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904B1 - 자세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904B1
KR102098904B1 KR1020170143833A KR20170143833A KR102098904B1 KR 102098904 B1 KR102098904 B1 KR 102098904B1 KR 1020170143833 A KR1020170143833 A KR 1020170143833A KR 20170143833 A KR20170143833 A KR 20170143833A KR 102098904 B1 KR102098904 B1 KR 10209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support
chair
bas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682A (ko
Inventor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최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진 filed Critical 최우진
Priority to KR102017014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904B1/ko
Priority to PCT/KR2018/013025 priority patent/WO2019088663A1/ko
Publication of KR2019004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7/347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with means for connecting springs to each other or to seat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시트부의 좌, 우 높이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 및 자세에 따라서 자세교정을 할 수 있고, 척추측만증을 예방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의자 {SITTING POSTURE CORRECTION CHAIR}
본 발명은 의자의 시트부의 좌, 우 높이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 및 자세에 따라서 자세교정을 할 수 있고, 척추측만증을 예방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추의 끝에 꼬리뼈가 붙어 있는데 꼬리뼈는 과도한 노동이나 오랜 시간 동안 앉아 있을 경우에 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또한, 올바르지 못한 자세 예를 들면, 골반이 삐뚤어진 자세로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으면 골반 주변 근육 및 인대의 텐션에 좌, 우 차이를 보이게 하여 통증 및 근육 긴장을 유발하여 요통, 골반통을 일으키며 허벅지 근육의 강직 및 등과 목까지 아프게 할 수 있다.
근래에는 의자에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기 위해 여러 인체공학적 의자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등받이를 좌우로 분리하한 형태의 듀오백 의자나, 등받이를 상하로 분리하여 요추부와 등부위를 분리한 형태의 에르고 휴먼 의자 등이 있다.
이러한 의자들은 각각의 신체 특징이 서로 다른 사용자를 배려하지 않은 것으로서, 표준의 신체적 특징을 갖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여전히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사람들의 등 모습이 모두 다르고 특히, 사용자의 흉추부 kyphosis 및 요추부의 lordosis의 각도 차이 및 척추측만증 혹은 골반회전등과 같은 퇴행성 변화가 있을 때는 양쪽 등의 높이 혹은 허리의 전만 정도가 좌우 차이가 있는데, 종래의 인체공학 의자들은 이러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다.
따라서, 등이 굽어 있거나, 허리의 요추 전만이 있거나 혹은 척추측만증 환자들의 경우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등을 뒤로 기댈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16678호, "기능성 의자"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97074호, "기능성 의자"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6511호 "골반 교정용 의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의자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흉추 및 요추부위의 후만 및 전만의 각도에 대한 물리적 보상을 하고, 척추를 중심으로 좌우 높이 차이에 따른 등받이의 각도 변화를 통해서 등받이가 몸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허리에 요추 전만이 있거나 척추측만증 환자들도 장시간 편안하게 의자에 앉을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의자 시트를 좌우로 부리하고, 분리된 좌우 의자 시트가 각각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척추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용 의자는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100)와 체결된 지지프레임(10)에 등받이; 상기 시트부(100)의 시트패널(101)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승하강하는 제1 승강모듈(110A); 및 제2 승강모듈(110B); 및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을 따라 상하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요추지지부(200A)와 흉추지지부(20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2 승강모듈(110A,110B)는, 베이스(111); 상기 베이스(111)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112); 2개의 링크-바 중심이 힌지 체결되어 하부 일측의 하부고정축(116)이 상기 베이스(111)에 힌지 체결되고, 하부 타측의 하부이동축이 상기 베이스(111)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부 일측이 상판(112)에 힌지 체결되고, 상부 타측이 상기 상판(1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X'형태로 성형된 한 쌍의 링크(113); 및 상기 베이스(111) 또는 상판(112)에 체결되어 하부이동축(118) 또는 상부이동축(117)을 밀거나 당겨서 베이스(111)로부터 상판(112)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126); 상기 상판(112)의 하부 면에 설치된 상부레일(124); 및 상기 베이스(111)의 상부 면에 설치된 하부레일(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승강모듈(110A,110B)에는 상기 상부고정축(115)과 하부고정축(116) 사이 또는 상부이동축(117)과 하부이동축(118)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112)이 상승할 때 탄력을 부가하는 스프링(1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추지지부(200A) 및 흉추지지부(200B)는, 지지패널(201)에 체결되는 회전구(210); 지지프레임(10)에 체결된 고정구(220); 및 상기 고정구(220)에 힌지 체결되어 소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구(210);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구(210)는 판 형태의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에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부싱(21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220)는 판 형태의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상,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구(222) 사이에 회전구(210)의 부싱(213)이 삽입되고 힌지(223)로 체결되어, 상기 회전구(210)가 힌지(223)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회전구(210)의 몸체(211) 양측과 고정구(220)의 몸체(221)의 양측에는 탄성 수단(225)이 체결됨으로써, 회전구(210)가 고정구(220)의 힌지(223)를 중심으로 탄력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등받이가 사용자의 흉추 및 요추 부위의 후만 및 전만의 각도에 대한 물리적 보상을 하고, 척추를 중심으로 좌우 높이 차이에 따른 등받이의 각도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등받이가 몸에 밀착됨으로써, 허리에 요추 전만이 있거나 척추측만증 환자들도 장시간 편안하게 의자에 앉을 수 있다.
