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920B1 -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920B1
KR102100920B1 KR1020190059032A KR20190059032A KR102100920B1 KR 102100920 B1 KR102100920 B1 KR 102100920B1 KR 1020190059032 A KR1020190059032 A KR 1020190059032A KR 20190059032 A KR20190059032 A KR 20190059032A KR 102100920 B1 KR102100920 B1 KR 10210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moving
driving wire
predetermined regio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출
심재환
김상찬
이강록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주식회사 정신이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주식회사 정신이앤시 filed Critical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5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는 교량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 풀리(150)가 구비된 제1 지지부(100), 교량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 풀리(250)가 구비된 제2 지지부(200),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에 걸려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는 구동 와이어(300), 및 구동 와이어(300)에 연결되어, 구동 와이어(300)가 이동될 때 이동되며, 교량을 촬영하는 촬영수단(470)이 구비된 이동수단(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량용 안전진단장치{The safety diagnosis device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축조된 후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손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상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손상의 규모나 방향에 따라 심지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손상에 보수액 등을 주입하여 보수하는 방안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교량에서도 상판과 교각 등을 콘크리트로 형성하는데, 이와 같이 콘크리트로 형성된 상판과 교각 등에 손상이 발생하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보수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량에는 자중이나 통과하는 차량 등에 의해서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되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과 보수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교량의 상판이나 교각 등에 발생한 손상을 측정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없는 실정이다.
KR 20-0365662 Y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동 와이어로 이동되는 이동수단을 채용하여 촬영수단(카메라)을 이동시키며 촬영함으로써, 교량의 상판이나 교각 등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는 교량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 풀리가 구비된 제1 지지부, 상기 교량의 타측 또는 지면에 배치되고 제2 풀리가 구비된 제2 지지부,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에 걸려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는 구동 와이어, 및 상기 구동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가 이동될 때 이동되며, 상기 교량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풀리의 제1 소정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풀리의 제2 소정영역을 둘러쌀 때,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서 상기 구동 와이어는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서 상기 구동 와이어는 타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제1 이동부재,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되,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이동홀이 형성된 제2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수단에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되,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3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풀리의 제1 소정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풀리의 제2 소정영역을 둘러쌀 때,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서 상기 구동 와이어는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서 상기 구동 와이어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제1 이동부재,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되,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이동홀이 형성된 제2 이동부재,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3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1 연결부재, 및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이동부재와 상기 제3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부재 또는 상기 제2 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촬영수단을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에 조명을 비추는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부재 또는 상기 제2 이동부재 중 어느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조명수단을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어에 연결되어, 소정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구동 와이어를 휘어지게 하는 경로변경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부재에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 경로변경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와이어는 상기 제1 경로변경홀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며, 이동수단에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경로변경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2 경로변경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부재에는 상기 경로변경부재를 소정방향으로 당기는 경로변경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3 경로변경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경로변경부재 사이에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경로변경부재 사이에 하나가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가 이동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라인 카운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와이어로 이동되는 이동수단을 채용하여 촬영수단(카메라)을 이동시키며 