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950B1 -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950B1
KR102098950B1 KR1020190169172A KR20190169172A KR102098950B1 KR 102098950 B1 KR102098950 B1 KR 102098950B1 KR 1020190169172 A KR1020190169172 A KR 1020190169172A KR 20190169172 A KR20190169172 A KR 20190169172A KR 102098950 B1 KR102098950 B1 KR 102098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m
extract
caries
bacteri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0153A (ko
Inventor
최선은
박광현
유민정
이용조
진혜영
문명재
Original Assignee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9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여,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COMPOSITION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FOR STREPTOCOCCUS MUTANS}
본 발명은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느릅나무(Ulmus)속 식물의 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주로 항염증 및 항암 작용에 대한 보고가 있다. 즉, 비특허문헌 1에서는 느릅나무 수피 엑스의 항염증 작용을 보고하였고, 비특허문헌 2에서는 메탄올 엑스의 진통, 소염, 항균작용 등을 보고하였으며, 비특허문헌 3에서는 위암 및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작용 등의 주로 항염증 및 항암작용을 보고하였다.
또한, 비특허문헌 4에서는 U. davidiana의 수피의 메탄올 엑스가 흰쥐의 위염, 위궤양 및 발부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잠재적인 예방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고, 비특허문헌 5에서는 U. parvifolia 근피 수침엑스가 배농, 동통, 염증 및 과민반응에 대한 유의성있는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비특허문헌 6에서는 U. davidiana의 수피의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이 농도의존적으로 NO의 합성을 억제하였음을 보고하였다.
비특허문헌 7에서는 U. davidiana에서 엑스의 활성 산소종, 금속이온 첨가에 따른 지방 산화 억제능이 우수하며, SOD 유사활성은 수피의 물 추출물에서 우수한 활성능을 보였고, 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또한 우수한 소거능을 보임을 보고하였다.
비특허문헌 8에서는 U. davidiana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높은 tyrosinase 활성을 보이며 B16/F10 melanoma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멜라닌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비특허문헌 9에서는 U. davidiana에서 분리한 (-)-epicatechin이 항염증 효과와 Staphylococcus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 antimicrobial 활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비특허문헌 10에서는 U. davidiana 근피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높은 항균성을 나타냄을 보고하였으며, 비특허문헌 11에서는 catechin glycoside가 phospholipase A2 저해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고하였고, 비특허문헌 12에서는 mansonone F가 잠재적인 anti-MRSA 활성을 보여줌을 보고하였다.
한편, 자생식물로부터 유용성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자원의 선발과 추출기술의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천연 정유물의 추출방법으로는 원료와 정유성분의 존재 상태 및 성질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정유물질의 추출방법은 압착법으로 실시하거나 수증기 증류법, 흡착 흡수법, 휘발성 용매를 이용한 추출법, 에탄올 침출법(percolation)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상의 방법들은 추출효율, 추출시간, 추출물의 순도 등 기술적 측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추출·분석 방법의 개발이 연구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3)
최근 천연물로부터 향기성분을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기술로 초임계유체추출공정이 소개되어 천연 정유물의 추출에 대하여 적용하고 있다.
초임계유체 공정은 고가의 장비를 요하는 공정이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추출용매의 안정성과 환경공해에 대한 우려가 없기 때문에 고부가 품목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4 및 15)
초임계유체란 어떤 물질의 임계점(critical point) 이상의 온도와 압력조건에서 존재하는 유체로서 액체와 기체의 중간 특성을 보이며, 추출공정에 매우 적합한 열역학적 특성(높은 용해도, 선택성, 압축성, 감압에 따른 자발적 분리성)과 이동 특성(낮은 표면장력과 점도, 높은 확산계수)을 갖고 있어서 추출대상물질의 복잡한 구조 속으로 빠르게 침투하여 원하는 성분을 효율적으로 임계압력(73.8 bar)과 상온근처의 임계온도(31℃)를 지니고 있어 온화한 조건에서 추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독성, 가연성, 추출대산물질과의 반응성 및 부식성이 없고, 고 순도의 이산화탄소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초임계유체공정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다.(비특허문헌 16)
초임계 추출(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공법은 기체가 임계점 또는 그 이상의 온도와 압력 하에 유체가 되는 특성을 활용하여 용질을 추출하는 기술로 비교적 낮은 온도(40∼70℃)에서 수행되므로 천연 물과 같이 열에 불안정한 제품의 분리 정제에 용이하다. 특히 산화되기 쉬운 물질의 경우에 초임계 유체로써 CO₂가 사용되므로 더욱 안정한 형태로 부가 반응을 최소화시키면서 분리 추출되는 장점이 있다.(비특허문헌 17)
