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885B1 - 융착 접속장치 및 광섬유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융착 접속장치 및 광섬유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885B1
KR102097885B1 KR1020187027711A KR20187027711A KR102097885B1 KR 102097885 B1 KR102097885 B1 KR 102097885B1 KR 1020187027711 A KR1020187027711 A KR 1020187027711A KR 20187027711 A KR20187027711 A KR 20187027711A KR 102097885 B1 KR102097885 B1 KR 102097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usion
reinforcing sleeve
fusion splic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 하세가와
요시하루 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2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reshaping or reforming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using thermal heating, e.g. tapering, forming of a lens on light guid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8Reinforcement of splice joi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Abstract

[과제]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한다.
[해결수단] 본 개시의 광섬유 보강방법에서는 다음을 행한다. 클램핑된 제1광섬유와 제2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것. 융착 접속 후, 방풍 커버 내의 장치 상면의 위치인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맞춘 손가락 끝으로 제2광섬유를 잡은 상태로, 클램핑된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를 떼어내는 것. 제1광섬유에 삽입한 보강 슬리브를 제2광섬유를 잡은 손가락 끝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융착 접속점에 보강 슬리브를 씌우는 것.

Description

융착 접속장치 및 광섬유 보강방법
본 발명은 융착 접속장치 및 광섬유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광섬유를 융착하여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융착 접속점에 보강 슬리브(열수축 튜브)를 씌우고, 융착 접속기의 히터(가열부)로 보강 슬리브를 가열하여 융착 접속점을 보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4,141,891호 공보
보강 슬리브를 히터로 가열할 때에, 1)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의 중심을 맞추는 것, 2) 보강 슬리브의 중심과 히터의 중심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위치관계의 설명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융착 접속점에 보강 슬리브(5)를 씌울 때,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구출길이(L1)가 보강 슬리브(5)의 길이(L2)의 절반보다 짧도록 한 쌍의 광섬유(3)의 피복이 제거되어 있으면, 보강 슬리브(5)의 단부와 광섬유(3)의 피복을 오버랩시킬 수 있다. 가령,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이 어긋나 있으면, 보강 슬리브(5)와 광섬유(3)의 피복을 오버랩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고, 피복이 제거된 부위가 보강 슬리브(5)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광섬유(3)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도 12B는, 보강 슬리브(5)의 중심과 히터(21)의 중심의 위치관계의 설명도이다. 히터(21)(보강 슬리브(5)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온이 되는 부위)는 길이방향(좌우방향)의 중심의 온도가 가장 높아지며, 중심으로부터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온도가 저하되도록 온도구배가 형성된다. 이는, 보강 슬리브(5)의 가열수축시에 보강 슬리브(5)의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보강 슬리브(5)의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가령 보강 슬리브(5)의 중심과 히터(21)의 중심의 위치관계가 어긋나 있으면, 보강 슬리브(5)의 한쪽에 미수축 부분이 남을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도 13A~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한 광섬유(3)를 작업자가 기울여서 광섬유(3)에 삽통시킨 보강 슬리브(5)를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 시켜 수작업 또는 육안으로 융착 접속점에 대한 보강 슬리브(5)의 위치를 맞추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육안에 기초한 위치 맞춤 방법으로는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이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다음의 위치 맞춤 방법이 채용된다.
도 14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융착 접속장치의 구성 설명도이다. 이 융착 접속장치는 가열장치(20')의 전장(2B)과 융착 접속부(10)의 전장(2A)이 같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 융착 접속장치는 융착 접속점과 융착 접속부(10) 측의 가이드(91)의 거리(A)가, 히터(21)의 중심과 가열장치(20') 측의 가이드(93)의 거리(B)와 같도록 설계된다. 보강 슬리브대에는 보강 슬리브(5)의 단면을 접촉시키기 위한 가이드부(92)가 설치된다. 히터(21)의 중심과 가이드부(92)의 단면의 거리(L/2)가 보강 슬리브(5)의 길이(L)의 절반이 되도록 가이드부(92)의 위치가 조정된다. 작업자는 한 쌍의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한 후,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91)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서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을 파지하여 광섬유(3)을 융착 접속부(10)로부터 취출하게 된다.
도 15A~도 15C는 도 14의 융착 접속기를 사용한 위치 맞춤 방법의 설명도이다. 작업자는 광섬유(3)를 융착 접속부(10)로부터 취출한 후,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슬리브(5)의 단면을 보강 슬리브대의 가이드부(92)에 접촉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3)를 파지하는 손가락이 가열장치(20') 측의 가이드(93)에 접촉할 때까지 보강 슬리브(5)에 대하여 광섬유(3)를 슬라이드 시킨다. 이로써,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의 위치 맞춤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3)를 파지하는 손가락을 가열장치(20') 측의 가이드(93)에 접촉시키면서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한다. 이로써, 보강 슬리브(5)의 중심과 히터(21)의 중신의 위치 맞춤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 15A~도 15C에 나타낸 위치 맞춤 방법으로는, 융착 접속부(10)와 가열장치(20') 모두 다른 제3의 장소(여기서는 보강 슬리브대)에서 보강 슬리브(5)의 위치 맞춤을 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위치 맞춤 방법에서, 작업자는 융착 접속한 광섬유(3)를 융착 접속부(10)로부터 제3의 장소(보강 슬리브대)로 일단 이동시키고, 제3의 장소에서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위치 맞춤을 행하며, 그 후, 추가로 제3의 장소로부터 가열장치(20')에 광섬유(3) 및 보강 슬리브(5)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융착 접속 후의 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융착 접속 전에 보강 슬리브를 미리 제1광섬유에 삽입하는 것, 상기 제1광섬유의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제1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하면서 상기 제1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제1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함과 함께, 제2광섬유의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제2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하면서 상기 제2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제2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하는 것, 클램핑된 상기 제1광섬유와 상기 제2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것, 융착 접속 후 방풍 커버 내의 장치 상면의 위치인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보강 슬리브의 절반이 되는 위치로 맞춘 손가락 끝으로 상기 제2광섬유를 잡은 상태에서, 클램핑된 상기 제1광섬유 및 상기 제2광섬유를 떼어내는 것, 및 상기 제1광섬유에 삽입된 상기 보강 슬리브를 상기 제2광섬유를 잡은 손가락 끝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상기 융착 접속점에 상기 보강 슬리브를 씌우는 것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강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에 의해 보다 명확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A~도 1D는, 제1실시형태의 위치 맞춤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융착 접속장치(1)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의 융착 접속부(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융착 접속부(10) 및 가열부(20)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5는, 보강 슬리브(5)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6A는, 좌측의 피복 클램프부(15)와 위치 맞춤부(51)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왼손의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제1실시형태의 위치 맞춤부(51)의 주변을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 설명도이다. 도 7B는, 제1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7C는, 위치 맞춤부(51)가 없는 참고예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8A는, 제2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8B는, 제3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9A는, 제4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9B는, 제5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2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3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2A는,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위치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12B는, 보강 슬리브(5)의 중심과 히터(21)의 중심의 위치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13A~도 13C는, 종래의 위치 맞춤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융착 접속장치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15A~도 15C는, 도 14의 융착 접속장치를 사용한 위치 맞춤 방법의 설명도이다.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로부터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하게 된다.