촬영함으로써, 교량의 상판이나 교각 등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손상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교량용 안전진단장치가 교량의 상판 하측에 설치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교량용 안전진단장치가 교량의 교량에 설치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평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교량용 안전진단장치가 교량의 상판 하측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는 교량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 풀리(150)가 구비된 제1 지지부(100), 교량의 타측 또는 지면에 배치되고 제2 풀리(250)가 구비된 제2 지지부(200),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에 걸려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는 구동 와이어(300), 및 구동 와이어(300)에 연결되어, 구동 와이어(300)가 이동될 때 이동되며, 교량을 촬영하는 촬영수단(470)이 구비된 이동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지지부(100, 200)은 구동 와이어(300), 및 가이드 와이어(350)과 함께 이동수단(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1 지지부(100)는 교량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지지부(200)는 교량의 타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는 하나의 교각(P1)에 설치된 점검로 난간(H1)에 고정되고, 제2 지지부(200)는 다른 교각(P2)에 설치된 점검로 난간(H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2 지지부(100, 200)는 반드시 점검로 난간(H1, H2)에 고정되어야 하는 촬영이 필요한 교량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100)에는 제1 풀리(150)가 구비되고, 제2 지지부(200)에는 제2 풀리(250)가 구비된다(도 1 참조). 이때,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에는 구동 와이어(300)가 걸리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 적어도 하나에는 제1 풀리(150) 또는 제2 풀리(25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모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로 제1 풀리(150) 또는 제2 풀리(250)를 회전시키면,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에 걸린 구동 와이어(300)는 제1 풀리(150) 또는 제2 풀리(25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와이어(300)는 촬영수단(470)이 구비된 이동수단(4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구동 와이어(300)는 일측이 제1 지지부(100)의 제1 풀리(150)에 걸리고, 타측이 제2 지지부(200)의 제2 풀리(250)에 걸린다. 따라서, 구동 와이어(300)는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에 걸려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와이어(300)는 제1 풀리(150)의 제1 소정영역(X)을 둘러싸고, 제2 풀리(250)의 제2 소정영역(Y)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풀리(150)의 제1 소정영역(X)은 제1 풀리(150) 중 제2 풀리(250)와 먼 쪽의 절반영역일 수 있고, 제2 풀리(250)의 제2 소정영역(Y)은 제2 풀리(250) 중 제1 풀리(150)와 먼 쪽의 절반영역일 수 있다. 이때, 제1 소정영역(X)의 일단과 제2 소정영역(Y)의 일단 사이에서 구동 와이어(300)는 일방향(A)으로 이동되고, 제1 소정영역(X)의 타단과 제2 소정영역(Y)의 타단 사이에서 구동 와이어(300)는 일방향(A)과 반대방향인 타방향(B)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구동 와이어(300)는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에 걸려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 사이에서 두 줄로 연장되고,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의 회전에 따라 한쪽 줄(L1)은 일방향(A)으로 이동되고, 다른쪽 줄(L2)은 타방향(B)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 와이어(30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스텐 와이어나 나일론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는 구동 와이어(300)를 이용하여 촬영수단(470)이 구비된 이동수단(400)을 이동시키는 방식이므로 상대적으로 설치나 회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이동수단(400)은 촬영수단(47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동 와이어(300)에 연결되어 구동 와이어(300)가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된다. 여기서, 이동수단(400)은 제1 소정영역(X)의 일단과 제2 소정영역(Y)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와이어(300)에 고정된다. 반면, 이동수단(400)은 제1 소정영역(X)의 타단과 제2 소정영역(Y)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와이어(300)에 연결되되, 제1 소정영역(X)의 타단과 제2 소정영역(Y)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와이어(300)에 대해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즉, 이동수단(400)은 구동 와이어(300)의 한쪽 줄(L1)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고, 구동 와이어(300)의 다른쪽 줄(L2)에는 지지되되 다른쪽 줄(L2)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수단(400)은 구동 와이어(300)의 한쪽 줄(L1)에 고정되어 일방향(A)으로 이동되면서도, 구동 와이어(300)의 다른쪽 줄(L2)에 간섭받지 않고 구동 와이어(300)의 다른쪽 줄(L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400)은 제1 이동부재(410), 제2 이동부재(420), 및 제1 연결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부재(410)에는 제1 소정영역(X)의 일단과 제2 소정영역(Y)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와이어(300)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홀(415)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이동부재(420)에는 제1 소정영역(X)의 타단과 제2 소정영역(Y)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와이어(300)가 관통하되, 제1 소정영역(X)의 타단과 제2 소정영역(Y)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와이어(300)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이동홀(4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연결부재(430)는 제1 이동부재(410)와 제2 이동부재(420)를 연결한다. 즉, 제1 이동부재(410)의 고정홀(415)에는 구동 와이어(300)의 한쪽 줄(L1)이 고정되어 이동수단(400)이 구동 와이어(3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고, 제2 이동부재(420)의 제2 이동홀(425)에는 구동 와이어(300)의 다른쪽 줄(L2)이 고정되지 않아 이동수단(400)이 구동 와이어(300)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구동 와이어(300)의 한쪽 줄(L1)이 제1 이동부재(410)의 고정홀(415)에 고정되어, 이동수단(400)은 구동 와이어(300)의 한쪽 줄(L1)과 함께 일방향(A)으로 이동된다. 