Lee, E. B., Kim, O. K., Jung, C. S. and Jung, K. H. (1995) The influence methan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ortex on gastric erosion and Ulcer and Paw Edema in rats. Kor. J. Pharmcol. 39: 671-675 Hong, N. D., Rho, Y. S., Kim, N. J. and Kim, J. S. (1990) A study on efficacy of Ulmi cortex. Kor J. Pharmacogn. 21: 217-222 Yang, Y., Hyun, J. W., Lim, K. H., Kim, H. J., Woo, E. R. and Park, J. (1996) Antineoplastic effect of extracts from traditional medicine plants and various plants (Ⅲ). Kor. J. Pharmacogn. 27: 105-110 Lee, E. B., Jung, K. W., Jung, C. S. and Kim, O. K. (1995) The Influence of Methan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ortex on Gastric Erosion and Ulcer and Paw Edema in Rats, Yakhak Hoeji. 39: 671-675 Cho, S. K., Lee, S. G. and Kim, C. J. (1996)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of Water Extract of Root Bark of Ulmus parvifolia. Kor. J. Pharmacogn. 27: 274-281 Jun, C. D., Pae, H. O, Kim, Y. C., Jeong, S. J., Yoo, J. C., Lee, E. J., Choi, B. M., Chae, S. W., Park, R. K. and Chung, H. T. (1998)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by butanol fraction of the methan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in murine macrophag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62: 129-135 Lee, Y. J. and Han J. P.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ic Scavenging Abilities of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J. Korea Soc. Food Sci. Nutr. 29: 893-899 Chun, H. J., Jeong, S. I. and Kim, I. K. (2001) Effects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on Melanogenesis. Yakhak Hoeji. 45: 724-729 Lee, G. H., Shim, C. J., Chang, Y. I., Seong, H., Oh, H. R. and Oh, M. J. (2001) Antimicrobial activitives of (-)epicatechin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ortex.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6: 230-234. Kim, C. S., Lee, J. M., Choi, C. O., Park, S. B. and Eom, T. J. (2002) Chemical Analysis and Isola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 from Ulmus species(Ⅰ) : Chemical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ives. Mokche Konghak. 30: 66-73 Park, S. H., Goo, Y. M and Na, D. S (1996)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a catechin glycoside with phspholipase A2 inhibiting activity from Ulmi cortex. Bulletin of the Korea Chemical Society. 17: 101-103 Shin, D. Y., Kim, H. S., Kyung, H., Hyun, S. S., Kim, S. A., Huh, H., Choi, E. C., Choi, Y. H., Kim, J. W., Choi, S. H, Kim, W. B. and Suh, Y. G. (2000)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48: 1805-1806 윤광섭, 홍주헌, 권중호, 최용희(2006).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향유 추출공정의 최적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3). 363-368. Rizvi, S.S.H. A.L., Zollweg, J.A. and Daniels, J.A.(1986).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Fundamental principles and modeling methods. Food Technol. 40: 55-56. M.V. Palmer, S.S.T. Ting (1995). Applications for supercritical fluid technology in food processing. Food Chemistry. Volume 52, Issue 4, 1995, Pages 345-352. Sung Jin Park, Mi Hee Yu, Ji Eun Kim, Sam Pin Lee, In Seon Lee(2012).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and Marc Extracts from Cinnamomum verum. Journal of life science, 22(3): 373-379 Hwang, Ah-Reum; Jung, In-Il; Lim, Gio-Bin; Ryu, Jong-Hoon(2009). Extraction of Oil from Canola Seeds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SBB Journal, 2009, 24: 367-376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ogy 43: 148155. 김옥미, 하대중, 정용진(2017). 충치 유발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식초의 항균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0(4): 565-568. 윤혜정, 하명옥, 이경희, 박영남, 조민정(2007). 수종의 생약 헥산분획 추출물에 의한 Streptpcoccus sobrinus 억제 효과. 한국치위생과학회. 7(3): 197-200.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식품 또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들에서 느릅나무 종으로부터 초임계 추출을 활용하여 생리활성 연구를 수행한 바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여,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의약품, 화장품, 가축의 기능성 사료 등 바이오 산업 전반에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는,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느릅나무는 가지, 잎, 열매, 수피, 뿌리 등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느릅나무 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느릅나무 추출물은 그 추출 방법에 있어 단순한 추출방법에서부터 지용성 성분까지 추출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추출이 용이하도록 분쇄하여 추출 용매에 의해 추출하고 이를 여과 및 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추출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n-헥산, n-헵탄 또는 DMSO 등이 있고 이들 중 2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 용매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하고자 하는 원료의 양, 추출 방법 등에 따라 당업자가 공지의 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추출 시간 및 온도도 추출 효율, 추출 용매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공지의 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또한,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을 감압 여과 등의 공지의 여과 방법에 의해 여과한 후 증류 등에 의해 농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 여과 및 농축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있으며, 따라서 당업자는 이를 적절히 선택하여 느릅나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은 