를 함유한 무기산화물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PEDOT/PSS 전극은 전도율 향상을 위한 유기 용매(Organic solvent)를 함유하며, 상기 유기 용매는 DMSO(Dimethyl sulfoxide), DMF(N,N-dimethyl formamide) 및 THF(Tetrahydrofur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PVDF 필름은 제3 및 제4 전극과 부착되기 이전에 IAR(Ion-assisted-reaction)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전극의 오디오 신호 인가 여부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전극의 전원 공급을 결정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제3 및 제4 전극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 세기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전극에 공급되는 전원 세기를 제어하여 PDLC 필름의 불투명도를 조절하며,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는 필름 소재 중 오디오 출력 성능이 우수한 PVDF를 통해 공간상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 스피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시각적 차폐 기능 또한 부여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목적으로도 다방면에 걸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중 제1 내지 제4 전극으로 AGNW를 적용한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중 GZO 전극과 PDLC 필름의 동작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중 AGNW 전극과 PDLC 필름의 동작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중 제1 내지 제4 전극으로 AGNW를 적용한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PDLC(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과,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과, 제1 내지 제4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PDLC 필름과, PDLC 필름 양측면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극과, PDLC 필름 일측면에 부착되는 제3 전극과, 제3 전극상에 부착되는 PVDF 필름과, PVDF 필름상에 부착되어 제3 전극과 함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4 전극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은 투명하고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며 ITO(Indium tin oxide) 전극, GZO(Ga-doped ZnO) 전극, AGNW(AG Nanowire) 전극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4-styrenesulfonate)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PDLC 필름은 예로써 10~30 ㎛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고분자 내에 미세 마이크로 크기의 수많은 액정(liquid crystal)의 액적(droplet)들이 분산되어 있고,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빛을 산란시켜 불투명한 상태가 되며, 전압 인가 시에는 액정이 전기장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고분자와 비슷한 굴절률을 가지게 되어 투명한 상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PVDF 필름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약 -35℃이고 결정성은 보통 50-60%정도로, 압전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분자 사슬 방향으로 스트레칭 시킨 다음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폴링되는데, trans 또는 gauche 결합과 같은 사슬 형태에 따라 알파, 베타 및 감마 상의 몇 가지 형태로 존재하고, 폴링 될 때 강유전성 폴리머로 우수한 압전 및 열전도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압전 스피커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PVDF 필름은 표면 상태가 소수성(Hydrophobic)을 갖기 때문에 다른 물체와 부착되기 어려운 이유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3 및 제4 전극과 부착되기 이전에 IAR(Ion-assisted-reaction) 처리되는데, 이러한 IAR 처리는 CHC(Cold hollow cathode) 타입의 이온 소스를 통해 수행되고, IAR 처리 시 Ar(Argon) 이온 에너지 및 산소 공급률은 각각 1 KeV 및 8 sccm(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에 따른다.
기술된 상기 PVDF 필름 양측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측면 가장자리측에 제3 및 제4 전극이 구비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3 및 제4 전극으로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해당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이 PVDF 필름으로부터 발생되면서 사운드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PDLC 필름이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과 아울러, 제3 및 제4 전극으로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 PVDF 필름을 통해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 소재 타입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1. ITO 전극
- 인듐옥사이드(In2O3)에 주석(Tin,Sn) 산화물인 SnO2를 첨가한 물질을 사용하며 최근까지 박막 형태의 전극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굴곡성 및 강도가 취약하고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음
2. GZO 전극(도 3 참조)
- PES(PolyEther Sulfone) 필름과, PES 필름상에 스퍼터링되는 제1 GZO 레이어와, 제1 GZO 레이어상에 스퍼터링되는 Ag 레이어와, Ag 레이어상에 스퍼터링되는 제2 GZO 레이어로 구성됨
- 면 저항(Sheet Resistance)이 3~30 ohm/sq로 매우 낮고, 박막 두께 또한 18/30 nm ~ 30/8 nm로 매우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가시광선 대역의 투과율과 자외선 및 적외선의 차단률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능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UV 및 IR 차단 필름을 필요로 하지 않음
- 면 저항이 낮아 PDLC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킬 시에 응답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낮은 전류를 소비하는 장점을 가짐
- Ag 레이어의 추가로 인해 기존 ITO 전극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굽힘성을 가짐
3. AGNW 전극(도 2, 도 4 참조)
