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101B1 - 차량,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101B1
KR102099101B1 KR1020140149973A KR20140149973A KR102099101B1 KR 102099101 B1 KR102099101 B1 KR 102099101B1 KR 1020140149973 A KR1020140149973 A KR 1020140149973A KR 20140149973 A KR20140149973 A KR 20140149973A KR 102099101 B1 KR102099101 B1 KR 10209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ime signal
vehicle
broadcast
signal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868A (ko
Inventor
박종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1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차량,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방송의 시보를 검출하여 시계의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음성 제어를 위해 마련되는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방송의 시보를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방송의 시보를 검출할 때 라디오의 턴 온/턴 오프 제어와 라디오의 음량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시계와;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음성 인식부와; 검출된 시보를 기준으로 시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VEHICLE, VEHICLE CONTROL METHOD AND AUTOMATIC TIME SETTING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시계의 시간 설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시계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만약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계가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면 시계의 시간을 재설정해야 한다. 또한, 시계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리얼 타임 클락(Real Time Clock)의 오차로 인해 시계를 장시간 사용하면 시계의 시간과 표준 시간 사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방송의 시보를 검출하여 시계의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음성 제어를 위해 마련되는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방송의 시보를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방송의 시보를 검출할 때 라디오의 턴 온/턴 오프 제어와 라디오의 음량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다른 차량은, 시계와;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음성 인식부와; 검출된 시보를 기준으로 시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음성 인식부가 차량의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를 수신하여 음성 인식부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은, 시계와;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에서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음성 인식 처리부와; 검출된 시보를 기준으로 시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시보 검출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보 검출 구간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시보 검출 구간 설정부를 통해 운전자가 시보 검출 구간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직접 설정한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제어부는, 시계의 시간을 기준으로 매 정시의 전후 일정 범위의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시보를 검출한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제어부는, 시계의 시간을 기준으로 운전자가 설정한 시각의 전후 일정 범위의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시보를 검출한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음성 인식부가 차량의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방송을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부를 더 포함하고; 시보 검출 구간에서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을 때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한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제어부는, 시보 검출 구간에서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지 않으면 오디오부의 음량을 미리 설정되는 음량으로 설정한 후 오디오부를 턴 온 시킨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제어부는, 시보 검출 구간에서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지 않으면 오디오부의 음량을 미리 설정되는 낮은 음량으로 설정한 상태로 오디오부를 턴 온 시키고, 오디오부가 턴 온 된 상태에서 오디오의 음량을 상대적으로 더 높은 음량으로 증가시킨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제어부는, 시보 검출 구간에서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지 않으면 턴 오프 되어 있는 오디오부를 턴 온 시키기 전에 오디오부가 턴 온 될 것임을 안내한다.
상술한 차량에 있어서, 음성 인식 처리부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 안내 멘트가 검출되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시보를 기준으로 시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인식하도록 마련되는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시보의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 제어 방법은,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와; 시보 검출 구간에서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시보를 기준으로 시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 안내 멘트가 검출되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부를 통해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와; 시보 검출 구간에서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을 때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인식하도록 마련되는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시보의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부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음성 인식부와; 검출된 시보를 기준으로 시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에 있어서, 음성 인식부가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 명령을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방송의 시보를 검출하여 시계의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음성 제어를 위해 마련되는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방송의 시보를 검출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방송의 시보를 검출할 때 라디오의 턴 온/턴 오프 제어와 라디오의 음량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오디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방송의 시보를 이용한 시계의 자동 시간 설정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활용한 자동 시간 설정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대시보드(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대시보드에는 기어 박스(120)와 센터페시아(130),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기어 박스(120)의 내부에는 차량의 변속을 위한 각종 기어가 설치되며, 기어 박스(120)의 외부에는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1)가 내부의 기어와 기계적으로 연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내비게이션(10) 또는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10)가 기어 박스(120)의 외부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 시계(132), 오디오부(133) 및 내비게이션(1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내비게이션(10)은 설치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차량의 센터페시아(130) 내부에 매립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내비게이션(1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가 설치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센터페시아(130)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내비게이션(10)의 디스플레이(112) 주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내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내비게이션(10)의 디스플레이(112)에 터치 스크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내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기어 박스(120)의 표면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142)에는 차량 내의 각종 장치(예를 들면 오디오부(133))를 제어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이 형성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은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40)을 파지한 상태로 차량 내의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에는 음성 인식 모드를 턴 온/턴 오프 시키기 위한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버튼의 조작을 통해 음성 인식 모드를 턴 온 시키면, 미리 약속된 음성 명령을 통해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의 조작없이도 오디오부(133) 또는 내비게이션(10) 등과 같은 차량의 여러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는 음성 인식부(도 4의 410 참조)가 마련된다. 음성 명령에 의한 오디오부(133)의 제어는, 오디오부(133)의 음량 조정과 방송 선국, 재생 음원의 선택('다음 곡' 또는 '이전 곡' 등), 라디오 모드와 미디어 모드의 선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음성 명령에 의한 내비게이션(10)의 제어는, 목적지 선택과 복수의 경로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 안내 멘트의 음량 조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는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내부에는 스피커(152)와 마이크로폰(154)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152)는 오디오부(133) 또는 내비게이션(10)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부(133)의 방송 음향이나 음원 재생 음향 등이 스피커(152)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10)의 안내 멘트 및 안내 음이 스피커(15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54)은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해 운전자의 육성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음성 인식 모드에서 운전자가 육성으로 명령 멘트를 발생시키면 마이크로폰(154)이 운전자의 육성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인식부(도 4의 410)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마이크로폰(154)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차량의 오디오부(133)를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핸즈프리 장치에서 운전자의 목소리를 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152)에서는 운전자와 통화하는 상대방의 목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오디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부(133)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로 이루어지는 조작 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부(1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저장 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조작 패널에 형성되는 버튼들은, 라디오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미디어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 라디오 모드 및 오디오 모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버튼들로 구분할 수 있다.
