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220B1 -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220B1
KR102099220B1 KR1020170110186A KR20170110186A KR102099220B1 KR 102099220 B1 KR102099220 B1 KR 102099220B1 KR 1020170110186 A KR1020170110186 A KR 1020170110186A KR 20170110186 A KR20170110186 A KR 20170110186A KR 102099220 B1 KR102099220 B1 KR 10209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vessel
unit
flange portion
cutting
c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068A (ko
Inventor
박광수
김해웅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2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nuclear fuel, e.g. before reprocessing ; 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strings of spent fuel elements
    • G21C19/36Mechanical mean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는 원자로 용기(2)의 상단 원주 방향에 구비된 플랜지 부(2a)에 대한 부분 절단을 위해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상단에 위치되고 절단기(110)가 구비된 절단 유닛(100); 상기 절단기(1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200); 상기 원자로 용기(2)의 플랜지 부(2a)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구동 유닛(200)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0); 및 상기 절단 유닛(100)과 구동 유닛(200)을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 부(2a)의 절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유닛(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Pre-cut device of reactor vessel}
본 발명은 원자로 용기와 상부 헤드가 결합되는 플랜지 부에 대한 프리 컷(Pre cu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는 열 발생, 방사성 동위원소나 플루토늄 생산, 강한 핵 방사선의 발생, 또는 그 외의 유용한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핵분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제어 가능하도록 설계된 장치이다.
원자로는 용기의 내부에 핵연료 집합체와 제어봉 집합체(control element assembly)가 내부 구조물(reactor vessel interal)에 의해 지지된다. 핵연료 집합체는 다수의 핵연료봉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핵연료봉의 내부에는 핵분열 에너지인 우라늄 소결체가 삽입되어 있으며, 핵연료봉의 내경은 10mm이고, 두께는 0.5mm이며, 그 길이는 4000mm 내외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어봉 집합체는 원자로 반응도 제어를 위해 원자로 상부에 장착되는 부품으로 핵분열시 중성자를 흡수해 출력증강과 노심반응도 등을 조절하고 사고발생시 자동 낙하시켜 원자로 가동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원전의 핵심부품이다.
내부 구조물은 원자로 내부에서 핵연료 집합체(core assembly)를 지지하며 제어봉 집합체가 핵연료 안으로 삽입 또는 인출이 이루어질 때 안내하는 동시에 냉각수가 원자로로 인입 되었다가 인출될 때 통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핵연료 내 각종 계기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원전의 핵심 설비는 고준위의 방사능을 띄고 있어, 작업자의 접근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원전의 해체 시에는 원격으로 작동되는 절단 장비가 사용된다.
하지만, 원격 절단 장비를 원전의 핵심 설비 근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원전의 해체 구역 내로 투입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작업 방식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방사능 방호장비를 장착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일 예로 원자로 용기는 상부에 상부 헤드와 연결되고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서로 간에 결합된다. 특히 상부 헤드와 마주보는 원자로 용기의 상대면은 플랜지 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 부는 표면 보호를 위해 스테인리스로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필요에 따라 1차로 부분 절단이 이루어진 후에 2차로 화염 절단 방식인 열적 절단 방식으로 최종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플랜지 부에 형성된 코팅층에 대한 절단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예를 들면 원자로 용기의 직경이 상당하여 수십 회의 부분 절단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방사능 피폭의 위험성을 수반한 상태로 작업자가 상기 원자로 용기 주변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따라서 작업자의 방사능 피폭 없이 안전하게 원자로 용기의 플랜지 부에 대한 부분 절단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077149호(2004.03.11.)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원자로 용기의 플랜지 부에 대한 프리 컷(Pre cut)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여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방사선에 피폭되지 않고 플랜지 부에 대한 절단을 실시할 수 있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는 원자로 용기(2)의 상단 원주 방향에 구비된 플랜지 부(2a)에 대한 부분 절단을 위해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상단에 위치되고 절단기(110)가 구비된 절단 유닛(100); 상기 절단기(1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200); 상기 원자로 용기(2)의 플랜지 부(2a)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구동 유닛(200)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0); 및 상기 절단 유닛(100)과 구동 