충치 및 치아우식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항균”이란 세균에 저항하는 효능,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나 생리활성물질 또는 알려진 화학물질에 의한 세균 및 진균의 생육저해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상 충치균의 분열증식 억제 및 성장저해작용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증상을 차단하거나, 그 증상의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무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는,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선"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는,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식물추출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5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는,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료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사료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혼합량에 큰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사료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조 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산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각종 보조제 및 분쇄 또는 파쇄된 밀, 보리, 옥수수 등의 식물성 단백질사료, 혈분, 육분, 생선분 등의 동물성 단백질 사료,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과 같은 주성분 이외에도 영양 보충제, 성장 촉진제, 소화 흡수 촉진제, 질병 예방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사료의 투여 형태, 방법 및 제형은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포유류, 가금류, 어류 및 갑각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식이 즉, 사료에 적용할 수 있다. 상업용 가축으로 중요한 소, 돼지, 말, 사슴, 염소 등의 가축을 포함하는 포유류, 코끼리, 낙타, 기린, 원숭이 등의 동물원 동물, 개,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닭, 오리, 거위, 비둘기 등의 가금류 및 붕어, 잉어, 송어, 숭어, 새우와 같은 상업적으로 사육되는 어류 및 갑각류에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은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여,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항균제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Streptococcus mutans 균에 처리한 후, Streptococcus mutans 균의 생육저해환인 clear zone을 관찰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Streptococcus sobrinus 균에 처리한 후, Streptococcus sobrinus 균의 생육저해환인 clear zone을 관찰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에 대한 HPLC 분석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방법
본 발명에서, 느릅나무 추출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장치(Ilsin Autoclave Co. Ltd., Korea)를 사용하였다.
느릅나무 가지 450g을 24시간 동안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기의 분쇄망을 200 mesh로 하여 분쇄하고, 추출조의 온도를 40~60℃ 로 조절하여 온도를 유지시켰다.
온도가 안정화되면 느릅나무 시료를 추출조에 넣고 CO2 가스를 등압으로 유지시킨 후,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line을 통해 실험압력 조건인 120~180, 250~300, 350~450bar에 도달할 때까지 BPR을 조절하여 주입하였다.
설정된 각 압력에 도달하면, 추출조 하부로 Ethyl-alcohol (HPLC grade)을 분당 3ml씩 60분 동안 총 180ml를 투입하여 추출을 진행하였다.
시료에 남아있는 잔존 Ethyl-alcohol을 제거하기 위해 설정된 압력과 온도로 30분 동안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CO2를 흘려보내며 추출을 완료 하였다.
시험 균주 및 배양
Strains Culture Collection Gram Strain Media Temp
Streptococcus mutans KCCM 40105 Gram (+) BHI 37 ℃
Streptococcus sobrinus KCCM 11898 Gram (+) BHI 37 ℃
실험에 사용한 각 미생물 균주의 균종과 번호는 표 1과 같다.순수 분리된 각 균주의 단일집락을 취해 10mL의 균 생육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각 균주의 생육적온에서 18∼24시간씩 3회 배양 후, 항균활성 시험 균주로 사용하였다.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균력 분석 방법
비특허문헌 18에 개시된 원형 여과지법(paper disc method)을 이용하여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균력을 분석하였다.
항균성 시험용 평판배지의 조제는 시험 균주의 15%의 한천이 첨가된 생육배지를 멸균하여 페트리 접시(petri dish)에 15mL씩 분주하여 기층용 배지를 응고 시켜, 시험 균주의 농도를 650㎚에서 optical density (O.D)값이 0.4 (106 CFU/mL)가 되게하였다.
그 후, 0.7% 한천이 첨가된 중층용 배지에 무균적으로 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기충용 배지 위에 분주하고 고르게 응고시킴으로써, 이중의 균 접종 중층배지를 만들었다.
충분히 굳은 배지 위에 멸균된 8㎜ paper disc를 올려놓은 후 10∼0.5㎎/mL의 추출물을 흡수시킨 다음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disc 주위의 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Streptococcus mutans 균에 대한 항균 효과
충치유발균으로는 Streptococcus mutans가 주원인균으로 작용하며 구강 내 치아표면에 부착하여 당의 발효에 의해 산을 발생시켜 치아표면을 파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S. Mutans는 균체표층에 glucosyltransferase(GTase)를 분비하며 음식물 중 sucrose로부터 불용서 glucan을 형성하고, 이러한 glucan은 구강내 미생물들과 치면에 치면세균막(dental plague)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충치유발균인 S. mutans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면 충치 예방 및 그 발생 빈도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비특허문헌 19)
Concentration clear zone(mm)
500㎍/㎖ -
1mg/㎖ -
5mg/㎖ 12
10mg/㎖ 14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균의 생육저해환인 clear zone을 측정한 결과가 표 2 및 도 1과 같이 나타났다. 5mg/㎖ 이상 10mg/㎖ 이하의 농도에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균력이 확인되었다.
