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419B1 -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419B1
KR102099419B1 KR1020190000212A KR20190000212A KR102099419B1 KR 102099419 B1 KR102099419 B1 KR 102099419B1 KR 1020190000212 A KR1020190000212 A KR 1020190000212A KR 20190000212 A KR20190000212 A KR 20190000212A KR 102099419 B1 KR102099419 B1 KR 102099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vectoring
bee
skim milk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연식
김다란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419B1/ko
Priority to PCT/KR2020/000009 priority patent/WO20201418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y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벌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벌 매개 식물병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Bee-vectoring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comprising polyethylene glycol, skim milk and useful microorganism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작물 재배 시 많은 식물병원균 또는 해충들이 작물의 생장을 저해시켜, 이들에 대한 방제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 작물에 따라서는 30~100%의 수확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유해 생물을 방제하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합성농약들이 개발되고 사용되어 왔으나, 많은 항생물질과 합성 농약이 오·남용됨에 따라 생태계 파괴, 잔류로 인한 인체 독성, 발암 또는 기형 등의 각종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생물과 식물로부터 새로운 선도물질을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와 식물 추출물 또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농약 개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생물농약은 환경친화적 작물보호제로서 합성농약과는 달리 인축 및 생태계에 안전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합성농약으로 방제하기 어려운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여 안전한 농작물의 생산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비-벡터링(bee-vectoring) 기술은 꿀벌이나 뒤영벌들이 모여 있는 벌통의 내부 또는 외부에 미생물 제제를 담은 분배장치를 설치하여 벌들이 수분활동을 위해 벌통에서 외부로 빠져나갈 때 분배장치를 통과하여 기어나가게 함으로써 몸에 미생물 제제가 묻게 하고, 미생물 제제가 묻어있는 벌들이 수분활동을 하는 동안에 식물체의 꽃이나 잎 부위에 유용 미생물을 퍼트려 병해충 방제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작물 보호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화분매개곤충들의 빈번한 방화활동을 이용하여 병해충 방제가 필요한 꽃이나 잎에 정확히 미생물 제제를 운반함으로써, 농작물의 수량을 증가시키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병해충 방제를 위해 미생물 제제 또는 농약 등을 빈번하고 광범위하게 사용해왔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02663호에는 '미립자 칼슘 실리케이트 및 크로노스타치스 로세아를 포함하는 식물 치료용 제제'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식물병 방제 미생물을 벌에 매개하여 식물체에 전달하기 위한 비-벡터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비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poly ethylene glycol, PEG; MW 4000)이 12.5%로, 탈지유(Skim milk)가 3% 농도로 포함될 경우 조성물의 증발량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Streptomyces badius) SP6C4 균주를 혼합하고, 이를 벌에 분사한 결과 딸기에서 잿빛곰팡이병(gray mold)의 발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탈지유(skim milk)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bee-vectoring)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을 벌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벌 매개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은 상온에서 조성물 증발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유용 미생물이 식물체에 장기간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유용 미생물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병해 방제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적 생물농약의 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벡터링용 조성물 제조의 최적 조건을 선발한 결과로, A는 다양한 농도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탈지유(skim milk)와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Streptomyces badius) SP6C4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10일 동안 반응시킨 후 조성물의 무게 및 조성물에 존재하는 미생물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고, B는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탈지유와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Streptomyces badius) SP6C4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10일 동안 반응시킨 후 조성물의 무게 및 조성물에 존재하는 미생물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0 Time point weight; 실험 시작일에 측정, 왼쪽 세로축; 조성물의 무게, 오른쪽 세로축; 유용 미생물 농도.
도 2는 딸기 재배용 시설하우스 안에 놓아둔 벌통의 출입구에 비-벡터링용 조성물을 공급할 수 있는 분사장치가 설치된 모습이다.
도 3은 수분곤충인 벌을 이용한 자연전파 시스템을 통해 비-벡터링용 조성물을 벌에 처리한 후 포장 내의 딸기에서 잿빛곰팡이병의 발병 억제 효과를 일자별로 확인한 결과이다. control(untreated); 비-벡터링 조성물 무처리 대조군, Honey bee delivery system with SP6C4; 비-벡터링 조성물 처리군.
