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780B1 -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 Google Patents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780B1
KR102096780B1 KR1020190072724A KR20190072724A KR102096780B1 KR 102096780 B1 KR102096780 B1 KR 102096780B1 KR 1020190072724 A KR1020190072724 A KR 1020190072724A KR 20190072724 A KR20190072724 A KR 20190072724A KR 102096780 B1 KR102096780 B1 KR 10209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basket
stage
fire truck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봉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주)한서정공
Priority to KR102019007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4Other accessories on ladders, e.g. acoustical signalling devices, dismountable switc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adder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서, 노약자나 어린이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사람이 사다리를 타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소방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방차 차량 구동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사다리 승강장치와, 다단으로 구비되어 신축되며 최상부의 사다리가 일정각도로 굴절되는 고가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차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사다리의 굴절부(A)가 사다리 구조체의 내부로 진입되고, 상기 최상부 사다리의 선단에 바스켓(30)이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FIRE TRUCK HAVING BASKET AND HIGH RISE LADDER OF FOLDING TYPE}
본 발명은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 사다리 중 마지막 사다리가 접히는 굴절부가 사다리 구조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마지막 사다리의 길이를 최대한 증가시켜 작업반경을 확대할 수 있고, 마지막 사다리의 단부에 에 바스켓을 장착하여 노약자나 어린이를 안전하게 구출함과 동시에, 다수의 사람이 사다리를 타고 연속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사다리 전체의 길이를 짧게 하여 골목길도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사다리의 승강 중에 바스켓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사다리 소방차는, 여러 단으로 구성되는 고가사다리를 구비하여 고층건물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이러한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고가사다리 소방차는, 차량 구동부와, 다단으로 신장되고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고가사다리(10)와, 상기 고가사다리(10) 전체를 경사지게 들어올리고 하강시킬 수 있도록 차량 프레임에 구비되는 승강장치(1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가사다리(10a)는, 조작자가 사다리 운전석(10b)에서 컨트롤러를 조작함으로써 고가사다리(10a)를 신장 및 수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고가사다리의 양 측부에는 난간이 구비되어, 소방관이나 탈출자가 상기 난간을 잡고 고가사다리 구조체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10a)의 하부에는 턴 테이블이 구비되어, 일정각도로 상기 고가사다리(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방차 차량의 프레임에는, 소방차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아웃트리거 장치, 공구 보관함 등이 구비된다.
상기한 고가사다리 소방차에 의하면, 차량을 화재장소의 적절한 위치에 정차시킨 후, 조작자가 고가사다리(10)를 신장시켜 발화지점에 근접시켜 화재 진압이나 인명구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단식 고가사다리(10)를 구비한 소방차 중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마지막의 사다리를 일정각도로 굴절시킬 수 있도록 한 소방차가 있다(이하 간단히 '굴절식 소방차'라 한다),
상기한 굴절식 소방차에 의하면, 경사지게 신장되는 다단 사다리에서 맨 마지막의 사다리를 수평상태로 굴절시킬 수 있으므로, 사다리의 선단을 건물의 베란다나 창문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소방관이 화재지점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고,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고가사다리의 내부로 안전하게 진입하여 지상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굴절식 고가사다리를 구비한 소방차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사다리가 굴절되는 굴절부(A)가, 사다리 구조체의 외부에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컨대 4단 사다리의 경우, 3단 사다리와 4단 사다리의 연결부위인 굴절부(A)가 사다리 구조체의 외부에 위치하여, 마지막 4단 사다리가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돌출된 굴절 사다리에 의해 소방차가 좁은 골목길에 진입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4단 사다리는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 돌출되는 구조이므로, 4단 사다리의 길이를 길게 하는데 한계가 있고, 상기 4단 사다리의 단부에 바스켓을 장착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외팔보 형태의 4단 사다리의 단부에 바스켓을 장착하여 사람이 탑승하게 되면, 외부로 노출된 굴절부(A)에 많은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위협을 받게 된다.