한 쌍의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클램핑하는 글라스 클램프부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상기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클램핑하는 피복 클램프부와, 상기 접속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 및 상기 피복 클램프부를 덮는 방풍 커버와, 상기 접속부에 의해 융착 접속된 상기 광섬유의 융착 접속점에 씌워진 보강 슬리브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방풍 커버 내의 장치 상면의 상기 피복 클램프부의 내부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를 잡는 손가락 끝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위치 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맞춤부와 상기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상기 히터 길이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가 명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융착 접속장치에 의하면,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맞춤부와 상기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34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히터의 길이가 최장 68mm 이기 때문이다.
한 쌍의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클램핑하는 글라스 클램프부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상기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클램핑하는 피복 클램프부와, 상기 접속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 및 상기 피복 클램프부를 덮는 방풍 커버와, 상기 방풍 커버 내의 장치 상면의 상기 피복 클램프부의 내부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를 잡는 손가락 끝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위치 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맞춤부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상기 융착 접속점에 씌워지는 최장의 보강 슬리브 길이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가 명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융착 접속장치에 의하면,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맞춤부와 상기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3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장의 보강 슬리브의 길이가 62mm 이기 때문이다.
한 쌍의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클램핑하는 글라스 클램프부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상기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클램핑하는 피복 클램프부와, 상기 접속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 및 상기 피복 클램프부를 덮는 방풍 커버와, 상기 방풍 커버 내의 장치 상면의 상기 피복 클램프부의 내부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를 잡는 손가락 끝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위치 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맞춤부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상기 융착 접속점에 씌워지는 보강 슬리브의 표준 길이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가 명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융착 접속장치에 의하면,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피복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가 놓여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누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맞춤부는 상기 누름부의 외측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누름부를 열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가 위치 맞춤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한 쌍의 판부와, 한 쌍의 상기 판부 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섬유 삽통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를 맞추면서 광섬유를 파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상기 위치 맞춤부의 외측에 요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를 맞추면서 광섬유를 파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요부의 깊이는 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손가락의 일부를 광섬유보다 하측에 넣기 용이하게 되어, 광섬유를 파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상기 피복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가 놓여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누름부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와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위치 맞춤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피복 클램프부의 폭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맞춤부는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을 가지며, 상기 만곡면은 상기 피복 클램프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상기 광섬유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위치 맞춤부에 의해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게 된다.
융착 접속 전에 보강 슬리브를 미리 제1광섬유에 삽입하는 것, 상기 제1광섬유의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제1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하면서, 상기 제1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제1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함과 함께, 제2광섬유의 피목의 적어도 일부를 제2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하면서, 상기 제2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제2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 하는 것, 클램핑된 상기 제1광섬유와 상기 제2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것, 융착 접속 후, 방풍 커버의 장치 상면의 위치인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보강 슬리브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맞춘 손가락 끝으로 상기 제2광섬유를 잡은 상태에서, 클램핑된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를 떼어내는 것, 및 상기 제1광섬유에 삽입된 상기 보강 슬리브를 상기 제2광섬유를 잡은 상기 손가락 끝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드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융착 접속점에 상기 보강 슬리브를 씌우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강 방법이 명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광섬유 보강 방법에 의하면,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 제1실시형태 ===
<개요>
융착 접속장치(1)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보강 슬리브(5)의 위치 맞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도 1D는, 제1실시형태의 위치 맞춤 방법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L/2)는 보강 슬리브(5)의 길이(L)(표준 길이)의 절반으로 설정된다. 또한, 히터(21)의 길이(Lh)는 보강 슬리브(5)의 길이(L)보다 길기 때문에,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L/2)는 히터(21)의 길이(Lh)의 절반 이하가 된다(또한, 히터(21)의 길이(Lh)는 가열부(20)의 전장이 아니라, 가열부(20)에서 보강 슬리브(5)의 가열을 위하여 고온이 되는 부위의 길이이다).
작업자는 융착 접속장치(1)에 광섬유(3)를 세팅하기 전에, 한 쌍의 광섬유(3) 중 하나의 광섬유(3)(여기서는, 도면에서 우측의 광섬유(3): 제1광섬유)에 보강 슬리브(5)를 미리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광섬유(3)에 대하여 전처리를 실시한다. 광섬유(3)의 전처리는 광섬유(3) 단부의 피복을 제거하거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가 소정 길이가 되도록 광섬유(3)를 커팅하는 것 등이 행해진다.
다음, 작업자는 전처리를 실시한 한 쌍의 광섬유(3)를 각각 융착 접속장치(1)에 세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면 우측의 광섬유(3)(제1광섬유)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우측의 피복 클램프부(15)(제1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하면서,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우측의 글라스 클램프부(13)(제1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한다. 또한, 도면 좌측의 광섬유(3)(제2광섬유)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좌측의 피복 클램프부(15)(제2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하면서,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좌측의 글라스 클램프부(13)(제2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융착 접속장치(1)를 조작하여, 클램핑된 한 쌍의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한다. 도 1A에 나타낸 상태는 한 쌍의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 작업자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손 손가락을 위치 맞춤부(51)에 접촉시킴으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을 행하면서,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제2광섬유)를 파지한다. 이 때, 위치 맞춤부(51)에 접촉한 손가락 끝은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위치 맞춤되게 된다. 또한, 이 때,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맞춘 손가락 끝으로 광섬유(3)(제2광섬유)를 파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왼손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한 상태로, 클램핑된 융착 접속 후의 광섬유(3)(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를 떼어내서 융착 접속부(10)로부터 광섬유(3)를 취출한다.
다음, 작업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이 아래가 되도록 광섬유(3)를 기울여서, 우측의 광섬유(3)(제1광섬유)에 삽입한 보강 슬리브(5)를 자중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광섬유(3)를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 끝에 보강 슬리브(5)의 좌측단이 접촉할 때까지 보강 슬리브(5)를 좌측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보강 슬리브(5)가 좌측으로 슬라이드 하면 광섬유(3)의 융착 접속점에 보강 슬리브(5)가 씌워지게 된다. 그리고, 광섬유(3)를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 끝에 보강 슬리브(5)의 좌측단이 접촉하여, 그 이상으로 보강 슬리브(5)가 좌측으로 슬라이드 되지 않게 된 때, 융착 접속점은 보강 슬리브(5)의 중심에 위치한다. 즉, 위치 맞춤부(51)에서 위치 맞춤한 손가락 끝(제2광섬유를 파지한 손가락 끝)에 접촉할 때까지 보강 슬리브(5)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을 위치 맞춤하면서, 융착 접속점에 보강 슬리브(5)를 씌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편한 방법으로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을 위치 맞춤할 수 있기 때문에,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이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다음, 작업자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진 광섬유(3)를 수평으로 되돌리고, 보강 슬리브(5)에 접해있는 왼손 손가락 끝을 광섬유(3)를 따라서 좌측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로써, 보강 슬리브(5)와 왼손의 손가락 끝 사이에 간격이 생기기 때문에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때, 광섬유(3)에 대한 보강 슬리브(5)의 위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융착 접속점은 보강 슬리브(5)의 중심에 위치한다.
