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211B1 -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211B1
KR102099211B1 KR1020190070901A KR20190070901A KR102099211B1 KR 102099211 B1 KR102099211 B1 KR 102099211B1 KR 1020190070901 A KR1020190070901 A KR 1020190070901A KR 20190070901 A KR20190070901 A KR 20190070901A KR 102099211 B1 KR102099211 B1 KR 102099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ven fabric
mixed liquid
mask pack
nonwoven fabric
micro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웅
배해병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이상훈 filed Critical (주)엔비바이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7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6Roll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urface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원료나 기능성 원료를 직접 부직포에 함침 또는 코팅시키고 그 성분을 최대한 결합시켜 원하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부여할 수 있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롤투롤 방식으로 상기 부직포를 이송하는 부직포 이송부, 상기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혼합액을 저장하고,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도포 처리하는 혼합액 처리부, 상기 혼합액이 도포 처리된 상기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부직포를 마스크팩으로 가공하는 마스크팩 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액은 수용성 바인더,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 및 정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성액과, 상기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 처리부는 기 설정된 혼합비율을 유지하도록 상기 점성액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Mask Pack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원료나 기능성 원료를 직접 부직포에 함침 또는 코팅시키고 그 성분을 최대한 결합시켜 원하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부여할 수 있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얼굴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팩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마스크팩은 얼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부직포에 보습, 미백, 및/또는 영양 공급 등의 효과가 있는 다양한 화장품 성분이 함유된 화장품을 함침시킨 형태로 제조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됨으로써 얼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한다.
이러한 화장품 충진 타입의 마스크팩은 제조 과정에서 특정 화장품 성분을 내용물에 포함시켜 충진하는 방법으로 그 효과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내용물의 점도 및 비중에 따라 지지체인 부직포가 내용물의 용량을 모두 함침하지 못하므로 버려지는 성분이 많은 것이 현실적 상황이다.
원하는 특정 화장품 원료나 기능성 원료를 일정 함량으로 내용물에 포함시킬 수 있지만 실재 모든 용량을 피부에 공급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85277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정 원료나 기능성 원료를 직접 부직포에 함침 또는 코팅시키고 그 성분을 최대한 결합시켜 원하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부여할 수 있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이크로 캡슐로 이루어진 피부유효성분을 부직포에 함침 또는 코팅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피부유효성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피부유효성분을 균일 또는 설정된 형태로 배치하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피부유효성분이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캡슐을 배치하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이크로 캡슐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였을 때 캡슐막이 용해되도록 건조 조건을 설정하여 부직포를 건조시시키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롤투롤 방식으로 상기 부직포를 이송하는 부직포 이송부, 상기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혼합액을 저장하고,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도포 처리하는 혼합액 처리부, 상기 혼합액이 도포 처리된 상기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부직포를 마스크팩으로 가공하는 마스크팩 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액은 수용성 바인더,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 및 정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성액과, 상기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 처리부는 기 설정된 혼합비율을 유지하도록 상기 점성액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 처리부는, 상기 혼합액을 저장하고 상기 혼합액을 교반하는 혼합액 저장부, 및 상기 혼합액 저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함침시키는 함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는, 상기 혼합액 저장부의 내부 및/또는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직포를 상기 혼합액에 담궈서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함침시키는 함침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함침 롤러는 표면에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양각패턴 및/또는 상기 음각패턴을 이용하요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포집하여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 