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374B1 - 연료레일 구조 - Google Patents

연료레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374B1
KR102098374B1 KR1020180171428A KR20180171428A KR102098374B1 KR 102098374 B1 KR102098374 B1 KR 102098374B1 KR 1020180171428 A KR1020180171428 A KR 1020180171428A KR 20180171428 A KR20180171428 A KR 20180171428A KR 102098374 B1 KR102098374 B1 KR 102098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pe
plug
fuel
coup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8017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료파이프 및 상기 연료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되 응력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플러그를 포함하여 응력 발생을 감소시키고, 조립과정에서 불연속면이 발생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레일 구조 {STRUCTURE OF FUEL RAIL FOR VEHICLE}
본 발명은 연료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펌프에서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장치는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연료를 엔진의 구동 제어 정도에 따라 적절한 양으로 연속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장치는 연료탱크로부터 고압펌프를 거쳐 펌핑된 일정한 압력으로 압송되는 연료가 연료레일에 유입된 후에 엔진의 각 실린더로 분사되는데,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일측에 연료탱크로부터 연료가 진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엔진의 각 실린더로 연료를 공급하는 다수의 유출구가 마련된다.
이 연료장치에서 엔진의 각 실린더로 연료를 분배하여 분사하기 위한 종래의 연료레일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연료레일은 연료가 유입되는 인렛커넥터(30)와 인렛커넥터를 통하여 유입된 연료가 유출구로 이동되도록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연료파이프(10) 및 연료파이프의 단부를 폐쇄시키는 엔드플러그(2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2에는 종래의 연료레일의 엔드플러그 측 단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연료레일의 경우 연료파이프(10)의 양 측 단부에 인렛커넥터(30) 및 엔드플러그(20)가 고정 결합된다. 이때, 인렛커넥터(30) 및 엔드플러그(20)는 연료파이프(10)의 내주면 내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 방식에 의할 경우 엔드플러그(20) 및 인렛커넥터(30)의 내측 홈과 연료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는 결합과정에서 발생하는 돌출부 또는 홈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엔드플러그(20) 및 인렛커넥터(30)의 내측 홈과 연료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는 불연속적인 면이 존재하게된다.
이 경우, 결합 과정 및 고압의 연료가 인렛커넥터(30)로 유입되는 과정 또는 유입된 연료가 엔드플러그(20)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엔드플러그(20)와 인렛커넥터(30)에 외력이 인가되고, 이에 대응하여 엔드플러그(20)와 인렛커넥터(30)에는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지속적인 응력 발생 또는 순작적인 강한 외력에 의하여 응력이 강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연료레일에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불연속적인 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응력이 그 부분에 집중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엔드플러그(20)와 인렛커넥터(30)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엔드플러그(20)와 인렛커넥터(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기존의 결합 방식이 응력 발생을 증가시켰으므로, 엔드플러그(20)와 인렛커넥터(30)가 연료파이프(10)에 결합되는 새로운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7251호(2012.09.0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연료레일 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응력 발생을 감소시키는 연료레일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레일 구조는, 연료파이프, 및 상기 연료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되 응력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는 상기 연료파이프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플러그 바디, 및 상기 플러그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면을 이루면서 오목하게 형성된 내벽면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내벽면은, 일정한 곡률반지름을 가지고 오목한 면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면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면은, 상기 내벽면과 연결되되 상기 내벽면의 연료파이프 방향 단부와 소정 각도를 두고 뾰족하게 형성된 모서리부, 상기 모서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형 단부 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조립홈을 형성시키는 리세스부, 및 상기 리세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연료파이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료파이프는 상기 결합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와 고정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리세스부와 함께 상기 조립홈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결합면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바디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레일 구조에 의하면,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플러그 내부 홈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고 플러그의 두께를 연료파이프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응력 발생을 감소시키고, 결합면에 조립홈을 형성하여 조립과정에서 불연속면이 발생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 레일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료레일에서 연료파이프와 엔드플러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구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구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구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구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인렛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구조는, 연료파이프(100), 플러그(200) 및 조립홈(3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200)는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축 방향 양측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200)와 상기 연료파이프(100)는 서로 접촉하면서 결합되되, 상기 플러그(200)와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사이에 상기 조립홈(300)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플러그(200)는 인렛커넥터 및 엔드플러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렛커넥터에는 축 중심에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250) 및 연료유입홀(240)이 더 형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으나, 그 외의 구조에서는 엔드플러그와 동일하다(도 9 참조). 즉,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일측 단부에는 인렛커넥터 형태의 상기 플러그(200)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엔드플러그 형태의 상기 플러그(200)가 결합된다.