또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4단 사다리의 단부에 다시 바스켓이 장착되면, 소방차의 운행에 지장을 주게 되고, 작업 반경에도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굴절식 고가사다리의 단부에는 바스켓을 장착하지 못하고 있어, 노약자나 어린이를 구출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
한편 고가사다리의 난간을 잡고 탈출이 어려운 노약자나 어린이를 구출하기 위해, 다단사다리가 아닌 일반 붐(Boom)의 선단에 바스켓을 장착하여 구조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다단사다리가 아닌 일반 붐을 구비한 소방차에서 바스켓에 의해서만 인명을 구조하는 경우에는, 바스켓에 탑승할 수 있는 인원에 제한이 있어 한꺼번에 많은 사람을 구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람이 탑승한 바스켓을 지상에 내려놓고 다시 화재지점으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인명구조에 시간이 아주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주변의 구조물에 의해 바스켓을 지상에 내려놓고 올리는 작업이 지장을 받게 되어, 신속을 요하는 인명구조 작업이 더욱 지연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굴절식 고가사다리에 의하면, 사다리에 의해 많은 인원을 연속적으로 대피시킬 수는 있으나, 노약자나 어린이를 구출할 수가 없고, 다단사다리가 아닌 일반 붐에 바스켓을 장착하여 구출할 경우에는 노약나 어린이는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으나, 많은 사람을 신속하게 대피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2014-0117246 A KR 10-2009-0059359 A KR 10-2009-0009569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약자나 어린이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사람이 사다리를 타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절되는 마지막 사다리가 사다리 구조체의 내부로 진입하여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마지막 사다리가 사다리 구조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지막 사다리가 사다리 구조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소방차가 좁은 골목길에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굴절되는 마지막 사다리를 최대한 길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반경을 확대하고 사다리가 건물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다리의 승강 중에 바스켓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바스켓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방차 차량 구동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사다리 승강장치와, 다단으로 구비되어 신축되며 최상부의 사다리가 일정각도로 굴절되는 고가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차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사다리의 굴절부가 사다리 구조체의 내부로 진입되고, 상기 최상부 사다리의 선단에 바스켓이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단으로 구비되는 사다리는, 1단 사다리, 2단 사다리, 3단 사다리 및 4단 사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3단 사다리는 2단 사다리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4단 사다리의 굴절부는 2단 사다리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단 사다리의 선단에 바스켓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 후크와 연결되는 바스켓은, 한 쌍의 레벨링 실린더와, 한 쌍의 레벨링 아암과, 한 쌍의 레벨링 링크에 의해 승강 중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스켓의 몸체와 레벨링 링크는, 바스켓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스켓에, 카운터밸런스 밸브와 압력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스켓의 전면 양측에 전면 탑승구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 탑승구의 후면에 탈출자가 4단 사다리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 탑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다리 탑승부재는, 바스켓이 수평으로 접혀질 때 탄성부재에 의해 일정각도로 접혀져, 4단 사다리의 선단 경사부재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다리 구조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데릭 각도센서와, 사다리 구조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브 각도센서와, 바스켓에 구비되는 바스켓 수평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굴절식 다단사다리를 구비한 소방차에도 바스켓을 장착할 수가 있으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사람이 사다리를 타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방관이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거쳐 화재지점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절되는 마지막 사다리가 사다리 구조체의 내부로 진입하여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마지막 사다리가 사다리 구조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굴절되는 사다리가 사다리 구조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골목길에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절되는 마지막 사다리를 최대한 길게 구성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소방차의 작업반경을 확대할 수 있고, 건물의 측면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스켓에 구비되는 사다리 탑승부재에 의해, 다수의 사람이 바스켓의 내부에서 고가사다리 내부로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다리의 승강 중에 바스켓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바스켓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스켓이 마지막 사다리의 선단에 탈착 가능한 구조이므로, 각종 장비를 장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굴절식 고가사다리 소방차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고가사다리 소방차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2a는 종래 소방차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소방차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측면도로서, 3a는 사다리가 신장된 상태, 3b는 사다리가 수축된 상태, 3c는 바스켓을 지상에 내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6a는 센서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6b는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를 설명하기에 앞서, 굴절식 고가사다리를 구비한 소방차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굴절식 고가사다리 소방차는, 소방차 차량 구동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사다리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상부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신축되는 고가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가사다리는, 1단 사다리, 2단 사다리, 3단 사다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최상부에 4단 사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다단의 고가사다리를 신장시켜 건물의 측면에 근접시키게 되면, 사다리가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맨 마지막의 사다리를 건물 측면에 완전히 밀착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고가사다리가 3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최상부 3단 사다리가 일정각도로 굴절되도록 하고, 4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최상부 4단 사다리가 일정각도로 굴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마지막 사다리를 굴절식으로 구성하여 건물의 측면에 수평상태로 밀착시킴으로써, 소방관이 건물의 측면에 용이하게 진입하고, 탈출자가 건물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다단 사다리는 사다리 신축 실린더 및 와이어에 의해 신장 및 수축된다. 즉 1단 사다리, 2단 사다리, 3단 사다리는 서로 연동하여 신장되고 수축된다.