처리부는, 상기 혼합액을 저장하고 상기 혼합액을 교반하는 혼합액 저장부, 및 상기 혼합액 저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코팅시키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혼합액 저장부의 내부 및/또는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액을 묻혀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코팅시키는 코팅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 롤러는 표면에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상기 부직포에 상기 양각패턴 및/또는 상기 음각패턴의 형태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캡슐막 두께에 따라 건조 온도 및/또는 건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이송부는, 상기 부직포를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부, 상기 부직포를 권취하는 부직포 권취부, 및 상기 부직포 공급부에서 상기 부직포 권취부로 이송되는 부직포를 지지 및/또는 가이드하는 부직포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a)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혼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액을 부직포에 도포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부직포를 마스크팩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액은 수용성 바인더,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 및 정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성액과, 상기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에서는, 상기 정제수와 상기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을 희석 및 배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점성액을 형성하고, 상기 점성액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에서는, 상기 수용성 바인더와 상기 정제수를 혼합하여 상기 점성액을 형성하고, 상기 점성액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에서는, 기 설정된 혼합비율을 유지하도록 상기 점성액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교반하고,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함침 또는 코팅시키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에서는, 표면에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구비하는 함침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포집하여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에서는, 표면에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구비하는 코팅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상기 부직포에 코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캡슐막 두께에 따라 건조 온도 및/또는 건조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부직포를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캡슐로 이루어진 피부유효성분을 부직포에 함침 또는 코팅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피부유효성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피부유효성분을 균일 또는 설정된 형태로 배치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피부유효성분이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캡슐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캡슐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였을 때 캡슐막이 용해되도록 건조 조건을 설정하여 부직포를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에서 제조된 마스크팩의 성분 함량을 비교 예시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에서 제조된 마스크팩의 피부유효성분 함량을 비교 예시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은 롤투롤 방식으로 부직포(10)를 이송하는 부직포 이송부(100),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혼합액(50)을 저장하고, 부직포(10)에 혼합액(50)을 도포 처리하는 혼합액 처리부(200), 혼합액(50)이 도포 처리된 부직포(10)를 건조시키는 건조부(300) 및 부직포(10)를 마스크팩으로 가공하는 마스크팩 가공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직포 이송부(100)는 부직포(10)를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부(110), 부직포(10)를 권취하는 부직포 권취부(120), 부직포 공급부(110)에서 부직포 권취부(120)로 이송되는 부직포(10)를 지지 및/또는 가이드하는 부직포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직포(10)는 사용자의 얼굴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영양성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흡수성 재질의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포(10)는 펄프, 실크, 부직포, 면, 및 셀룰로오스 섬유 중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직포 공급부(110)는 미리 권취된 부직포(10)를 공급하도록 회전하는 롤러로 이루어지며, 부직포 권취부(120)는 회전하여 부직포(10)를 권취하는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직포 가이드부(130)는 이송되는 부직포(10)의 하부에서 부직포(10)를 지지하는 롤러 및 이송되는 부직포(10)의 상부에서 부직포(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 가이드부(130)는 부직포 공급부(110)와 부직포 권취부(120) 사이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혼합액 처리부(200)는 수용성 바인더,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 및 정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성액과,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혼합액(50)을 저장하고, 부직포(10)에 혼합액(50)을 도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혼합액 처리부(200)는 기 설정된 혼합비율을 유지하도록 혼합액(50)의 점성액과 마이크로 캡슐을 교반할 수 있다.