유닛(200)을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 부(2a)의 절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기(110)의 일측에는 절단된 플랜지 부(2a)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흡입되는 이물질 흡입 유닛(800)이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 부(2a)는 상면이 스테인리스로 코팅된 코팅층(2aa)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기(110)를 통해 상기 코팅층(2aa)를 경유하여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 유닛(100)은 상기 절단기(110)가 위치되기 위해 하단이 상기 플랜지 부(2a)에 맞물리고, 상단은 상측을 향해 연장된 베이스 프레임(1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전면 좌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기(110)는 상기 이격된 가이드 부(132)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132)의 좌측에 위치된 제1 풀리(P1); 상기 가이드 부(132)의 우측에 위치된 제2 풀리(P2); 상기 제1,2 풀리(P1, P2)에 일단이 권취된 후에 상기 구동유닛(200)을 향해 연장된 와이어 쏘(Wire saw)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풀리(P1, P2)는 상기 가이드 부(132)의 세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13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하측에서 상측까지 연장된 길이를 갖는 제1 가이드 레일(132a);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2a)의 연장된 경로에 복수개가 각각 위치된 가이드 커버(132b)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커버(132b) 사이를 횡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132c)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132c)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 부재(132c)를 상기 플랜지 부(2a)를 향해 승강 시켜 상기 제1,2 풀리(P1, P2)를 상기 플랜지 부(2a)로 이동시키기 위해 피스톤 유닛(500)이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 유닛(500)은 상기 연결 부재(132c)의 중앙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면에서 상부로 이격 되도록 구비된 받침판(52)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에 서로 이격된 제2 가이드 레일(54)이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6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유닛(200)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54)에 하면이 안착된 지지판(212)의 상면에 위치된 모터부(210); 상기 모터부(210)에서 연장된 회전축에 삽입된 메인 풀리(P3)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쏘(Wire saw)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 유닛(200)의 일측에 장력 조절 유닛(700)이 구비된다.
상기 장력 조절 유닛(700)은 상기 구동 유닛(200)을 상기 절단 유닛(100)과 서로 간에 이격된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장력 조절 실린더(710); 상기 와이어 쏘(Wire saw)의 장력 상태를 감지하는 장력 감지 센서(720)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 조절 실린더(710)의 신장 상태에 따라 상기 와이어 쏘(Wire saw)의 장력이 증가 또는 감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유닛(4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과 상기 플랜지 부(2a)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절단 유닛(100)을 상기 플랜지 부(2a)에서 수직 상부를 향해 소정의 간격으로 리프팅 되는 부피 팽창부(410);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외측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된 볼(Ball)(420); 상기 부피 팽창부(410)와 연결관(2)을 매개로 공기를 공급 시키는 공기 공급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부피 팽창부(410)가 팽창될 경우 상기 볼(420)은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측면 상부를 따라 구름 접촉되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의 방사능 피폭을 최소화 하면서도 원자로 용기의 플랜지 부에 대한 프리 컷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듀얼 형태로 플랜지 부를 절단할 수 있어 작업 속도가 향상된 프리 컷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원자로 용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회전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원자로 용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의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 절단 장치는 상부 헤드(미도시)와 연결되는 원자로 용기(2)의 원주 방향에 구비된 플랜지 부(2a)에 대한 부분 절단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상기 플랜지 부(2a)의 상면에 형성된 스테인리스층에 대한 절단을 주 목적으로 하고, 실제 절단시 상기 스테인리스층의 두께보다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부분 절단이 실시된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 부(2a)에 대한 프리 컷(pre cut)을 우선 실시하고 다음 공정으로 화염절단 공정으로 최종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자로 용기(2)의 상단 원주 방향에 구비된 플랜지 부(2a)에 대한 부분 절단을 위해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상단에 위치되고 절단기(110)가 구비된 절단 유닛(100)과, 상기 절단기(1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200)과, 상기 원자로 용기(2)의 플랜지 부(2a)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구동 유닛(200)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0) 및 상기 절단 유닛(100)과 구동 