다음, 작업자는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한다. 이 때, 작업자는 보강 슬리브(5)의 단부와 히터(21)의 단부의 간격이 좌우로 균등하게 되도록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한다. 이로써, 보강 슬리브(5)의 중심과 히터(21)의 중심의 위치 맞춤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히터(21)는 보강 슬리브(5)보다 약간 긴 정도(수 mm 정도)이므로, 가령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이 히터(21)의 중심에 대하여 어긋나면, 보강 슬리브(5)의 단부와 히터(21)의 단부 좌우의 간격이 육안으로 식별가능할 정도로 불균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하여도 보강 슬리브(5)의 중심과 히터(21)의 중심의 위치 맞춤이 거의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단, 보강 슬리브(5) 단부의 세팅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히터(21)에 설치하고, 이 표시에 보강 슬리브(5)의 단부를 위치 맞춤하면서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할 수도 있다.
<기본구성>
이어서, 상기 위치 맞춤 방법에 적합한 융착 접속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융착 접속장치(1)의 상면도이다. 도 2A는 융착 접속장치(1)의 덮개(방풍 커버(17) 및 히터 커버(22))를 닫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2B는 융착 접속장치(1)의 덮개를 연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의 융착 접속부(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융착 접속부(10) 및 가열부(20)의 개략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각 방향을 정의한다. 융착 접속시의 광섬유(3)의 길이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고, 융착 접속장치(1)를 조작하는 작업자로부터 보아 작업자의 오른손 측은 '우(오른쪽)'으로 하고, 반대측을 '좌(왼쪽)'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전극(11)이 대향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고, 전극(11)으로부터 보아 작업자 측을 '전(앞)'으로 하고, 반대측(가열부(20) 측)을 '후(뒤)'로 한다. 또한, 전후방향을 '안쪽방향'이라 하고, 작업자 측을 '가까운 쪽'이라 하며, 가열부(20) 측을 '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에 수직한 방향(혹은, 글라스 클램프부(13)에 있어서 광섬유(3)이 놓여지는 면에 수직한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고, 연직방향의 상측을 '상(위)'으로 하고, 반대측을 '하(아래)'로 한다.
융착 접속장치(1)는 한 쌍의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하는 장치이다. 융착 접속장치(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단심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하나, 한 쌍의 다심 광섬유(예를 들면, 한 쌍의 광섬유 테이프)를 융착 접속할 수도 있다. 융착 접속장치(1)는 융착 접속부(10), 가열부(20), 조작부(31), 표시부(32)를 구비한다.
융착 접속부(10)는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하기 위한 기구이다. 융착 접속부(10)는 한 쌍의 전극(11), 한 쌍의 글라스 클램프부(13), 한 쌍의 피복 클램프부(15), 방풍 커버(17)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전극(11)은 한 쌍의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하는 접속부이다. 다시 말해, 전극(11)은 방전 전극봉이다. 한 쌍의 전극(11)(접속부)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단심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하나, 한 쌍의 다심 광섬유(예를 들면, 광섬유 테이프)를 융착 접속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전극(11)으로 아크 방전을 발생시켜 광섬유(3)의 선단부가 가열되고, 가열된 광섬유(3)의 선단부가 용융됨으로써, 한 쌍의 광섬유(3)가 융착 접속된다. 위에서 볼 때, 광섬유(3)의 융착 접속점은 한 쌍의 전극(11)을 잇는 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단, 광섬유(3)와 전극(11)이 상하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광섬유(3)의 융착 접속점은 한 쌍의 전극(11)의 중간위치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어긋날 경우가 있다). 즉, 광섬유(3)의 융착 접속점의 좌우방향의 위치는 전극(11)의 좌우방향의 위치와 거의 동일하다. 한 쌍의 전극(11)은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에 설치된다.
글라스 클램프부(13)는 광섬유(3)의 글라스부(광섬유(3)의 피복을 제거한 부위)를 클램핑하는 부위이다. 글라스 클램프부(1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심의 광섬유(3)를 클램핑하나, 복수개의 광섬유(예를 들면, 광섬유 테이프)를 클램핑할 수도 있다. 한 쌍의 글라스 클램프부(13)(제1글라스 클램프부 및 제2글라스 클램프부)는 한 쌍의 전극(11)의 좌우방향의 외측에 설치된다. 글라스 클램프부(13)는 V홈을 갖는 베이스부(13A) 및 누름부(13B)를 갖는다. 글라스 클램프부(13)의 베이스부(13A)(V홈)는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에 설치된다. 누름부(13B)는 방풍 커버(17)의 내면에 설치된다. 방풍 커버(17)를 닫으면 광섬유(3)의 글라스부가 베이스부(13A)(V홈)와 누름부(13B)의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피복 클램프부(15)는 광섬유(3)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클램핑하는 부위이다. 피복 클램프부(1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심의 광섬유(3)를 클램핑하나, 복수개의 광섬유(예를 들면, 광섬유 테이프)를 클램핑할 수도 있다. 한 쌍의 피복 클램프부(15)(제1피복 클램프부 및 제2피복 클램프부)는 한 쌍의 글라스 클램프부(13)의 좌우방향의 외측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도면에서 우측의 글라스 클램프부(13) 보다 우측에 하나의 피복 클램프부(15)가 배치되고, 도면에서 좌측의 글라스 클램프부(13) 보다 좌측에 다른 하나의 피복 클램프부(15)가 배치된다. 피복 클램프부(15)는 V홈을 갖는 베이스부(15A) 및 누름부(15B)를 갖는다. 피복 클램프부(15)의 누름부(15B)는 베이스부(15A)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누름부(15B)를 닫으면 광섬유(3)의 피복이 베이스부(15A)(V홈)와 누름부(15B)의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피복 클램프부(15)에 클램핑된 광섬유(3)는 모든 부위가 피복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가 글라스부여도 된다(피복이 벗겨진 근처가 클램핑되어도 된다). 피복 클램프부(15)의 베이스부(15A) 및 누름부(15B)는 모두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피복 클램프부(15)는 장치 상면에 설치된다. 단, 피복 클램프부(15)는 장치 상면에 탈착가능한 홀더에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섬유(3)를 융착 접속부(10)에 세팅할 때 작업자는 홀더의 피복 클램프부(15)에 광섬유(3)를 클램핑하고 광섬유(3)의 전처리를 실시한 후, 광섬유(3)를 클램핑한 홀더를 장치 상면에 세팅하게 된다.