도 4는 벌 매개 식물병 방제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딸기에 존재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 균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항생물질 유전자인 lanM의 발현을 일자별로 확인한 qPCR(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탈지유(skim milk)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bee-vectoring)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3,500~4,500 Da이고, 조성물 내에 11~13%(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4,000 Da이고 12.5%(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보존제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에서, 상기 탈지유는 2~4%(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지하게는 3%(w/v)의 농도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탈지유는 조성물에 포함된 유용 미생물의 영양분 공급 및 장기간 생존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에서, 상기 유용 미생물은 식물병에 대한 방제 활성이 있는 미생물로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액티노마이세스 속(Actinomyces sp.),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또는 트리코데르마 속(Trichoderma sp.)의 미생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의 미생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Streptomyces badius) SP6C4(기탁번호: KCCM11703P)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 균주는 딸기 꽃 곰팡이병에 방제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균주이다(한국등록특허 제1695978호 참고).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에서, 4,000 Da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탈지유가 각각 12.5%(w/v) 및 3%(w/v)의 농도로 포함될 경우, 조성물의 증발량이 감소되어 벌에 분사되기까지 장기간 상온에 노출되어도 손실량이 매우 적어 유용하며, 조성물에 함유된 유용 미생물이 식물체에 장기간 머무를 수 있으므로, 식물병 방제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직접 분사가능한 용액, 현탁액의 형태 또는 고농축 수성, 유성 또는 다른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또는 유성 분산액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예를 들어 용매 및/또는 담체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종종, 비활성 첨가제 및 표면-활성 물질, 예를 들어 유화제 또는 분산제를 제제에 혼합한다. 적합한 표면-활성 물질은 방향족 술폰산(예를 들어 리그노술폰산, 페놀-술폰산, 나프탈렌- 및 디부틸나프탈렌술폰산), 지방산, 알킬-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라우릴에테르, 지방 알코올 술페이트의 알칼리 금속, 알카라인 토금속, 암모늄염, 술페이트화 헥사-, 헵타- 및 옥타데칸올, 지방 알코올 글리콜 에테르의 염,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및 이의 유도체,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나프탈렌 또는 나프탈렌술폰산,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옥틸 페놀 에테르, 에톡실화 이소옥틸-, 옥틸- 또는 노닐페놀, 알킬페닐 또는 트리부틸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폴리에테르 알코올,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지방 알코올/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에톡실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테이트, 소르비톨 에스테르, 리그닌-술파이트 폐액 또는 메틸셀룰로오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은 작물체 흡수 및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확산제 및 침투제, 또는 계면활성제와도 혼용이 가능하다.
상기 확산제 및 침투제 또는 계면활성제는 유용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는 범위에서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bee-vectoring)용 조성물을 벌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벌 매개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비-벡터링은 벌(bee)이 수정활동을 하는 동안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식물체에 전달하게 하여 식물병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작물보호 기술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벌 매개 식물병 방제 방법에서, 상기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bee-vectoring)용 조성물은 4,000 Da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탈지유를 각각 12.5%(w/v), 3%(w/v)의 농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에 106 CFU/㎖ 농도의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Streptomyces badius) SP6C4(기탁번호: KCCM11703P) 균주가 존재하는 1X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버퍼가 혼합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을 벌에게 분사하기 위해 벌통 입구에 분사 장치를 설치한 후 벌이 출입할 때 조성물을 벌에게 분주하여 딸기의 잿빛곰팡이병 또는 꽃곰팡이병을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벌 매개 식물병 방제 방법에서, 상기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은 시설하우스 내에서 벌에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 벡터링(bee-vectoring)용 조성물의 제조
비-벡터링용 조성물의 증발 억제를 위한 최적의 조성을 선발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2,000 Da PEG가 다양한 농도로 함유된 조성물들의 무게 및 조성물 내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PEG 농도를 선발한 후, 상기에서 선발된 최적의 PEG 농도로 다양한 분자량의 PEG가 함유된 조성물들의 무게 및 조성물 내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PEG 분자량을 선발하였다. 우선, 폴리에틸렌글리콜(PEG) 2,000 Da을 각각 5%, 7%, 10%, 12.5%, 15%, 20%, 25%, 50%의 농도로 제조한 후 3% 또는 7% 농도의 탈지유(skim milk)를 각각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106 CFU/㎖ 농도의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 균주가 들어있는 1X PBS 버퍼를 첨가하였다. 이 후 상온에서 10일이 경과한 후 상기 조성물의 무게 및 조성물 내에 함유된 유용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 8개 농도의 2,000 Da PEG가 각각 포함된 조성물들의 초기 측정 무게는 35 g이었고, 10일 후에 다시 측정한 결과 12.5%의 PEG가 혼합된 조성물의 무게가 약 24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성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농도는 12.5%의 PEG가 혼합된 조성물에서 최초 처리 농도인 106 CFU/㎖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A).