유닛(200)을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 부(2a)의 절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원자로 용기(2)는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에 반원 형태의 상부 헤드(3)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헤드 노즐이 상기 원자로 용기(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플랜지 부(2a)는 상부 헤드와 마주보는 원자로 용기(2)의 상면으로 상기 플랜지 부(2a)에 대한 부분 절단인 프리 컷(Pre cut)을 위해 절단 유닛9100)과 구동 유닛(200)이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 부(2a)는 상면이 스테인리스로 코팅된 코팅층(2aa)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기(110)를 통해 상기 코팅층(2aa)를 경유하여 절단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절단 유닛(100)은 상기 절단기(110)가 위치되기 위해 하단이 상기 플랜지 부(2a)에 맞물리고, 상단은 상측을 향해 연장된 베이스 프레임(1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전면 좌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은 플랜지 부(2a)에 권취되기 위해 종 단면도를 잘라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일 예로 ㄱ자 단면 형태로 구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20)에는 전면에 가이드 부(132)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 부는 후술할 절단기(110)의 승강을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하측에서 상측까지 연장된 길이를 갖는 제1 가이드 레일(132a)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2a)의 연장된 경로에 복수개가 각각 위치된 가이드 커버(13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2a)은 다각의 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커버(132b)의 내측 중앙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2a)이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 커버(132b)는 제1 가이드 레일(132a)을 따라 이동되므로 마찰이 최소화 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윤활을 위한 오일이 도포되거나, 상기 가이드 커버(132b)의 내측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2a)의 외주면과 구름 접촉되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어 구름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기(110)가 이동될 경우 마찰이 감소되므로 프리 컷에 따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 커버(132b)는 일 예로 제1 가이드 레일(132a)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되므로 절단기(110)의 승강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가이드 커버(132b) 사이를 횡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132c)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132c)는 후술할 피스톤 유닛(500)이 작동될 때 상기 연결 부재(132c)와 결합된 가이드 커버(132b)를 함께 이동시켜 절단기(110)의 승강이 이루어 진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절단기(110)는 상기 이격된 가이드 부(132)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132)의 좌측에 위치된 제1 풀리(P1)와, 상기 가이드 부(132)의 우측에 위치된 제2 풀리(P2)와, 상기 제1,2 풀리(P1, P2)에 일단이 권취된 후에 상기 구동유닛(200)을 향해 연장된 와이어 쏘(Wire saw)(112)를 포함한다.
제1 폴리(P1)와 제2 폴리(P2)는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폴리(P1, P2)는 플랜지 부(2a)에 대한 안정적인 프리 컷을 위해 제1 가이드 레일(132a)의 하측에 위치된 제1,2 폴리(P1, P2)는 횡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 풀리(P1, P2)에 권취된 와이어 쏘(112)는 원자로 용기(2)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수평하게 유지되므로 플랜지 부(2a)에 대한 프리 컷을 실시할 때 종 방향에서 수평 상태로 컷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단기(110)가 하강 될 경우 컷팅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다수의 프리 컷에 따른 오작동 또는 에어 발생이 최소화 된다.
상기 제1,2 풀리(P1, P2)는 상기 가이드 부(132)의 세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풀리(P1)와 제2 풀리(P2)는 각각 수평 위치에 위치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은 동일 수평 위치에 위치되고 상측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와이어 쏘(112)는 제1,2 풀리(P1, P2)에 권취된 후에 후술할 제3 풀리(P3)에 권취되어 회전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는 베이스 프레임(12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132c)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 부재(132c)를 상기 플랜지 부(2a)를 향해 승강 시켜 상기 제1,2 풀리(P1, P2)를 상기 플랜지 부(2a)로 이동시키기 위해 피스톤 유닛(500)이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 유닛(500)은 상기 연결 부재(132c)의 중앙에 위치되고, 피스톤(502)의 신장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32c)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면에서 상부로 이격 되도록 구비된 받침판(52)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에 서로 이격된 제2 가이드 레일(54)이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6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유닛(200)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54)에 하면이 안착된 지지판(212)의 상면에 위치된 모터부(210)와, 상기 모터부(210)에서 연장된 회전축에 삽입된 메인 풀리(P3)를 포함한다.