이때, 구동 와이어(300)의 다른쪽 줄(L2)이 제2 이동부재(420)의 이동홀(425)에 고정되지 않아, 이동수단(400)은 구동 와이어(300)의 다른쪽 줄(L2)에 간섭받지 않으면서도 구동 와이어(300)의 다른쪽 줄(L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동수단(400)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가이드 와이어(3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와이어(350)는 일단이 제1 지지부(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지지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350)는 구동 와이어(300)의 상측에 구동 와이어(300)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동수단(400)은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350)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가이드 와이어(350)에 대해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수단(400)은 제3 이동부재(440)와 제2 연결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이동부재(440)에는 가이드 와이어(350)가 관통하되, 가이드 와이어(350)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가이드홀(445)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부재(450)는 제1 이동부재(410)와 제2 이동부재(4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다. 즉, 제3 이동부재(440)의 가이드홀(445)에는 가이드 와이어(350)가 고정되지 않아 이동수단(400)이 가이드 와이어(350)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동수단(400)이 구동 와이어(300)의 한쪽 줄(L1)와 함께 일방향(A)으로 이동될 때, 제3 이동부재(440)의 가이드홀(445)에 가이드 와이어(350)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이동수단(400)은 가이드 와이어(35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동수단(400)은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수단(400) 중 고정홀(415)이 형성된 제1 이동부재(410), 이동홀(425)이 형성된 제2 이동부재(420), 및 가이드홀(445)이 형성된 제3 이동부재(440)는 삼각기둥의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이동수단(400) 중 제1 연결부재(430)와 제2 연결부재(450)는 삼각기둥의 3개의 면을 이룰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재(430)와 제2 연결부재(45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4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재(410)와 제2 이동부재(420)를 연결한다. 또한, 제2 연결부재(450)는 제1 이동부재(410)와 제3 이동부재(440)를 연결하는 제2-1 연결부재(453)와 제2 이동부재(420)와 제3 이동부재(440)를 연결하는 제2-2 연결부재(455)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동수단(400)은 촬영수단(470)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46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제1 이동부재(410) 또는 제2 이동부재(420)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제2 이동부재(420))로부터 제1 연결부재(4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부재(460)의 상측에는 촬영수단(470)이 고정될 수 있고, 촬영수단(470)은 이동수단(400)과 함께 구동 와이어(300)에 의해서 이동되며 교량을 촬영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촬영수단(470)은 힌지결합(475)으로 제1 지지부재(460)에 결합되어, 교량에 대한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촬영수단(470)은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종류의 카메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액션캠(action cam)일 수 있다.
또한, 촬영수단(470)이 교량을 더욱 정확하게 촬영할 수 이도록 교량에 조명을 비추는 조명수단(49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동수단(400)은 조명수단(490)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부재(48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제1 이동부재(410) 또는 제2 이동부재(420)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제1 이동부재(410))로부터 제1 연결부재(4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부재(480)의 상측에는 조명수단(490)이 고정될 수 있고, 조명수단(490)은 이동수단(400)과 함께 구동 와이어(300)에 의해서 이동되며 교량에 조명을 비출 수 있다. 특히, 조명수단(490)은 상대적으로 어두운 교량의 상판 하부에 충분한 광을 공급하여 촬영수단(470)의 촬영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구동 와이어(300)가 이동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라인 카운터(6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인 카운터(600)는 구동 와이어(300)가 관통되어 구동 와이어(300)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인 카운터(600)를 이용하여 구동 와이어(300)의 이동을 측정함으로써 이동수단(400)에 구비된 촬영수단(47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수단(470, 카메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면, 최종적으로 촬영수단(470)에서 촬영한 손상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를 교량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하고, 제1 지지부(100)의 제1 풀리(150)와 제2 지지부(200)에 제2 풀리(250)에 구동 와이어(300)를 걸 수 있다. 이때, 촬영수단(470)이 구비된 이동수단(400)은 구동 와이어(300)에 지지되어 제1 지지부(10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3b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구동부를 이용하여 제1 풀리(150) 또는 제2 풀리(250)를 회전시키면, 구동 와이어(300)가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 풀리(150)와 제2 풀리(250)의 회전에 따라 구동 와이어(300)의 한쪽 줄(L1)은 일방향(A)으로 이동되고, 구동 와이어(300)의 다른쪽 줄(L2)은 타방향(B)으로 이동되다. 이때, 이동수단(400)은 일방향(A)으로 이동되는 구동 와이어(300)의 한쪽 줄(L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 와이어(300)의 한쪽 줄(L1)과 함께 일방향(A)으로 이동되고, 구동 와이어(300)의 다른쪽 줄(L2)과 가이드 와이어(350)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수단(400)이 일방향(A)으로 이동될 때, 촬영수단(470, 카메라)은 교량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최종적으로 교량의 손상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는 교량의 상판(F) 하부를 촬영하여 손상을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는 반드시 교량의 상판(F)을 촬영하는데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는 교량의 교각(P)을 촬영하여 손상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는 각각 점검로 난간과 지면(또는 교각(P)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치되어, 구동 와이어(3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동수단(400)과 함께 촬영수단(47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각(P)을 촬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안전진단장치의 사시도이다.
