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023B1 -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023B1
KR102493023B1 KR1020217027843A KR20217027843A KR102493023B1 KR 102493023 B1 KR102493023 B1 KR 102493023B1 KR 1020217027843 A KR1020217027843 A KR 1020217027843A KR 20217027843 A KR20217027843 A KR 20217027843A KR 102493023 B1 KR102493023 B1 KR 10249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external sound
signal
covering
noise canc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889A (ko
Inventor
다카유키 미즈우치
나오키 와타나베
마코토 요시무라
다에코 우스이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G10K11/17823Reference signals, e.g. ambient acoustic environ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3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handling or detecting of non-standard events or conditions, e.g. changing operating modes under specific operating conditions
    • G10K11/17837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handling or detecting of non-standard events or conditions, e.g. changing operating modes under specific operating conditions by retaining part of the ambient acoustic environment, e.g. speech or alarm signals that the user needs to h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8Communication systems, e.g. where useful sound is kept and noise is cancelled
    • G10K2210/1081Earphones, e.g. for telephones, ear protectors or headse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8Filtering, e.g. Kalman filters or special analogue or digital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하는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헤드폰은,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와,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센서부에 대한 특정한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특정한 동작이 검출된 경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외부음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재생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헤드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HEADPHONE,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기술은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한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헤드폰에 있어서의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전동차 내나 항공기 내의 소음 등, 헤드폰 내로 새어들어오는 주위의 소리를 캔슬함으로써, 보다 음악 감상에 집중할 수 있는 조용한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한편, 노이즈 캔슬링 기능에 의해 주위의 소리가 들리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안전성의 관점이나 긴급 대응용으로, 헤드폰 외부 케이스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외음을 도입하는 기능인 외음 도입 기능, 즉 모니터 기능을 장비한 노이즈 캔슬링 해드폰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노이즈 캔슬링 해드폰에서는, 노이즈 캔슬링용으로 외부 케이스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을 유용하여 외음 도입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외음 도입 기능은, 주로 노이즈 캔슬링 해드폰에 장비되는 경우가 많지만, 근년은 Bluetooth(등록 상표) 헤드폰에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탑재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그로 인해,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Bluetooth(등록 상표) 헤드폰에, 외음 도입 기능이 부가되는 케이스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외음 도입 기능은, 헤드폰이나 헤드폰의 케이블에 실장된 전용의 스위치(버튼)에 의해, 온, 오프 조작되는 일이 많고, 그 밖에 헤드폰 등에 스위치가 없는 경우 등에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조작에 의해 기능 조작되는 케이스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182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기술에서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긴급 대응 시에 빠르게 외음을 듣고 싶어도, 작은 스위치를 찾는데 시간이 걸리거나,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데 시간이 걸리거나 해 버린다. 그렇게 되면, 예를 들어 전동차 내의 긴급 아나운스를 듣고 싶은 등의 경우에, 빠르게 대응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일측면의 헤드폰은,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와,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터치 센서를 덮는 동작으로서, 유저의 귀에 장착된 하우징부에 있어서 상기 유저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된 하우징면을 덮는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외부음 도입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와, 재생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되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음성의 음량을 낮추고, 상기 외부음 도입용 스위치에 대해 온(on)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음성을 재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키고, 상기 외부음 도입용 스위치에 대해 오프(off)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외부음의 재생을 정지시킨다.
헤드폰에는, 상기 터치 센서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에는,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상기 덮는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검출시키고, 상기 재생 제어부에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덮는 동작과는 다른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키는 기능과는 상이한 다른 기능의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헤드폰에는,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에 기초하여,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실현하는 노이즈 캔슬링 처리부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제어부에는,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되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상기 외부음에 기초하여 상기 노이즈 캔슬링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음성과,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의 혼합 음성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상기 음성의 음량을 낮추게 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음성을, 상기 외부음의 저역 성분을 캔슬하는 음성으로 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측면의 제어 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와,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외부음 도입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저의 귀에 장착된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헤드폰의 재생 제어 방법 또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외부음 도입용 스위치에 대하여 온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재생 중인 음성을 재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키고, 상기 외부음 도입용 스위치에 대하여 오프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외부음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터치 센서를 덮는 동작으로서, 하우징부에 있어서 상기 유저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된 하우징면을 덮는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되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상기 음성의 음량을 낮추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일측면에 있어서는,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와,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외부음 도입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저의 귀에 장착된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헤드폰에 있어서, 상기 외부음 도입용 스위치에 대하여 온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재생 중인 음성을 재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이 재생되고, 상기 외부음 도입용 스위치에 대하여 오프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외부음의 재생이 정지되고,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터치 센서를 덮는 동작으로서, 하우징부에 있어서 상기 유저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된 하우징면을 덮는 동작이 검출되고,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되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이 재생됨과 함께, 재생 중인 상기 음성의 음량이 낮춰진다.
본 기술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외음 도입 기능의 기동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모니터용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터치 센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터치 센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외음 도입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헤드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외음 도입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헤드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외음 도입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헤드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외음 도입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헤드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외음 도입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헤드폰의 구성예>
본 기술은, Bluetooth(등록 상표)가 부착된 노이즈 캔슬링 해드폰에 탑재된 모니터 기능(외음의 도입)의 조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긴급하게 주위의 소리를 듣고 싶은 경우에는 Bluetooth(등록 상표) 조작용 터치 센서가 용이한 조작으로 모니터+음악 정지를 실현하고, 한편으로 전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모니터+음악 재생도 실현하는 것이다.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은, 주로 이하의 특징 (1) 내지 특징 (4)를 갖고 있다.
특징 (1)
터치 센서를 덮음으로써 음악을 정지하는 모니터 모드를 갖는다
특징 (2)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음악 청취를 겸한 모니터 모드를 갖는다
특징 (3)
특징 (1)과 특징 (2)의 양쪽을 갖는다
특징 (4)
터치 센서는 재생/정지 등과 겸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은, 헤드폰의 외부 케이스부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에서 외부의 소리를 도입하고, 이것을 헤드폰으로 재생함으로써, 헤드폰을 장착한 채 외부의 소리를 듣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외음 도입 기능, 즉 모니터 기능이 실장된 헤드폰이며, 헤드폰 외부 케이스부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조작함으로써, 외음 도입 기능을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이 헤드폰에서는, 터치 센서를, 복수의 엘리먼트를 갖는 방식에 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헤드폰에서는, 터치 센서의 임의로 설정된 수 이상의 엘리먼트에 동시에 손을 댐으로써 외음 도입 기능을 기동시키고, 손을 떼면 외음 도입 기능을 해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헤드폰에서는, 외음 도입 기능의 발동 중에는, 외음을 듣기 쉽게 하기 위하여 재생 중인 음악 등을 일시 정지하거나, 또는 음량을 낮추도록 할 수 있다.
이 헤드폰에서는, 터치 센서가 Bluetooth(등록 상표) 조작용의 센서로서 겸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헤드폰에는, 터치 센서와는 별도로 외음 도입 기능용의 스위치를 장비하고, 이에 의해 외음 도입 기능의 온, 오프를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헤드폰에서는, 외음 도입 기능이 온인 상태일 때에도, 음악이 그대로 재생되어, 음악을 들으면서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헤드폰에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탑재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헤드폰(11)은, 유저(12)의 헤드부에 장착되어, 음악 등의 콘텐츠의 소리를 재생한다. 또한, 이 헤드폰(11)은 외음을 도입하여 재생하는 외음 도입 기능, 즉 모니터 기능도 갖고 있다.
헤드폰(11)은, 유저(12)의 오른쪽 귀의 부분에 장착되는 하우징부(21-R)와, 유저(12)의 왼쪽 귀의 부분에 장착되는 하우징부(21-L)를 갖고 있다. 또한, 이하, 하우징부(21-R) 및 하우징부(21-L)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간단히 하우징부(21)라고도 칭하기로 한다.
또한, 헤드폰(11)의 외부 케이스 부분인 하우징부(21-R)에 있어서의 유저(12)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면, 즉 외측을 향한 하우징면에는, 터치 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헤드폰(11)의 외부 케이스 부분인 하우징부(21-L)에는, 모니터용 스위치(23)가 설치되어 있다.