모터부(210)는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 상태가 제어되는데, 전술한 피스톤 유닛(500)도 함께 제어한다.
메인 풀리(P3)는 제1,2 풀리(P1, P2) 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되므로 1회전될 경우 상기 제1,2 풀리(P1, P2)는 2회전 또는 2회전 이상 회전되므로 고속 절단이 가능해 진다.
본 실시 예는 와이어 쏘(Wire saw)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 유닛(200)의 일측에 장력 조절 유닛(700)이 구비된다.
상기 장력 조절 유닛(700)은 상기 구동 유닛(200)을 상기 절단 유닛(100)과 서로 간에 이격된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장력 조절 실린더(710)와, 상기 와이어 쏘(Wire saw)의 장력 상태를 감지하는 장력 감지 센서(720)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 조절 실린더(710)의 신장 상태에 따라 상기 와이어 쏘(Wire saw)의 장력이 증가 또는 감소 된다.
제어부(900)는 장력 조절 실린더(710)에 대한 제어를 실시하는데 일 예로 상기 장력 감지 센서(720)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실린더의 신장 유무를 결정한다.
상기 와이어 쏘(112)는 플랜지 부(2a)에 대한 절단이 다수회 이루어질 경우 장력이 변화되는데, 일 예로 와이어 쏘(112)의 장력이 감소되면 플팬지 부(2a)에 대한 프리 컷의 안전성이 저하되거나, 프리 컷 도중에 와이어 쏘(112)가 플랜지 부(2a)에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와이어 쏘(112)의 장력을 상기 장력 감지 센서(720)를 통해 구정 장력으로 항시 유지되도록 상기 장력 조절 실린더(710)를 이용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본 실시 예는 와이어 쏘(112)의 장력이 규정 장력보다 낮을 경우 상기 장력 조절 실린더(710)가 절단 유닛(100)에서 멀러지는 방향(도면 기준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와이어 쏘(112)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플랜지 부(2a)에 대한 프리 컷 작업에서 상기 와이어 쏘(112)의 장력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안정적인 프리 컷과 작업 효율 향상 및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에러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회전 유닛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회전 유닛(400)은 플랜지 부(2a)에 대한 프리 컷이 다수회 이루어지는 작업이 실시될 때 작업자가 상기 절단 유닛(100)과 구동 유닛(200)이 위치된 곳에서 직접적으로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된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방사능 피폭 없이 상기 절단 유닛(100)과 구동 유닛(200)을 회전시킨 후에 플랜지 부(2a)에 대한 프리 컷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유닛(4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과 상기 플랜지 부(2a)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절단 유닛(100)을 상기 플랜지 부(2a)에서 수직 상부를 향해 소정의 간격으로 리프팅 되는 부피 팽창부(410)와,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외측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된 볼(Ball)(420)과, 상기 부피 팽창부(410)와 연결관(2)을 매개로 공기를 공급 시키는 공기 공급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부피 팽창부(410)는 외측으로 부피 팽창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절단 유닛(100)의 무게에 의한 일부 변형이 발생되나, 파손되지 않는 고무가 사용되나 다른 재질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부피 팽창부(410)는 베이스 프레임(120)의 하측을 따라 플랜지 부(2a)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내측에 삽입된다.
볼(420)은 원자로 용기(2)의 외측과 구름 접촉되는데,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원주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구름 접촉되므로 상기 부피 팽창부(410)의 팽창 정도에 따라 이동된다.
일 예로 상기 부피 팽창부(410)가 팽창될 경우 상기 볼(420)은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측면 상부를 따라 구름 접촉된다.
공기 공급부(430)는 부피 팽창부(410)와 연결관(2)을 매개로 공기를 공급 한다. 일 예로 공기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단기(110)의 일측에는 절단된 플랜지 부(2a)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흡입되는 이물질 흡입 유닛(800)이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 흡입 유닛(800)은 플랜지 부(2a)가 절단될 ? 발생되는 칩(chip)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여 주위로 비산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900)는 장력 감지 센서(710)에서 감지된 와이어 쏘(112)의 장력 상태를 입력 받아 장력 조절 실린더(71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그리고 모터부(210)를 작동시켜 와이어 쏘(112)를 회전시키면 피스톤 유닛(500)의 승강에 따라 코팅층(2aa)에 대한 프리 컷이 이루어진다.