방풍 커버(17)는 융착 접속부(10)(전극(11), 글라스 클램프부(13) 및 피복 클램프부(15))를 덮는 부재(커버)이다. 방풍 커버(17)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방풍 커버(17)를 닫으면 융착 접속부(10)가 밀폐된다. 이로써, 안정적인 방전을 실현할 수 있어, 광섬유(3)의 융착 접속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다. 방풍 커버(17)의 내면에는 글라스 클램프부(13)의 누름부(13B)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에 위치 맞춤부(51)가 설치된다, 위치 맞춤부(51)는 광섬유(3)를 잡은 손가락 끝을 소정위치로 맞추는 부위이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맞춤부(51)에서 위치 맞춤된 손가락 끝에, 슬라이드 시킨 보강 슬리브(5)를 접촉시켜서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위치 맞춤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위치 맞춤부(51)는 보강 슬리브(5)를 접촉시키는 손가락 끝을 융착 접속점에 대하여 소정위치로 맞추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복 클램프부(15)의 외측의 측면에 위치 맞춤부(51)가 설치된다. 이 위치 맞춤부(51)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가열부(20)는 보강 슬리브(5)를 가열하기 위한 기구이다. 가열부(20)는 히터(21) 및 히터 커버(22)를 갖는다. 히터(21)는 보강 슬리브(5)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온이 되는 부위이다. 히터(21)는 보강 슬리브(5)가 놓여지기 위한 재치면을 가지며, 가열시에는 이 재치면이 고온이 된다. 히터(21)는 좌우방향의 중심의 온도가 가장 높도록 되어 있고, 중심으로부터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온도가 저하되도록 온도구배가 형성된다.
도 5는 보강 슬리브(5)의 개략 설명도이다.
보강 슬리브(5)는 융착 점속점 및 글라스부를 보호하는 보강부재이다. 보강 슬리브(5)는 열수축 튜브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보강 슬리브(5)는 외튜브(5A), 항장력체(5B) 및 핫멜트 접착제(5C)를 갖는다. 외튜브(5A)는 열수축 튜브로 구성되며, 핫멜트 접착제(5C)를 성형하는 부재이다. 외튜브(5A)의 내측에 항장력체(5B) 및 핫멜트 접착제(5C)가 수용된다. 항장력체(5B)는 당겨짐이나 구부려짐에 대한 보강을 행하는 부재이다. 항장력체(5B)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이나, 글라스 세라믹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항장력체(5B)의 길이는 보강 슬리브(5)의 길이(L)와 같아도 되고, 길이(L)보다 짧아도 된다. 핫멜트 접착제(5C)는 융착 접속점의 보호나, 항장력체(5B)의 접착을 행하는 부재이다. 핫멜트 접착제(5C)는 가열시에 용융되는 수지로 구성된다. 핫멜트 접착제(5C)는 내튜브라 칭할 수도 있다. 핫멜트 접착제(5C)에는 광섬유(3)를 삽통시키는 삽통공이 형성된다. 이 삽통공에 광섬유(3)를 삽통시킨 상태로 보강 슬리브(5)가 가열되고, 이로써 융착 접속점이나 광섬유(3)의 글라스부가 보호된다. 또한, 보강 슬리브(5)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 슬리브(5)는 길이를 60mm로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길이를 40mm로 하는 보강 슬리브도 존재하나, 시장에 유통되는 보강 슬리브 중의 90%가 길이를 60mm으로 하는 보강 슬리브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를 60mm으로 하는 표준적인 보강 슬리브를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그리고, 길이를 60mm으로 하는 포준적인 보강 슬리브의 실제 길이는 60mm 이상 62mm 이하의 범위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장의 보강 슬리브의 길이'란 '62mm'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보강 슬리브의 표준 길이'란 '60mm 이상 62mm 이하'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히터(21)는 보강 슬리브(5)보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히터(21)의 좌우방향의 길이(Lh)는 64mm 이상 68mm 이하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히터(21)의 좌우방향의 길이(Lh)가 64mm 이상이라면, 좌우에 1mm 이상의 여유를 갖게 되어, 길이 62mm인 최장의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할 수 있다. 또한, 히터(21)의 길이(Lh)가 64mm 미만이 되면, 길이 62mm인 최장의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할 때에 좌우의 여유가 1mm 미만이 되기 때문에,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하기 어렵다. 한편, 히터(21)의 길이(Lh)가 68mm를 넘으면, 길이 60mm인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이 히터(21)의 중심에 대하여 어긋난 때에 보강 슬리브(5)의 단부와 히터(21)의 단부의 좌우 간격의 차를 육안으로 인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히터(21)의 길이(Lh)가 너무 길면 히터(21)의 열용량이 커져서 히터(21)가 소정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히터(21)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64mm 이상 68m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31)는 작업자가 융착 접속장치(1)의 조작을 행하는 부위이다. 여기서 조작부(31)는 각종 버튼을 갖는다. 단. 조작부(31)는 버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이얼 등일 수도 있다. 표시부(32)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부위(디스플레이)이다. 작업자는 표시부(32)에 표시되는 정보를 보면서 조작부(31)를 조작하게 된다. 또한, 터치패널에 의해 표시부(32)와 조작부(31)를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위치 맞춤부(51)에 대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보강 슬리브(5)의 표준 길이(60mm 이상 62mm 이하)의 절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이는 최장의 보강 슬리브(5)의 길이(62mm)의 절반 이하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30mm로 설정된다. 이로써,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왼손 손가락을 위치 맞춤부(51)에 접촉시킨 때에 그 손가락 끝은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의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위치 맞춤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히터(21)의 길이가 64mm 이상 68mm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기 때문에,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히터(21)의 길이의 절반 이하이다.
도 6A는 좌측의 피복 클램프부(15)와 위치 맞춤부(51)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왼손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제1실시형태의 위치 맞춤부(51)의 주변을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 설명도이다. 또한, 도 7C는 위치 맞춤부(51)가 없는 참고예의 개략 설명도이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의 피복 클램프부(15) 외측의 측면에 위치 맞춤부(51)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작업자는 왼손 손가락을 위치 맞춤부(51)에 접촉시킴으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을 행하면서,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하게 된다.
위치 맞춤부(51)는 피복 클램프부(15) 외측의 측면에 형성된 판 형상의 부위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위치 맞춤부(51)는 좌우방향에 수직한 면(피복 클램프부(15)에 클램핑된 광섬유(3)에 수직한 면)을 갖는다. 판 형상의 위치 맞춤부(51)의 판 면에 손가락 끝이 접촉함으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위치 맞춤부(51) 외측의 측면이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을 행하기 위한 표준위치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위치 맞춤부(51)는 한 쌍의 피복 클램프부(15) 각각의 외측의 측면에 형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의 융착 접속장치(1)에는 한 쌍의 위치 맞춤부(51)가 설치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좌측의 위치 맞춤부(51)를 사용하여 왼손의 손가락 끝을 위치 맞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측의 위치 맞춤부(51)를 사용하여 오른손의 손가락 끝을 위치 맞춤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 어느 손으로 광섬유(3)(제2광섬유)를 파지하여도 되므로 편리하다. 단, 좌우 양쪽에 위치 맞춤부(51)가 없어도 되며, 좌우 적어도 한쪽에 위치 맞춤부(51)가 있으면 된다.