오디오부(133)의 디스플레이(202)에는 오디오부(133)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라디오 모드일 때, 현재 선국되어 있는 방송의 주파수(예를 들면 '107.7')가 표시될 수 있고, 단축키(①~⑥)에 지정되어 있는 방송의 주파수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또 현재 온도(예를 들면 '28.5℃')와 현재 시간(예를 들면 '19:02')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되는 현재 온도는 차량의 외기 온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온도이다.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되는 현재 시간은 시계(Real Time Clock)(후술하는 도 4의 452 참조)에 의해 계시되는 시간이다.
앞서 도 1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차량의 여러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음성 인식을 통한 장치의 제어는, 운전자가 목적하는 장치의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미리 약속된 명령 멘트를 발성하면 차량의 음성 인식부(410)가 운전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미리 마련되어 있는 음성 명령 데이터와 비교 후 일치할 경우 해당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예를 들면, 현재 음원을 재생 중인 오디오부(133)에 대해 일시적으로 음소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운전자가 육성으로 '음소거'와 같이 명령하면 차량의 음성 인식부(410)가 이를 인식하여 미리 마련되어 있는 음성 명령 데이터의 '음소거' 항목과 비교하고 서로 일치할 경우 음소거를 위한 제어 신호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오디오부(133)의 음소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는 이와 같은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시계의 자동 시간 설정(보정)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는, 라디오 방송 또는 DMB 방송 등의 시보(Time Signal)를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시보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시계의 시간을 자동 설정(보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방송의 시보를 이용한 시계의 자동 시간 설정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커(152)를 통해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을 마이크로폰(154)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라디오 방송에 포함되어 있는 시보를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검출한 다음, 검출된 시보를 기준으로 시계의 시간을 자동 설정(보정)한다. 여기서 음성 인식 기술은 시보 검출을 위해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아닌, 타 장치들을 음성 명령을 통해 제어하기 위한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어서, 특별한 장치의 추가없이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라디오 방송에서는 매 정시마다 또는 정오 및 자정에 시보를 방송한다. 시보는 시간을 알리는 신호이다. 라디오 방송사마다 시보는 다를 수 있지만, 방송사마다 고유의 특징을 갖는 시보를 방송한다. 라디오 방송뿐만 아니라 DMB 방송에서도 화면과 소리를 통해 시보를 방송한다. 각 방송사의 시보의 특징을 음향 분석을 통해 데이터화해 놓고, 실제 방송에서의 시보의 특징과 데이터화되어 있는 시보의 특징을 비교하면 실제 방송에서의 시보를 검출할 수 있다. 실제 방송에서의 시보의 특징과 데이터화되어 있는 시보의 특징의 비교는 음성 인식부(41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에는 시계(45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방송에서의 시보 검출 시점과 시계(452)의 시간 사이의 오차를 계산하면 차량의 시계(452)가 방송의 시보와 일치하는지를 알 수 있고, 만약 오차가 존재할 경우 오차 만큼의 보정을 통해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활용한 자동 시간 설정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부(402)는 운전자가 오디오부(133)의 조작을 위해 가하는 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오디오부(133)에 마련되는 다수의 버튼들과 오디오부(133)의 디스플레이(202)에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내비게이션(10)의 디스플레이(112) 상에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오디오부(133)를 조작할 수 있다면 내비게이션(10)의 디스플레이(112)도 입력부(402)의 하나일 수 있다. 튜너부(403)는 운전자의 선국에 응답하여 해당 방송(라디오 또는 DMB)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튜너부(403)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오디오 ECU(406)로 전송된다. 오디오 재생부(404)는 미디어 모드일 때 음원을 재생하여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ECU(406)로 전송한다. 오디오 재생부(404)에서의 음원의 재생은 미디어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음원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의 삽입에 응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405)는 오디오 ECU(406)의 음성 안내 동작의 실행을 위한 음성 안내 프로그램과, 안내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오디오 ECU(406)는 오디오부(133)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ECU(406)는 라디오 모드 시 사용자의 선국에 따른 방송 선택 신호를 튜너부(403)로 전달하고, 튜너부(403)로부터 해당 방송의 방송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 처리부(407)로 전송한다. 또한 오디오 ECU(406)는 미디어 모드 시 미디어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서 오디오 재생부(404)로 전송하고, 오디오 재생부(404)로부터 재생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 처리부(407)로 전송한다. 오디오 ECU(406)는 음성 인식부(4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인식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부(133)의 해당 동작을 제어한다.