터치 센서(22)는, 통상은 Bluetooth(등록 상표) 조작(재생/정지/음량 조정/곡 전송 등)에 사용된다. 즉, 유저(12)는 이 터치 센서(22)를 조작함으로써, 음악 등의 콘텐츠의 소리 재생이나 재생 정지, 재생되는 콘텐츠의 소리 음량 조정, 재생되는 악곡의 곡 전송 등의 콘텐츠의 음성 재생에 관한 처리를 헤드폰(11)에 실행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유저(12)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의 손(51)에 의해 터치 센서(22)를 덮음으로써, 순시에 주위의 소리를 도입하고, 또한 음악을 정지(또는 음량을 작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급한 아나운스나 회화에도 헤드폰(11)을 벗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즉, 헤드폰(11)은 유저(12)의 손(51) 등에 의해 터치 센서(22)가 덮인 상태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음을 수음하고, 수음된 외음을 재생하는 동시에, 지금까지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소리 음량을 작게 하거나, 콘텐츠의 소리 재생을 정지 또는 일시 정지시키거나 한다.
한편, 헤드폰(11)에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몇개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헤드폰(11)의 하우징부(21-L)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가 모니터용 스위치(23)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헤드폰(11)에 터치 센서(22)와는 별도로, 모니터 전용, 즉 외음 도입 기능 전용의 모니터용 스위치(23)를 탑재함으로써, 유저(12)는 이 모니터용 스위치(23)를 조작함으로써, 음악을 들으면서 주위의 소리를 도입하는 모드로의 이행이 가능하게 된다. 즉, 모니터용 스위치(23)가 조작되면, 헤드폰(11)은 콘텐츠의 소리가 재생되고 있을 때에는, 그 콘텐츠의 소리를 재생한 채,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음을 수음하고, 수음된 외음도 재생한다.
또한,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Bluetooth(등록 상표) 조작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노이즈 캔슬링 전용의 헤드폰에 터치 센서를 탑재하여, 헤드폰(11)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갖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은, Bluetooth(등록 상표)에 의한 음량 조정이나 곡 전송 등의 조작용에 탑재된 멀티·엘리먼트식의 터치 센서를 유용하고, 센서부를 한손으로 덮도록 터치함으로써, 외음 도입 기능을 기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Bluetooth(등록 상표) 조작용의 터치 센서는, 헤드폰의 편측 하우징면에 탑재되는 경우가 많지만, 순시적으로 이 하우징면을 한손으로 덮는 것은 유저에게 있어서 극히 용이하고 직감적인 동작이고, 작은 스위치의 위치를 손끝으로 찾는 경우와 같은 수고와 시간도 필요 없고, 또한 전용의 스위치도 필요 없다.
또한, 근년의 외음 도입 기능에서는, 재생 음악을 그대로 두고 외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 많다. 이에 비해,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에서는, 긴급하게 외음을 듣는 것을 우선시키기 위해서, 하우징면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손으로 덮는 액션으로 외음 도입 기능이 기동되었을 때에는, 외음의 도입 중에는, 재생 음악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음악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용이한 동작으로 즉석에서 외음 도입 기능을 기동시킬 수 있고, 재생 음악의 음량도 낮춰져서 외음을 듣기 쉬워지기 때문에, 긴급한 아나운스 등을 못듣는 일 없이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유저가 터치 센서를 덮고 있는 동안만 기능하도록 해도 되고, 터치 센서에 접촉하는 것을 트리거로 하여, 기능의 온, 오프를 반복하는 동작이 행하여지게 해도 된다.
또한, 이 외음 도입 기능을,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것과 병용할 수 있도록, 터치 센서와는 별도로 전용의 스위치를 장비하고, 그 스위치에 의해, 음악을 재생한 채, 외음 도입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Bluetooth(등록 상표) 조작 없음의 노이즈 캔슬링 전용의 헤드폰에, 같은 터치 센서를 탑재하여, 동일한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음 도입 기능을 기동시키는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매트릭스 센서로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로서, 표시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헤드폰에서는, 특정한 대역 노이즈를 노이즈 캔슬하면서,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외음 도입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기술에서는, 터치 센서를 사용한 용이한 동작으로 즉석에서 외음 도입 기능을 기동시킬 수 있고, 또한 재생 음악의 음량도 낮춰져서 외음을 알아듣기 쉬워지기 때문에, 긴급한 아나운스 등을 못듣는 일 없이 대응할 수 있다. 즉,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사양의 것과 병용할 수 있도록, 터치 센서는 별도로 전용의 스위치를 장비하고, 음악을 재생한 채, 외음 도입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 대응용과의 병용도 가능하게 된다.
<헤드폰의 기능적인 구성예>
이어서,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헤드폰의 기능적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기술을 적용한 헤드폰의 기능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헤드폰(81)은 입력부(91), 감쇠기(92), 증폭기(93), 스피커(94), 터치 센서(95), 컨트롤러(96), 마이크로폰(97), 증폭기(98), 외음 도입 블록(99) 및 스위치(100)를 갖고 있다.
이 헤드폰(81)의 외관 구성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헤드폰(1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모니터용 스위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폰(81)은 재생하는 음성의 채널마다, 즉 좌우의 채널마다 감쇠기(92), 증폭기(93), 스피커(94), 마이크로폰(97), 증폭기(98), 외음 도입 블록(99) 및 스위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부(91)는, 예를 들어 케이블 등을 개재하여 유선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스마트폰이나 포터블 플레이어 등의 음성 재생 기기에 접속되어 있고, 음성 재생 기기로부터 공급된 콘텐츠의 음성 오디오 신호를 감쇠기(92) 및 증폭기(93)를 개재하여 스피커(94)에 공급한다.
감쇠기(92)는 컨트롤러(96)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91)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감쇠시킴으로써,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는 음성의 음량 조정을 행하고, 음량 조정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기(93)에 공급한다. 증폭기(93)는, 감쇠기(92)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서 스피커(94)에 공급한다.
스피커(94)는, 예를 들어 헤드폰(81)의 하우징부에 있어서의 유저의 귀측에 배치된, 소위 헤드폰 드라이버라고 불리는 음성 출력부이고, 증폭기(93)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재생한다.
터치 센서(95)는, 예를 들어 X-Y 좌표 검출 방식이나 정전 버튼 검출 방식의 정전 센서를 포함하고, 유저의 터치 센서(95)에 대한 동작에 따른 신호를 컨트롤러(96)에 출력한다. 터치 센서(95)는, 도 1에 도시한 터치 센서(22)에 대응하고, 헤드폰(81)의 편측, 예를 들어 우측의 하우징부의 외측을 향한 하우징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유저에 의해 행하여지는 터치 센서(95)에 대한 동작은, 마이크로폰(97)에 의해 도입된 외음, 즉 헤드폰(81) 주위의 외부의 음성인 외부음을 스피커(94)로 재생시키는 외음 도입 기능(모니터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특정한 동작이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에서 말하는 특정한 동작(제스처)이란, 유저가 손으로 터치 센서(95) 전체를 덮는(커버 하는) 동작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외음 도입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특정한 동작은, 유저가 외음을 듣고 싶을 때에 직감적으로 행하는 동작이면, 어떤 동작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가 하우징부의 하우징면이나, 하우징부 측면에 손을 대거나 하는 동작이나, 유저가 몇 손가락으로 하우징부를 파지하는 동작 등을, 외음 도입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동작으로 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그러한 동작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가 적절한 위치에 터치 센서(95) 등의 센서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유저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센서에 한하지 않고, 3D 센서 등, 다른 어떤 센서여도 된다.
컨트롤러(96)는, 헤드폰(8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96)는, 터치 센서(95)의 출력에 따라서 감쇠기(92)나 스위치(100)를 제어하여, 헤드폰(81)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음성이나 외음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마이크로폰(97)은 헤드폰(81)의 주위 소리, 즉 외음(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이고, 수음에 의해 얻어진 외음 신호를 증폭기(98)에 공급한다. 증폭기(98)는, 마이크로폰(97)으로부터 공급된 외음 신호를 증폭시켜서 외음 도입 블록(99)에 공급한다.
외음 도입 블록(99)은, 증폭기(98)를 개재하여 마이크로폰(97)에서 외음 신호를 도입하는 동시에, 도입한 외음 신호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필터 처리 등을 실시하고, 스위치(100) 및 증폭기(93)를 개재하여 스피커(94)에 공급한다. 여기서, 외음 도입 블록(99)에 의해 외음 신호에 대하여 행하여지는 필터 처리는, 예를 들어 사람의 목소리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거나, 사람의 목소리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커트(제거)하거나 해서, 외음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는 처리 등으로 여겨진다.