교량은 특정 구간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체인지(interchange)나 정션(junction) 등에는 교량이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구동 와이어(300)가 일직선으로 연장되면 촬영수단(470)은 곡선으로 연장된 교량의 모든 부분을 완벽하게 촬영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연장된 교량(C)에 대응하기 위해서, 경로변경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경로변경부재(500)는 구동 와이어(300)와 가이드 와이어(3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방향으로 당겨져 구동 와이어(300)와 가이드 와이어(350)를 휘어지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변경부재(500)에는 구동 와이어(300)가 관통하는 제1 경로변경홀(510)이 형성되고, 이때 구동 와이어(300)는 제1 경로변경홀(510)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즉, 경로변경부재(500)의 제1 경로변경홀(510)에는 구동 와이어(300)가 고정되지 않아 경로변경부재(500)는 구동 와이어(300)의 이동과 무관하게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경로변경부재(500)에는 가이드 와이어(350)가 관통하는 제2 경로변경홀(52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경로변경부재(500)는 이동수단(400)과 유사하게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로변경부재(500) 중 2개의 제1 경로변경홀(510)과 제2 경로변경홀(520)이 삼각기둥의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경로변경부재(500) 중 2개의 제1 경로변경홀(510)과 제2 경로변경홀(520)을 연결하는 3개의 판형부재(550)는 삼각기둥의 3개의 면을 이룰 수 있다. 한편, 경로변경부재(500)에는 경로변경부재(500)를 소정방향으로 당기는 경로변경 와이어(540)가 연결되는 제3 경로변경홀(5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경로변경홀(530)은 제2 경로변경홀(52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3 경로변경홀(530)에 경로변경 와이어(540)가 관통되어 연결된다. 이때, 경로변경 와이어(540)는 일단이 제3 경로변경홀(530)에 연결되고, 타단이 교량의 임의의 위치에 연결되어, 경로변경부재(500)를 소정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로변경부재(500)가 경로변경 와이어(540)에 의해서 소정방향으로 당겨지면(도 5 참조), 구동 와이어(300)와 가이드 와이어(350)가 경로변경부재(500)를 기준으로 휘어져, 곡선으로 연장된 교량(C)에 대응하여 이동수단(400)을 이동시키면서 촬영수단(470)으로 교량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경로변경부재(500)가 구비되는 경우, 이동수단(400)이 경로변경부재(500)를 통과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동수단(400)은 경로변경부재(5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동수단(400)은 2개가 구비되어, 제1 지지부(100)와 경로변경부재(500) 사이에 하나가 배치되고, 제2 지지부(200)와 경로변경부재(500) 사이에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이동수단(400)은 하나의 구동 와이어(300)에 의해서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제1 지지부 150: 제1 풀리
200: 제2 지지부 250: 제2 풀리
300: 구동 와이어 350: 가이드 와이어
400: 이동수단 410: 제1 이동부재
415: 고정홀 420: 제2 이동부재
425: 이동홀 430: 제1 연결부재
440: 제3 이동부재 445: 가이드홀
450: 제2 연결부재 453: 제2-1 연결부재
455: 제2-2 연결부재 460: 제1 지지부재
470: 촬영수단 475: 힌지결합
480: 제2 지지부재 490: 조명수단
500: 경로변경부재 510: 제1 경로변경홀
520: 제2 경로변경홀 530: 제3 경로변경홀
540: 경로변경 와이어 550: 판형부재
600: 라인 카운터 A: 일방향
B: 타방향 C: 곡선으로 연장된 교량
L1: 한쪽 줄 L2: 다른쪽 줄
X: 제1 소정영역 Y: 제2 소정영역
F: 상판 P, P1, P2: 교각
H1, H2: 점검로 난간

Claims (16)

  1. 교량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 풀리가 구비된 제1 지지부;
    상기 교량의 타측 또는 지면에 배치되고 제2 풀리가 구비된 제2 지지부;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에 걸려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는 구동 와이어; 및
    상기 구동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가 이동될 때 이동되며, 상기 교량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풀리의 제1 소정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풀리의 제2 소정영역을 둘러쌀 때,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서 상기 구동 와이어는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서 상기 구동 와이어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제1 이동부재;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되,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이동홀이 형성된 제2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수단에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되,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3 이동부재;
    를 포함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풀리의 제1 소정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풀리의 제2 소정영역을 둘러쌀 때,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서 상기 구동 와이어는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서 상기 구동 와이어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일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제1 이동부재;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되, 상기 제1 소정영역의 타단과 상기 제2 소정영역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이동홀이 형성된 제2 이동부재;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3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1 연결부재; 및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이동부재와 상기 제3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2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부재 또는 상기 제2 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촬영수단을 지지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교량에 조명을 비추는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부재 또는 상기 제2 이동부재 중 어느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조명수단을 지지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어에 연결되어, 소정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구동 와이어를 휘어지게 하는 경로변경부재;