오디오 처리부(407)는 음성 인식부(4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피커(152)를 구동함으로써 스피커(152)에서 해당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407)는 마이크로폰(154)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입력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인식부(4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입력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육성 또는 스피커(152)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일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407)는 오디오 ECU(406)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52)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407)는 오디오 ECU(406)로부터 수신되는 재생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52)를 구동함으로써 스피커(152)에서 해당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인식부(410)는 오디오 처리부(407)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른 음성 인식 정보를 오디오 ECU(406)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오디오부(133) 및 음성 인식부(4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시계(452)의 자동 시간 설정에 활용된다. 즉, 제어부(454)는, 스피커(152)를 통해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을 마이크로폰(154)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라디오 방송에 포함되어 있는 시보를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검출한 다음, 검출된 시보를 기준으로 시계(452)의 시간을 자동 설정(보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54)는, 방송 신호에서 검출한 시보의 검출 시점과 시계(452)의 시간 사이에 오차가 존재하면, 그 오차만큼 시계(452)의 시간을 보정하여 오디오부(133)의 디스플레이(202)에 보정된 시간이 표시되도록 한다. 시계(452)는 리얼 타임 클락(Real Time Clock)으로서, 배터리(458)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은,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직접 설정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시간 구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시보 검출을 통한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에서의 자동 시간 설정은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설정하는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단발적으로만 이루어진다. 도 5의 차량 제어 방법에서 라디오 방송 대신 다른 종류의 방송(예를 들면 DMB 등)으로부터 음성 인식을 통해 시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 또는 입력부(402)를 조작하면, 제어부(454)는 운전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킨다(504).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후술하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2)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자유롭게 실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에서의 시보 검출 구간의 설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6의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되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시작 명령을 수신한다(505). 시보 검출 시작 명령의 수신 시점은 시보 검출 구간의 시작 시점일 수 있다. 시보 검출 시작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514). 시보의 검출은,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스피커(152)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시보를 마이크로폰(154)으로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시보 검출의 시도는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종료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시보 검출 종료 명령의 수신 시점은 시보 검출 구간의 종료 시점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설정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시보 검출에 성공하면(516의 '예') 제어부(454)는 검출된 시보에 기초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설정(보정)한다(518). 즉, 정시를 알리는 시보 검출 시점과 시계(452)의 정시를 알리는 시점 사이에 오차가 있으면 시계(452)의 시간이 맞지 않은 것이므로, 검출된 오차만큼 보정을 실시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정확히 설정한다. 만약 오차가 없다면 시간 설정(보정)은 필요치 않다. 시보 검출 및 시간 설정에 성공하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에 성공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520).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시보 검출에 실패하면(516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에 실패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522).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운전자가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시작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부(133)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자동 시간 설정의 시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602)이 표시되면, 운전자가 이 버튼(602)을 터치함으로써 시보 검출 시작 명령이 발생하여 제어부(454)로 전송된다. 이 시점부터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도 5의 505 참조). 도 6(B)는 운전자가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종료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부(133)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자동 시간 설정의 종료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604)이 표시되면, 운전자가 이 버튼(604)을 터치함으로써 시보 검출 종료 명령이 발생하여 제어부(454)로 전송된다. 제어부(454)에 의한 시보 검출의 시도는 이 시점에서 종료된다(도 5의 515 참조).