또한, 의자의 시트 좌우 부분에 각각 형성된 제1,2 모듈이 독자적으로 승강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용 의자에서 쿠션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시트패널에 설치된 제1,2 승강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승강모듈의 상판을 제거한 상태로 승강모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승강모듈의 상판을 제거한 상태로 승강모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승강모듈의 승강 구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용 의자의 등받이 구조를 도시한 후면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용 의자의 등받이 구조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
도 10은 지지패널 체결부를 도시한 후면 분해 사시도.
도 11은 지지패널 체결부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
도 12는 지지패널 체결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지지패널 체결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용 의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부(100)와, 등받이로서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지지하는 요추지지부(200A) 및 사용자의 흉추 부분을 지지하는 흉추지지부(200B)와,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300)로 구성된다.
상기 요추지지부(200A), 흉추지지부(200B) 및 헤드레스트(300)는 시트부(100)에서 상향 연장된 지지프레임(1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용 의자의 시트부(100), 요추지지부(200A) 및 흉추지지부(200B)의 쿠션을 제거하면 도 2와 같다.
도 2에서 시트부(100)의 시트패널(101)에는 사용자의 좌우 골반을 각각 다른 높이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승강모듈(110A)고 제2 승강모듈(110B)이 설치된다.
상기 제1,2 승강모듈(110A,110B)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시트패널(101)에 삽입되는 하우징(10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2 승강모듈(110A,110B)은 베이스(111), 상판(112) 및 베이스(111)와 상판(112) 사이에 설치된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구동수단에 작동에 의해 베이스(111)로부터 상판(112)이 승강하며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제1,2 승강모듈(110A,110B)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승강모듈을 도시한 도 4 및 도 5는 승강모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하여 상판(112)을 제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제1,2 승강모듈(110A,110B)은 각각 평평한 판 형태의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 상부에 평평한 판 형태로 상판(112)이 위치하며, 상기 상판(112)과 베이스(111) 사이 양측에 'X' 형태의 링크(113)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도 4와 같이, 'X' 형태의 링크(113)는 2개의 링크-바(미부호)의 가운데 부분이 힌지 체결되어 중심점(114)이 형성되고, 중심점(114) 일측의 링크-바 단부는 각각 상부 고정블럭(119)과 힌지 체결되어 상부 고정축(115)이 형성되며, 하부 고정블럭(120)과 힌지 체결되어 하부 고정축(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점(114) 타측의 링크-바 단부는 각각 상부 이동블럭(121)과 힌지 체결되어 상부 이동축(117)이 형성되고, 하부 이동블럭(122)과 힌지 체결되어 하부 이동축(118)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고정블럭(120)은 베이스(111)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부 고정블럭(119)은 상판(112)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 또는 하부 고정블럭(120)에는 액츄에이터(126)가 체결, 고정되고, 도 5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126)의 로드(127)는 하부 이동블럭(122)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26)는 유압 또는 공압을 매체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설치가 간단하고 다른 부대설비가 필요하지 않은 전기 액츄에이터(12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액츄에이터(126)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로드(127)가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로드(127)가 액츄에이터(126)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어장치(미도시)의 제어로 액츄에이터(126) 모터가 구동하여 로드(127)를 액츄에이터(126) 내부로 삽입되면, 로드(127)가 하부 이동블럭(122)을 당겨서 하부 이동블럭(122)이 하부 고정블럭(12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하부 고정블럭(120)은 베이스(111)에 체결, 고정된 상태이고, 하부 이동블럭(122)은 베이스(111)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이 로드(127)의 운동에 의해 하부 이동블럭(122)이 하부 고정블럭(12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도 4와 같이 하부 고정블럭(120)과 하부 이동블럭(122)은 각각 링크(113)의 하부 고정축(116)과 하부 이동축(118)으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링크(113)의 각 링크-바가 중심점(11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링크(113)의 상부 고정축(115)과 상부 이동축(117)이 상승한다.