상기 연료파이프(100)는 파이프 바디(110), 내주면(120) 및 플러그 고정면(1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파이프 바디(110)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d)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내주면(120)은 상기 파이프 바디(110)의 내주면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파이프 바디(110)의 축 방향 양측 단부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내주면(110)의 축 방향 양측 단부는 원통의 내측 벽면의 형태로 형성되며, 돌기나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연속적인 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 고정면(130)은 상기 파이프 바디(110)의 축 방향 단부 면을 의미한다. 즉, 상기 플러그 고정면(130)은 상기 파이프 바디(110)의 축 방향 단부에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변곡점(131), 제1고정부(132), 스페이스부(133) 및 제2고정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변곡점(131)은 상기 내주면(120)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플러그 고정면(130)이 맞닿아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200)의 상기 연료 파이프(100) 방향 단부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변곡점(131)은 상기 내주면과 상기 플러그 고정면(130) 및 상기 플러그(200)가 만나는 점을 의미한다.
상기 제1고정부(132)는 상기 변곡점(131) 및 상기 스페이스부(133)와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200)와 고정 결합되도록 면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스부(133)은 상기 제1고정부(132) 및 상기 제2고정부(13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132)에서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플러그(200)와 이격되어 상기 조립홈(300)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2고정부(134)은 상기 스페이스부(133)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134)는 상기 플러그(200)와 고정 결합되도록 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외주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플러그 고정면(130)은 반경 방향 내측의 상기 제1고정부(132)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20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스부(133) 및 상기 제2고정부(134)는 상기 제1고정부(132)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132)와 단을 이루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132) 및 상기 제2고정부(134)는 상기 플러그(200)와 원주 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200)는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축 방향 단부와 결합되고, 플러그 바디(210), 내벽면(220) 및 결합면(230)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바디(210)는 상기 연료파이프(100)와 동일한 두께(d)로 일정하게 형성되고, 중공형의 반구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플러그 바디(210)는 단면의 형태가 'C'자에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 바디(210)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벽면(구면)에는 상기 내벽면(2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바디(210)의 상기 연료파이프(100) 방향 단부에는 상기 결합면(230)이 형성된다.
상기 내벽면(220)은 상기 플러그 바디(210)의 반경방향 내측 벽면(구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상기 내주면(120)과 연속적인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곡면부(221) 및 연결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부(221)는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상기 내주면(120)과 연속적인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일정한 곡률반지름을 가지고 오목한 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곡면부(221)의 곡률반지름은 최대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내경의 반지름과 같아진다. 이 경우 상기 내벽면(220)은 반구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플러그 바디(210)의 두께를 상기 연료파이프(100)와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반면, 상기 곡면부(221)의 곡률반지름이 상기 플러그(200)의 두께(d) 보다 작은 경우에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곡면이 작아져 응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감소되므로 연료 레일에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곡면부(221)의 곡률반지름은 최소 상기 플러그(200)의 살두께 이상, 최대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내경 반지름 이하로 형성되고, 가능한 곡률반지름이 크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내경을 갖는 상기 내주면(120)이 연속적인 원주면을 이루어 상기 곡면부(221)와 연결되고, 상기 곡면부(221)와 상기 내주면(120)이 만나는 상기 변곡점(131)에서부터 상기 곡면부(221)는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면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바디(110)와 상기 플러그 바디(210)는 동일한 두께(d)를 가지고 형성되므로,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외주면 및 상기 플러그(200)의 바깥 쪽 면도 서로 연속된 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22)는 상기 곡면부(221)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222)가 상기 곡면부(221)의 곡률반지름의 크기에 대응하여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곡면부(221)의 곡률반지름이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내경과 동일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222)는 반구의 중심 축을 의미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면(230)은 상기 플러그 바디(210)의 상기 연료파이프(100)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모서리부(231), 제1결합부(232), 리세스부(233) 및 제2결합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부(231)는 상기 내벽면(220)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결합면(230)이 맞닿아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변곡점(131)과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모서리부(231)은 상기 내벽면(220)과 상기 결합면(230) 및 상기 연료파이프(100)가 만나는 점을 의미한다.