도 6(C)는 도 5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해 운전자가 설정한 시보 검출 구간을 타임 라인 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6(C)에서 위쪽의 타임라인(606)은 방송의 시보에 따른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즉 타임라인(606)의 시간이 표준 시간일 수 있다. 도 6(C)에서 아래쪽의 타임라인(608)은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은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표준 시간인 방송의 시보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물론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과 표준 시간인 방송의 시보 사이에 오차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그대로 유지한다. 자동 시간 설정 시작 명령의 발생과 자동 시간 설정 종료 명령의 발생은 24시간의 타임라인(608) 상의 어느 위치에서도 운전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원하는 어느 시간 구간에서도 시보 검출 구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6(A)에서 알 수 있듯이, 운전자가 자동 시간 설정의 시작 명령을 입력한 시점은 18시 58분에서 18시 59분 사이이다. 또한 도 6(B)에서 알 수 있듯이, 운전자가 자동 시간 설정의 종료 명령을 입력한 시점은 19시 02분에서 19시 03분 사이이다. 도 6(C)의 아래쪽 타임라인(608)에는 이와 같은 운전자가 입력한 자동 시간 설정 시작 시점(18시 58분에서 18시 59분 사이)과 자동 시간 설정 종료 시점(19시 02분에서 19시 03분 사이)이 표시되어 있다. 음성 인식부(410)에 의한 시보의 검출은 자동 시간 설정 시작 시점과 자동 시간 설정 종료 시점 사이의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이루어진다. 도 6(C)의 타임라인(606)(608)을 보면,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 방송의 시보의 시간보다 약 30초 정도 늦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타임라인(606)의 19:00에 방송의 시보가 검출되었는데,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은 이보다 약 30초 가량 늦다. 제어부(454)는 이 오차를 계산하고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방송의 시보 검출 시점(19:00)과 일치시킴으로써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 방송의 시보를 기준으로 하는 표준 시간에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시간에 차량의 시계(452)의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은, 운전자가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하면 시계(452)의 매 정시마다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시보 검출에 기초한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도 7의 차량 제어 방법에서 라디오 방송 대신 다른 종류의 방송(예를 들면 DMB 등)으로부터 음성 인식을 통해 시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 또는 입력부(402)를 조작하면, 제어부(454)는 운전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킨다(704).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후술하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2)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에서의 시보 검출 구간의 설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8의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54)는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는지를 체크한다(706). 만약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지 않으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706의 '아니오'). 이와 달리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면(706의 '예')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714). 시보의 검출은,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스피커(152)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시보를 마이크로폰(154)으로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만약 시보 검출에 성공하면(716의 '예') 제어부(454)는 검출된 시보에 기초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설정(보정)한다(718). 즉, 정시를 알리는 시보 검출 시점과 시계(452)의 정시를 알리는 시점 사이에 오차가 있으면 시계(452)의 시간이 맞지 않은 것이므로, 검출된 오차만큼 보정을 실시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정확히 설정한다. 만약 오차가 없다면 시간 설정(보정)은 필요치 않다. 시보 검출 및 시간 설정에 성공하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에 성공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720).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시보 검출에 실패하면(716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에 실패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722).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운전자가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자동 시간 설정 활성화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부(133)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버튼(802)이 표시되면, 운전자가 이 버튼(802)을 터치함으로써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다.
도 8(B)는 도 7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해 운전자가 설정한 시보 검출 구간을 타임 라인 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8(B)에서 위쪽의 타임라인(806)은 방송의 시보에 따른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즉 타임라인(806)의 시간이 표준 시간일 수 있다. 도 8(B)에서 아래쪽의 타임라인(808)은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은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표준 시간인 방송의 시보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물론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과 표준 시간인 방송의 시보 사이에 오차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그대로 유지한다.
도 8에 나타낸 자동 시간 설정 모드에서는 시계(452)의 매 정시마다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시보 검출에 기초한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즉, 도 8(B)의 타임라인(8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시계(452)의 시간을 기준으로 매 정시의 전후 일정 구간 내에서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 도 8(B)의 타임라인(806)(808)을 보면,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 방송의 시보의 시간보다 다소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타임라인(806)의 매 정시마다 방송의 시보가 검출되는데,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은 매 정시마다 이보다 약 30초 가량 빠르다. 제어부(454)는 이 오차를 계산하고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방송의 시보 검출 시점(매 정시)과 일치시킴으로써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 방송의 시보를 기준으로 하는 표준 시간에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차량의 시계(452)의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은, 운전자가 설정한 시각의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시보 검출에 기초한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도 9의 차량 제어 방법에서 라디오 방송 대신 다른 종류의 방송(예를 들면 DMB 등)으로부터 음성 인식을 통해 시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한다(902). 즉, 제어부(45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은 시보 검출 구간을 규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에서의 시보 검출 구간의 설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0의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운전자가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 또는 입력부(402)를 조작하면, 제어부(454)는 운전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킨다(904).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54)는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는지를 체크한다(906). 만약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지 않으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906의 '아니오'). 이와 달리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면(906의 '예')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914). 시보의 검출은,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스피커(152)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시보를 마이크로폰(154)으로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만약 시보 검출에 성공하면(916의 '예') 제어부(454)는 검출된 시보에 기초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설정(보정)한다(918). 즉, 정시를 알리는 시보 검출 시점과 시계(452)의 정시를 알리는 시점 사이에 오차가 있으면 시계(452)의 시간이 맞지 않은 것이므로, 검출된 오차만큼 보정을 실시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정확히 설정한다. 만약 오차가 없다면 시간 설정(보정)은 필요치 않다. 시보 검출 및 시간 설정에 성공하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에 성공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920).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시보 검출에 실패하면(916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에 실패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922).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운전자가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자동 시간 설정 활성화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부(133)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자동 시간 설정의 시보 검출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업/다운 버튼(1002)이 표시되면, 운전자가 이 업/다운 버튼(1002)을 터치함으로써 운전자가 희망하는 시보 검출 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0(A)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12:00에 시보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였다.