상기 상부 고정축(115)은 상판(112)에 체결된 상부 고정블럭(119)에 체결되고, 하부 이동축(117)은 상판(112)을 받치는 상부 이동블럭(121)에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판(112)이 베이스(111)로부터 상승한다.
이때, 상부 이동블럭(121)은 상판(112)을 받치는 상태에서 하부 이동블럭(122)처럼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126)의 구동에 의해 로드(127)가 액츄에이터(126)로 삽입되면서 도 7과 같이 상판(112)이 베이스(111)로부터 상승한다.
그리고 제어장치(미도시)의 제어로 액츄에이터(126)로부터 로드(127)가 돌출되면, 로드(127)가 하부 이동블럭(122)을 밀어서 하부 이동블럭(122)이 하부 고정블럭(120)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4와 같이 하부 고정블럭(120)과 하부 이동블럭(122)은 각각 링크(113)의 하부 고정축(116)과 하부 이동축(118)으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링크(113)의 각 링크-바가 중심점(11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링크(113)의 상부 고정축(115)과 상부 이동축(117)이 하강한다.
상기 상부 고정축(115)은 상판(112)에 체결된 상부 고정블럭(119)에 체결되고, 하부 이동축(117)은 상판(112)을 받치는 상부 이동블럭(121)에 체결된 상태이므로 도 6과 같이 상판(112)이 베이스(111)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상부 이동블럭(121)은 상판(112)을 받치는 상태에서 하부 이동블럭(122)처럼 슬라이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하부 이동블럭(122)이 접하는 베이스(111) 부분에 하부레일(125)을 설치하고, 상부 이동블럭(121)이 접하는 상판(112) 부분에 상부레일(124)을 설치함으로써, 상, 하부 이동블럭(121,122)이 각각 상판(112)의 하부 면과 베이스(111)의 상부 면을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 하부 이동블럭(121,122)이 상, 하부 레일(124,125)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고, 직선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부 이동블럭(121)과 하부 이동블럭(122) 사이와, 상부 고정블럭(119)과 하부 고정블럭(120) 사이에 스프링(123)을 삽입함으로써, 액츄에이터(126)와 링크(113)가 파손되지 않도록 부하를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112)을 상승시킬 때 스프링(123)의 탄력이 상판(112)에 가해지면 액츄에이터(126)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므로 적은 용량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중을 받는 구조물인 링크(113)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2 승강모듈(110A,110B)은 액츄에이터(126)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상판(112)이 상승 또는 하강하며 사용자의 균일하지 못한 좌, 우측 엉덩이를 서로 다른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등받이로서 요추지지부(200A), 흉추지지부(200B)가 지지프레임(1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체결된다.
상기 요추지지부(200A)와 흉추지지부(200B)는 각각 지지프레임(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허리에 요추 전만이 있거나 척추측만증 환자가 의자에 앉아 기대었을 때 사용자의 신체 조건(틀어진 척추 각도)에 맞게 요추지지부(200A)와 흉추지지부(200B)가 회전하며 보정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요추지지부(200A)와 흉추지지부(200B)의 지지패널(201)들은 각각 지지패널 체결부(202)로 지지프레임(10)에 체결됨으로써, 지지프레임(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요추지지부(200A)와 흉추지지부(200B)의 지지패널(201)은 약 20~30° 각도의 곡률을 갖도록 성형함으로써, 지지패널(201)이 사용자의 등 부분을 감싸듯이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패널 체결부(202)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회전구(210)와 고정구(220)로 구성된다.
회전구(210)는 요추지지부(200A)와 흉추지지부(200B)의 지지패널(201)과 체결되는 판 형태의 몸체(21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11)의 가운데에 수직 방향으로 파이프 형태의 부싱(213)이 형성된다.