위치 맞춤부(51)는 피복 클램프부(15)의 베이스부(15A)로부터 상측(누름부(15B) 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판 형상의 위치 맞춤부(51)는 누름부(15B)의 측면의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위치 맞춤부(51)에 손가락 끝을 접촉시킬 때 누름부(15B)에 손가락 끝이 접촉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가 왼손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한 상태로 피복 클램프부(15)로부터 광섬유(3)를 떼어낼 때에 누름부(15B)를 열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판 형상의 위치 맞춤부(51)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위치 맞춤부(51)는 누름부(15B)의 측면의 일부를 외측으로부 덮도록 상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한 쌍의 판부(51A), 한 쌍의 판부(51A)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섬유 삽통부(51B)를 갖는다. 한 쌍의 판부(51A)는 섬유 삽통부(51B)를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안쪽방향)에 나란히 배치된다. 이로써, 앞쪽(가까운 쪽)의 판부(51A)에 엄지손가락의 끝을 접촉시키고, 뒤쪽(안쪽)의 판부(51A)에 검지손가락 끝을 접촉시키면서, 섬유 삽통부(51B)에 삽통된 광섬유(3)를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맞춤부(51)의 외측에 요부(52)가 형성된다. 요부(52)는 피복 클램프부(15)(또는 위치 맞춤부(5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광섬유(3)보다 하측에 오목한 부위이다. 요부(52)가 위치 맞춤부(51)의 외측에 형성됨으로써, 광섬유(3)를 파지하는 손가락 일부를 광섬유(3) 보다 하측으로 넣을 수가 있다. 이로써, 위치 맞춤부(51)에 접촉한 손가락 끝 부위의 근처에 광섬유(3)를 파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요부(52)를 형성함으로써 위치 맞춤부(51)에 접촉한 손가락 끝 부위와 광섬유(3)를 파지하는 손가락 끝 부위를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손가락 끝을 위치 맞춤하면서 광섬유(3)를 파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요부(52)는 손가락 일부를 광섬유(3)보다 하측에 넣도록 하여, 광섬유(3)를 파지하기 용이하게 하는 부위이다. 이 때문에, 요부(52)의 깊이는 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요부(52)는 피복 클램프부(15)의 베이스부(15A)의 상면(V홈이 형성된 면)보다 2mm 이상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다시 말해, 요부(52)가 형성됨으로써, 피복 클램프부(15)의 베이스부(15A)의 상면과 요부(52)의 저면의 사이에 2mm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요부(52)의 깊이가 2mm 미만인 경우, 손가락 일부를 광섬유(3)보다 하측에 넣도록 하기가 어려워진다(단, 요부(52)의 깊이가 2mm 미만이라도, 요부(52)가 없는 구조에 비하면 광섬유(3)를 파지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또한, 요부(52)는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손가락 일부를 광섬유(3)보다 하측에 넣으면서, 전후방향으로부터 2개의 손가락 끝으로 광섬유(3)를 파기하기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요부(52)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부(52)의 외측에 섬유 지지부(54)가 형성된다. 섬유 지지부(54)는 요부(52)(또는 위치 맞춤부(51))로부터 보아 피복 클램프부(15)의 반대측에서 광섬유(3)를 지지하는 부위이다. 섬유 지지부(54)가 광섬유(3)를 지지하는 부위는 요부(52)의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여기서는 피복 클램프부(15)의 베이스부(15A)의 상면과 거의 같은 높이이다. 이 때문에, 광섬유(3)가 섬유 지지부(54)와 피복 클램프부(15)에 지지되면, 광섬유(3)가 요부(52)의 저면으로부터 떠있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변형예에 대하여>
도 7B는 제1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제1변형예에서 위치 맞춤부(51)는 누름부(15B)의 측면의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부(15A)의 측면과 누름부(15B)의 측면에 의해 구성된다. 제1변형예에서는 위치 맞춤부(51)에 손가락 끝을 접촉시킨 때에 누름부(15B)에 손가락 끝이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제1변형예서는 작업자가 왼손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한 상태로 피복 클램프부(15)로부터 광섬유(3)를 떼어낼 때, 누름부(15B)를 열기가 어렵다. 단, 제1변형예와 같이 위치 맞춤부(51)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왼손 손가락을 위치 맞춤부(51)에 접촉시킴으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을 행하면서,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변형예에서도 위치 맞춤부(51)의 외측에 요부(52)가 형성되기 때문에, 광섬유(3)를 파지하는 손가락 일부를 광섬유(3)보다 하측에 넣을 수 있어, 손가락 끝을 위치 맞춤하면서 광섬유(3)를 파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8A는 제2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제2변형예에서 위치 맞춤부(51)는 피복 클램프부(15)의 베이스부(15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형성되는 대신에, 피복 클램프부(15)의 외측에 배치되는 요부(52)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형성된다.
도 8B는 제3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제3변형예에서 위치 맞춤부(51)는 피복 클램프부(15)와는 독립된 가이드부(61)에 설치된다, 가이드부(61)는 위치 맞춤부(51)와 요부(52)(및 섬유 지지부(54))를 갖는다.
제2변형예 및 제3변형예에서도 왼손 손가락을 위치 맞춤부(51)에 접촉시킴으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을 행하면서,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변형예 및 제3변형예에서도 위치 맞춤부(51)의 외측에 요부(52)가 형성되기 때문에, 광섬유(3)를 파지하는 손가락 일부를 광섬유(3)보다 하측에 넣을 수 있어, 손가락 끝을 위치 맞춤하면서 광섬유(3)를 파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를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예를 들면 30mm)으로 설정하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제2변형예 및 제3변형예에서는 피복 클램프부(15)의 좌우방향의 폭을 짧게 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단, 피복 클램프부(15)의 좌우방향의 폭을 짧게 하여도 광섬유(3)를 클램핑하는 힘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면, 제2변형예 및 제3변형예와 같이 위치 맞춤부(51)가 피복 클램프부(15)의 외측에 피복 클램프부(15)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9A는 제4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제4변형에서 위치 맞춤부(51)는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을 갖는다.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은 피복 클램프부(15)(또는 위치 맞춤부(51))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광섬유(3)의 하측에 형성된다.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은 손가락 끝의 형상에 적합한 정도의 곡률로 구성된다. 제4변형예에서, 작업자는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에 손가락 끝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위치 맞춤부(51)에 의해 손가락 끝의 위치를 맞추기 용이하다. 또한, 제4변형예에서는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 중 가장 광섬유(3)에 가까운 부위(가장 피복 클램프부(15)에 가까운 부위)가 표준위치가 되고, 이 표준위치에서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예를 들면 30mm)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로써, 위치 맞춤부(51)에 접촉한 손가락 끝을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인 위치가 되도록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손가락 끝에 접촉하기까지 보강 슬리브(5)를 슬라이드 시킨 때에(도 1B 참조),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을 위치 맞춤하면서, 융착 점속점에 보강 슬리브(5)를 씌울수 있다.
도 9B는 제5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제5변형예에서는 제3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위치 맞춤부(51)가 피복 클램프부(15)와는 독립된 가이드부(61)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5변형예에서는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을 갖는 위치 맞춤부(51)가 가이드부(61)에 설치된다. 또한, 제5변형예에서는 요부(52)의 저면에도 만곡면이 형성된다. 또한, 제5변형예에서도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 중 가장 광섬유(3)에 가까운 부위(가장 피복 클램프부(15)에 가까운 부위)가 표준위치가 되고, 이 표준위치에서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예를 들면 30mm)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로써, 위치 맞춤부(51)에 접촉한 손가락 끝을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인 위치가 되도록 위치 맞춤을 할 수 있다.