상기 제1결합부(232)는 상기 모서리부(231)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상기 제1고정부(131)와 결합되도록 면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233)는 상기 제1결합부(232)와 상기 제2결합부(23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232)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면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세스부(233)는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상기 스페이스부(133)와 이격되어 상기 조립홈(300)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2결합부(234)는 상기 리세스부(233)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형성되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연료파이프(100)를 향하여 돌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234)는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상기 제2고정부(134)와 결합되도록 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200)의 바깥쪽 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면(230)은 반경 방향 내측의 상기 제1결합부(232) 및 상기 리세스부(233)가 원주 방향을 따라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결합부(234)가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232)와 상기 제2결합부(234)가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상기 플러그 고정면(130)과 결합된다.
상기 조립홈(300)은 상기 스페이스부(133) 및 상기 리세스부(23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연료파이프(100)와 상기 플러그(200)가 결합된 경우 결합용 부재가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면,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상기 내주면(120)과 상기 플러그(200)의 상기 내벽면(220)을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시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종래의 연료레일 구조에서는 엔드플러그가 연료파이프에 삽입되므로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엔드플러그 사이에 불연속적인 면이 존재하고 그 곳으로 응력이 집중될 수 있었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파이프(100)와 상기 플러그(200)가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지 아니하고 서로 맞닿는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내주면(120)과 상기 내벽면(220)을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러그 바디(210)의 두께(d)를 상기 연료파이프(1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시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는 종래의 연료레일 구조에서는 연료파이프와 엔드플러그의 두께가 상이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곳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었던 것과 비교하여,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곡면부(221)에 의하여 응력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구비하므로, 연료 레일 전체의 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곡면부(221)의 곡률반지름을 최대화(곡률반지름의 크기가 연료파이프의 내경 반지름과 같은 경우)하여 응력의 분산을 최대화할 경우, 특정 부분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충격을 고루 분배하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러그 고정면(130) 및 상기 결합면(230)을 통하여 상기 연료파이프(100)와 상기 플러그(200)를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스페이스부(133) 및 상기 리세스부(233)를 통하여 상기 조립홈(300)을 형성시켰다. 그 결과 상기 내주면(120) 및 상기 내벽면(220)이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되면서도 상기 연료파이프(100)와 상기 플러그(200)를 강하게 고정 결합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는 종래에 엔드플러그를 연료파이프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불연속 면이 발생되고, 두께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즉, 삽입을 통한 고정 결합이 아닌 용접에 의한 결합 방식을 택하여 상기 내주면(120)과 상기 내벽면(220)을 연속적인 면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상기 파이프 바디(110) 및 상기 플러그 바디(210)도 동일한 두께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더욱이, 용접 과정에서 상기 내주면(120)과 상기 내벽면(220) 사이에 불연속 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립홈(300)을 형성시켜, 용접에 의하여 강한 결합력을 부여하면서도, 내부에 연속면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료파이프(100) 및 상기 플러그(200)를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강한 결합력을 부여하면서도, 연료 레일에 발생되는 응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레일 구조는 연료파이프(1100), 플러그(1200) 및 조립홈(1300)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파이프(1100)는 파이프 바디(1110), 내주면(1120) 및 플러그 고정면(113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1200)는 플러그 바디(1210), 내벽면(1220) 및 결합면(12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1110), 상기 내주면(1120), 상기 플러그 바디(1210) 및 상기 내벽면(12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110), 상기 내주면(120), 상기 플러그 바디(210) 및 상기 내벽면(220)과 구조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러그 고정면(1130)은 변곡점(1131), 제1고정부(1132), 스페이스부(1133) 및 제2고정부(1134)를 포함하고, 결합면(1230)은 모서리부(1231), 제1결합부(1232), 리세스부(1233) 및 제2결합부(1234)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변곡점(1131), 상기 제1고정부(1132), 상기 스페이스부(1133), 상기 모서리부(1231), 상기 제1결합부(1232) 및 상기 리세스부(123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상기 변곡점(131), 상기 제1고정부(132), 상기 스페이스부(133), 상기 모서리부(231), 상기 제1결합부(232) 및 상기 리세스부(233)와 구조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2결합부(1234)는 상기 연료파이프(1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1134)는 상기 제2결합부(1234)의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결합부(1234) 및 상기 제2고정부(1134)가 