- AGNW 전극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상기 PED 필름상에 코팅되는 AgNW 레이어로 구성됨
- 시트 저항(Sheet Resistance)이 30~150 ohm/sq으로 비교적 낮고, 박막 두께는 20um ~ 50 um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휨성이 우수한 성능을 가짐
- Ag NW 레이어를 보호하기 위해 코팅되고 PDLC에 부착되는 오버코팅(Over Coating) 레이어가 더 포함될 수 있음
- 오버코팅 레이어가 AgNW 레이어를 보호함과 동시에 PDLC 필름에 균일하고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 수행
- AGNW 전극은 ATO(Antimony Tin Oxide, Sb2O3-SnO2) 및 CTO(Cesium Tungsten Oxide, Cs0.33WO3)를 함유한 무기산화물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음
- 상기 무기산화물 레이어는 가시광 투과율이 우수하고 투광성을 지니며 내구성 및 근적외선 차단율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위해 화학 양론적인 조성에서의 에너지 갭이 3.5eV 이상으로 높은 저항을 가진 반도체 재료인 ATO를 사용하며, 전도성 무기산화물의 기재인 금속산화물로 ATO와 CTO를 함께 사용하여 ATO를 기반으로 CTO의 비율 조절에 의해 적외선 차단율을 조정할 수 있음(아래 표 1 참조)
- 예를 들어, 무기산화물은 전체 무기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TO 75~95 중량부 및 CTO 15~2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CTO를 1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800~1,500 nm 파장대의 적외선 차단율이 낮아지고 25 중량부를 초과할 때는 적외선 차단 특성은 우수하지만 가시광, 자외선 차단율이 저하될 수 있음
- 참고로, 근적외선(780 nm ~ 2,500 nm) 차단용 유기계로는 퀴논계, 프탈로시아닌계, 나프탈로시아닌계, 코발트착염계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내열성 및 내구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작을 뿐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변색이나 벗겨짐 현상이 발생하여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가 된다는 큰 단점을 가지고 있음
무기산화물 구성 가시광 투과율(%) 적외선 차단율(%)
ATO(레이어 두께 10 ㎛) 65 75
ATO 80% + CTO 20%(레이어 두께 10 ㎛) 73 96
ATO 80% + CTO 10%(레이어 두께 10 ㎛) 78 92
4. PEDOT/PSS 전극
- 전도성 고분자로 ITO와 유사한 전기적 특성과 가시광 영역에서 우수한 투과도를 보이면서 용액 공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짐
- 중합된 PEDOT는 분자량 2,500 Dalton 이하의 올리고머 형태 세그먼트로 존재하고 PEDOT+와 PSS-간 강한 정전기적 상호 작용력으로 우수한 안정성을 지니며, 합성된 PEDTO/PSS 복합체는 비록 수용성이 아닌 나노미터 크기의 고분자 겔 입자로 수용액상에서 존재하지만 안정적으로 용액 공정 및 프린팅 공정에 적합한 특성을 지님
- 전도율 향상을 위한 유기 용매(Organic solvent)를 함유하며, 이러한 유기 용매로는 DMSO(Dimethyl sulfoxide), DMF(N,N-dimethyl formamide), THF(Tetrahydrofuran) 등이 있음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3 및 제4 전극의 오디오 신호 인가 여부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전극의 전원 공급을 결정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3 및 제4 전극으로 오디오 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상황을 전원 제어부가 확인하면 제1 및 제2 전극으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PDLC 필름이 불투명 또는 투명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3 및 제4 전극으로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전원 제어부가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해 PDLC 필름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 또한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불투명도를 제어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세기가 약하면 제1 및 제2 전극으로 공급되는 전원 세기도 약하게 하여 PDLC 필름 또한 약간 투명한 정도가 되도록 하고 오디오 신호 세기가 강하면 제1 및 제2 전극으로 공급되는 전원 세기도 강하게 하여 PDLC 필름이 불투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및 제4 전극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의 전원 공급 세기를 조절하면서 PDLC 필름의 불투명도를 제어함으로써 청각적으로 사운드를 확인할 수 있음과 더불어 시각적으로도 사운드 출력 상태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생동감 있는 사운드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이에 유선, 무선 통신모듈을 설치하여 데스크탑,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수단을 통해 PDLC 필름의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PVDF 필름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PVDF 필름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 조정을 하는 경우 그 길이에 대응하여 사운드 출력 대역이 상이해 짐에 따라 다양한 음역대를 소비자 취향에 맞게 청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길이 조정수단 구조의 일례로는 PVDF 필름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지지대 끝단에 구비되는 바퀴와,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대에 설치되는 모터와, PVDF 필름이 평면 형상에서 반호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바퀴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들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 따라 모터의 동작에 의해 바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PVDF 필름이 일정 곡률 반경을 갖거나 평면 형태를 갖는 등의 형상 변경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변경되는 PVDF 필름 형상에 대응하여 오디오 신호의 출력 음역대가 가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PDLC(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과;
    상기 PDLC 필름 일측면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극과;
    상기 PDLC 필름 타측면에 부착되어 제1 전극과 함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는 별개로 PDLC 필름 타측면에 부착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상에 부착되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과;