스위치(100)는, 컨트롤러(96)의 제어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한다. 즉, 스위치(100)가 온되면, 외음 도입 블록(99)과 증폭기(9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고, 스위치(100)가 오프되면, 외음 도입 블록(99)과 증폭기(93)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된다.
<터치 센서의 구성예>
또한, 도 4에 도시한 터치 센서(95)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도 4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5에서는, 복수의 엘리먼트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터치 센서(95)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개재하여, 컨트롤러(96) 내에 설치된 검출부(131)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96)에 설치된 검출부(131)는 터치 센서(95)를 제어함과 함께, 터치 센서(95)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한 터치 센서(95)로의 동작을 검출한다.
여기서, 도면 중, 세로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도면 중, 가로 방향을 x 방향으로 한다. 이 예에서는, 터치 센서(95)는 X-Y 좌표 검출 방식에 의해, 유저의 터치 센서(95)로의 접촉 또는 근접을 검출하는 센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서는, 하나의 정사각형이 하나의 엘리먼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들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콘덴서 등의 정전 센서로 구성된다.
터치 센서(95)에는, x 방향으로 배열된 5개의 엘리먼트 열 X0 내지 엘리먼트 열 X4와, y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엘리먼트 열 Y0 내지 엘리먼트 열 Y3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먼트 열 X0 내지 엘리먼트 열 X4 각각은, y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엘리먼트 열 Y0 내지 엘리먼트 열 Y3 각각은, x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 엘리먼트 열 X0 내지 엘리먼트 열 X4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간단히 엘리먼트 열 X라고도 칭하고, 이하, 엘리먼트 열 Y0 내지 엘리먼트 열 Y3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간단히 엘리먼트 열 Y라고도 칭한다.
터치 센서(95)에서는, 각 엘리먼트 열 X 및 엘리먼트 열 Y로부터, 터치 센서(95)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로의 유저의 접촉 또는 근접에 따른 검출 신호가 검출부(131)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유저가 화살표 A11에 나타내는 위치를 손가락으로 접촉했다고 하자. 이 경우, 화살표 A11에 나타내는 위치 근방에 있는 엘리먼트의 정전 용량이 증가하고, 그 엘리먼트가 설치된 엘리먼트 열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는, 엘리먼트의 정전 용량이 증가한 만큼 커진다.
따라서, 유저가 화살표 A11로 나타내는 위치에 손가락을 댄 경우에는, 그 위치 근방에 엘리먼트를 갖는 엘리먼트 열 X3의 검출 신호와 엘리먼트 열 Y2의 검출 신호가 특히 커진다.
검출부(131)에서는, 이러한 엘리먼트 열 X3 및 엘리먼트 열 Y2의 검출 신호의 증가를 검지함으로써, 유저가 터치 센서(95)의 어느 위치(점)에 대한 조작을 행했는지, 즉 유저가 어느 위치에 접촉했는지를 알 수 있다. 즉, 엘리먼트 열 X3의 검출 신호로부터, 유저의 x 방향의 조작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엘리먼트 열 Y2의 검출 신호로부터, 유저의 y 방향의 조작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x 방향과 y 방향의 조작 위치의 특정 결과로부터, xy 평면에 있어서의 유저의 조작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131)에서는, 엘리먼트 열로부터의 검출 신호와, 미리 정해진 역치 th를 비교하여, 검출 신호가 역치 th 이상인 경우, 그 엘리먼트 열 상의 엘리먼트에 유저가 접촉 또는 근접한, 즉 유저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된다.
이러한 터치 센서(95)를 유저가 덮는 동작을 하면, 1 시각에 있어서 적어도 3 이상의 엘리먼트 열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역치 th 이상이 되므로, 그러한 경우에 검출부(131)에서는, 유저에 의해 터치 센서(95)가 덮였다고 판정된다. 즉, 외음 도입 기능(모니터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특정한 동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된다.
이상과 같이, 검출부(131)에서는, 유저에 의한 터치 센서(95)로의 면 터치 조작(다점 터치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 의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의 검출은, 1 시각에 있어서 3 이상의 엘리먼트 열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역치 th 이상인지 여부에 한하지 않고, 다른 어떤 방법에 의해 검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합계 9개의 엘리먼트 열 중 8 이상의 엘리먼트 열의 검출 신호가 역치 th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유저가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을 했다고 판정되어도 된다.
또한, 검출부(131)에서는, 연속하는 복수 시각에 있어서의 검출 신호, 즉 검출 신호의 시간 방향으로의 변화에 기초하여, 유저의 터치 센서(95)에 대한 탭 동작(탭 조작)이나 스와이프 동작(스와이프 조작) 등의 각 동작(제스처)도 검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검출부(131)에서는, 터치 센서(95)에 있어서의 유저에 의한 접촉 위치가 시간과 함께 소정 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는, 유저가 스와이프 동작을 했다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95)는 도 5에 도시한 예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터치 센서(95)는, 8개의 엘리먼트 EL1 내지 엘리먼트 EL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원환형으로 버튼 타입의 정전 센서를 포함하는 8개의 엘리먼트 EL1 내지 엘리먼트 EL8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그 엘리먼트들의 내측과 외측이 접지의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 엘리먼트 EL1 내지 엘리먼트 EL8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간단히 엘리먼트 EL이라고도 칭하기로 한다.
컨트롤러(96)의 검출부(131)에는, 이들의 각 엘리먼트 EL로부터 검출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검출부(131)는 엘리먼트 EL로부터 공급된 검출 신호와, 상술한 역치 th를 비교함으로써, 유저의 엘리먼트 EL로의 접촉 또는 근접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8개의 각 엘리먼트 EL로부터의 검출 신호 중, 소정 수 이상, 예를 들어 8개 모든 검출 신호가 역치 th 이상인 경우에, 유저가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을 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터치 센서(95)에 있어서도, 도 5에 도시한 예와 동일하게, 탭 동작이나 스와이프 동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엘리먼트 EL2만으로의 조작이 검출된 직후에, 엘리먼트 EL7만으로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 유저에 의한 좌측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졌다고 여겨진다. 또한, 예를 들어 엘리먼트 EL1만으로의 조작이 검출된 직후에, 엘리먼트 EL4만으로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 유저에 의한 하측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졌다고 여겨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터치 센서(95)의 구성예로서, 도 5에 도시하는 예와 도 6에 도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터치 센서(95)는 적어도 유저에 의한 외음 도입 기능(모니터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특정한 동작을 검출 가능하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터치 센서(95)는 도 5에 도시한 구성인 것으로서 설명을 계속한다.
<외음 도입 처리의 설명>
이어서, 도 4에 도시한 헤드폰(8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하,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헤드폰(81)에 의한 외음 도입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음성 재생 기기로부터 헤드폰(81)에는, 콘텐츠의 음성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 즉 콘텐츠의 음성이 재생 중인 것으로 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컨트롤러(96)의 검출부(131)는 터치 센서(95)로부터 공급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검출부(131)는, 미리 정한 소정수 이상의 엘리먼트 열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역치 th 이상인 경우,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다고, 즉 외음 도입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동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즉 외음 도입 기능의 실행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컨트롤러(96)는 콘텐츠 음성을 재생시키고, 외음 도입 처리는 종료한다. 즉, 컨트롤러(96)는 스위치(100)를 오프시킨 상태로 한다.
이 경우, 음성 재생 기기로부터 입력부(91)에 공급된 콘텐츠의 음성 오디오 신호는, 감쇠기(92) 및 증폭기(93)를 개재하여 스피커(94)에 공급된다. 스피커(94)는, 이와 같이 하여 공급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음성을 재생한다. 즉, 콘텐츠 음성이 계속하여 재생된다.
이에 비해, 스텝 S11에 있어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컨트롤러(96)는, 감쇠기(92)를 제어하여 콘텐츠 음성의 음량을 내린다.
감쇠기(92)는 컨트롤러(96)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91)에서 공급된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감쇠시킴으로써,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는 콘텐츠의 음성 음량을 낮추고, 그 결과 얻어진 오디오 신호를 증폭기(93)를 개재하여 스피커(94)에 공급한다. 또한, 음량 조정 시에는 콘텐츠 음성이 소음되도록 해도 된다.