또한, 총 5개 분자량의 PEG가 12.5% 농도로 각각 포함된 조성물들의 초기 측정 무게는 35 g이었고, 10일 후에 다시 측정한 결과 6,000 Da PEG가 혼합된 조성물의 무게가 약 23g으로 가장 높았으나, 조성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농도는 4,000 Da PEG가 혼합된 조성물에서 최초 처리 농도인 106 CFU/㎖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skim milk는 3% 또는 7% 농도로 조성물에 처리한 경우 조성물의 무게 및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농도가 서로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B).
상기의 결과를 통해, 비-벡터리용 조성물에 4,000 Da의 PEG가 12.5%로, skim milk가 3%로 포함될 경우 조성물의 증발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고, 조성물 내 유용 미생물의 농도도 초기 농도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비- 벡터링용 조성물의 처리에 따른 딸기 잿빛곰팡이병 발병 억제 효과
딸기 재배용 시설하우스 안에 놓아둔 벌통의 출입구에 비-벡터리용 조성물을 공급할 수 있는 분사장치(부피: 450 ㎖)를 설치하였고(도 2), 분사장치에 균주를 도입한 경우 호기성균의 특성상 산소를 공급하는 층을 유지하기 위해 250~300 ㎖만을 투입하였다. 2주 후에 딸기의 잿빛곰팡이병 발병도를 관찰하였다. 발병도 관찰 구역은 벌통으로부터 3 M 떨어진 공간을 1구역, 입구로부터 20 M 떨어진 공간을 2구역, 포장의 끝으로부터 3 M 떨어진 공간을 3구역으로 지정하였으며, 각 구역에서 150개의 딸기 개체를 대상으로 발병도를 관찰하였다.
비-벡터링용 조성물을 수분곤충인 벌을 이용한 자연전파 시스템을 통해 딸기에 처리한 결과, 비-벡터링용 조성물이 처리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에서는 발병률이 30% 이상이었으나, 비-벡터링용 조성물이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발병률이 15%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이를 통해, 유용 미생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비-벡터링 시스템으로 처리할 경우 식물병 발병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수분곤충의 자연전파방식을 이용한 딸기에서 유용 미생물의 농도 측정
딸기에 존재하는 유용 미생물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딸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를 분리한 후 CTAB(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기법을 통해 게노믹 DNA를 추출하였고, 상기 균주의 특이적 항생물질 유전자인 lanM 특이적 프라이머(정방향: 5'-gtacggatctgcaccacga-3'(서열번호 1), 역방향: 5'-aacagggtctccacatcgac-3'(서열번호 2))를 이용하여 qPCR(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였다.
딸기에 존재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의 농도를 실험 시작일에 측정한 결과, 비-벡터링용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과 비-벡터링용 조성물 처리군에서 모두 104 CFU/g인 것을 확인하였다. 비-벡터링용 조성물을 처리하고 2주 후에 다시 측정한 결과, 무처리 대조군의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의 농도는 103 CFU/g으로 감소한 반면, 비-벡터링용 조성물 처리군의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의 농도는 105 CFU/g으로, 유용 미생물의 농도가 초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4).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20> Bee-vectoring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comprising polyethylene glycol, skim milk and useful microorganism as effective component <130> PN18538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gtacggatct gcaccacga 19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aacagggtct ccacatcgac 20

Claims (6)

  1. 분자량이 3,500~4,500 Da인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탈지유(skim milk)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bee-vectoring)용 조성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비하여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이 11~13%(w/v)의 농도로 포함되고, 상기 탈지유는 2~4%(w/v)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 미생물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액티노마이세스 속(Actinomyces sp.),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및 트리코데르마 속(Trichoderma sp.)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용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의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bee-vectoring)용 조성물을 벌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벌 매개 식물병 방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은 시설하우스 내에서 벌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 매개 식물병 방제 방법.
