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143B1 -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143B1
KR102100143B1 KR1020190007449A KR20190007449A KR102100143B1 KR 102100143 B1 KR102100143 B1 KR 102100143B1 KR 1020190007449 A KR1020190007449 A KR 1020190007449A KR 20190007449 A KR20190007449 A KR 20190007449A KR 102100143 B1 KR102100143 B1 KR 102100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xing
protrusion
container lid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나
Original Assignee
한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2Caps or cap-like covers with elastic parts adapted to be stretched over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갖고 상방이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테두리에 외측으로 걸림턱을 갖는 용기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여 고정되는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차폐부(10); 및 상기 차폐부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된 고정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21,22)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걸림턱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서로의 돌출길이가 다른 이종돌출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용기뚜껑이 서로의 돌출길이가 다른 이종돌출구조를 통해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직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용기 상단을 견고히 차폐하여 용기뚜껑이 용기로부터 이탈될 우려나 덜그럭거림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용기의 보관상태가 우수하게 됨은 물론 용기의 내용물 유출을 방지하여 오염 예방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용기뚜껑{VESSEL CAP}
본 발명은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싸 덮은 상태에서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통해 용기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나 쥬스 등의 일회용 휴대음료제품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와, 이 용기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용기는 일차적으로 음료가 투입된 용기의 상단부를 얇은 밀봉지로 밀봉한 상태에서 용기뚜껑이 장착되어 있다가 음용을 위해 밀봉지를 개봉하게 되면 그 후로는 용기뚜껑만으로 용기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일회용 휴대음료제품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내부공간을 갖고 상방이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테두리에 외측으로 걸림턱을 갖는 용기와, 이 용기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여 고정되는 용기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뚜껑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휴대음료제품은 용기뚜껑의 고정돌기가 고정부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각각의 고정돌부는 일률적으로 동일한 돌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음료제품의 냉장 보관 등에 의해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직경이 수축되는 등 직경에 변화에 생길 경우 용기뚜껑이 용기 상단부에 견고히 장착되지 않고 덜거럭거리거나 심지어는 용기로부터 이탈되면서 주위를 오염시키는 등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 기술의 예로써, 복수개의 고정돌기 중 일부에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슬릿이나 천공을 형성하여 발생되는 버(burr)가 상기 고정돌기 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되는 소정의 돌기 기능을 수행하여 용기 상단테두리의 직경변화에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슬릿이나 천공에 의한 버 형상의 돌기 단면이 날카롭게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무심코 손을 댈 경우 상해가 발생됨은 물론 돌기 단면과 맞닿게 되는 용기 맞닿음면 역시 긁히게 되면서 용기에도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되어 이 역시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093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차폐부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걸림턱 방향으로 돌출되는 표면이 매끄러운 복수개가 마련되되 서로의 돌출길이가 다른 이종돌출구조를 갖도록 하여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직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뚜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은 내부공간을 갖고 상방이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테두리에 외측으로 걸림턱을 갖는 용기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여 고정되는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걸림턱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서로의 돌출길이가 다른 이종돌출구조를 갖되, 상기 이종돌출구조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 전체를 감싸는 링형상으로 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턱을 향해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제1고정돌기와 동일 원호상을 따라 상기 각각의 제1고정돌기와 상호 교대로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돌기의 돌출길이보다 상기 걸림턱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고정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돌기는 상단부 일측에 상기 제2고정돌기에 걸린 상태의 상기 걸림턱이 맞닿아 밀착 지지되는 턱밀착면이 마련되되, 상기 턱밀착면은 상기 고정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소정길이 돌출되는 돌출곡면 구조로 되고, 상기 제2고정돌기는 상기 턱밀착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다시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소정길이 돌출되는 연속다단구조로 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원호 