상기 사다리를 신장 및 수축시키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차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다리가 최대한 신장된 상태에서 바스켓(30)과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다단 사다리가 최대한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바스켓(30)을 지상에 내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4단 사다리(25)의 바스켓(30)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에서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차는, 소방차 차량 구동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사다리 승강장치와, 다단으로 구비되어 신축되며 최상부의 사다리가 일정각도로 굴절되는 고가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차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사다리의 굴절부(A)가 사다리 구조체의 내부로 진입되고, 상기 최상부 사다리의 선단에 바스켓(30)이 탈착식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다단 사다리가, 1단 사다리(20a), 2단 사다리(26), 3단 사다리(28) 및 4단 사다리(25)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3단 사다리(28)는 2단 사다리(26)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4단 사다리(25)의 굴절부(A)는 2단 사다리(26)의 내부에 수용된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마지막의 최상부 사다리인 4단 사다리(25)는 3단 사다리(28)와의 연결부위가 굴절되며, 4단 사다리의 굴절부(A)는 사다리의 수축시 2단 사다리(26)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단 사다리의 굴절부(A)에는 4단 사다리를 굴절시키기 위한 굴절 실린더(24) 및 굴절축(25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굴절 실린더(24) 및 굴절축(25a)에, 4단 사다리(25)를 원하는 각도로 굴절시킬 수가 있다.
종래의 굴절식 고가사다리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마지막의 사다리인 4단 사다리의 굴절부(A)가 사다리 구조체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즉 맨 마지막 사다리가 소방차 차량의 전방에 돌출되는 상태가 되어, 좁은 골목길을 진입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맨 마지막 사다리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가 없어 소방차의 작업반경에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종래의 굴절식 사다리는, 굴절부(A)가 사다리 구조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굴절되는 마지막 4단 사다리가 사다리 구조체에 대하여 외팔보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마지막 사다리의 선단에 바스켓을 장착하여 사람이 탑승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굴절부(A)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여 바스켓을 장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다리 구조체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사다리 구조체의 전체 중량이 증가되면,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고가사다리의 회전 및 승강 작업에 지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신속한 구조 작업을 생명으로 하는 소방차에 적합하지가 않다.
또한 마지막 사다리가 여전히 외팔보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바스켓에 탑승하고 있는 탈출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없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 수축시 맨 마지막 사다리인 4단 사다리(25)의 일부가 2단 사다리(26)의 내부로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의 수축시 4단 사다리(25)의 굴절부(A)가 사다리 구조체의 내부로 수용되어 안착된다.
이에 따라 4단 사다리(25)의 길이를 최대한 증가시켜, 소방차의 작업반경을 확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4단 사다리(25)를 수축시켜 굴절부(A)가 2단 사다리(26)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면, 4단 사다리(25)의 돌출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이렇게 4단 사다리(25)의 돌출을 최소화하면, 사다리의 전체 길이가 짧아져 측면 회전시 회전반경이 짧아지므로, 소방차가 좁을 골목길도 진입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4단 사다리(25)의 선단에는, 바스켓(30)과 연결하기 위한 바스켓 후크(27)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벨링 실린더(31)와, 한 쌍의 레벨링 아암(32)과, 한 쌍의 레벨링 링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스켓(30)의 몸체와 레벨링 링크(33)는 바스켓 회전축(37)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레벨링 실린더(31)에는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센서(36)가 구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 사다리(28)에는 한 쌍의 카운터밸런스 밸브(25b)가 구비되고, 바스켓(30)에도 한 쌍의 카운터밸런스 밸브(25b)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 구조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데릭 각도센서(S1)와, 다사리 구조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브 각도센서(S2)와, 바스켓(30)에 구비되는 바스켓 수평센서(S3)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사다리의 승강 중에 바스켓(30)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바스켓의 수평상태를 연산한 후, 바스켓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지를 확인하여 바스켓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스켓(30)은, 전면(도 5에서 오른쪽) 양측에 전면 탑승구(38)가 구비되고, 전면 탑승구(38)의 후면에는 탈출자가 4단 사다리(25)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 탑승부재(34)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 탑승부재(34)는, 바스켓(30)이 수평으로 접혀질 때 탄성부재(35)에 의해 일정각도로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사다리와 바스켓(30)이 완전히 접혀질 때, 4단 사다리(25)의 선단 경사부재(25f)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바스켓(30)이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차를 적절한 장소에 정차시키고, 사다리 구동실린더를 작동시켜 다단 사다리를 신장시킨다.