상기 리세스부(1233) 및 상기 스페이스부(1133)와 단을 형성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연료파이프(1100) 및 상기 플러그(1200)가 결합되는 면적을 확장시켜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레일 구조는 연료파이프(2100), 플러그(2200) 및 조립홈(2300)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파이프(2100)는 파이프 바디(2110), 내주면(2120) 및 플러그 고정면(213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2200)는 플러그 바디(2210), 내벽면(2220) 및 결합면(22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2110), 상기 내주면(2120), 상기 플러그 바디(2210) 및 상기 내벽면(22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110), 상기 내주면(120), 상기 플러그 바디(210) 및 상기 내벽면(220)과 구조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러그 고정면(2130)은 변곡점(2131), 제1고정부(2132), 스페이스부(2133), 제2고정부(2134) 및 외주면고정부(2135)를 포함하고, 결합면(2230)은 모서리부(2231), 제1결합부(2232), 리세스부(2233), 제2결합부(2234) 및 커버부(2235)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변곡점(213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상기 변곡점(131)과 비교하여 상기 제1고정부(2132)와 상기 내주면(2120)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2231)는 제1 실시예의 상기 모서리부(231)와 비교하여 상기 제1결합부(2232)와 상기 내벽면(2220)이 둔각을 이루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2232)는 상기 연료파이프(2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2233)는 상기 플러그 바디(2210)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2234)는 상기 연료파이프(2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2235)는 상기 플러그바디(2210)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료파이프(21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료파이프(2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2132)는 상기 연료파이프(2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스부(2133)는 상기 파이프 바디(2110)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2134)는 상기 연료파이프(2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주면고정부(2135)는 상기 파이프 바디(2110)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2235)와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2132) 및 상기 제2고정부(2134)가 중공형 원뿔의 모선과 유사한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부(2232) 및 상기 제2결합부(2234)는 상기 제1고정부(2132) 및 상기 제2고정부(2134)와 각각 대면하도록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부(2133) 및 상기 리세스부(2233)의 홈이 합쳐져 상기 조립홈(230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연료파이프(2100) 및 상기 플러그(2200)를 서로 결합시킬 때, 내부에 돌출된 면이 없어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주면고정부(2135) 및 상기 커버부(2235)가 서로 고정 결합되므로, 상기 연료파이프(2100) 및 상기 플러그(2200)가 결합할 때, 결합 위치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반경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료파이프(2100) 및 상기 플러그(2200)의 결합력이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레일 구조는 연료파이프(3100), 플러그(3200) 및 조립홈(3300)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파이프(3100)는 파이프 바디(3110), 내주면(3120) 및 플러그 고정면(313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3200)는 플러그 바디(3210), 내벽면(3220) 및 결합면(32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3110), 상기 내주면(3120), 상기 플러그 바디(3210) 및 상기 내벽면(32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110), 상기 내주면(120), 상기 플러그 바디(210) 및 상기 내벽면(220)과 구조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러그 고정면(3130)은 변곡점(3131), 제1고정부(3132), 스페이스부(3133) 및 제2고정부(3134)를 포함하고, 결합면(3230)은 모서리부(3231), 제1결합부(3232), 리세스부(3233) 및 제2결합부(3234)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변곡점(2131) 및 상기 모서리부(223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상기 변곡점(131) 및 상기 모서리부(231)와 구조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3232)는 상기 연료파이프(3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3233)는 상기 플러그 바디(3210)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3234)는 상기 연료파이프(3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3132)는 상기 연료파이프(3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스부(3133)는 상기 파이프 바디(3110)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3134)는 상기 제2결합부(3234)의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결합부(3232) 및 상기 제1고정부(3132)는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며, 상기 제2결합부(3234) 및 상기 제2고정부(3134)에 의하여 상기 연료파이프(3100)과 상기 플러그(3200)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료파이프(3100)과 상기 플러그(3200)의 반경방향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레일 구조는 연료파이프(4100), 플러그(4200) 및 조립홈(4300)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파이프(4100)는 파이프 바디(4110), 내주면(4120) 및 플러그 고정면(413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4200)는 플러그 바디(4210), 내벽면(4220) 및 결합면(42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4110), 상기 내주면(4120), 상기 플러그 바디(4210) 및 상기 내벽면(42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110), 상기 내주면(120), 상기 플러그 바디(210) 및 상기 내벽면(220)과 구조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러그 고정면(4130)은 변곡점(4131), 제1고정부(4132), 스페이스부(4133) 및 제2고정부(4134)를 포함하고, 결합면(4230)은 모서리부(4231), 제1결합부(4232), 리세스부(4233) 및 