형상을 따라 소정각도 연장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터널형상의 곡면돌부; 및 상기 곡면돌부의 양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로 연장되어 상기 곡면돌부의 양단을 밀봉시키기 위해 부분 돔 형상으로 된 한 쌍의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제1, 2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상하방향에 대해 서로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제1, 2고정돌기의 상하 높낮이 간격은 상기 용기의 걸림턱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면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용기뚜껑은 차폐부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걸림턱 방향으로 돌출되는 표면이 매끄러운 복수개가 마련되되 서로의 돌출길이가 다른 이종돌출구조를 갖도록 하여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직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용기 상단을 견고히 차폐하여 용기뚜껑이 용기로부터 이탈될 우려나 덜그럭거림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용기의 보관상태가 우수하게 됨은 물론 용기의 내용물 유출을 방지하여 오염 예방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고정돌기의 표면을 매끄러운 구조로 하여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요부를 두드러지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을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요부를 외측에서 바라본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요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을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이 용기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은 내부공간을 갖고 상방이 개방되며 개방된 링 형상의 상단테두리에 외측으로 걸림턱(7)을 갖는 용기(5)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고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용기뚜껑은, 차폐부(10)와 고정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부(10)는 상기 용기(5)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여 용기(5)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차폐부(10)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용기(5)의 상단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7)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21,2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21,22)는, 상기 고정부(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용기(5)의 링 형상 상단테두리의 걸림턱(7)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서로의 돌출길이가 다른 이종돌출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이종돌출구조는, 상기 고정부(20)가 상기 용기(5)의 상단테두리 전체를 감싸는 링형상으로 되고, 상기 고정돌기(21,22)는, 상기 고정부(2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걸림턱(7)을 향해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고정돌기(21) 및 상기 제1고정돌기(21)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돌기(21)의 돌출길이보다 상기 걸림턱(7)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복수의 제2고정돌기(22) 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돌기(22)는 상단부 일측에 상기 제2고정돌기(22)에 걸린 상태의 상기 걸림턱(7)이 맞닿아 밀착 지지되는 턱밀착면(23)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턱밀착면(23)은 상기 고정부(20)에서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소정길이 돌출되는 돌출곡면 구조로 되고, 상기 제2고정돌기(22)는 상기 턱밀착면(23)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제2고정돌기(22)의 상반부가 상기 턱밀착면(23)과 같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소정길이 돌출되는 연속다단구조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정돌기(21,22)의 제작 순서상으로 볼 때, 일례로 상기 제2고정돌기(22)는 제1고정돌기(21)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갖는 돌기로 제작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제2고정돌기(22)의 인접 상부를 가압하여 턱밀착면(23)을 형성하는 후처리 공정에 의해 상기 제2고정돌기(22)가 상기 턱밀착면(23)과 같이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제1고정돌기(21)보다 내측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21,22)는, 상기 고정부(20)의 원호 형상을 따라 소정각도 연장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터널형상의 곡면돌부(21a,22a) 및 상기 곡면돌부(21a,22a)의 양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20)로 연장되어 상기 곡면돌부(21a,22a)의 양단을 밀봉시키기 위해 부분 돔 형상으로 된 한 쌍의 밀봉부(21b,22b)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곡면돌부(21a,22a)의 구조에 의해 걸림턱(7)에 대한 걸림 및 걸림해제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21b,22b)의 구조에 의해 용기뚜껑이 용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 회전되는 경우, 밀봉부(21b,22b)의 라운드진 곡면과 걸림턱(7) 간에 걸림이 없게 되어 서로 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져서 상기 용기(5)의 걸림턱(7)을 덮어씌울 때 이 걸림턱(7)에 방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덮어씌울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돌기(22)는 제1고정돌기(21)와 교대로 번갈아가면서 고정부(2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배치되되, 기본적으로 고정부(20)의 전체에 걸쳐 등간격으로 4개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그 밖에 3개 또는 6개 정도를 형성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용기뚜껑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온 보관 상태의 용기(5)의 상방으로 용기뚜껑을 덮어씌우게 되면 내측방향으로의 돌출길이가 비교적 짧은 제1고정돌기(21)가 상기 용기(5)의 걸림턱(7) 저면을 떠받친 상태로 걸려 용기(5)에 용기뚜껑이 고정된다.