상기 제4변형예 및 제5변형예에서도 왼손 손가락을 위치 맞춤부(51)에 접촉시킴으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으로 행하면서,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4변형예 및 제5변형예에서도 위치 맞춤부(51)의 외측에 요부(52)가 형성되기 때문에, 광섬유(3)를 파지하는 손가락 일부를 광섬유(3)보다 하측에 넣을 수 있어, 손가락 끝을 위치 맞춤하면서 광섬유(3)를 파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 제2실시형태 ===
도 10A 및 도 10B는 제2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0A는 피복 클램프부(15)와 글라스 클램프부(13)로 광섬유(3)를 클램핑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0B는 손가락 끝으로 광섬유(3)를 잡은 상태(클램핑되어 있던 광섬유(3)를 떼어낼 때)의 설명도이다.
제2실시형태에서 위치 맞춤부(51)는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의 피복 클램프부(15) 내측에 설치된다. 즉, 제2실시형태에서는 피복 클램프부(15)의 누름부(15B)와 대향하는 베이스부(15A)의 상면에 위치 맞춤부(5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위치 맞춤부(51)는 제1실시형태와 같이 피복 클램프부(15)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복 클램프부(15)의 내측(베이스부(15A)의 상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실시형태와 같이 피복 클램프부(15)의 내측에 위치 맞춤부(51)를 설치한 경우에는 위치 맞춤부(51)의 외측의 요부(52)도 피복 클램프부(15)의 내측(베이스부(15A)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 작업자는 클램핑된 한 쌍의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한 후, 다음과 같은 수순으로 광섬유(3)를 떼어내게 된다.
융착 접속 후, 작업자는 먼저 방풍 커버(17)를 연다. 이로써, 방풍 커버(17)에 설치된 글라스 클램프부(13)의 누름부(13B)가 떨어지며 광섬유(3)의 글라스부가 개방된다.
다음, 작업자는 우측의 피복 클램프부(15)(미도시)를 열지 않고 우측의 피복 클램프(미도시)에 광섬유(3)(제1광섬유)를 클램핑 시킨 채로 좌측의 피복 클램프부(15)의 누름부(15B)를 연다. 다음, 작업자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손 손가락을 위치 맞춤부(51)에 접촉시킴으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을 행하면서,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제2광섬유)를 파지한다. 이 때, 위치 맞춤부(51)에 접촉한 손가락 끝은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위치 맞춤된다. 또한, 이 때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맞춘 손가락 끝으로 광섬유(3)(제2광섬유)를 파지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왼손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한 상태로 우측의 피복 클램프부(15)(미도시)의 누름부(15B)를 연다. 이로써, 클램핑된 융착 접속 후의 광섬유(3)(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를 떼어내서, 융착 접속부(10)로부터 광섬유(3)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3)를 취출한 후의 작업은 후술하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다(도 1B~도 1D 참조).
그런데,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를 보강 슬리브(5) 길이의 절반(예를 들면 30mm)으로 설정하는 제약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이 위치 맞춤부(51)를 피복 클램프부(15)의 외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피복 클램프부(15)의 좌우방향의 폭을 비교적 짧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제2실시형태에서는 위치 맞춤부(51)를 피복 클램프부(15)의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피복 클램프부(15)의 좌우방향의 폭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제2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3)를 클램핑하는 힘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피복 클램프부(15)를 설계하기가 용이하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부(15)는 장치 상면에 탈착가능한 홀더에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의 피복 클램프부(15)의 내측(베이스부(15A)의 상면)에 위치 맞춤부(51)나 요부(52)가 형성되게 된다.
=== 제3실시형태 ===
도 11은 제3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와는 달리, 위치 맞춤부(51)의 외측에 요부(52)가 형성되지 않는다. 단, 제3실시형태에서도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의 피복 클램프부(15)의 외측에 위치 맞춤부(51)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제3실시형태에서도 왼손 손가락을 위치 맞춤부(51)에 접촉시킴으로써 손가락 끝의 위치 맞춤을 행하면서,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형태에서 섬유 지지부(54)가 광섬유(3)를 지지하는 부위는 피복 클램프부(15)의 베이스부(15A)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이다. 이 때문에, 광섬유(3)가 섬유 지지부(54)와 피복 클램프부(15)에 지지되면, 위치 맞춤부(51)의 위치에서는 광섬유(3)가 저면으로부터 떠있는 상태가 되어, 광섬유(3)의 하측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2개의 손가락으로 광섬유(3)를 파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3실시형태에서는 섬유 지지부(54)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가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2개의 손가락에 의한 광섬유(3)의 파지의 용이한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 소괄 ===
상술한 제1실시형태~제3실시형태의 융착 접속장치(1)는, 한 쌍의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하는 전극(11)(접속부)와, 전극(11)의 외측에 설치되는 글라스 클램프부(13)와, 글라스 클램프부(13)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복 클램프부와, 방풍 커버(17)와, 보강 슬리브를 가열하는 히터(21)와, 광섬유(3)를 잡는 손가락의 위치 맞춤 가능한 위치 맞춤부(51)를 구비한다. 또한, 위치 맞춤부(51)는 어느 실시형태에서도 방풍 커버(17) 내의 장치 상면에 설치되며,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에서는 피복 클램프부(15)의 외측에 설치되고, 제3실시형태에서는 피복 클램프부(15)의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1실시형태~제3실시형태에서는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히터(21)의 길이(Lh)의 절반 이하이다. 히터(21)의 길이(Lh)는 보강 슬리브(5)의 길이(L)보다 길기 때문에,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를 히터(21)의 길이(Lh)의 절반 이하로 함으로써, 도 1A~도 1D와 같이 위치 맞춤을 행할 때에 히터(21)에 중심에 융착 접속점 및 보강 슬리브의 중심을 맞출 수 있어,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도 1A~도 1D 참조)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히터(21) 길이의 절반보다 크면, 도 1B와 같이 보강 슬리브(5)의 위치 맞춤을 행할 때에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의 위치관계가 어긋나게 되고, 도 1D와 같이 보강 슬리브(5)를 히터(21)에 세팅한 때에 보강 슬리브(5)의 중심과 히터(21)의 중심의 위치관계가 어긋나게 된다. 이 때문에,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히터(21)의 길이(Lh)의 절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히터(21)의 길이(Lh)가 최장 68mm 이기 때문에,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34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형태~제3실시형태에서는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융착 접속점에 씌워지는 최장의 보강 슬리브 길이의 절반 이하이다. 구체적으로는, 최장의 보강 슬리브의 길이가 62mm 이기 때분에,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3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슬리브(5)의 위치 맞춤을 행할 때에,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을 맞출 수 있고,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의 위치관계의 어긋남은 보강 슬리브(5)의 표준길이(60mm 이상 62mm 이하)와 최장의 보강 슬리브(5)의 길이(62mm)의 오차(2mm)의 범위라면 허용가능하기 때문에,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의 하한값은 표준길이(60mm)에서 오차(2mm)를 뺀 값(58mm)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58mm의 절반 이상(표준길이인 60mm 에서 오차 2mm를 뺀 값의 절반 이상), 62mm의 절반 이하(최장의 보강 슬리브(5)의 길이의 절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형태~제3실시형태에서는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융착 접속점에 씌워지는 보강 슬리브의 표준길이(60mm 이상 62mm 이하)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는 30mm 이상 3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슬리브(5)의 위치 맞춤을 행할 때에, 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을 맞출 수 있어,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7A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에서 위치 맞춤부는 피복 클램프부(15)의 누름부(15B)의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위치 맞춤부(51)에 손가락 끝을 접촉시킨 때에 누름부(15B)에 손가락 끝이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광섬유(3)를 파지한 상태로 피복 클램프부(15)로부터 광섬유(3)을 떼어낼 때에 누름부(15B)를 열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7A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에서 위치 맞춤부(51)는 베이스부(15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한 쌍의 판부(51A), 한 쌍의 판부(51A)의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섬유 삽통부(51B)를 갖는다. 