제2결합부(4234)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변곡점(413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상기 변곡점(131)과 비교하여 상기 제1고정부(4132)와 상기 내주면(4120)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4231)는 제1 실시예의 상기 모서리부(231)와 비교하여 상기 제1결합부(4232)와 상기 내벽면(4220)이 예각을 이루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4232)는 상기 연료파이프(4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4233)는 상기 플러그 바디(4210)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4234)는 상기 연료파이프(4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4132)는 상기 연료파이프(4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스부(4133)는 상기 파이프 바디(4110)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4134)는 상기 연료파이프(4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4232) 및 상기 제2결합부(4234)가 중공형 원뿔의 모선과 유사한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4132) 및 상기 제2고정부(4134)는 상기 제1결합부(4232) 및 상기 제2결합부(4234)와 각각 대면하도록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부(4133) 및 상기 리세스부(4233)의 홈이 합쳐져 상기 조립홈(430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연료파이프(4100) 및 상기 플러그(4200)를 서로 결합시킬 때, 내부에 돌출된 면이 없어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레일 구조는 연료파이프(5100), 플러그(5200) 및 조립홈(5300)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파이프(5100)는 파이프 바디(5110), 내주면(5120) 및 플러그 고정면(513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5200)는 플러그 바디(5210), 내벽면(5220) 및 결합면(52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5110), 상기 내주면(5120), 상기 플러그 바디(5210) 및 상기 내벽면(52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바디(110), 상기 내주면(120), 상기 플러그 바디(210) 및 상기 내벽면(220)과 구조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러그 고정면(5130)은 변곡점(5131), 제1고정부(5132), 스페이스부(5133) 및 제2고정부(5134)를 포함하고, 결합면(5230)은 모서리부(5231), 제1결합부(5232), 리세스부(5233) 및 제2결합부(5234)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상기 변곡점(513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상기 변곡점(131)과 비교하여 상기 제1고정부(5132)와 상기 내주면(5120)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5231)는 제1 실시예의 상기 모서리부(231)와 비교하여 상기 제1결합부(5232)와 상기 내벽면(5220)이 둔각을 이루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5232)는 상기 연료파이프(5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5233)는 상기 플러그 바디(5210)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5234)는 상기 연료파이프(5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5132)는 상기 연료파이프(5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스부(5133)는 상기 파이프 바디(5110)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5134)는 상기 연료파이프(5100)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5132) 및 상기 제2고정부(5134)가 중공형 원뿔의 모선과 유사한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부(5232) 및 상기 제2결합부(5234)는 상기 제1고정부(5132) 및 상기 제2고정부(5134)와 각각 대면하도록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부(5133) 및 상기 리세스부(5233)의 홈이 합쳐져 상기 조립홈(530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연료파이프(5100) 및 상기 플러그(5200)를 서로 결합시킬 때, 내부에 돌출된 면이 없어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1100, 2100, 3100, 4100, 5100 : 연료파이프
110, 1110, 2110, 3110, 4110, 5110 : 파이프 바디
120, 1120, 2120, 3120, 4120, 5120 : 내주면
130, 1130, 2130, 3130, 4130, 5130 : 플러그 고정면
131, 1131, 2131, 3131, 4131, 5131 : 변곡점
132, 1132, 2132, 3132, 4132, 5132 : 제1고정부
133, 1133, 2133, 3133, 4133, 5133 : 스페이스부
134, 1134, 2134, 3134, 4134, 5134 : 제2고정부
2135 : 외주면고정부
200, 1200, 2200, 3200, 4200, 5200 : 플러그
210, 1210, 2210, 3210, 4210, 5210 : 플러그 바디
220, 1220, 2220, 3220, 4220, 5220 : 내벽면
221, 1221, 2221, 3221, 4221, 5221 : 곡면부
230, 1230, 2230, 3230, 4230, 5230 : 결합면
231, 1231, 2231, 3231, 4231, 5231 : 모서리부
232, 1232, 2232, 3232, 4232, 5232 : 제1결합부
233, 1233, 2233, 3233, 4233, 5233 : 리세스부
234, 1234, 2234, 3234, 4234, 5234 : 제2결합부
2235 : 커버부
300, 1300, 2300, 3300, 4300, 5300 : 조립홈

Claims (11)

  1. 연료파이프; 및
    상기 연료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되, 응력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플러그;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연료파이프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플러그 바디;
    상기 플러그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면을 이루면서 오목하게 형성된 내벽면; 및
    상기 플러그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면;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면은,
    상기 내벽면과 연결되되, 상기 내벽면의 연료파이프 방향 단부와 소정 각도를 두고 뾰족하게 형성된 모서리부;
    상기 모서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형 단부 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조립홈을 형성시키는 리세스부; 및
    상기 리세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레일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면은,
    일정한 곡률반지름을 가지고 오목한 면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곡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레일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에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레일 구조.