Streptococcus sobrinus 균에 대한 항균 효과
치아우식은 치태내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작용에 의하여유발되는 다인성 질환으로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전염성 국소 감염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미생물학적 측면에서는 Streptococcus sobrinus (S. sobrinus)와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등과 같은 mutans streptococci가 동물실험과 인체실험 결과 치아우식증의 제1 원인 요소로서 생각되어 왔다. 이러한 미생물로 인한 치아우식증의 발생 가능성을 근거로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비특허문헌 20)
Concentration clear zone(mm)
500㎍/㎖ 11
1mg/㎖ 11
5mg/㎖ 12
10mg/㎖ 14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Streptococcus sobrinus (S. sobrinus)에 대한 항균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균의 생육저해환인 clear zone을 측정한 결과가 표 3 및 도 2와 같이 나타났다. 500㎍/㎖ 이상 10mg/㎖ 이하의 농도에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균력이 확인되었다. 모든 농도에서 각각 11, 11, 12, 14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sys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HPLC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도 3과 같다.
HPLC 분석 결과,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물에서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계열인 Maslinic acid, Oleanolic acid 및 β-sitosterol이 검출되었다.
또한, 트리테르페노이드 계열의 표준폼인 Maslinic acid, Oleanolic acid 및 β-sitosterol과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재현성 있는 RT값과 특정 파장 영역에서 재현성이 확보되었다.
따라서,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물에 포함된 트리테르페노이드 계열 성분에 의하여,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물이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충치균은, Streptococcus mutans균 및 Streptococcus sobrinus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은, 상기 Streptococcus mutans균 및 Streptococcus sobrinus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인한 충치 또는 치아우식증이며,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공법을 이용하여 느릅나무 가지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120bar 이상 180bar 이하, 250bar 이상 300bar 이하, 또는 350bar 이상 450bar 이하 중 선택된 압력 조건에서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5mg/㎖ 이상 10mg/㎖ 이하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충치균은, Streptococcus mutans균 및 Streptococcus sobrinus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은, 상기 Streptococcus mutans균 및 Streptococcus sobrinus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인한 충치 또는 치아우식증이며,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공법을 이용하여 느릅나무 가지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충치균은, Streptococcus mutans균 및 Streptococcus sobrinus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은, 상기 Streptococcus mutans균 및 Streptococcus sobrinus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인한 충치 또는 치아우식증이며,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공법을 이용하여 느릅나무 가지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6. 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충치균은, Streptococcus mutans균 및 Streptococcus sobrinus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충치균에 기인한 질환은, 상기 Streptococcus mutans균 및 Streptococcus sobrinus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인한 충치 또는 치아우식증이며,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공법을 이용하여 느릅나무 가지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KR1020190169172A 2019-12-17 2019-12-17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09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172A KR102098950B1 (ko) 2019-12-17 2019-12-17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172A KR102098950B1 (ko) 2019-12-17 2019-12-17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732A Division KR20190053638A (ko) 2017-11-10 2017-11-10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153A KR20200010153A (ko) 2020-01-30
KR102098950B1 true KR102098950B1 (ko) 2020-04-08

Family

ID=6932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172A KR102098950B1 (ko) 2019-12-17 2019-12-17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9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924B1 (ko) * 1996-12-05 2002-10-04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치주질환용조성물
KR100519477B1 (ko) * 1998-08-01 2005-12-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트리크로산,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계 유도체 및 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101635861B1 (ko) * 2014-10-07 2016-07-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오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60050108A (ko) * 2014-10-27 2016-05-11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153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920B1 (ko) 바위손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1502953A (ja) ツボクサ不定根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及びシワ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102033043B1 (ko) 비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299277B1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70789B1 (ko) 곰보배추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8966B1 (ko) 피부상재균 및 무좀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098950B1 (ko)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2018020970A (ja) プロトンポンプ機能促進剤
CN113613666A (zh) 包含肉豆蔻提取物或肉豆蔻木酚素作为有效成分的用于缓解由环境污染因素引起的皮肤刺激及保护皮肤的组合物
KR102335297B1 (ko)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431819B1 (ko) 당유자 및 황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117247A (ko)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53638A (ko)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4688A (ko)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Passiflora incarnate)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262362B1 (ko) 참외 줄기 또는 오이 줄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77787B1 (ko) 폴리필린 ⅶ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74305B1 (ko) 파시플로라 라우리폴리아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11733B1 (ko) 찰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534818B1 (ko)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