스피커(94)는 증폭기(93)를 개재하여 감쇠기(92)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츠 음성을 재생한다. 이에 의해, 콘텐츠 음성의 음량이 낮춰지거나 또는 소음되어서, 유저가 외음을 알아듣기 쉬워진다.
스텝 S14에 있어서, 외음 도입 블록(99)은 헤드폰(81) 주위의 외음을 도입한다. 즉, 헤드폰(81)에서는, 항상 마이크로폰(97)에 의해 외음의 수음이 행하여지고 있다. 외음 도입 블록(99)은 증폭기(98)를 개재하여 마이크로폰(97)에서 외음 신호를 취득하고, 필요에 따라 외음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보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처리가 실시된 외음 신호를 출력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컨트롤러(96)는 스위치(100)를 온시켜서 외음 도입 블록(99)과 증폭기(9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함으로써, 도입한 외음을 재생시킨다.
컨트롤러(96)의 제어에 의해 스위치(100)가 온되면, 외음 도입 블록(99)으로부터 출력된 외음 신호는, 스위치(100) 및 증폭기(93)를 개재하여 스피커(94)에 공급된다. 스피커(94)는, 이와 같이 하여 외음 도입 블록(99)으로부터 공급된 외음 신호에 기초하여 외음을 재생한다.
이때, 콘텐츠 음성은 음량이 낮춰져 있거나, 또는 음량이 낮춰진 결과로서 소음되어 있으므로, 유저는 재생된 외음을 명확하게 알아들을 수 있다. 스피커(94)에 의해 외음이 재생되면, 외음 도입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헤드폰(81)은, 유저에 의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콘텐츠 음성의 음량 조정을 행함과 함께 외음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유저가 터치 센서(95)를 덮는, 유저가 외음을 듣고 싶다고 생각했을 때에 순시적으로, 또한 직감적으로 행하는 동작을 검출하여 외음을 재생함으로써, 유저가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헤드폰(8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외음 재생 시에는, 지금까지 재생되고 있던 콘텐츠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콘텐츠 음성을 소음하거나 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81)에서는, 외음 도입 기능의 실행, 즉 외음을 재생하는 처리는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개시되지만, 외음을 재생하는 처리를 종료하는 타이밍은, 어떤 타이밍이어도 된다. 이것은, 이후에 있어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96)가 외음을 재생하는 처리를 개시시킨 후, 검출부(131)에 의해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계속하여 검출되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외음을 재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음성은, 음량이 낮춰진 채 그대로이다.
이 경우, 유저가 터치 센서(95)를 덮으면 외음의 재생이 개시되고, 그 후, 유저가 터치 센서(95)를 덮는 것을 그만두면, 즉 터치 센서(95)로부터 손을 떼어내면 외음의 재생이 종료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유저는 외음을 듣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손으로 터치 센서(95)를 덮고 있을 필요가 있지만, 유저가 외음을 듣고 있는 동안, 유저의 손이 터치 센서(95)로부터 조금씩 이격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1회, 외음의 재생이 개시된 후에는, 검출부(131)에 있어서 사용되는 역치 th를 통상 시보다도 조금 작은 값으로 변경하거나, 터치 센서(95)가 덮여 있다고 판정되는 데 필요한, 역치 th 이상이 되는 검출 신호의 수를 통상 시보다도 적게 하거나 하여, 유저에 의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검출되기 쉽게 하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보다 적절하게 외음의 재생 개시 및 정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컨트롤러(96)가,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외음을 재생하는 처리(제어)를 개시하고, 그 후, 특정한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외음의 재생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도 외음의 재생 중에는, 콘텐츠 음성의 음량은 낮춰진 채 그대로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외음의 재생이 개시된 후, 한번 더, 유저가 손으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컨트롤러(96)는 외음의 재생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 유저는, 터치 센서(95)를 손으로 덮어서 외음의 재생을 개시시킨 후, 그 수단을 터치 센서(95)로부터 뗀 상태로 해도, 계속하여 외음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유저가 다시, 손으로 터치 센서(95)를 덮으면 외음의 재생이 정지된다.
또한, 외음의 재생을 정지시키기 위한 터치 센서(95)에 대한 동작은, 유저가 손으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에 한하지 않고, 다른 어떤 동작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센서(95)에 대한 조작에 한하지 않고, 헤드폰(81)에 설치된 다른 버튼이나 스위치 등의 조작부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외음의 재생을 정지시키게 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외음 도입 기능을 탑재하는 디바이스가 헤드폰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기타, 예를 들어 이어폰이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에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을 이어폰에 적용하는 경우, 유저가 이어폰을 귀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 부분, 즉 귀의 부분을 덮는 동작을 했을 때에, 이어폰에 의해 그 동작이 검출되어, 외음의 도입과 재생이 행하여짐과 함께, 지금까지 재생되고 있었던 음성의 음량 조정이나 재생 정지가 행하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의 케이블에 설치된 조작부, 즉 컨트롤러 부분을 유저가 쥐거나 했을 때에 외음의 도입과 재생이 행하여짐과 함께, 지금까지 재생되고 있던 음성의 음량 조정이나 재생 정지가 행하여지게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헤드폰의 기능적인 구성예>
또한,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헤드폰(81)이 케이블에 의해 음성 재생 기기에 접속되어 있었지만, 헤드폰(81)과 음성 재생 기기가 무선에 의해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즉, 헤드폰(81)이 소위 Bluetooth(등록 상표) 헤드폰으로 되어도 된다. 그러한 경우, 헤드폰(81)은,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 4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헤드폰(81)과, 음성 재생 기기(161)가,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규격에 따라서 무선 통신하고, 재생하는 콘텐츠의 음성, 즉 오디오 신호나, 재생 제어를 위한 조작 커맨드의 수수를 행한다.
일반적으로는, 헤드폰과 음성 재생 기기 사이의 주고받기는 Bluetooth(등록 상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여기에서는 헤드폰(81)과 음성 재생 기기(161)는, 임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계속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헤드폰(81)은 안테나(171), 입출력부(172), 감쇠기(92), 증폭기(93), 스피커(94), 터치 센서(95), 컨트롤러(96), 마이크로폰(97), 증폭기(98), 외음 도입 블록(99) 및 스위치(100)를 갖고 있다.
즉, 도 8의 헤드폰(81)의 구성은, 입력부(91) 대신에 안테나(171) 및 입출력부(172)를 설치한 점에서 도 4에 도시한 헤드폰(81)의 구성과 상이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도 4에 도시한 헤드폰(8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헤드폰(81)에서는, 안테나(171)는, 음성 재생 기기(161)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성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입출력부(172)에 공급한다. 즉, 입출력부(172)는, 안테나(171)에 의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입출력부(172)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감쇠기(92) 및 증폭기(93)를 개재하여 스피커(94)에 공급한다.
또한, 컨트롤러(96)의 검출부(131)는 터치 센서(95)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의 터치 센서(95)에 대한 동작(조작)을 검출한다.
이 예에서는,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 외에, 그 동작과는 상이한 다른 동작, 예를 들어 탭 동작이나 스와이프 동작 등도 검출부(131)에서 검출된다.
예를 들어 탭 동작이나 스와이프 동작은, 유저가 콘텐츠의 음성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콘텐츠의 음성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콘텐츠의 곡 전송을 시키거나 하는 등, 콘텐츠 음성의 재생에 관한 제어를 지시할 때에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유저가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터치 센서(95)에 대하여 행한 경우에는, 외음 도입 기능과는 상이한 다른 기능의 처리가 컨트롤러(96)에 의해 실행된다.
즉, 컨트롤러(96)는, 검출부(131)에 의한 유저의 동작(조작)의 검출 결과에 따라, 콘텐츠 음성의 재생에 관한 지령인 조작 커맨드를 생성하고, 입출력부(172)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조작 커맨드는, 재생 정지나 재생의 일시 정지 등을 지시하는 커맨드이다.
입출력부(172)는, 컨트롤러(96)로부터 공급된 조작 커맨드를, 안테나(171)에 의해 무선 통신으로 음성 재생 기기(161)에 송신한다.
그러자, 음성 재생 기기(161)는, 헤드폰(81)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조작 커맨드를 수신하여, 그 조작 커맨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재생 기기(161)는,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지금까지 헤드폰(81)에 송신하고 있었던 콘텐츠 음성의 오디오 신호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킨다.