도 10(B)는 도 9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해 운전자가 설정한 시보 검출 구간을 타임 라인 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10(B)에서 위쪽의 타임라인(1006)은 방송의 시보에 따른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즉 타임라인(1006)의 시간이 표준 시간일 수 있다. 도 10(B)에서 아래쪽의 타임라인(1008)은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은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표준 시간인 방송의 시보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물론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과 표준 시간인 방송의 시보 사이에 오차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그대로 유지한다.
도 10에 나타낸 자동 시간 설정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각(예를 들면 12:00)의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시보 검출에 기초한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즉, 도 10(B)의 타임라인(10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시계(452)의 시간을 기준으로 운전자가 설정한 12:00 전후의 일정 구간 내에서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 도 10(B)의 타임라인(1006)(1008)을 보면,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 방송의 시보의 시간보다 다소 늦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타임라인(1006)의 12:00에 방송의 시보가 검출되는데,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은 이보다 다소 늦는다. 제어부(454)는 이 오차를 계산하고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방송의 시보 검출 시점(12:00)과 일치시킴으로써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 방송의 시보를 기준으로 하는 표준 시간에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차량의 시계(452)의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은, 시계(452)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시 라디오가 턴 오프되어 있으면 시보 검출을 시도하지 않는다.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는 것은 운전자의 라디오 청취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는 경우에는 라디오를 턴 온 시키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11의 차량 제어 방법에서 라디오 방송 대신 다른 종류의 방송(예를 들면 DMB 등)으로부터 음성 인식을 통해 시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한다(1102). 즉, 제어부(45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은 시보 검출 구간을 규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한 도 6과 도 8, 도 10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형태의 시보 검출 구간을 규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운전자가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 또는 입력부(402)를 조작하면, 제어부(454)는 운전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킨다(1104).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54)는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는지를 체크한다(1106). 만약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지 않으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1106의 '아니오'). 이와 달리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면(1106의 '예') 제어부(454)는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1108). 라디오 방송으로부터 시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라디오가 턴 온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라디오가 턴 오프되어 있는 상태라면(1108의 '예'), 제어부(454)는 라디오를 턴 온 시키지 않고 다음 시보 검출 구간까지 대기한다.
만약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라디오가 이미 턴 온 되어 있는 상태이면(1108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곧바로 시보 검출 시도를 수행한다(1114). 이 때 제어부(454)는 라디오의 음량을 임의로 조정하지 않는다. 라디오가 이미 턴 온 되어 있는 것은 운전자가 라디오를 듣고자 하는 것이고 이 때의 라디오의 음량 역시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일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54)는 사용자가 설정한 라디오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자동 시간 설정 작업이 사용자의 라디오 청취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라디오가 턴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1114). 시보의 검출은,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스피커(152)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시보를 마이크로폰(154)으로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만약 시보 검출에 성공하면(1116의 '예') 제어부(454)는 검출된 시보에 기초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설정(보정)한다(1118). 즉, 정시를 알리는 시보 검출 시점과 시계(452)의 정시를 알리는 시점 사이에 오차가 있으면 시계(452)의 시간이 맞지 않은 것이므로, 검출된 오차만큼 보정을 실시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정확히 설정한다. 만약 오차가 없다면 시간 설정(보정)은 필요치 않다. 시보 검출 및 시간 설정에 성공하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에 성공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1120).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시보 검출에 실패하면(1116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에 실패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1122).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은, 시계(452)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시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으면 라디오를 턴 온 시킨 후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 이로써 시보 검출 구간에서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더라도 제어부(454)가 라디오를 턴 온 시켜서 정상적으로 시보를 검출하고 자동 시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의 차량 제어 방법에서 라디오 방송 대신 다른 종류의 방송(예를 들면 DMB 등)으로부터 음성 인식을 통해 시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한다(1202). 즉, 제어부(45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은 시보 검출 구간을 규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한 도 6과 도 8, 도 10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형태의 시보 검출 구간을 규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운전자가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 또는 입력부(402)를 조작하면, 제어부(454)는 운전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킨다(1204).