    상기 PVDF 필름상에 부착되어 제3 전극과 함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4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은 GZO(Ga-doped ZnO) 전극, AGNW(AG Nanowire) 전극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4-styrenesulfonate)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PVDF 필름은 제3 및 제4 전극과 부착되기 이전에 CHC(Cold hollow cathode) 타입의 이온 소스를 통해 IAR(Ion-assisted-reaction) 처리되며,
    상기 GZO 전극은 PES(PolyEther Sulfone) 필름과, 상기 PES 필름상에 스퍼터링되는 제1 GZO 레이어와, 상기 제1 GZO 레이어상에 스퍼터링되는 Ag 레이어와, 상기 Ag 레이어상에 스퍼터링되는 제2 GZO 레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AGNW 전극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상기 PED 필름상에 코팅되는 AgNW 레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GNW 전극은 ATO(Antimony Tin Oxide, Sb2O3-SnO2) 및 CTO(Cesium Tungsten Oxide, Cs0.33WO3)를 함유한 무기산화물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EDOT/PSS 전극은 전도율 향상을 위한 유기 용매(Organic solven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DMSO(Dimethyl sulfoxide), DMF(N,N-dimethyl formamide) 및 THF(Tetrahydrofur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전극의 오디오 신호 인가 여부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전극의 전원 공급을 결정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제3 및 제4 전극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 세기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전극에 공급되는 전원 세기를 제어하여 PDLC 필름의 불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KR1020190012131A 2019-01-30 2019-01-30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KR10210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31A KR102100966B1 (ko) 2019-01-30 2019-01-30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31A KR102100966B1 (ko) 2019-01-30 2019-01-30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966B1 true KR102100966B1 (ko) 2020-04-14

Family

ID=7029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131A KR102100966B1 (ko) 2019-01-30 2019-01-30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4735A (zh) * 2020-06-16 2020-08-25 南昌航空大学 一种基于聚偏氟乙烯的聚3,4-乙烯二氧噻吩-聚苯乙烯磺酸盐复合薄膜及其制备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62B1 (ko) 2007-02-12 2009-02-09 (주)필스 압전 폴리머 스피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90460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KR101606320B1 (ko) 2015-04-07 2016-03-2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조벤젠 결합 pvdf필름을 이용하는 필름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62B1 (ko) 2007-02-12 2009-02-09 (주)필스 압전 폴리머 스피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90460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KR101606320B1 (ko) 2015-04-07 2016-03-2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조벤젠 결합 pvdf필름을 이용하는 필름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배병택 외 3인, "Flexible audible display(VizDioTM) using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on film speaker,"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pp. 877-878, 2009년 10월 12일 국내논문 사본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4735A (zh) * 2020-06-16 2020-08-25 南昌航空大学 一种基于聚偏氟乙烯的聚3,4-乙烯二氧噻吩-聚苯乙烯磺酸盐复合薄膜及其制备和应用
CN111574735B (zh) * 2020-06-16 2022-04-19 南昌航空大学 一种基于聚偏氟乙烯的聚3,4-乙烯二氧噻吩-聚苯乙烯磺酸盐复合薄膜及其制备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9877B2 (en) Display apparatus
JP6850587B2 (ja) 電子機器
TWI690420B (zh) 透明導電性薄膜積層體及使用其所得之觸控面板,以及透明導電性薄膜之製造方法
CN109377887A (zh)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5101719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JP5267559B2 (ja) シート型振動体および音響機器
JP2022023976A (ja) 表示装置
US10973118B2 (en) Flexible conductive film, its manufacturing method, flexible touch screen and flexible display panel
CN105810814B (zh) 多层致动器及包括该多层致动器的显示装置
TW201512956A (zh) 觸控面板的製作方法
JP2012112031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100966B1 (ko) Pdlc를 사용한 박막 스피커
WO2016041259A1 (zh) 触摸屏、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KR20160115859A (ko) 전도성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전도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극
CN107230519A (zh) 柔性导电膜及其制备方法
JP2008305757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該方法により得られたフィルム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および該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表示装置
JP7131896B2 (ja) 表示パネル
JP6075040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216133279U (zh) 电致变色器件
JP2006056117A (ja)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WO2021036044A1 (zh) 发光面板、发光面板的制备方法及显示装置
KR102504439B1 (ko) 투명전극 제조 장치
CN218240611U (zh) 一种具有不同红外发射率的电致变色器件
TW202009137A (zh) 複合導電材料
US11294513B1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