고정구(220)는 지지프레임(10)에 체결되는 판 형태의 몸체(2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21)의 상부 가운데 부분과 하부 가운데 부분에는 몸체(221)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구(22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222) 사이에 회전구(210)의 부싱(213)이 삽입되고, 지지구(222)에 힌지(223)가 삽입됨으로써, 회전구(210)가 고정구(220)에 체결된 상태에서 힌지(22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회전구(210)이 몸체(211) 양측 체결공(212)과, 고정구(220)의 몸체(221) 양측 체결공(224)에 스프링(225) 양단을 체결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회전구(210)의 몸체(211)가 고정구(220)의 몸체(221)와 평행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사용자의 등 모습은 모두 다르고 특히 흉추부 kyphosis 및 요추부의 lordosis의 각도 차이 및 척추측만증 혹은 골반회전증과 같은 퇴행성 변화가 있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좌하여 등을 기대면 요추지지부(200A) 및 흉추지지부(200B)가 지지프레임(10)에 대해 회전하며 사용자의 틀어진 등에 대응하여 지지한다.
등이 변형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기대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지지패널 체결부(202)를 구성하는 회전구(210)의 몸체(211)가 힌지(223)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사용자의 변형된 등 각도에 대응한다.
이때, 회전구(210)의 몸체(211) 양측과, 고정구(220)의 몸체(221) 양측에 체결된 스프링(225)이 회전구(210)를 탄력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대지 않을 때는 스프링(225)의 탄력으로 도 12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도 11과 같이 고정구(220)의 몸체(221)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구(222)에 스토퍼(226)를 형성함으로써, 회전구(210)의 몸체(211)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226)로 회전구(21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의자에 기대다가 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회전구(21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흉추지지부(200B)인 경우 도 13에서 회전구(210)의 몸체(211)가 힌지(22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θ)가 30°가 되도록 스토퍼(226)를 성형하고, 요추지지부(220A)인 경우 도 13에서 회전구(210)의 몸체(211)가 힌지(22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θ)가 20°가 되도록 스토퍼(226)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지지패널 체결부(202)는 지지프레임(10)에 고정볼트(12)로 체결되는데, 지지프레임(10)에 수직 방향으로 긴 슬라이드 홀(11)을 구성함으로써, 요추지지부(200A) 및 흉추지지부(200B)가 슬라이드 홀(11)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요추지지부(200A) 및 흉추지지부(200B)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구(210)의 몸체(211) 양측과 고정구(220)의 몸체(221) 양측에 스프링(225)을 체결함으로써, 힌지(223)가 토크힌지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스프링(225)을 설치하지 않고 공지의 토크힌지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구(220)와 회전구(210) 양측에 탄성 수단으로 피아노선을 설치하고, 길이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피아노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피아노선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지지프레임 11 : 슬라이드 홀
12 : 고정볼트 100 : 시트부
101 : 시트패널 102 : 하우징
110A : 제1 승강모듈 110B : 제2 승강모듈
111 : 베이스 112 : 상판
113 : 링크 114 : 중심점
115 : 상부 고정축 116 : 하부 고정축
117 : 상부 이동축 118 : 하부 이동축
119 : 상부 고정블럭 120 : 하부 고정블럭
121 : 상부 이동블럭 122 : 하부 이동블럭
123 : 스프링 124 : 상부 레일
125 : 하부 레일 126 : 액츄에이터
127 : 로드 128 : 로드체결구
200A : 요추지지부 200B : 융추지지부
201 : 지지패널 202 : 지지패널 체결부
210 : 회전부 211 : 몸체
212 : 체결공 213 : 부싱
220 : 고정구 221 : 몸체
222 : 지지구 223 : 힌지
224 : 체결공 225 : 스프링
226 : 스토퍼 300 : 헤드레스트

Claims (10)

  1. 시트부(100) 및 상기 시트부(100)와 체결된 지지프레임(10)에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100)의 시트패널(101)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승하강하는 제1 승강모듈(110A); 및 제2 승강모듈(110B);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을 따라 상하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요추지지부(200A); 및 흉추지지부(2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승강모듈(110A,110B)은,
    베이스(111);
    상기 베이스(111)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112);
    2개의 링크-바 중심이 힌지 체결되어 하부 일측의 하부고정축(116)이 상기 베이스(111)에 힌지 체결되고, 하부 타측의 하부이동축이 상기 베이스(111)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부 일측이 상판(112)에 힌지 체결되고, 상부 타측이 상기 상판(1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X'형태로 성형된 한 쌍의 링크(113); 및
    상기 베이스(111) 또는 상판(112)에 체결되어 하부이동축(118) 또는 상부이동축(117)을 밀거나 당겨서 베이스(111)로부터 상판(112)을 승하강시키는 액츄에이터(126);
    상기 상판(112)의 하부 면에 설치된 상부레일(124); 및
    상기 베이스(111)의 상부 면에 설치된 하부레일(125);을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126)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로드(127)를 직선 운동시키는 전기 액츄에이터이며,
    전기적인 힘과 기계적인 힘의 조합을 통해 상기 제1,2 승강모듈(110A,110B)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로드(127)는 하부 이동블럭(122)에 체결되며,
    상기 하부 이동블럭(122)은 상기 하부레일(125)에 체결되며,
    상기 상부레일(124)에는 상부 이동블럭(121)이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링크(113)의 일측은 상기 하부 이동블럭(122) 및 상부 이동블럭(121)에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링크(113)의 타측은 하부 고정블럭(120) 및 상부 고정블럭(119)에 체결되며,