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54)는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는지를 체크한다(1206). 만약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지 않으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1206의 '아니오'). 이와 달리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면(1206의 '예') 제어부(454)는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1208). 라디오 방송으로부터 시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라디오가 턴 온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라디오가 턴 오프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어부(454)는 라디오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조정 한 이후 비로소 라디오를 턴 온 시킨다(1210). 여기서 '미리 설정된 음량'은 스피커(152)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시보가 마이크로폰(154)에 의해 수신되어 음성 인식부(410)가 시보를 검출할 수 있는 정도의 음량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음량'의 적정 값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운전자들이 다양한 운전 환경에서 운전하는 동안 다양한 음량으로 시보를 검출하는 실험을 실시하고, 시보 검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음량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약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라디오가 이미 턴 온 되어 있는 상태이면(1208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라디오의 음량 조절 및 턴 온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시보 검출 시도를 수행한다(1214). 이 때 제어부(454)는 라디오의 음량을 임의로 조정하지 않는다. 라디오가 이미 턴 온 되어 있는 것은 운전자가 라디오를 듣고자 하는 것이고 이 때의 라디오의 음량 역시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일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54)는 사용자가 설정한 라디오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자동 시간 설정 작업이 사용자의 라디오 청취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라디오가 턴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1214). 시보의 검출은,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스피커(152)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시보를 마이크로폰(154)으로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만약 시보 검출에 성공하면(1216의 '예') 제어부(454)는 검출된 시보에 기초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설정(보정)한다(1218). 즉, 정시를 알리는 시보 검출 시점과 시계(452)의 정시를 알리는 시점 사이에 오차가 있으면 시계(452)의 시간이 맞지 않은 것이므로, 검출된 오차만큼 보정을 실시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정확히 설정한다. 만약 오차가 없다면 시간 설정(보정)은 필요치 않다. 시보 검출 및 시간 설정에 성공하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에 성공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1220).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시보 검출에 실패하면(1216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에 실패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1222).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은, 시계(452)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시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으면 라디오를 턴 온 시키기 전에 라디오의 음량(즉 오디오부(133)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낮은 음량으로 조정한 다음 라디오를 턴 온 시킨 후 목적하는 높은 음량으로 조정한다. 이로써 제어부(454)가 시보 검출을 위해 라디오를 턴 온 시켰을 때 갑작스런 라디오의 턴 온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느낄 수 있는 불쾌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의 차량 제어 방법에서 라디오 방송 대신 다른 종류의 방송(예를 들면 DMB 등)으로부터 음성 인식을 통해 시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한다(1302). 즉, 제어부(45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자동 시간 설정 조건은 시보 검출 구간을 규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한 도 6과 도 8, 도 10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형태의 시보 검출 구간을 규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운전자가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 리모콘(142a)(142b) 또는 입력부(402)를 조작하면, 제어부(454)는 운전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자동 시간 설정 모드를 활성화시킨다(1304).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54)는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는지를 체크한다(1306). 만약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지 않으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1306의 '아니오'). 이와 달리 시계(452)의 시간이 시보 검출 구간에 도달하면(1306의 '예') 제어부(454)는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1308). 라디오 방송으로부터 시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라디오가 턴 온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라디오가 턴 오프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어부(454)는 라디오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낮은 음량으로 조정 한 이후 비로소 라디오를 턴 온 시킨다(1310). 여기서 '낮은 음량'은 해당 음량에서 라디오가 갑자기 켜지더라도 운전자가 놀라지 않는 정도의 음량이거나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음량일 수 있다. '낮은 음량'의 적정 값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운전자들이 다양한 운전 환경에서 운전하는 동안 다양한 음량으로 라디오를 턴 온 시키는 실험을 실시하고, 실험에 참가한 복수의 운전자들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음량을 '낮은 음량'으로 선택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낮은 음량으로 조정 후 라디오를 턴 온 시킨 후, 제어부(454)는 라디오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높은 음량까지 높인다(1312). 여기서 '높은 음량'은 스피커(152)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시보가 마이크로폰(154)에 의해 수신되어 음성 인식부(410)가 시보를 검출할 수 있는 정도의 음량일 수 있다. '높은 음량' 역시 실험을 통해 적정 음량을 선택할 수 있다. 라디오의 음량을 높일 때, 제어부(454)는 낮은 음량에서 높은 음량까지 천천히 음량을 높인다. 이로써 운전자가 음량의 증가에 서서히 적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천천히' 음량을 높이는 것 역시 실험을 통해 운전자가 놀라지 않는 정도의 음량 증가 속도이거나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음량 증가 속도일 수 있다.