그러다가, 용기(5)를 냉장 보관하게 되는 경우 저온에 의해 용기(5)의 상단테두리가 수축(용기 상단을 밀봉하는 밀봉지가 수축되는 인장력에 의해 용기의 상단테두리도 같이 수축되는 현상 정도로 볼 수 있다.)되면서 그 직경이 줄어들게 되며, 이렇게 상단테두리의 직경이 줄어들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돌기(21)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제2고정돌기(22)가 걸림턱(7) 저면을 떠받친 상태로 걸려 용기뚜껑이 용기(5)의 상단테두리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단테두리의 걸림턱(7) 외측단부는 상기 턱밀착면(23)에 밀착되면서 상기 걸림턱(7)은 제2고정돌기(22)에 의해 저면이 떠받쳐지고 턱밀착면(23)에 의해 외측단부가 밀착되는 이중 밀착 구조에 의해 상기 용기뚜껑이 용기(5)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제1, 2고정돌기(21,22)는 상기 고정부(20)의 상하방향에 대해 서로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고정돌기(21,22)의 상하 높낮이 간격은 상기 용기(5)의 걸림턱(7) 두께와 일치하거나 최소한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은 차폐부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걸림턱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서로의 돌출길이가 다른 이종돌출구조를 갖도록 하여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직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용기 상단을 견고히 차폐하여 용기뚜껑이 용기로부터 이탈될 우려나 덜그럭거림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용기의 보관상태가 우수하게 됨은 물론 용기의 내용물 유출을 방지하여 오염 예방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돌기의 표면을 매끄러운 구조로 하여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5 : 용기 7 : 걸림턱
10 : 차폐부 20 : 고정부
21 : 제1고정돌기 21a : 곡선터널부
21b : 밀봉부 22 : 제2고정돌기
22a : 곡선터널부 22b : 밀봉부
23 : 턱밀착면

Claims (3)

  1. 내부공간을 갖고 상방이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테두리에 외측으로 걸림턱을 갖는 용기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여 고정되는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된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의 걸림턱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서로의 돌출길이가 다른 이종돌출구조를 갖되,
    상기 이종돌출구조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 전체를 감싸는 링형상으로 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턱을 향해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제1고정돌기와 동일 원호상을 따라 상기 각각의 제1고정돌기와 상호 교대로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돌기의 돌출길이보다 상기 걸림턱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고정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돌기는 상단부 일측에 상기 제2고정돌기에 걸린 상태의 상기 걸림턱이 맞닿아 밀착 지지되는 턱밀착면이 마련되되, 상기 턱밀착면은 상기 고정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소정길이 돌출되는 돌출곡면 구조로 되고, 상기 제2고정돌기는 상기 턱밀착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다시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소정길이 돌출되는 연속다단구조로 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원호 형상을 따라 소정각도 연장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터널형상의 곡면돌부; 및 상기 곡면돌부의 양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로 연장되어 상기 곡면돌부의 양단을 밀봉시키기 위해 부분 돔 형상으로 된 한 쌍의 밀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면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KR1020190007449A 2019-01-21 2019-01-21 용기뚜껑 KR102100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49A KR102100143B1 (ko) 2019-01-21 2019-01-21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49A KR102100143B1 (ko) 2019-01-21 2019-01-21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143B1 true KR102100143B1 (ko) 2020-04-14

Family

ID=7029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449A KR102100143B1 (ko) 2019-01-21 2019-01-21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1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882U (ja) * 2001-04-05 2001-10-12 ペーパーウェア株式会社 紙コップの紙製の蓋
KR200331129Y1 (ko) * 2003-07-29 2003-10-22 주식회사 이생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 뚜껑
JP2004238037A (ja) * 2003-02-06 2004-08-26 Office Taoka:Kk 濾過器付きコップ蓋
KR20090009093U (ko) 2008-03-06 2009-09-10 유승석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JP3198245U (ja) * 2015-03-27 2015-06-25 勝騰實業股▲ふん▼有限公司 紙コップ蓋体構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882U (ja) * 2001-04-05 2001-10-12 ペーパーウェア株式会社 紙コップの紙製の蓋
JP2004238037A (ja) * 2003-02-06 2004-08-26 Office Taoka:Kk 濾過器付きコップ蓋
KR200331129Y1 (ko) * 2003-07-29 2003-10-22 주식회사 이생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 뚜껑
KR20090009093U (ko) 2008-03-06 2009-09-10 유승석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JP3198245U (ja) * 2015-03-27 2015-06-25 勝騰實業股▲ふん▼有限公司 紙コップ蓋体構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55B1 (ko)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NO770357L (no) Beholder og lokk.
US20190210788A1 (en)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and package for microwave oven
JPH0583241B2 (ko)
JP2018527263A (ja) オーバーキャップ装置を備える容器閉止部
US20160130050A1 (en) Child Resistant Tube
KR102100143B1 (ko) 용기뚜껑
JP2017013830A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13126890A (ja) 一体成型合成樹脂製容器蓋
KR102099647B1 (ko) 용기뚜껑
JP6998589B2 (ja) 蓋体
JP2016078930A (ja) 容器から分離可能なキャップ
JP5143150B2 (ja) 容器
US3344943A (en) Container closure
JP2012206761A (ja) キャップ
US1234189A (en) Milk-can.
US3327752A (en) Jar closure
KR20090011961U (ko) 밀폐용기
EP3521195A1 (en) Cap for use with bottle having positive internal pressure, and bottle with cap attached thereto
JP4800785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KR20130047713A (ko) 안전 원터치 캔
JP2009241939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バンド付きオーバーキャップ
KR20120096249A (ko) 안전 캔 용기
JP4596419B2 (ja) 封緘式キャップ
KR20100004811U (ko) 실링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