프리 컷이 1회 실시된 이후에는 공기 공급부(430)를 제어하여 절단 유닛(100)과 구동 유닛(200)을 회전시켜 다음 프리 컷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원자로 용기(2)의 상단 원주 방향에 구비된 플랜지 부(2a)에 대한 부분 절단을 위해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상단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절단기(110, 110a)를 갖는 절단 유닛(100, 100a)과, 상기 절단기(110, 110a)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200)과, 상기 원자로 용기(2)의 플랜지 부(2a)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구동 유닛(200)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0) 및 상기 절단 유닛(100)과 구동 유닛(200)을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 부(2a)의 절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유닛(400)(도 4 참조)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절단기(110, 110a)가 듀얼 타입으로 한 번의 프리 컷으로 절단기(110, 110a)가 위치된 곳의 플랜지 부(2a)에 대한 프리 컷을 실시할 수 있다.
절단 유닛(100, 100a)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 기술한 구성과 유사하나 차이점이 있다면 제3 풀리(P3)에 2개의 와이어 쏘(112, 112a)가 권취되어 있어 제1,2 풀리(P1. P2)가 회전될 경우 2곳에서 플랜지 부(2a)에 대한 크리 컷이 도면 지군으로 좌우 양측 위치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경우 2곳에 대한 프리 컷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작업 속도가 향상되어 신속한 프리 컷이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 유닛(100, 100a)은 상기 구동 유닛(200)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상기 플랜지 부(2a)에 대한 부분 절단이 이루어진다.
구동 유닛(200)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원자로 용기
2a : 플랜지 부
100, 100a : 절단 유닛
110, 110a : 절단기
120 : 베이스 프레임
200 : 구동 유닛
300 : 베이스 플레이트
400 : 회전 유닛
410 : 부피 팽창부
420 : 볼
500 : 피스톤 유닛
600 : 지지 플레이트
700 : 장력 조절 유닛
800 : 이물질 흡입 유닛
900 : 제어부

Claims (18)

  1. 원자로 용기(2)의 상단 원주 방향에 구비된 플랜지 부(2a)에 대한 부분 절단을 위해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상단에 위치되고 절단기(110)가 구비된 절단 유닛(100);
    상기 절단기(1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200);
    상기 원자로 용기(2)의 플랜지 부(2a)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구동 유닛(200)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0); 및
    상기 절단 유닛(100)과 구동 유닛(200)을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 부(2a)의 절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기(110)의 일측에는 절단된 플랜지 부(2a)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흡입되는 이물질 흡입 유닛(800)이 구비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2a)는 상면이 스테인리스로 코팅된 코팅층(2aa)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기(110)를 통해 상기 코팅층(2aa)를 경유하여 절단이 이루어지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유닛(100)은 상기 절단기(110)가 위치되기 위해 하단이 상기 플랜지 부(2a)에 맞물리고, 상단은 상측을 향해 연장된 베이스 프레임(1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전면 좌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부(132)가 구비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110)는 상기 이격된 가이드 부(132)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132)의 좌측에 위치된 제1 풀리(P1);
    상기 가이드 부(132)의 우측에 위치된 제2 풀리(P2);
    상기 제1,2 풀리(P1, P2)에 일단이 권취된 후에 상기 구동유닛(200)을 향해 연장된 와이어 쏘(Wire saw)(112)를 포함하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풀리(P1, P2)는 상기 가이드 부(132)의 세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13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하측에서 상측까지 연장된 길이를 갖는 제1 가이드 레일(132a);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2a)의 연장된 경로에 복수개가 각각 위치된 가이드 커버(132b)를 포함하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커버(132b) 사이를 횡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132c)가 구비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132c)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 부재(132c)를 상기 플랜지 부(2a)로 이동시키기 위해 피스톤 유닛(500)이 구비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유닛(500)은 상기 연결 부재(132c)의 중앙에 위치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면에서 상부로 이격 되도록 구비된 받침판(52)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에 서로 이격된 제2 가이드 레일(54)이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600)가 구비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200)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54)에 하면이 안착된 지지판(212)의 상면에 위치된 모터부(210);