만약 라디오가 턴 오프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라디오가 이미 턴 온 되어 있는 상태이면(1308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라디오의 음량 조절 및 턴 온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시보 검출 시도를 수행한다(1314). 이 때 제어부(454)는 라디오의 음량을 임의로 조정하지 않는다. 라디오가 이미 턴 온 되어 있는 것은 운전자가 라디오를 듣고자 하는 것이고 이 때의 라디오의 음량 역시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일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54)는 사용자가 설정한 라디오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자동 시간 설정 작업이 사용자의 라디오 청취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라디오가 턴 온 되어 있는 상태로 높은 음량이 확보되면,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1314). 시보의 검출은,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스피커(152)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시보를 마이크로폰(154)으로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만약 시보 검출에 성공하면(1316의 '예') 제어부(454)는 검출된 시보에 기초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설정(보정)한다(1318). 즉, 정시를 알리는 시보 검출 시점과 시계(452)의 정시를 알리는 시점 사이에 오차가 있으면 시계(452)의 시간이 맞지 않은 것이므로, 검출된 오차만큼 보정을 실시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정확히 설정한다. 만약 오차가 없다면 시간 설정(보정)은 필요치 않다. 시보 검출 및 시간 설정에 성공하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에 성공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1320).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시보 검출에 실패하면(1316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에 실패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1322).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에서는, 먼저 오디오부(133)가 파워 온 상태인 동안 상시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고, 또 방송에서 시보를 출력하기 직전에 시보가 출력될 것임을 안내하는 시보 안내 멘트(예를 들면 “잠시 후 아홉 시를 알려드립니다.”와 같은 방송 멘트)가 검출되면 그 후 일정 시간 동안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 도 14의 차량 제어 방법에서 라디오 방송 대신 다른 종류의 방송(예를 들면 DMB 등)으로부터 음성 인식을 통해 시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가 오디오부(133)를 파워 온 하면 오디오부(133)의 파워 온과 함께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다(1404).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마이크로폰(154)이 동작하면서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저장한다. 도 14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에서의 시보 검출 구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5의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54)는 방송에서 시보 안내 멘트가 발생하는지를 체크한다(1406). 시보 안내 멘트는 방송에서 시보를 발생시키기 직전에 “잠시 후 아홉 시를 알려드립니다.”와 같이 곧 시보가 출력될 것임을 안내하는 방송 멘트이다. 만약 시보 안내 멘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시보 안내 멘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1406의 '아니오'). 이와 달리, 만약 방송에서 시보 안내 멘트가 발생하여 검출되면 (1406의 '예') 제어부(454)는 시보 안내 멘트의 검출 시점에서부터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1414). 시보의 검출은,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스피커(152)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시보를 마이크로폰(154)으로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만약 시보 검출에 성공하면(1416의 '예') 제어부(454)는 검출된 시보에 기초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설정(보정)한다(1418). 즉, 정시를 알리는 시보 검출 시점과 시계(452)의 정시를 알리는 시점 사이에 오차가 있으면 시계(452)의 시간이 맞지 않은 것이므로, 검출된 오차만큼 보정을 실시하여 시계(452)의 시간을 정확히 설정한다. 만약 오차가 없다면 시간 설정(보정)은 필요치 않다. 시보 검출 및 시간 설정에 성공하면, 제어부(454)는 자동 시간 설정에 성공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1420).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시보 검출에 실패하면(1416의 '아니오') 제어부(454)는 시보 검출에 실패하였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1422). 안내 방식은 디스플레이(202)에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 시간 설정 모드는 오디오부(133)가 파워 오프될 때까지 상시적으로 이루어진다(1452).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의 자동 시간 설정을 위한 시보 검출 구간을 타임 라인 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서 위쪽의 타임라인(1506)은 방송의 시보에 따른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즉 타임라인(1506)의 시간이 표준 시간일 수 있다. 도 15에서 아래쪽의 타임라인(1508)은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은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표준 시간인 방송의 시보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물론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과 표준 시간인 방송의 시보 사이에 오차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그대로 유지한다.