  8. 연료파이프; 및
    상기 연료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되, 응력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플러그;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연료파이프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플러그 바디;
    상기 플러그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면을 이루면서 오목하게 형성된 내벽면; 및
    상기 플러그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면;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면은,
    상기 내벽면과 연결되되, 상기 내벽면의 연료파이프 방향 단부와 소정 각도를 두고 뾰족하게 형성된 모서리부;
    상기 모서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형 단부 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조립홈을 형성시키는 리세스부; 및
    상기 리세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방향 단부 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연료파이프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레일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연료파이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레일 구조.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파이프는,
    상기 결합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와 고정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리세스부와 함께 상기 조립홈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레일 구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연장 형성되고, 파이프 바디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레일 구조.
KR1020180171428A 2018-12-28 2018-12-28 연료레일 구조 KR10209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428A KR102098374B1 (ko) 2018-12-28 2018-12-28 연료레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428A KR102098374B1 (ko) 2018-12-28 2018-12-28 연료레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374B1 true KR102098374B1 (ko) 2020-05-26

Family

ID=7091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428A KR102098374B1 (ko) 2018-12-28 2018-12-28 연료레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7132B1 (ja) * 2020-10-09 2021-12-08 株式会社神菱 デリバリパイ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179A (ja) * 1998-11-20 2000-06-13 Aisin Seiki Co Ltd 樹脂製燃料デリバリパイプ
JP2000320422A (ja) * 1999-05-13 2000-11-21 Usui Internatl Ind Co Ltd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KR20120097251A (ko)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케피코 차량용 연료레일 구조
JP2014009680A (ja) * 2012-07-03 2014-01-20 Aisan Ind Co Ltd 燃料デリバリパイプ
JP2018031307A (ja) * 2016-08-25 2018-03-01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エンド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179A (ja) * 1998-11-20 2000-06-13 Aisin Seiki Co Ltd 樹脂製燃料デリバリパイプ
JP2000320422A (ja) * 1999-05-13 2000-11-21 Usui Internatl Ind Co Ltd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KR20120097251A (ko)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케피코 차량용 연료레일 구조
JP2014009680A (ja) * 2012-07-03 2014-01-20 Aisan Ind Co Ltd 燃料デリバリパイプ
JP2018031307A (ja) * 2016-08-25 2018-03-01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エンドキャ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7132B1 (ja) * 2020-10-09 2021-12-08 株式会社神菱 デリバリパイ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9763B (zh) 具有唇密封的活塞和使用该活塞的筒系统
US10261268B2 (en) Strain relief assembly for a fiber optic connector
US20170232937A1 (en) Wiper connector and bolt-stabilizing sleeve adaptor
EP1903209B1 (en) Device to suction fuel from a fuel injector
KR20060041657A (ko) 고압력 적용가능 급속 커넥터
KR20090065452A (ko) 고압 연료 분사관의 접속 헤드부 구조
KR102098374B1 (ko) 연료레일 구조
KR20160082509A (ko) 고압 유체 계량용 밸브
US20130333669A1 (en) Fuel injector having an improved high-pressure connection
EP3306072A1 (en) Fuel pipe connecting head and fuel pipe
US20070145163A1 (en) Fuel injector nozzle with tip alignment apparatus
US10458580B2 (en) Hose clip
US6830035B2 (en) Structure of installing injector in common rail and method of the same
CN113374782A (zh) 轴承系统及其止推板
US20220340337A1 (en) Fluid port assembly and plug
KR100655711B1 (ko) 연료 맥동 저감 댐퍼
US20160084419A1 (en)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EP2775570B1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P3267086A1 (en) Coupling arrangement, a connector for a coupling arrangement and a duct comprising a coupling arrangement
US20230127426A1 (en) Connecting device for a sealed exchange of fluid between two components, connecting system and brake system
US11002388B2 (en) Fire hydrant nozzle
CN220294457U (zh) 用于混合器的管路连接件以及混合器
CN219655489U (zh) 用于车辆的电机控制器连通装置
KR20220166653A (ko) 기밀 면 접촉 확장형 퀵 커넥터
CN210920501U (zh) 管接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