여기서, 피부유효성분은 기능성 성분으로서, 피부 미용 용도의 화장품에 사용되는 성분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유효성분은 히알루론산, 후코이단, 알긴산, 바이오 셀룰로오스, 칼슘, 리포솜, 녹차, 아로니아, 레몬, 김, 다시마, 쌀, 대나무, 오이, 알로에, 허브, 꽃 등과 같은 식물에서 추출한 식물 추출 성분,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피부유효성분은 마이크로 캡슐로 이루어지되, 미리 설정된 두께의 캡슐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유효성분은 입자 크기가 약 100~500μm이고, 캡슐막의 두께가 약 10~50μ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캡슐막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암모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mmonium Acrylates Copolymer), 암모늄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mmonium VA(Vinyl Acetate)/Acrylates Copolymer],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Sodium Acrylates Copolymer),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에틸렌/칼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thylene/Calcium Acrylate Copolymer), 에틸렌/마그네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thylene/Magnesium Acrylate Copolymer), 에틸렌/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thylene/Sodium Acrylate Copolymer), 에틸렌/아연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thylene/Zinc Acrylate Copolymer), 에틸렌/아크릴산/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thylene/Acrylic Acid/VA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Acrylates/VP(vinylpyrrolidon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Acrylates/VA Copolymer), 스테아레스-10 알릴 에테르/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Steareth-10 Allyl Ether/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50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Steareth-50 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포리머(Acrylates/Steareth-20 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Ammonium Methacrylate Copolymer),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Styrene/Acrylates Copolymer), 스티렌/아크릴레이트/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Styrene/Acrylates/Ammonium Methacrylate Copolymer), 암모늄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mmonium Styrene/Acrylates Copolymer), 소듐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Sodium Styrene/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Hydroxyesters Acrylates Copolymer),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Methacryloyl Ethyl Betaine/Acrylates Copolymer), 라우릴 아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Lauryl Acrylate/VA Copolymer), 비닐 아세테이트/부틸 말라이트/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VA/Butyl Maleate/Isobornyl Acrylate Copolymer),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Ethylene/Methacrylate Copolymer), 비닐 카프로락탐/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Vinyl Caprolactam/VP/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소듐 크릴레이트/아크롤레인 코폴리머(Sodium Acrylates/Acrolein Copolymer),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MP-Acrylates Copolyme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혼합액 처리부(200)는 혼합액(50)을 저장하고 혼합액(50)을 교반하는 혼합액 저장부(210) 및 혼합액 저장부(210)에 설치되어 부직포(10)에 혼합액(50)을 함침시키는 함침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액 저장부(210)는 혼합액(50)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혼합액 저장부(210)는 기 설정된 혼합 비율로 점성액과 마이크로 캡슐이 혼합되도록 혼합액(50)을 교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혼합액 저장부(210)는 혼합액(50)의 마이크로 캡슐이 단위부피당 점성액 대비 약 10 ~ 30 중량%로 혼합되어 있도록 혼합액(50)을 교반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혼합액 저장부(210)는 혼합액(50)의 마이크로 캡슐이 뭉치지 않고 적절히 분산되어 부직포(10)에 함침되도록 만들 수 있다. 만약, 마이크로 캡슐의 혼합비율이 약 10 ~ 30 중량%를 벗어나면, 마이크로 캡슐이 단위부피당 지나치게 많거나 적게 분포되어 부직포(10) 전체적으로 마이크로 캡슐이 균일하지 않게 도포 처리될 수 있다.
함침부(220)는 혼합액 저장부(210)의 내부 및/또는 상부에 설치되고, 부직포(10)를 혼합액(50)에 담궈서 부직포(10)에 혼합액(50)을 함침시키는 함침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함침 롤러는 표면에 기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구비하고,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이용하여 혼합액(50)의 마이크로 캡슐을 포집하여 부직포(10)에 함침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함침부(220)는 부직포(10)에 마이크로 캡슐을 원하는 형태로 함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피부유효성분이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캡슐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은 격자, 사선, 물결무늬, 원, 타원,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침부(220)는 부직포(10)의 중량에 따라 혼합액(50)의 함침 중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10)의 중량 대비 약 1.5~3배까지 혼합액(50)의 함침 중량을 설정할 수 있다.
건조부(300)는 혼합액(50)이 함침된 부직포(10)를 건조시켜 부직포(10)에 피부유효성분의 마이크로 캡슐이 고착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건조부(300)는 히터 또는 적외선(IR)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부(300)는 마이크로 캡슐의 캡슐막 두께에 따라 건조 온도 및/또는 건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부(300)는 마이크로 캡슐의 캡슐막이 녹지 않도록 건조 온도 및/또는 건조 시간을 설정하여 부직포(10)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는, 건조부(300)는 마이크로 캡슐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였을 때 캡슐막이 용해되도록 만들기 위하여 캡슐막의 일부를 녹일 수 있는 건조 온도 및/또는 건조 시간을 설정하여 부직포(10)를 건조시킬 수 있다.