도 15에 나타낸 자동 시간 설정 모드에서는 방송에서 “잠시 후 아홉 시를 알려드립니다.”와 같은 시보 안내 멘트가 출력됨과 함께 시보 검출을 시작하고 이 때 검출된 시보의 발생 시점에 기초한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즉, 도 15의 타임라인(15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시간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시계(452)의 시간을 기준으로 매 정시의 전후 일정 구간 내에서 시보 검출을 시도한다. 도 15의 타임라인(1506)(1508)을 보면,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 방송의 시보의 시간보다 다소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제 시보가 발생하기 전에 시보 안내 멘트가 발생하고 오디오부(133)의 제어부(454)는 이 시보 안내 멘트의 발생을 검출한 시점부터 시보 검출을 시작한다. 이와 같은 시보 검출에 의해 방송의 시보가 검출되는데,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은 방송의 시보보다 빠르다. 제어부(454)는 이 오차를 계산하고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을 방송의 시보 검출 시점(매 정시)과 일치시킴으로써 차량의 시계(452)의 시간이 방송의 시보를 기준으로 하는 표준 시간에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차량의 시계(452)의 자동 시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133 : 오디오부
152 : 스피커
154 : 마이크로폰
202 : 디스플레이(오디오부)
410 : 음성 인식부
452 : 시계
454 : 제어부
606, 806, 1006, 1506 : 표준 시간의 타임라인
608, 808, 1008, 1508 : 차량의 시계의 타임라인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시계와;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미리 설정된 시보 검출 구간에서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음성 인식부와;
    검출된 상기 시보를 기준으로 상기 시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보 검출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보 검출 구간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보 검출 구간 설정부를 통해 운전자가 상기 시보 검출 구간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직접 설정하는 차량.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계의 시간을 기준으로 매 정시의 전후 일정 범위의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상기 시보를 검출하는 차량.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계의 시간을 기준으로 운전자가 설정한 시각의 전후 일정 범위의 시보 검출 구간 내에서 상기 시보를 검출하는 차량.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가 상기 차량의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인식하도록 마련되는 것인 차량.
  9. 제 4 항에 있어서,
    방송을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부를 더 포함하고;
    시보 검출 구간에서 상기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을 때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보 검출 구간에서 상기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오디오부의 음량을 미리 설정되는 음량으로 설정한 후 상기 오디오부를 턴 온 시키는 차량.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보 검출 구간에서 상기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오디오부의 음량을 미리 설정되는 낮은 음량으로 설정한 상태로 상기 오디오부를 턴 온 시키고, 상기 오디오부가 턴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상대적으로 더 높은 음량으로 증가시키는 차량.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보 검출 구간에서 상기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지 않으면 턴 오프 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부를 턴 온 시키기 전에 상기 오디오부가 턴 온 될 것임을 안내하는 차량.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방송의 시보 안내 멘트가 검출되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차량.
  14. 삭제
  15. 삭제
  16.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와;
    시보 검출 구간에서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시보를 기준으로 시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방송의 시보 안내 멘트가 검출되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차량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오디오부를 통해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와;
    시보 검출 구간에서 상기 오디오부가 턴 온 되어 있을 때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방송의 시보를 음성 인식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인식하도록 마련되는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상기 시보의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 방법.
  20. 삭제
  21. 삭제
KR1020140149973A 2014-10-31 2014-10-31 차량,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 KR10209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973A KR102099101B1 (ko) 2014-10-31 2014-10-31 차량,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973A KR102099101B1 (ko) 2014-10-31 2014-10-31 차량,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868A KR20160050868A (ko) 2016-05-11
KR102099101B1 true KR102099101B1 (ko) 2020-04-09

Family

ID=5602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973A KR102099101B1 (ko) 2014-10-31 2014-10-31 차량,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1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7038B2 (ja) 2014-02-12 2022-03-01 ジオテック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改良された圧密および変形抵抗性を有するジオセ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969A (ja) * 1996-03-27 1997-10-03 Seiko Epson Corp 音声認識を用いた時刻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7038B2 (ja) 2014-02-12 2022-03-01 ジオテック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改良された圧密および変形抵抗性を有するジオセ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868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023B1 (ko)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7457755B2 (en) Key activ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a speech dialog system an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in a vehicle
EP2485484A1 (en) Home theater system, audio/video playback device, audio output control device, and volume control method
US20060134959A1 (en) Incorporating a portable digital music player into a vehicle audio system
US20080112575A1 (en) Volume control device for vehicle audio system
JP2016068928A (ja) 車両のモードに合わせてavnシステムの画面及びオーディオを変更する制御装置
JP2009147812A (ja) 音響システム、音響制御方法および音響システムの設定方法
KR100401398B1 (ko) 음성작동제어시스템
US10115392B2 (en) Method for adjusting a voice recognition system compris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and voice recognition system
KR102099101B1 (ko) 차량,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자동 시간 설정 장치
WO2008070093A1 (en) Rear seat audio video systems and methods
JP4618163B2 (ja) 車載オーディオ装置
JP2008122044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1656028B1 (ko) 차량 모드에 따라 avn 시스템의 화면 및 오디오를 변경하는 제어장치
US20100062848A1 (e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operable by a remote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operating a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KR20160037688A (ko) 무선 조그 다이얼 장치와 그와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JP2005209422A (ja) 車載用av電子機器
KR102388150B1 (ko) 차량의 avn 볼륨 조절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볼륨 조절 방법
KR102297078B1 (ko) 차량의 능동 음장 제어방법
JP5029336B2 (ja) 車載オーディオ装置
JP2000021144A (ja) 車載用音響装置
JP2010159016A (ja) 車載機器
JP2007306355A (ja)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WO2013179664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出力装置
JP2017061195A (ja) 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