    상기 하부 이동블럭(122)과 상기 상부 이동블럭(121) 사이, 상기 하부 고정블럭(120)과 상부 고정블럭(119) 사이에, 상기 액츄에이터(126)의 구동에 의해 상판(112)이 상승할 때 탄력을 부가하거나, 사용자 착좌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123)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에 대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요추지지부(200A) 및 흉추지지부(200B) 각각은, 지지패널(201)에 체결되는 회전구(21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체결된 고정구(22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210)는 판 형태의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에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부싱(21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220)는 판 형태의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상,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구(22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222) 사이에 회전구(210)의 부싱(213)이 삽입되고 힌지(223)로 체결되어, 상기 회전구(210)가 힌지(223)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좌우 회전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210)의 몸체(211) 양측과 고정구(220)의 몸체(221)의 양측에는 탄성 수단(225)이 체결됨으로써, 회전구(210)가 고정구(220)의 힌지(223)를 중심으로 탄력 회전하도록 구성된 자세 교정용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스프링 또는 피아노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223)는 토크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210)가 힌지(22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자세 교정용 의자.
KR1020170143833A 2017-10-31 2017-10-31 자세 교정용 의자 KR10209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833A KR102098904B1 (ko) 2017-10-31 2017-10-31 자세 교정용 의자
PCT/KR2018/013025 WO2019088663A1 (ko) 2017-10-31 2018-10-30 자세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833A KR102098904B1 (ko) 2017-10-31 2017-10-31 자세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682A KR20190048682A (ko) 2019-05-09
KR102098904B1 true KR102098904B1 (ko) 2020-04-09

Family

ID=6633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833A KR102098904B1 (ko) 2017-10-31 2017-10-31 자세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8904B1 (ko)
WO (1) WO2019088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745B1 (ko) * 2019-09-03 2020-02-1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등받이용 좌우 틸트 모듈
CN113455846A (zh) * 2021-07-14 2021-10-01 动能趋势(广东)运动康复有限公司 一种座椅底盘及康复座椅
CN113545900B (zh) * 2021-07-20 2022-06-17 王同心 一种医用脊柱矫正机的座椅机构
AT525619A1 (de) * 2021-10-29 2023-05-15 Priestersberger Sebastian Sitz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0970A (ja) * 2006-06-29 2009-11-26 ローデ ウント グラー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腰掛または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かかる背もたれを備えた腰掛または椅子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9580B2 (ja) * 1994-07-29 2004-08-04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リフター
KR200256511Y1 (ko) 2001-08-10 2001-12-24 유호상 골반 교정용 의자
KR101105780B1 (ko) * 2009-09-07 2012-01-17 김선환 요추받이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KR100997074B1 (ko) 2010-06-08 2010-11-29 황승재 기능성 의자
KR101527933B1 (ko) * 2014-01-29 2015-06-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자세 교정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0970A (ja) * 2006-06-29 2009-11-26 ローデ ウント グラー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腰掛または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かかる背もたれを備えた腰掛または椅子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663A1 (ko) 2019-05-09
KR20190048682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904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EP1720429B1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EP1401306B1 (en) Seats
JP4442876B2 (ja) 車両用シート
US9498067B2 (en) Seat device
EP0018423A1 (en) Portable folding orthopedic seat
JPH0274429A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424912Y1 (ko) 등판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좌판 및 허리받침부를포함하는 의자
CA2953773A1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US9215934B2 (en) Corrective chair using slider means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US11744375B2 (en) Seat configuration
KR102355428B1 (ko)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20160004334U (ko) 기능성 의자
KR101198554B1 (ko) 좌석 시트의 안착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JP2004290605A (ja) 車両用シートの背凭シート
KR102241748B1 (ko) 상승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149259B1 (ko) 균형 조절 운동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101062298B1 (ko) 회동좌판이 구비된 의자
KR101920533B1 (ko) 회전롤러가 구비된 경사운동의자
CN108819802B (zh) 一种学生专用校车座椅
US20230414002A1 (en) Seat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