<외음 도입 처리의 설명>
이어서,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8에 나타낸 헤드폰(81)에 의해 행하여지는 외음 도입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음성 재생 기기(161)로부터 헤드폰(81)에는, 콘텐츠의 음성 오디오 신호가 계속하여 송신되고 있고, 콘텐츠의 음성이 재생 중인 것으로 한다.
외음 도입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S41 및 스텝 S42의 처리가 행하여지지만, 이들 처리는 도 7의 스텝 S11 및 스텝 S1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이 경우, 스텝 S42에서는, 입출력부(172)는 안테나(171)에 의해, 음성 재생 기기(161)로부터 송신되어 온 오디오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감쇠기(92) 및 증폭기(93)를 개재하여 스피커(94)에 공급한다. 그리고, 스피커(94)는 입출력부(172)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츠 음성을 재생한다.
이에 비해, 스텝 S41에 있어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3에 있어서, 컨트롤러(96)는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96)는,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커맨드를 생성하고, 입출력부(172)에 공급한다. 입출력부(172)는, 컨트롤러(96)로부터 공급된 조작 커맨드를, 안테나(171)에 의해 무선 통신으로 음성 재생 기기(161)에 송신한다.
그러자, 송신된 조작 커맨드를 수신한 음성 재생 기기(161)는, 그 조작 커맨드에 따라, 지금까지 재생하고 있던 콘텐츠 음성의 오디오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음성 재생 기기(161)로부터 헤드폰(81)에는, 오디오 신호가 송신되어 오지 않게 되므로, 헤드폰(81)에서는 콘텐츠 음성의 재생이 정지되게 된다.
또한, 스텝 S43에서는,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게 해도 된다. 또한, 도 7의 스텝 S13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컨트롤러(96)가 감쇠기(92)를 제어하여, 재생 중인 콘텐츠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소음시키거나 하게 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재생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경우와, 일시 정지시키는 경우를 구별하여 기재하였지만,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재생의 정지라고만 기재하였을 때에는, 완전히 재생을 정지시키는 경우 외에, 재생을 일시정지시키는 경우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 음성의 재생이 정지되면, 그 후, 스텝 S44 및 스텝 S45의 처리가 행하여져서 외음 도입 처리는 종료되지만, 이들 처리는 도 7의 스텝 S14 및 스텝 S1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헤드폰(81)은 유저에 의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킴과 함께 외음을 재생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헤드폰의 기능적인 구성예>
또한, 도 8에 도시한 헤드폰(81)에 대하여, 추가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헤드폰(81)은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것처럼 구성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도 8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헤드폰(81)은 안테나(171), 입출력부(172), 감쇠기(92), 증폭기(93), 스피커(94), 터치 센서(95), 컨트롤러(96), 마이크로폰(97), 증폭기(98), 외음 도입 블록(99), NC(Noise Cancelling) 블록(201) 및 스위치(202)를 갖고 있다.
즉, 도 10의 헤드폰(81)의 구성은, 스위치(100)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새롭게 NC 블록(201) 및 스위치(202)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8에 도시한 헤드폰(81)의 구성과 상이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도 8의 헤드폰(8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증폭기(98)에는, 외음 도입 블록(99)뿐만 아니라 NC 블록(201)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NC 블록(201)의 출력에는 노드 Na가 접속되어 있고, 외음 도입 블록(99)의 출력에는 노드 Nb가 접속되어 있다.
NC 블록(201)은 증폭기(98)를 개재하여 마이크로폰(97)으로부터 공급된 외음 신호에 기초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스피커(94)에 공급하여 재생시키면, 헤드폰(81)의 외부로부터 유저에게 새어 들어오는 외음을 없앨 수 있어,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NC 블록(201)은, 외음 신호에 기초하여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실현시키는 노이즈 캔슬링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헤드폰(81)에서는, 마이크로폰(97)이 외음의 도입과 노이즈 캔슬링에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외음 도입과 노이즈 캔슬링에 따로따로 마이크로폰이 사용되어도 된다.
스위치(202)는, 컨트롤러(96)의 제어에 따라서 그 접속처를 노드 Na 또는 노드 Nb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한다. 즉, 스위치(202)는, 증폭기(93)에 출력하는 신호의 취득원을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202)가 노드 Na에 접속된 상태로 되면, NC 블록(201)으로부터 출력된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스위치(202)를 개재하여 증폭기(93)에 공급된다. 또한, 스위치(202)가 노드 Nb에 접속된 상태로 되면, 외음 도입 블록(99)으로부터 출력된 외음 신호가, 스위치(202)를 통하여 증폭기(93)에 공급된다.
<외음 도입 처리의 설명>
이어서,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0에 도시한 헤드폰(81)에 의해 행하여지는 외음 도입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음성 재생 기기(161)로부터 헤드폰(81)에는, 콘텐츠의 음성 오디오 신호가 계속하여 송신되고 있고, 콘텐츠의 음성이 재생 중인 것으로 한다.
스텝 S71에 있어서, 컨트롤러(96)의 검출부(131)는, 터치 센서(95)로부터 공급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스텝 S71에서는, 도 7의 스텝 S11과 마찬가지로 하여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는지 판정이 행하여진다.
스텝 S71에 있어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72에 있어서, NC 블록(201)은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한다.
즉, 헤드폰(81)에서는, 항상 마이크로폰(97)에 의해 외음의 수음이 행하여지고 있다. NC 블록(201)은, 증폭기(98)를 통하여 마이크로폰(97)에서 외음 신호를 취득하고,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NC 블록(201)은 필요에 따라서 노이즈 캔슬링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보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게 해도 된다. NC 블록(201)은,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노드 Na에 출력한다.
스텝 S73에 있어서, 컨트롤러(96)는 스위치(202)를 제어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에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합성시켜서 콘텐츠 음성을 재생시키고, 외음 도입 처리는 종료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202)는 컨트롤러(96)의 제어에 따라서 접속처를 노드 Na로 한다. 이에 의해, NC 블록(201)으로부터 출력된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스위치(202)를 통하여 증폭기(93)에 공급된다. 또한, 입출력부(172)로부터 증폭기(93)에는, 감쇠기(92)를 통하여 재생 중인 콘텐츠 음성의 오디오 신호도 공급된다.
따라서, 증폭기(93)에는, 오디오 신호와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합성하여 얻어지는 신호(이하, 합성 오디오 신호라고도 칭함)가 공급되게 된다. 증폭기(93)는, 공급된 합성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서 스피커(94)에 공급한다.
또한, 스피커(94)는, 증폭기(93)로부터 공급된 합성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츠 음성을 재생한다. 이에 의해, 콘텐츠 음성과,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음성이 재생되게 된다. 즉,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실행하면서의 콘텐츠 음성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이 경우,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음성과, 외부로부터의 누설에 의해 유저의 귀에 도달하는 외음이 서로 상쇄하므로, 유저에는 콘텐츠 음성만이 들리게 된다.
한편, 스텝 S71에 있어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74 내지 스텝 S76의 처리가 행하여져서 외음 도입 처리는 종료되는데, 이들의 처리는 도 9의 스텝 S43 내지 스텝 S4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스텝 S76에서는, 컨트롤러(96)는, 접속처가 노드 Nb가 되도록 스위치(202)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외음 도입 블록(99)으로부터 출력된 외음 신호가, 스위치(202) 및 증폭기(93)를 통하여 스피커(94)에 공급되고, 스피커(94)에 의해 외음이 재생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헤드폰(81)은, 유저에 의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킴과 함께 외음을 재생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다. 특히, 콘텐츠 음성의 재생 시에는, 노이즈 캔슬링을 행함으로써, 콘텐츠 감상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헤드폰의 기능적인 구성예>
또한, 도 10에 도시한 헤드폰(81)에서는, 스위치(202)에 의해 외음 신호 또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 중 어느 것을 스피커(94)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스위치(202) 대신에 믹서를 사용하게 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 헤드폰(81)은,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도 10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헤드폰(81)은 안테나(171), 입출력부(172), 감쇠기(92), 증폭기(93), 스피커(94), 터치 센서(95), 컨트롤러(96), 마이크로폰(97), 증폭기(98), 외음 도입 블록(99), NC 블록(201) 및 믹서(231)를 갖고 있다.