    상기 모터부(210)에서 연장된 회전축에 삽입된 메인 풀리(P3)를 포함하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쏘(Wire saw)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 유닛(200)의 일측에 장력 조절 유닛(700)이 구비된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 유닛(700)은 상기 구동 유닛(200)을 상기 절단 유닛(100)과 서로 간에 이격된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장력 조절 실린더(710);
    상기 와이어 쏘(Wire saw)의 장력 상태를 감지하는 장력 감지 센서(720)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 조절 실린더(710)의 신장 상태에 따라 상기 와이어 쏘(Wire saw)의 장력이 증가 또는 감소 되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1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4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과 상기 플랜지 부(2a)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절단 유닛(100)을 상기 플랜지 부(2a)에서 수직 상부를 향해 소정의 간격으로 리프팅 되는 부피 팽창부(410);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외측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된 볼(Ball)(420);
    상기 부피 팽창부(410)와 연결관(2)을 매개로 공기를 공급 시키는 공기 공급부(430)를 포함하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 팽창부(410)가 팽창될 경우 상기 볼(420)은 상기 원자로 용기(2)의 측면 상부를 따라 구름 접촉되면서 이동되는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110186A 2017-08-30 2017-08-30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KR10209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186A KR102099220B1 (ko) 2017-08-30 2017-08-30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186A KR102099220B1 (ko) 2017-08-30 2017-08-30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068A KR20190026068A (ko) 2019-03-13
KR102099220B1 true KR102099220B1 (ko) 2020-04-29

Family

ID=6576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186A KR102099220B1 (ko) 2017-08-30 2017-08-30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2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1629A (ja) * 2010-07-30 2012-02-16 Japan Atom Power Co Ltd:The 壁構造体の切断装置及び切断・解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1820A (ja) * 1991-12-24 1993-07-09 Toda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壁解体装置
JP2004077149A (ja) 2002-08-09 2004-03-11 Shimizu Corp 原子炉撤去工法
KR101610483B1 (ko) * 2014-07-30 2016-04-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폐 증기발생기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및 폐 증기발생기 처리장치의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1629A (ja) * 2010-07-30 2012-02-16 Japan Atom Power Co Ltd:The 壁構造体の切断装置及び切断・解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068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465957U (zh) 一种核电站反应堆压力容器检查装置
JP5483068B2 (ja) Pc鋼線挿入機
KR102099220B1 (ko) 원자로 용기의 프리 컷 장치
JP7043478B2 (ja) 切断装置、および制御装置
CN205522034U (zh) 一种单晶硅截断机
CN1841569A (zh) 更换核反应堆上部堆内构件中的至少一个热电偶柱的方法和装置
US20150321299A1 (en) Water jet peening device
KR20150111575A (ko)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용 작업대
KR102005676B1 (ko) 원자로 용기의 노즐 절단 장치
CN106505402A (zh) 一种多段剥皮设备
US11420275B2 (en) Machine for cutting nozzles of reactor vessels
CN216004742U (zh) 一种倒立梅花收线机
CN205464839U (zh) 顶针式活动升降平台装置
KR101931640B1 (ko) 원통형 구조물 밀링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링 가공 방법
CN204999415U (zh) 一种线缆绕线装置
CA312703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mantling for heavy water reactor facilities
EP2782697B1 (en) Apparatus for vertically segmenting a boiling water reactor control rod blade
CN112792404A (zh) 核电站堆芯围板切割装置
JP2014219305A (ja) 円形断面試料採取装置および円形断面試料採取方法
JP6245666B2 (ja) 原子炉炉心シュラウドの検査、改造または修理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202845645U (zh) 压机防护装置
CN214109312U (zh) 一种支承格栅自动定位焊接装置
CN203448415U (zh) 轧机喷吹自动调节装置
CN218611961U (zh) 一种切割机
US9375813B2 (en) Nozzle repairing method and nuclear reactor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