이로써, 한쪽의 판부(51A)에 엄지손가락의 끝을 접촉시키고, 다른 쪽의 판부(51A)에 검지손가락을 접촉시키면서 섬유 삽통부(51B)에 삽통된 광섬유(3)를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에서 위치 맞춤부(51)의 외측에 요부(52)가 형성된다. 이로써, 손가락 끝을 위치 맞춤하면서 광섬유(3)를 파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요부(52)의 깊이는 2mm 이상이다. 이로써, 손가락 일부를 광섬유(3)보다 하측에 넣기 용이하게 되어 광섬유(3)를 파지하기 용이하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제2실시형태에서는 피복 클램프부(15)의 누름부(15B)와 대향하는 베이스부(15A)의 상면에 위치 맞춤부(51)가 설치된다. 위치 맞춤부(51)와 융착 접속점의 거리를 보강 슬리브(5)의 길이의 절반으로 설정하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피복 클램프부(15)의 내측에 위치 맞춤부(51)를 설치함으로써, 피복 클램프부(15)의 좌우방향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제4변형예 및 제5변형예(도 9A 및 도 9B)에서 위치 맞춤부(51)는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을 가지며,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은 피복 클램프부(15)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광섬유(3)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로써,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에 손가락 끝을 맞출 수 있어, 위치 맞춤부(51)에 의해 손가락 끝의 위치를 맞추기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3)의 보강방법에서, 작업자는 융착 접속장치(1)에 광섬유(3)를 세팅하기 전에 한 쌍의 광섬유(3) 중 한 쪽의 광섬유(3)(제1광섬유)에 보강 슬리브(5)를 미리 삽입한다. 다음. 작업자는 한 쌍의 광섬유(3)를 각각 융착 접속장치(1)에 세팅한다. 구체적으로는, 보강 슬리브(5)를 삽입한 한 쪽의 광섬유(3)(제1광섬유)의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한 쪽의 피복 클램프부(15)(제1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 하면서,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한 쪽의 글라스 클램프부(13)(제1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 하고, 다른 쪽의 광섬유(3)(제2광섬유)의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쪽의 피복 클램프부(15)(제2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 하면서,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다른 쪽의 글라스 클램프부(13)(제2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클램핑된 한 쌍의 광섬유(3)를 융착 접속한다. 그리고,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융착 접속 후,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보강 슬리브(5)의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맞춘 손가락 끝으로 다른 쪽의 광섬유(3)(제2광섬유)를 잡은 상태로, 클램핑된 광섬유(3)(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를 떼어낸다. 다음으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한 쪽의 광섬유(3)(제1광섬유)에 삽입한 보강 슬리브를 다른 쪽의 광섬유(3)(제2광섬유)를 잡은 손가락 끝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융착 접속점에 보강 슬리브를 씌운다. 이와 같은 광섬유(3)의 보강방법에 의하면, 보강 슬리브의 위치 맞춤 작업(융착 접속점과 보강 슬리브(5)의 중심을 맞추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 그 외 ===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ㆍ개량될 수 있고,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 융착 접속장치
3: 광섬유
5: 보강 슬리브
5A: 외튜브
5B: 항장력체
5C: 핫멜트 접착제
10: 융착 접속부
11: 전극
13: 글라스 클램프부
13A: 베이스부
13B: 누름부
15: 피복 클램프부
15A: 베이스부
15B: 누름부
17: 방풍 커버
20: 가열부
21: 히터
22: 히터 커버
31: 조작부
32: 표시부
51: 위치 맞춤부
51A: 판부
51B: 섬유 삽통부
52: 요부
54: 섬유 지지부
61: 가이드부
91: 가이드
92: 가이드부
93: 가이드

Claims (12)

  1. 한 쌍의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클램핑하는 글라스 클램프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상기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클램핑하는 피복 클램프부;
    상기 접속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 및 상기 피복 클램프부를 덮는 방풍 커버;
    상기 접속부에 의해 융착 접속된 상기 광섬유의 융착 접속점에 씌워진 보강 슬리브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방풍 커버 내의 장치 상면의 상기 피복 클램프부의 내부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를 잡는 손가락의 위치 맞춤 가능한 위치 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맞춤부와 상기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상기 히터 길이의 절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맞춤부와 상기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34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3. 한 쌍의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클램핑하는 글라스 클램프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상기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클램핑하는 피복 클램프부;
    상기 접속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 및 상기 피복 클램프부를 덮는 방풍 커버;
    상기 접속부에 의해 융착 접속된 상기 광섬유의 융착 접속점에 씌워진 보강 슬리브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방풍 커버 내의 장치 상면의 상기 피복 클램프부의 내부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를 잡는 손가락의 위치 맞춤 가능한 위치 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맞춤부와 상기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상기 히터 길이의 절반 미만임과 동시에 상기 융착 접속점에 씌워지는 최장의 보강 슬리브 길이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맞춤부와 상기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3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5. 한 쌍의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클램핑하는 글라스 클램프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의 상기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클램핑하는 피복 클램프부;
    상기 접속부, 상기 글라스 클램프부 및 상기 피복 클램프부를 덮는 방풍 커버;
    상기 접속부에 의해 융착 접속된 상기 광섬유의 융착 접속점에 씌워진 보강 슬리브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방풍 커버 내의 장치 상면의 상기 피복 클램프부의 내부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를 잡는 손가락의 위치 맞춤 가능한 위치 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맞춤부와 상기 융착 접속점의 거리가, 상기 히터 길이의 절반 미만임과 동시에 상기 융착 접속점에 씌워지는 보강 슬리브의 표준길이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가 놓여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누름부를 가지며,
    상기 위치 맞춤부는 상기 누름부의 외측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맞춤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한 쌍의 판부, 한 쌍의 상기 판부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섬유 삽통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맞춤부의 외측에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의 깊이는 2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가 놓여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누름부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와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위치 맞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맞춤부는 오목한 형상의 만곡면을 가지며,
    상기 만곡면은 상기 피복 클램프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상기 광섬유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장치.