마스크팩 가공부(400)는 건조된 부직포(10)를 타공 또는 절취하여 마스크팩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팩 가공부(400)는 혼합액 처리부(200)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에 의해 설정된 형태로 마이크로 캡슐이 배치된 마스크팩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마이크로 캡슐이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은 롤투롤 방식으로 부직포(10)를 이송하는 부직포 이송부(100),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혼합액(50)을 저장하고, 부직포(10)에 혼합액(50)을 도포 처리하는 혼합액 처리부(200), 혼합액(50)이 도포 처리된 부직포(10)를 건조시키는 건조부(300) 및 부직포(10)를 마스크팩으로 가공하는 마스크팩 가공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과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혼합액 처리부(200)는 혼합액(50)을 저장하고 혼합액(50)을 교반하는 혼합액 저장부(210) 및 혼합액 저장부(210)에 설치되어 부직포(10)에 혼합액(50)을 코팅시키는 코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부(230)는 혼합액 저장부(210)의 내부 및/또는 상부에 설치되고, 혼합액(50)을 묻혀 부직포(10)에 혼합액(50)을 코팅시키는 코팅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코팅 롤러는 표면에 기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캡슐을 부직포(10)에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의 형태로 코팅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코팅부(230)는 부직포(10)에 마이크로 캡슐을 원하는 형태로 코팅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피부유효성분이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캡슐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은 격자, 사선, 물결무늬, 원, 타원,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부(230)는 부직포(10)의 중량에 따라 혼합액(50)의 코팅 중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10)의 중량 대비 약 1.5~3배까지 혼합액(50)의 코팅 중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코팅부(230)는 미리 설정된 코팅 두께로 혼합액(50)을 코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부(230)는 부직포(10) 약 1500mm에 약 20m/Kg만큼 혼합액(50)을 코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은 특정 원료나 기능성 원료를 직접 부직포에 함침 또는 코팅시키고 그 성분을 최대한 결합시켜 원하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부여할 수 있는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은 마이크로 캡슐로 이루어진 피부유효성분을 부직포에 함침 또는 코팅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피부유효성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피부유효성분을 균일 또는 설정된 형태로 배치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은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피부유효성분이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캡슐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은 마이크로 캡슐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였을 때 캡슐막이 용해되도록 건조 조건을 설정하여 부직포를 건조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에서 제조된 마스크팩의 성분 함량을 비교 예시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에서 제조된 마스크팩의 피부유효성분 함량을 비교 예시한 결과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에서 제조된 마스크팩의 실험군과, 동일 함량의 에센스를 충진한 마스크팩 비교군의 성분함량이 대비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에서 제조된 마스크팩의 실험군과, 동일 함량의 에센스를 충진한 마스크팩 비교군의 피부유효성분 함량이 대비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알부틴 추출물을 약 13%의 농도로 만들면 피부유효성분 약 2%의 내용물로 마스크팩 한장당 함유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마스크팩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방법은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혼합액을 준비하는 단계(S100), 혼합액을 부직포에 도포 처리하는 단계(S200),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단계(S300) 및 부직포를 마스크팩으로 가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정제수와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을 희석 및 배합한 후 가열하여 점성액을 형성하고, 점성액과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의 배합 비율은 정제수 대비 약 2~20중량%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점성액의 형성을 위한 가열 온도는 약 70~10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0에서는, 수용성 바인더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점성액을 형성하고, 점성액과 마이크로 캡슐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200에서는, 기 설정된 혼합비율을 유지하도록 점성액과 마이크로 캡슐을 교반하고, 부직포에 혼합액을 함침 또는 코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혼합액을 저장하는 혼합액 저장부의 내부 및/또는 상부에 함침 롤러를 설치하고, 표면에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구비하는 함침 롤러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포집하여 부직포에 함침시킬 수 있다.
또는, 혼합액을 저장하는 혼합액 저장부의 내부 및/또는 상부에 코팅 롤러를 설치하고, 표면에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구비하는 코팅 롤러를 이용하여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에 따라 마이크로 캡슐을 부직포에 코팅시킬 수 있다.