KR1020190000212A 2019-01-02 2019-01-02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KR102099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12A KR102099419B1 (ko) 2019-01-02 2019-01-02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PCT/KR2020/000009 WO2020141874A1 (ko) 2019-01-02 2020-01-02 친수성 고분자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12A KR102099419B1 (ko) 2019-01-02 2019-01-02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419B1 true KR102099419B1 (ko) 2020-04-09

Family

ID=7027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212A KR102099419B1 (ko) 2019-01-02 2019-01-02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9419B1 (ko)
WO (1) WO202014187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607A (ja) * 1993-06-04 1994-12-20 Ciba Geigy Ag 殺微生物剤
WO2010136599A2 (en) * 2009-05-29 2010-12-02 Biobest Belgium Nv Hive-mounted disseminator device
KR20150002663A (ko) * 2012-03-12 2015-01-07 비 벡터링 테크놀로지 인크. 미립자 칼슘 실리케이트 및 크로노스타치스 로세아를 포함하는 식물 치료용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6926B2 (ja) * 2013-02-01 2018-09-26 ビー ヴェクトリング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ee Vectoring Technology Inc. 植物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607A (ja) * 1993-06-04 1994-12-20 Ciba Geigy Ag 殺微生物剤
WO2010136599A2 (en) * 2009-05-29 2010-12-02 Biobest Belgium Nv Hive-mounted disseminator device
KR20150002663A (ko) * 2012-03-12 2015-01-07 비 벡터링 테크놀로지 인크. 미립자 칼슘 실리케이트 및 크로노스타치스 로세아를 포함하는 식물 치료용 제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응용곤충학회지, 52(4), pp.357-364 (20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1874A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ehnder et al.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in cucumber against cucumber beetles (Coleoptera: Chrysomelidae) by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EP353183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treat citrus greening disease
KR101695918B1 (ko) 딸기 화분으로부터 분리한 곤충병원균 또는 딸기 진균병 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87141B1 (ko)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Gopal et al. Management of the grape mealy bug, Maconellicoccus hirsutus (Green),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and botanical oils: a laboratory study
KR102099419B1 (ko) 폴리에틸렌글리콜, 탈지유 및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를 위한 비-벡터링용 조성물
TWI684408B (zh) 用於控制植物病毒的組成物、殺蟲組成物及使用其控制植物病毒的方法
Mani et al. Methods of control
JP2000511204A (ja) 植物寄生線虫に対して有効な殺卵作用を有するバイオ殺線虫剤
RU2676161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дыни от дынной мухи
KR101320428B1 (ko) 3-펜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N103053606B (zh) 一种含唑菌酯的杀真菌组合物
CN110583686A (zh) 耐超低温储存消毒杀虫复配制剂
US20040037904A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saponificated vegetable oil
CN111316995B (zh) 农药组合物、农药制剂及二者的应用
US20230124125A1 (en) Protected plants and methods of obtaining them
KR101966529B1 (ko) 솔수염하늘소에 방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한 Metarhizium anisopliae JEF-197 및 Metarhizium anisopliae JEF-279 균주, 이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를 방제하는 방법
Elisovetskaya et al. Biorational pesticides in the integrated protection system of stone fruit crops
WO2020130444A1 (ko) 프리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유용 균주의 생장 증진 및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3836789A1 (en) Biological preparation for plant protection,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method of its use
EP3901249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growth of useful strains and controlling plant diseases by using prebiotics, and use thereof
CN104585187B (zh) 含有氟氯吡啶酯和唑草酮以及唑啉草酯的除草组合物
JP2650223B2 (ja) アブラムシ駆除剤
CZ19315U1 (cs) Přípravek na ochranu rostlin
JP2022530196A (ja) 有害生物防除キット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