그러면 1단 사다리, 2단 사다리 및 3단 사다리가 연속적으로 신장된다.
이어서 사다리 굴절부(A)에 구비된 굴절실린더(24)를 작동시켜 마지막 사다리인 4단 사다리(25)를 아래 방향으로 굴절시켜, 바스켓(30)이 건물 측면의 베란다나 창문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어서 소방관이 고사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화재지점에 근접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바스켓(30)을 경유하여 건물 내부로 진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다리를 타고 내려오기 어려운 노약자나 어린이가 바스켓(30)에 탑승하도록 한 후, 사다리를 수축시켜 바스켓(30)을 지상에 내려놓는다.
노약자나 어린이의 구조가 완료되면, 일반 사람들이 바스켓(30)을 경유하여 사다리의 내부로 진입한 후 사다리를 타고 연속적으로 내려오도록 한다.
인명 구조가 완료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사다리를 완전히 수축시키고, 바스켓(30)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한 후에 차량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다리의 수축시 맨 마지막에 굴절되는 사다리의 굴절부(A)가 사다리 구조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다단사다리를 굴절식으로 구성하면서도 마지막 사다리의 선단에 바스켓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즉 마지막에 굴절되는 사다리에 바스켓을 장착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했던 굴절식 고가사다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사다리를 타고 내려오기 어려운 노약자는 바스켓을 통해 구출하고, 일반 사람들은 사다리를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가 있다.
특히 사다리 타입과 바스켓 타입의 장점을 모두 이용함으로써, 일반 붐에 바스켓을 장착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경우에 비해, 다수의 인명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고가사다리 10a: 승강장치
10b: 사다리 운전석 10c: 4단 사다리
20: 굴절식 고가사다리 20a: 1단 사다리
21: 3단 측면 패드(Pad) 22: 3단 하부롤러
23: 3단 측면 가이드 24: 굴절 실린더(Cylinder)
25: 4단 사다리 25a: 굴절축
25b: 카운터밸런스 밸브(Counter Balance Valve)
25c: 4단 실린더 조정부
25d: 바스켓 레벨링(Basket Levelling) 장치
25e: 레벨링 실린더 25f: 경사부재
26: 2단 사다리 27: 바스켓 후크(Basket Hook)
28: 3단 사다리 29: 선단롤러
30: 바스켓(Basket)
31: 레벨링 실린더(Levelling Cylinder)
32: 레벨링 아암(Arm) 33: 레벨링 링크(Link)
34: 사다리 탑승부재 35: 탄성부재
36: 압력센서 37: 바스켓 회전축
38: 전면 탑승구
A: 굴절부
S1: 데릭(Derrick) 각도센서
S2: 지브(Jib) 각도센서
S3: 바스켓(Basket) 각도센서

Claims (8)

  1. 소방차 차량 구동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사다리 승강장치와, 다단으로 구비되어 신축되며 최상부의 사다리가 일정각도로 굴절되는 고가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차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사다리의 굴절부(A)가 사다리 구조체의 내부로 진입되고,
    상기 최상부 사다리의 선단에 바스켓(30)이 탈착식으로 장착되고,
    다단으로 구비되는 사다리는, 1단 사다리(20a), 2단 사다리(26), 3단 사다리(28) 및 4단 사다리(25)로 이루어지고,
    상기 3단 사다리(28)는 2단 사다리(26)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4단 사다리(25)의 굴절부(A)는 2단 사다리(26)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4단 사다리(25)의 선단에 바스켓 후크(27)가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 후크(27)와 연결되는 바스켓(30)은,
    한 쌍의 레벨링 실린더(31)와, 한 쌍의 레벨링 아암(32)과, 한 쌍의 레벨링 링크(33)에 의해 승강 중에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바스켓(30)의 전면 양측에 전면 탑승구(38)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 탑승구(38)의 후면에 탈출자가 4단 사다리(25)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 탑승부재(34)가 더 구비되며,
    상기 사다리 탑승부재(34)는,
    바스켓(30)이 수평으로 접혀질 때 탄성부재(35)에 의해 일정각도로 접혀져, 4단 사다리(25)의 선단 경사부재(25a)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30)의 몸체와 레벨링 링크(33)는, 바스켓 회전축(37)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30)에, 카운터밸런스 밸브(25b)와 압력센서(3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사다리 구조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데릭 각도센서(S1)와,
    사다리 구조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브 각도센서(S2)와,