다음, 단계 S300에서는, 히터 또는 적외선(IR) 건조기를 이용하여 혼합액이 함침된 부직포를 건조시켜서 부직포에 피부유효성분의 마이크로 캡슐이 고착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특히, 단계 S300에서는, 마이크로 캡슐의 캡슐막 두께에 따라 건조 온도 및/또는 건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캡슐의 캡슐막이 녹지 않도록 건조 온도 및/또는 건조 시간을 설정하여 부직포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는, 마이크로 캡슐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였을 때 캡슐막이 용해되도록 만들기 위하여 캡슐막의 일부를 녹일 수 있는 건조 온도 및/또는 건조 시간을 건조 조건으로 설정하여 부직포를 건조시킬 수 있다.
다음, 단계 S400에서는, 건조된 부직포를 타공 또는 절취하여 마스크팩을 만들 수 있다. 특히, 단계 S400에서는, 함침 롤러 또는 코팅 롤러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에 의해 설정된 형태로 마이크로 캡슐이 배치된 마스크팩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마이크로 캡슐이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방법은 특정 원료나 기능성 원료를 직접 부직포에 함침 또는 코팅시키고 그 성분을 최대한 결합시켜 원하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부여할 수 있는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방법은 마이크로 캡슐로 이루어진 피부유효성분을 부직포에 함침 또는 코팅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피부유효성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피부유효성분을 균일 또는 설정된 형태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방법은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피부유효성분이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캡슐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 방법은 마이크로 캡슐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였을 때 캡슐막이 용해되도록 건조 조건을 설정하여 부직포를 건조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부직포
50: 혼합액
100: 부직포 이송부
110: 부직포 공급부
120: 부직포 권취부
130: 부직포 가이드부
200: 혼합액 처리부
210: 혼합액 저장부
220: 함침부
230: 코팅부
300: 건조부
400: 마스크팩 가공부

Claims (16)

  1.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롤투롤 방식으로 상기 부직포를 이송하는 부직포 이송부;
    상기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혼합액을 저장하고,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도포 처리하는 혼합액 처리부;
    상기 혼합액이 도포 처리된 상기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부직포를 마스크팩으로 가공하는 마스크팩 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액은 수용성 바인더,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 및 정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성액과, 상기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 처리부는 기 설정된 혼합비율을 유지하도록 상기 점성액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교반하도록, 상기 혼합액을 저장하고 상기 혼합액을 교반하는 혼합액 저장부; 및 상기 혼합액 저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코팅시키는 함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침부는,
    상기 혼합액 저장부의 내부 및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부직포를 상기 혼합액에 담궈서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함침시키는 함침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침 롤러는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피부유효성분이 영양을 공급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배치하기 위하여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표면에 구비하고, 상기 양각패턴 및/또는 상기 음각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포집하여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키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캡슐막 두께에 따라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되,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였을 때 캡슐막이 용해되도록 만들기 위하여 캡슐막의 일부 두께를 녹일 수 있는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상기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이송부는,
    상기 부직포를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부;
    상기 부직포를 권취하는 부직포 권취부; 및
    상기 부직포 공급부에서 상기 부직포 권취부로 이송되는 부직포를 지지 및/또는 가이드하는 부직포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10. (a)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혼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액을 부직포에 도포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부직포를 마스크팩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액은 수용성 바인더,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 및 정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성액과, 상기 피부유효성분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b)에서는,
    기 설정된 혼합비율을 유지하도록 상기 점성액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교반하고, 상기 부직포에 상기 혼합액을 함침시키되, 사용자의 얼굴 특정 부위에 피부유효성분이 영양을 공급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배치하기 위하여 설정된 형태의 양각패턴 및/또는 음각패턴을 표면에 구비하는 함침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양각패턴 및/또는 상기 음각패턴에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포집하여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키며,