  12. 융착 접속 전에 보강 슬리브를 미리 제1광섬유에 삽입하는 것;
    상기 제1광섬유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제1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 하면서, 상기 제1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제1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 하고, 제2광섬유 피복의 적어도 일부를 제2피복 클램프부로 클램핑 하면서, 상기 제2광섬유의 피복이 제거된 글라스부를 제2글라스 클램프부로 클램핑 하는 것;
    클램핑된 상기 제1광섬유와 상기 제2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것;
    융착 접속 후, 방풍 커버 내의 장치 상면의 위치이고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보강 슬리브의 절반이 되는 위치로서, 상기 융착 접속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보강 슬리브를 가열하는 히터 길이의 절반 미만인 상기 위치에 맞춘 손가락 끝으로 상기 제2광섬유를 잡은 상태로, 클램핑된 상기 제1광섬유 및 상기 제2광섬유를 떼어내는 것;
    상기 제1광섬유에 삽입한 상기 보강 슬리브를 상기 제2광섬유를 잡은 손가락 끝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상기 융착 접속점에 상기 보강 슬리브를 씌우는 것;
    상기 제1광섬유 및 상기 제2광섬유에 대한 상기 보강 슬리브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상기 손가락 끝을 상기 제2광섬유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보강 슬리브와 상기 손가락 끝의 사이에 간격을 두는 것; 및
    상기 보강 슬리브를 상기 히터로 가열하는 것;
    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강방법.
KR1020187027711A 2018-05-21 2018-05-28 융착 접속장치 및 광섬유 보강방법 KR102097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6785 2018-05-21
JP2018096785A JP6397599B1 (ja) 2018-05-21 2018-05-21 融着接続装置及び光ファイバ補強方法
PCT/JP2018/020316 WO2019225021A1 (ja) 2018-05-21 2018-05-28 融着接続装置及び光ファイバ補強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885B1 true KR102097885B1 (ko) 2020-04-06

Family

ID=6366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711A KR102097885B1 (ko) 2018-05-21 2018-05-28 융착 접속장치 및 광섬유 보강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35725B2 (ko)
EP (1) EP3591447B1 (ko)
JP (1) JP6397599B1 (ko)
KR (1) KR102097885B1 (ko)
CN (2) CN110515160B (ko)
WO (1) WO2019225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7599B1 (ja) * 2018-05-21 2018-09-26 株式会社フジクラ 融着接続装置及び光ファイバ補強方法
US11086075B2 (en) * 2019-10-30 2021-08-10 Alliance Fiber Optic Products, Inc. Fiber array units with mode-field diameter conversion, and fabrication method
CN112946819B (zh) * 2021-02-23 2022-06-14 深圳市林普世纪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稳定可靠的光纤熔接机对准调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0160A (ja) * 1996-02-21 1997-09-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部材の加熱装置
JP4141891B2 (ja) 2003-05-01 2008-08-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補強方法及び光ファイバ補強装置
JP2011048404A (ja) * 2010-12-09 2011-03-10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ァイバ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2915A (ja) 1982-06-04 1983-12-10 Sumitomo Electric Ind Ltd 熱収縮チユ−ブの加熱方法及び装置
US5170456A (en) * 1988-09-07 1992-12-08 Fujikura Ltd. Apparatus for aligning a plurality of single-fiber cables
JP2000347067A (ja) * 1999-06-03 2000-12-15 Fujikura Ltd 熱収縮スリーブ加熱装置
US6485199B1 (en) * 2000-04-13 2002-11-26 Amherst Holding Co. Disposable optical fiber splice sleeve and method for applying same
US7090406B2 (en) 2000-05-26 2006-08-15 Corning Cable Systems Llc Preconnectorized fiber optic drop cables and assemblies
JP2004325623A (ja) 2003-04-23 2004-11-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補強装置及び融着接続部補強方法
US7212718B2 (en) 2003-11-12 2007-05-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treatment of optical fiber reinforcing memb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US7410308B2 (en) * 2006-01-09 2008-08-12 All Optronics, Inc. Fiber optic cable splice
US7568844B2 (en) 2006-08-15 2009-08-04 Corning Cable Systems Llc Ruggediz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JP2012083635A (ja) 2010-10-14 2012-04-26 Sei Optifrontier Co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方法
JP5209126B1 (ja) 2012-03-29 2013-06-1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EP2700990B1 (en) 2012-03-29 2017-09-20 Fujikura Ltd.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US20160306126A1 (en) * 2013-12-06 2016-10-20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Tool for preparing a cable for termination
JP6576051B2 (ja) 2015-03-06 2019-09-1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コネクタ付き光ケーブル及び光コネクタ取り付け方法
US10162125B2 (en) 2015-03-06 2018-12-25 Fujikura Ltd. Plug-side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system
JP6554734B2 (ja) * 2015-03-10 2019-08-07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JP6397599B1 (ja) 2018-05-21 2018-09-26 株式会社フジクラ 融着接続装置及び光ファイバ補強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0160A (ja) * 1996-02-21 1997-09-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部材の加熱装置
JP4141891B2 (ja) 2003-05-01 2008-08-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補強方法及び光ファイバ補強装置
JP2011048404A (ja) * 2010-12-09 2011-03-10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ァイバ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5021A1 (ja) 2019-11-28
CN208766330U (zh) 2019-04-19
EP3591447A1 (en) 2020-01-08
US10935725B2 (en) 2021-03-02
CN110515160B (zh) 2021-05-11
EP3591447A4 (en) 2020-01-08
CN110515160A (zh) 2019-11-29
EP3591447B1 (en) 2021-02-17
US20200310033A1 (en) 2020-10-01
JP6397599B1 (ja) 2018-09-26
JP2019203909A (ja)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885B1 (ko) 융착 접속장치 및 광섬유 보강방법
EP2241914B1 (en) Optical fiber cable holder, fusion splicer including the hold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using the holder
JP5277962B2 (ja) ホルダ及び融着接続機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101586964B1 (ko) 융착 접속기
CN102893190B (zh) 光纤加固用加热器以及光纤熔融连接装置
KR20080064989A (ko) 광 커넥터, 섬유 분배 유닛 및 광 커넥터용 섬유 종단 접속플랫폼
KR101699563B1 (ko) 접속부의 보강 방법 및 보강 구조
CN102713710A (zh) 光连接器、光连接器的组装方法、熔敷连接部的加强方法、销夹紧件、带盖光连接器、光连接器用盖、光连接器的组装工具以及光连接器组装套件
KR20140004719A (ko)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
KR20090065485A (ko) 스플라이스 요소를 갖는 현장 접속가능 광섬유 커넥터
KR20140004684A (ko) 광 파이버 보강용 가열기 및 광 파이버 융착 접속 장치
JP4495173B2 (ja) フェルールホルダおよび融着接続機
CN114041075A (zh) 光纤排列方法、光纤熔接方法、带连接器光纤带的制造方法以及间歇连结型的光纤带
CN100439954C (zh) 光纤增强法和光纤增强装置
CN103907039B (zh) 保护套筒
JP5136631B2 (ja) ファイバホルダ
JP2006235199A (ja) 光ファイバホルダーおよび融着接続機
JP7405656B2 (ja) ホルダ用治具、治具セット及び融着接続方法
JP7202509B2 (ja) 融着接続機用治具及び加熱方法
JP2011203534A (ja) 接続補強器及び融着接続機
JP2005148170A (ja) 光ファイバ補強部材の加熱処理装置及び加熱処理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CN107615122B (zh) 光纤保持构件以及熔接机
JP6155508B2 (ja) 光ファイバの一括融着接続方法
JPH09230160A (ja)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部材の加熱装置
JP2013114135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及び融着接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