즉, 도 12의 헤드폰(81)의 구성은, 스위치(202) 대신에 믹서(231)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0에 도시한 헤드폰(81)의 구성과 상이하고, 기타의 점에서는 도 10의 헤드폰(81)과 마찬가지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믹서(231)는 컨트롤러(96)의 제어에 따라, 적절히, NC 블록(201)으로부터 공급된 캔슬링 신호와, 외음 도입 블록(99)으로부터 공급된 외음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시켜, 그 결과 얻어진 혼합 신호를 증폭기(93)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Nc로 나타내고, 외음 신호를 Ot로 나타내고, 임의의 계수를 α 및 β라 하면, 혼합 신호 Mx는, Mx=αNc+βOt가 된다. 또한, 계수 α와 계수 β의 합은 반드시 1로 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계수 α를 크게 하면, 혼합 신호에 대한 노이즈 캔슬링 신호의 기여율이 커지고, 반대로 계수 β를 크게 하면, 혼합 신호에 대한 외음 신호의 기여율이 커진다. 특히, 계수 β=0으로 하면, 혼합 신호는 실질적으로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된다.
그래서, 믹서(231)는, 예를 들어 통상의 콘텐츠 음성 재생 시, 즉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실행하면서 콘텐츠 음성을 재생할 때에는 계수 β=0으로 하고,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증폭기(93)에 공급한다.
이에 비해, 믹서(231)는 외음 도입 기능을 실행할 때에는, 계수 α와 계수 β를 모두 0이 아닌 적절한 값으로 하여 혼합 신호를 생성하고, 증폭기(93)에 공급한다.
이때, 예를 들어 혼합 신호의 생성에는, 예를 들어 필터 처리에 의해 주파수 특성의 보정이 실시된 외음 신호 및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외음 도입 블록(99)에서는, 외음 신호에 대하여 중고음이 추출되는, 즉 사람의 목소리의 주파수 대역이 강조되는 주파수 특성의 보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NC 블록(201)에서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에 대하여 저음, 즉 사람의 목소리의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 대역의 성분인 저역 성분만을 캔슬하는 주파수 특성의 보정을 행하거나 하게 된다. 즉, 노이즈 캔슬링 신호에 기초하는 음성으로서, 저역 성분만을 캔슬하는 음성이 얻어지도록 주파수 특성이 보정된다.
이 경우, 외음 신호와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합성(혼합)하여 얻어진 혼합 신호에 기초하여 혼합 음성을 재생하면, 사람의 목소리 이외의 소리가 캔슬되어, 사람의 목소리만이 명료하게 들리게 된다. 즉, 노이즈 캔슬링용의 음성과 외음을 합성(혼합)시켜서 얻어진 혼합 음성을 재생하면, 외음으로서 유저가 청취하고 싶은, 사람의 목소리가 확실하게 들리게 된다.
또한, 외음 도입 기능 실행 시에, 예를 들어 외음 신호에 승산되는 계수 β를 β>1, 즉 계수 β를 1보다도 크게 하여 외음 신호를 증폭시킴으로써, 외음을 더욱 알아듣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가 헤드폰(81)을 벗어서 외음을 듣는 것보다도, 더 큰 소리로 명료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게 된다.
<외음 도입 처리의 설명>
이어서,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2에 도시한 헤드폰(81)에 의해 행하여지는 외음 도입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음성 재생 기기(161)로부터 헤드폰(81)에는, 콘텐츠의 음성 오디오 신호가 계속하여 송신되고 있고, 콘텐츠의 음성이 재생 중인 것으로 한다.
또한, 외음 도입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S101 내지 스텝 S103의 처리가 행하여지지만, 이들의 처리는 도 11의 스텝 S71 내지 스텝 S73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단, 스텝 S103에서는, 믹서(231)는 컨트롤러(96)의 제어에 따라, 계수 α=1 및 계수 β=0으로 하고, 실질적으로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되는 혼합 신호를 생성하고, 증폭기(93)를 통하여 스피커(94)에 공급한다.
또한, 스텝 S101에 있어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04에 있어서, 컨트롤러(96)는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킨다. 또한, 스텝 S104에서는, 도 9의 스텝 S43과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재생의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커맨드가 생성되어, 음성 재생 기기(161)에 송신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재생의 일시 정지가 이루어지게 해도 되고, 감쇠기(92)에 의해 콘텐츠 음성의 음량이 낮춰지거나 소음되거나 하게 해도 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외음 도입 블록(99)은, 헤드폰(81) 주위의 외음을 도입한다. 즉, 스텝 S105에서는, 도 9의 스텝 S44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져서, 외음 신호가 생성된다.
이때, 외음 도입 블록(99)은, 예를 들어 외음 신호에 대하여 중고음이 추출되는 주파수 특성의 보정을 필터 처리에 의해 실시하여, 주파수 특성의 보정이 행하여진 외음 신호를 믹서(231)에 공급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NC 블록(201)은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하여 믹서(231)에 공급한다.
즉, NC 블록(201)은 증폭기(98)를 통하여 마이크로폰(97)에서 외음 신호를 취득하고,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NC 블록(201)은, 얻어진 노이즈 캔슬링 신호에 대하여, 예를 들어 저음만을 캔슬하는 주파수 특성의 보정을 필터 처리에 의해 실시하고, 주파수 특성의 보정이 행하여진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믹서(231)에 공급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믹서(231)는, 컨트롤러(96)의 제어에 따라서 외음 도입 블록(99)으로부터 공급된 외음 신호와, NC 블록(201)으로부터 공급된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혼합시켜서 혼합 신호를 생성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컨트롤러(96)는, 믹서(231)를 제어하여 혼합 신호를 재생시키고, 외음 도입 처리는 종료한다.
즉, 컨트롤러(96)는 믹서(231)를 제어하여, 스텝 S107에서 얻어진 혼합 신호를, 증폭기(93)를 통하여 스피커(94)에 공급시킨다. 이때 스피커(94)에 의해 재생되는 혼합 음성은, 외음에 있어서의 사람의 목소리의 주파수 대역이 보다 알아듣기 쉽게 보정된 음성이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헤드폰(81)은, 유저에 의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킴과 함께 외음을 재생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다. 특히, 외음 재생 시에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도 이용함으로써, 외음을 보다 알아듣기 쉽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헤드폰의 기능적인 구성예>
또한, 도 12에 나타낸 헤드폰(81)에 대하여, 추가로 외음 도입 전용의 스위치를 설치하게 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 헤드폰(81)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도 12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헤드폰(81)은 안테나(171), 입출력부(172), 감쇠기(92), 증폭기(93), 스피커(94),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 터치 센서(95), 컨트롤러(96), 마이크로폰(97), 증폭기(98), 외음 도입 블록(99), NC 블록(201) 및 믹서(231)를 갖고 있다.
즉, 도 14의 헤드폰(81)의 구성은, 새롭게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2에 도시한 헤드폰(81)의 구성과 상이하고, 기타의 점에서는 도 12의 헤드폰(81)과 마찬가지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식이나 버튼식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외음(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조작부이고, 헤드폰(81)에 있어서의, 터치 센서(95)가 설치된 하우징부와는 반대측의 하우징부 등에 설치되어 있다.
이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모니터용 스위치(23)에 대응하는 것이고, 유저가 콘텐츠 음성을 재생하면서 외음도 도입할 때에 조작된다.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면, 그 조작에 따른 신호를 컨트롤러(96)에 공급한다.
<외음 도입 처리의 설명>
이어서,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4에 도시한 헤드폰(81)에 의해 행하여지는 외음 도입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음성 재생 기기(161)로부터 헤드폰(81)에는, 콘텐츠의 음성 오디오 신호가 계속하여 송신되고 있고, 콘텐츠의 음성이 재생 중인 것으로 한다.
스텝 S231에 있어서, 컨트롤러(96)는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로부터,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가 눌러진 취지의 신호가 공급된 경우,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가 조작되었다고 판정된다.
스텝 S 스텝 S231에 있어서,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가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32 및 스텝 S233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그 후, 처리는 스텝 S236으로 진행한다.
또한, 이들의 스텝 S232 및 스텝 S233의 처리는, 도 13의 스텝 S102 및 스텝 S103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실행하면서의 콘텐츠 음성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이에 비해, 스텝 S231에 있어서,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가 조작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34에 있어서, 외음 도입 블록(99)은 헤드폰(81) 주위의 외음을 도입한다.