    를 더 포함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부재에는 상기 구동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 경로변경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와이어는 상기 제1 경로변경홀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며, 이동수단에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경로변경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2 경로변경홀이 형성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부재에는 상기 경로변경부재를 소정방향으로 당기는 경로변경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3 경로변경홀이 형성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경로변경부재 사이에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경로변경부재 사이에 하나가 배치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가 이동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라인 카운터;
    를 더 포함하는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KR1020190059032A 2019-05-20 2019-05-20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KR10210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032A KR102100920B1 (ko) 2019-05-20 2019-05-20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032A KR102100920B1 (ko) 2019-05-20 2019-05-20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920B1 true KR102100920B1 (ko) 2020-04-16

Family

ID=7045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032A KR102100920B1 (ko) 2019-05-20 2019-05-20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056B1 (ko) 2022-01-06 2022-05-17 (주)미래시티글로벌 와이어 이동형 구조물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구조물 검사 장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662Y1 (ko) 2004-06-26 2004-10-21 김길평 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균열측정장치
KR20100066161A (ko) * 2008-12-09 2010-06-17 이병주 이동식점검대차를 이용한 교량점검시스템
US20140368614A1 (en) * 2013-06-13 2014-12-18 Edge Toy, Inc. Three dimensional scann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ree dimensional scanning apparatuses
JP2017223087A (ja) * 2016-06-17 2017-12-21 東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KR101934490B1 (ko) * 2018-04-27 2019-01-02 (주)바라본 교량 무인 점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662Y1 (ko) 2004-06-26 2004-10-21 김길평 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균열측정장치
KR20100066161A (ko) * 2008-12-09 2010-06-17 이병주 이동식점검대차를 이용한 교량점검시스템
US20140368614A1 (en) * 2013-06-13 2014-12-18 Edge Toy, Inc. Three dimensional scann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ree dimensional scanning apparatuses
JP2017223087A (ja) * 2016-06-17 2017-12-21 東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KR101934490B1 (ko) * 2018-04-27 2019-01-02 (주)바라본 교량 무인 점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056B1 (ko) 2022-01-06 2022-05-17 (주)미래시티글로벌 와이어 이동형 구조물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구조물 검사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682B1 (ko) 시설물 점검장치
CN105510350B (zh) 隧道表面图像获取装置及隧道表面检测设备
KR102100920B1 (ko) 교량용 안전진단장치
JP6355517B2 (ja) 橋梁検査ロボットシステム
EP1662251A3 (de) Optische Inspektionsvorrichtung für Substrate
JP6173626B1 (ja) 構造物点検装置
CN107085276A (zh) 一种拼接镜子镜位置装调方法
CN100483066C (zh) 可自动对正被检测物的检测装置
US20090079995A1 (en) Tilting adjustable surface profilometer
KR100912651B1 (ko) 자동 영상 검사 장치
CN108332084A (zh) 一种隧道检测平台光源装置及其光源分布方法
CN110320216A (zh) 一种u形轨道式桥梁检测系统
KR102128833B1 (ko) 카메라의 화질 테스트장치
CN107564441A (zh) 一种自动光学检测装置及显示面板的检测系统
CN103983652A (zh) 乘客输送机的移动扶手探伤装置
JP2007155527A5 (ko)
FR3111726B1 (fr) procédé d’authentification d’un élément optiquement variable.
CN108613691A (zh) 一种分离反光式元件背光成像方法及装置
DE19703601A1 (de) Abtastvorrichtung
KR20190052516A (ko) 표면 검사 장치
CN207457055U (zh) 瓷砖色差检测设备
EP1675453A3 (de) Vorrichtung zum Beleuchten von Objekten, Sensorvorrichtung
CN107561866A (zh) 用于浸没式光刻机的双工件台装置以及浸没式光刻机
JPH03212503A (ja) 橋体点検装置
JP4231332B2 (ja) ヘッドライトテスタの回転正対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