    바스켓(30)에 구비되는 바스켓 수평센서(S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KR1020190072724A 2019-06-19 2019-06-19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KR10209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24A KR102096780B1 (ko) 2019-06-19 2019-06-19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24A KR102096780B1 (ko) 2019-06-19 2019-06-19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780B1 true KR102096780B1 (ko) 2020-04-03

Family

ID=7028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24A KR102096780B1 (ko) 2019-06-19 2019-06-19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335A1 (en) * 2020-09-15 2022-03-24 Volkan İtfai̇ye Araçla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ladder mechanism for heavy commercial vehicl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591A (ja) * 2001-06-19 2003-01-08 Nippon Kikai Kogyo Kk 高所作業車
JP2004283452A (ja) * 2003-03-24 2004-10-14 Morita Corp 梯子車
KR20060031053A (ko) *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굴절식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가사다리
KR20090009569A (ko) 2007-07-20 2009-01-23 김차관 소방차
KR20090059359A (ko) 2007-12-06 2009-06-11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소방차용 다기능 바스켓
KR20100090557A (ko) *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호룡 인명구조용 차량 탑재형 사다리 구조체
KR101262991B1 (ko) * 2012-02-15 2013-05-10 주식회사 에버다임 사다리차용 승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591A (ja) * 2001-06-19 2003-01-08 Nippon Kikai Kogyo Kk 高所作業車
JP2004283452A (ja) * 2003-03-24 2004-10-14 Morita Corp 梯子車
KR20060031053A (ko) *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굴절식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가사다리
KR20090009569A (ko) 2007-07-20 2009-01-23 김차관 소방차
KR20090059359A (ko) 2007-12-06 2009-06-11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소방차용 다기능 바스켓
KR20100090557A (ko) *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호룡 인명구조용 차량 탑재형 사다리 구조체
KR101262991B1 (ko) * 2012-02-15 2013-05-10 주식회사 에버다임 사다리차용 승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335A1 (en) * 2020-09-15 2022-03-24 Volkan İtfai̇ye Araçla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ladder mechanism for heavy commercial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4921B1 (ja) 風力発電装置におけるブレード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装置
JP6075893B2 (ja) 高層ビルでの迅速な救助が可能な消防車
RU2532204C2 (ru) Расширитель оттяжек для 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содержащий его кран и способ его наладки
CN205391522U (zh) 一种消防移动滑梯救援车
KR101054379B1 (ko)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KR102096780B1 (ko) 굴절식 고가사다리 및 바스켓을 구비한 소방차
KR20080100523A (ko) 다단 고가사다리차
KR101969843B1 (ko)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CN210598089U (zh) 一种高层建筑中附着式升降脚手架
JP4939701B2 (ja) ブーム式クレーンを用いた荷物の地切り方法、および、装置
WO2015081772A1 (zh) 一种起重机
KR20110019024A (ko)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JP5173281B2 (ja) エレベータ
JP5581476B2 (ja) 昇降式移動足場
JP4210324B2 (ja) 伸縮式タワー
JP2003237638A (ja) 移動可能なキャブを備える作業機械
JPH10109586A (ja) 中間ステージ付き高所作業台
JP7262264B2 (ja) 梯子車
KR19990084582A (ko) 사다리 소방차
KR102033925B1 (ko)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사다리 신축장치
US291378A (en) Fire-escape
IT201800006692A1 (it) Dispositivo di sollevamento telescopico
JP4052654B2 (ja) 植木剪定のための高低所作業用吊腰掛
RU2162357C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7079644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建筑施工登高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