즉, 외음 도입 블록(99)은, 증폭기(98)를 통하여 마이크로폰(97)에서 외음 신호를 취득하고, 필요에 따라 외음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보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처리가 실시된 외음 신호를 믹서(231)에 공급한다.
스텝 S235에 있어서, 컨트롤러(96)는 믹서(231)를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에 외음 신호를 합성시켜, 콘텐츠 음성과 외음을 재생시킨다.
즉, 입출력부(172)로부터 스피커(94)에는, 감쇠기(92) 및 증폭기(93)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어, 콘텐츠 음성이 재생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트롤러(96)는 믹서(231)를 제어하고, 믹서(231)로부터 증폭기(93)를 통하여 스피커(94)에 외음 신호를 공급시킨다.
그러면, 스피커(94)에는, 오디오 신호와 외음 신호가 합성되어서 얻어지는 신호가 공급되게 된다. 스피커(94)가 이러한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의 재생을 행하면, 콘텐츠 음성이 재생된 채의 상태로 외음도 재생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콘텐츠 음성을 재생하면서의 외음 도입 기능이 실현되게 된다.
스텝 S235 또는 스텝 S233이 행하여지면, 스텝 S236에 있어서, 컨트롤러(96)의 검출부(131)는 터치 센서(95)로부터 공급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스텝 S236에서는, 도 7의 스텝 S11과 마찬가지로 하여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는지 판정이 행해진다.
스텝 S236에 있어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37 내지 스텝 S241의 처리는 스킵되어, 외음 도입 처리는 종료된다.
스텝 S236의 처리가 행하여지는 시점에서는, 콘텐츠 음성을 재생하면서의 외음 도입 기능이 실행되고 있거나, 또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실행하면서 콘텐츠 음성의 재생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특히 유저에 의해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되지 않은 경우, 즉 외음만을 재생하는 외음 도입 기능의 실행이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지금까지 행하여지고 있던 처리가 계속하여 행해지게 된다.
이에 비해, 스텝 S236에 있어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37 내지 스텝 S241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외음 도입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이들 스텝 S237 내지 스텝 S241의 처리는, 도 13의 스텝 S104 내지 스텝 S108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손으로 터치 센서(95) 전체를 덮는다는 유저의 동작에 따라,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외음만을 재생하는 외음 도입 기능이 실행된다.
특히, 지금까지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행하면서 외음 재생을 하고 있었던 경우에도, 예를 들어 유저가 외음을 충분히 알아들을 수 없다는 점에서 터치 센서(95)에 대한 동작을 행했을 때에는, 순시에 콘텐츠 음성의 재생 없는 외음 도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헤드폰(81)은, 유저에 의한 터치 센서(95)를 덮는 동작이나,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에 대한 조작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콘텐츠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켜서, 또는 콘텐츠 음성을 재생시킨 채, 외음을 재생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외음을 알아들을 수 있다. 특히, 외음 도입용 스위치(261)를 조작하는 경우와, 터치 센서(95)에 대한 동작을 행하는 경우로 2종류의 외음 도입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유저는 그때의 상황에 따라서 이들 기능을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고, 헤드폰(8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상술한 헤드폰(11)이나 헤드폰(81)을 제어하는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나,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어 범용의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상술한 헤드폰(11)이나 헤드폰(81)의 도시하지 않은 기록부 등에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처리가 행하여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또는 호출이 행하여졌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하여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와,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센서부에 대한 특정한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특정한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재생 제어부
를 구비하는 헤드폰.
(2)
상기 센서부는 터치 센서인
(1)에 기재된 헤드폰.
(3)
상기 센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헤드폰.
(4)
상기 특정한 동작은, 상기 센서부를 덮는 동작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드폰.
(5)
상기 검출부는, 상기 센서부에 대한 상기 특정한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특정한 동작과는 다른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키는 기능과는 상이한 다른 기능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드폰.
(6)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조작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음성을 재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키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드폰.
(7)
상기 조작부는 스위치인
(6)에 기재된 헤드폰.
(8)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동작이 검출되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상기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드폰.
(9)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상기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개시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드폰.
(10)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에 기초하여,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실현하는 노이즈 캔슬링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드폰.
(11)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동작이 검출된 경우, 재생 중인 상기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킴과 함께, 상기 외부음에 기초하여 상기 노이즈 캔슬링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음성과,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의 혼합 음성을 재생시키는
(10)에 기재된 헤드폰.
(12)
상기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음성은, 상기 외부음의 저역 성분을 캔슬하는 음성인
(11)에 기재된 헤드폰.
(13)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를 구비하는 헤드폰의 재생 제어 방법이며,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센서부에 대한 특정한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특정한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재생 제어 방법.
(14)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를 구비하는 헤드폰을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센서부에 대한 특정한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특정한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1: 헤드폰
21-R, 21-L, 21: 하우징부
22: 터치 센서
23: 모니터용 스위치
81: 헤드폰
94: 스피커
95: 터치 센서
96: 컨트롤러
97: 마이크로폰
131: 검출부
201: NC 블록
231: 믹서
261: 외음 도입용 스위치

Claims (8)

  1.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
    유저의 귀에 장착되는 하우징부에 있어서 상기 유저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된 하우징면에 설치되는 센서;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상기 센서를 덮는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수음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음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하는 노이즈 캔슬링 처리부; 및
    상기 센서를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재생 중인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켜, 상기 외부음 신호와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부
    를 구비하는 음향 처리 장치로서,
    상기 센서는 복수의 엘리먼트 열을 갖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각각의 엘리먼트 열에서 수신된 신호가 제1 역치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각각의 엘리먼트 열이 활성화되었다고 판정하고, 상기 활성화된 엘리먼트 열의 수가 제2 역치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상기 센서를 덮는 동작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하는,
    음향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센서에 대한 상기 덮는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덮는 동작과는 다른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외부음을 재생시키는 기능과는 상이한 다른 기능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음향 처리 장치.
  4. 삭제
  5.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와,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터치 센서를 덮는 동작으로서, 유저의 귀에 장착되는 하우징부에 있어서 상기 유저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된 하우징면을 덮는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수음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음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하는 노이즈 캔슬링 처리부와,
    상기 터치 센서를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재생 중인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켜, 상기 외부음 신호와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부
    를 구비하는 음향 처리 장치로서,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덮는 동작이 검출되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상기 외부음에 기초하여 상기 노이즈 캔슬링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음성과,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상기 외부음의 혼합 음성을 재생시킴과 함께, 재생 중인 상기 음성의 음량을 낮추는, 음향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음성은, 상기 외부음의 저역 성분을 캔슬하는 음성인, 음향 처리 장치.
  7. 외부음을 수음하는 단계;
    검출부에 의해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센서를 덮는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외부음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를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재생 중인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켜 상기 외부음 신호와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는 복수의 엘리먼트 열을 갖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각각의 엘리먼트 열에서 수신된 신호가 제1 역치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각각의 엘리먼트 열이 활성화되었다고 판정하고, 상기 활성화된 엘리먼트 열의 수가 제2 역치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상기 센서를 덮는 동작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하는,
    재생 제어 방법.