    상기 (c)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캡슐막 두께에 따라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되,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였을 때 캡슐막이 용해되도록 만들기 위하여 캡슐막의 일부 두께를 녹일 수 있는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상기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는,
    상기 정제수와 상기 화장품 원료 계열의 전분을 희석 및 배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점성액을 형성하고, 상기 점성액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는,
    상기 수용성 바인더와 상기 정제수를 혼합하여 상기 점성액을 형성하고, 상기 점성액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0070901A 2019-06-14 2019-06-14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099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01A KR102099211B1 (ko) 2019-06-14 2019-06-14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01A KR102099211B1 (ko) 2019-06-14 2019-06-14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211B1 true KR102099211B1 (ko) 2020-04-09

Family

ID=7027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01A KR102099211B1 (ko) 2019-06-14 2019-06-14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555A1 (ko) * 2022-11-04 2024-05-10 주식회사 피부다움 사용자 맞춤형 홈 뷰티 마스크팩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331A (ko) *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영인실업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20180030339A (ko) * 2016-09-13 2018-03-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 마스크 시트
KR101852779B1 (ko) 2017-07-27 2018-04-27 (주)마린팩 해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팩용 시트
KR20180118431A (ko) * 2017-04-21 2018-10-31 이광천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5289B1 (ko) * 2018-03-22 2019-03-08 이상훈 글리터입자가 고착된 마스크팩용 시트의 제조방법
KR101933967B1 (ko) * 2017-05-08 2019-04-05 주식회사 이앤씨 온도 가변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331A (ko) *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영인실업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20180030339A (ko) * 2016-09-13 2018-03-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 마스크 시트
KR20180118431A (ko) * 2017-04-21 2018-10-31 이광천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3967B1 (ko) * 2017-05-08 2019-04-05 주식회사 이앤씨 온도 가변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2779B1 (ko) 2017-07-27 2018-04-27 (주)마린팩 해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팩용 시트
KR101955289B1 (ko) * 2018-03-22 2019-03-08 이상훈 글리터입자가 고착된 마스크팩용 시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555A1 (ko) * 2022-11-04 2024-05-10 주식회사 피부다움 사용자 맞춤형 홈 뷰티 마스크팩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4985B (zh) 一种微胶囊复合衬垫材料的制备方法
USRE32713E (en) Capsule impregnated fabric
CN100999697B (zh) 香料纳米胶囊分散液的制备方法和应用
CN106659287A (zh) 美容片及其制造方法
Nelson Microencapsulates in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CN100368607C (zh) 具有皮肤护理功能的新型面料及其制备方法
JP5897141B2 (ja) マスク基材用ヒドロゲ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ヒドロゲルの製造方法
CN107949294B (zh) 美容面膜及其制备方法
WO1991001801A1 (en) Microcapsule, treatment liquid containing microcapsules, and textile structure having microcapsules stuck thereto
KR102099211B1 (ko) 마스크팩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102251408A (zh) 一种微胶囊纳米银抗菌织物及其制备方法
KR101933967B1 (ko) 온도 가변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CA2483279A1 (en) Fibers and textiles finished with microencapsulated active components and binders
CN106368397A (zh) 一种防蚊墙纸及其制备方法
WO2022131614A1 (ko) 수분 함유능이 향상된 마스크팩
KR20180118431A (ko)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401337A (zh) 一种海藻纤维水刺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106048761B (zh) 一种胶囊和网络化的再生纤维素相变纤维及其制备方法
CN102899908B (zh) 一种含香面料的香味整理工艺
CN106351055A (zh) 一种防滑高光充皮纸的生产方法
CN213227843U (zh) 一种包含花瓣的面膜膜布及所得面膜
CN105671997B (zh) 一种多彩无纺布的喷涂工艺
CN115262235B (zh) 一种微胶囊凝香型卫生用水刺非织造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535011A (zh) 一种环保型无纺布的生产工艺
CN207537668U (zh) 一种含片状天然花草的无纺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