  8. 외부음을 수음하는 수음부와, 유저의 귀에 장착되는 하우징부에 있어서 상기 유저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된 하우징면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상기 센서를 덮는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수음부로부터 공급된 외부음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하는 노이즈 캔슬링 처리부를 구비하는 음향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센서를 덮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재생 중인 음성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켜 상기 외부음 신호와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센서는 복수의 엘리먼트 열을 갖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각각의 엘리먼트 열에서 수신된 신호가 제1 역치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각각의 엘리먼트 열이 활성화되었다고 판정하고, 상기 활성화된 엘리먼트 열의 수가 제2 역치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외부음의 도입을 위한 상기 센서를 덮는 동작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7027843A 2016-04-11 2017-03-28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93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9074 2016-04-11
JPJP-P-2016-079074 2016-04-11
JPJP-P-2016-084388 2016-04-20
JP2016084388 2016-04-20
KR1020187015510A KR102298487B1 (ko) 2016-04-11 2017-03-28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PCT/JP2017/012502 WO2017179409A1 (ja) 2016-04-11 2017-03-28 ヘッドホン、再生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510A Division KR102298487B1 (ko) 2016-04-11 2017-03-28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889A KR20210111889A (ko) 2021-09-13
KR102493023B1 true KR102493023B1 (ko) 2023-01-30

Family

ID=600415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843A KR102493023B1 (ko) 2016-04-11 2017-03-28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87015510A KR102298487B1 (ko) 2016-04-11 2017-03-28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510A KR102298487B1 (ko) 2016-04-11 2017-03-28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587945B2 (ko)
EP (2) EP3445062B1 (ko)
JP (4) JP6465252B2 (ko)
KR (2) KR102493023B1 (ko)
CN (2) CN112243177B (ko)
BR (1) BR112018011524A2 (ko)
WO (1) WO2017179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9441A1 (en) * 2015-12-29 2021-03-31 Beijing Xiaoniao Tingting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adjusting ambient sound for earphone, and earphone
US10587945B2 (en) 2016-04-11 2020-03-10 Sony Corporation Headphone,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8769852A (zh) * 2018-05-30 2018-11-0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EP3910963A4 (en) * 2019-01-10 2022-02-23 Sony Group Corporation EARPHONES, ACOUSTIC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DE112020000591T5 (de) * 2019-01-30 2021-12-23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informationsverarbeitungsverfahren und aufzeichnungsmedium, in dem ein programm geschrieben ist
US11947869B2 (en) * 2019-04-01 2024-04-02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D941273S1 (en) * 2019-08-27 2022-01-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11956586B2 (en) * 2019-08-30 2024-04-09 Cirrus Logic Inc. Audio apparatus, sensor module and user device
EP4070565A1 (en) * 2020-02-03 2022-10-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headset with hearable functions
JP2021131423A (ja) * 2020-02-18 2021-09-09 ヤマハ株式会社 音声再生装置、音声再生方法および音声再生プログラム
CN111314560A (zh) * 2020-03-17 2020-06-1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声音响度的方法及通信终端
USD976229S1 (en) * 2021-01-04 2023-01-24 Wen Xie Headset
USD991908S1 (en) * 2021-08-07 2023-07-11 Tieyong Liu Gaming headset
USD1001771S1 (en) * 2021-08-26 2023-10-17 Razer (Asia-Pacific) Pte. Ltd. Headphone
CN114143653B (zh) * 2021-11-30 2024-05-28 深圳市科奈信科技有限公司 耳机收音模式的切换方法及耳机
USD1021855S1 (en) * 2021-12-09 2024-04-09 Tao Peng Headphone
USD1016037S1 (en) * 2021-12-20 2024-02-27 Tao Peng Headphone
USD1005270S1 (en) * 2022-02-13 2023-11-21 Yi Zhao (Shenzhen) Co., Limited Headset and charging base set
USD1026854S1 (en) * 2022-06-08 2024-05-14 Yi Zhao (Shenzhen) Co., Limited Audio heads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1826A (ja) * 2007-07-12 2009-01-29 Sony Corp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システム
US20140126733A1 (en) * 2012-11-02 2014-05-08 Daniel M. Gauger, Jr. User Interface for ANR Headphones with Active Hear-Through
KR102298487B1 (ko) * 2016-04-11 2021-09-07 소니그룹주식회사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238U (ja) * 2001-04-20 2001-10-26 有限会社イーエクス・プロ ヘッドホン制御装置
JP4295006B2 (ja) 2003-05-16 2009-07-1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ドア開閉システム
JP2006025402A (ja) * 2004-06-08 2006-01-26 Brother Ind Ltd 音声通信装置
US8189803B2 (en) * 2004-06-15 2012-05-29 Bose Corporation Noise reduction headset
WO2007141769A2 (en) * 2006-06-09 2007-12-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function headset and function selection of same
US20110009693A1 (en) * 2006-10-16 2011-01-13 Daniel Westerband Borrero Method and device for inducing erotic stimulation while asleep
US20080250450A1 (en) * 2007-04-06 2008-10-09 Adis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ed advertising
US8130980B2 (en) * 2007-06-21 2012-03-06 Creative Technology Ltd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volume control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volume control
US7982723B2 (en) * 2008-09-18 2011-07-19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Multiple touch location in a three dimensional touch screen sensor
JP5299030B2 (ja) * 2009-03-31 2013-09-25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CN102422652B (zh) * 2009-04-28 2014-07-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助听装置和助听方法
JP5499633B2 (ja) 2009-10-28 2014-05-21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ヘッドホン及び再生方法
JP2012155651A (ja) * 2011-01-28 2012-08-16 Sony Corp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042571B2 (en) * 2011-07-19 2015-05-2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ouch gesture detection in response to microphone output
KR200468763Y1 (ko) * 2012-02-07 2013-09-02 성국신 음향기기 제어 패드가 내장된 이어폰
WO2014019533A1 (en) * 2012-08-02 2014-02-06 Ronald Pong Headphones with interactive display
CN103106035B (zh) * 2013-02-05 2016-05-1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应用控制方法
US9036855B2 (en) * 2013-08-29 2015-05-19 Bose Corporation Rotary user interface for headphones
US9414964B2 (en) * 2014-01-03 2016-08-1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Earplug for selectively providing sound to a user
US10425717B2 (en) * 2014-02-06 2019-09-24 Sr Homedics, Llc Awareness intelligence headphone
JP2015173369A (ja) * 2014-03-12 2015-10-01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138033A (ko) * 2014-03-31 2016-12-02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제스처 제어 이어폰
US20150294662A1 (en) 2014-04-11 2015-10-15 Ahmed Ibrahim Selective Noise-Cancelling Earphone
CN204131679U (zh) * 2014-06-17 2015-01-28 惠州市汇华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
JP2017199046A (ja) * 2014-09-12 2017-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数のタッチスイッチを備える入力装置
JP6344480B2 (ja) 2014-10-31 2018-06-20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KR102193699B1 (ko) * 2014-12-31 202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는 헤드셋
CN204887366U (zh) * 2015-07-19 2015-12-16 段太发 可监听环境音的蓝牙耳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1826A (ja) * 2007-07-12 2009-01-29 Sony Corp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システム
US20140126733A1 (en) * 2012-11-02 2014-05-08 Daniel M. Gauger, Jr. User Interface for ANR Headphones with Active Hear-Through
KR102298487B1 (ko) * 2016-04-11 2021-09-07 소니그룹주식회사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62010A3 (en) 2024-06-19
JP6465252B2 (ja) 2019-02-06
BR112018011524A2 (pt) 2018-11-21
CN108370466A (zh) 2018-08-03
EP3445062A4 (en) 2019-04-24
US20200154194A1 (en) 2020-05-14
CN108370466B (zh) 2020-11-10
JP2020108166A (ja) 2020-07-09
JPWO2017179409A1 (ja) 2018-11-29
US10805712B2 (en) 2020-10-13
JP6822586B2 (ja) 2021-01-27
KR102298487B1 (ko) 2021-09-07
US11290803B2 (en) 2022-03-29
KR20210111889A (ko) 2021-09-13
JP2021057923A (ja) 2021-04-08
EP3445062B1 (en) 2024-02-07
JP2019057950A (ja) 2019-04-11
CN112243177A (zh) 2021-01-19
WO2017179409A1 (ja) 2017-10-19
US20200413180A1 (en) 2020-12-31
EP4362010A2 (en) 2024-05-01
JP6677915B2 (ja) 2020-04-08
US20180359553A1 (en) 2018-12-13
KR20180128890A (ko) 2018-12-04
US10587945B2 (en) 2020-03-10
CN112243177B (zh) 2023-02-28
EP3445062A1 (en)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023B1 (ko) 헤드폰, 재생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N108028974B (zh) 多源音频放大和耳部保护装置
US8949744B2 (en) Control system, earphone and control method
US10425717B2 (en) Awareness intelligence headphone
EP2258116B1 (en) Automated audio source control based on audio output device placement detection
CN107509153B (zh) 声音播放器件的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2513461B1 (ko) 헤드폰 시스템
US9628893B2 (en) Method of auto-pausing audio/video content while using headphones
EP3001422A1 (en) Media player automated control based on detected physiological parameters of a user
US2014007923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with a bone conduction transducer
US9654859B2 (en) Mobile terminal earphone line control circuit and line control method
US202101217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220353611A1 (en) Control by sliding virtual buttons
KR20150145671A (ko) 마이크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 장치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