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382B1 -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382B1
KR102096382B1 KR1020190100650A KR20190100650A KR102096382B1 KR 102096382 B1 KR102096382 B1 KR 102096382B1 KR 1020190100650 A KR1020190100650 A KR 1020190100650A KR 20190100650 A KR20190100650 A KR 20190100650A KR 102096382 B1 KR102096382 B1 KR 10209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ntainer
hole
power transmiss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태
Original Assignee
(주)성신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신이엔씨 filed Critical (주)성신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0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382B1/ko
Priority to US17/054,396 priority patent/US20210196073A1/en
Priority to PCT/KR2020/005531 priority patent/WO20210338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와 끓이기 및 증숙과 복음요리 등과 같은 여러가지 요리가 가능한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탈착공(12)이 있는 회동바디(11)와, 상기 회동바디(11) 하부에 연장되는 "L"자 형태의 모터지지부(13)와, 상기 회동바디(11) 내부에 장착되는 인덕션코일(16)과 , 상기 용기탈착공(12) 내주면 사방에 각각 고정되는 롤러축(17a)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7)를 갖는 인덕션열공급수단(10)과, 상기 회동바디(11)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웨이트부(21)와, 상기 바닥웨이트부(21)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회동바디(11) 양측의 바디축공(26,51)에 각각 삽입되는 회동중심축(25,59)을 내측에 각각 구비하는 한쌍의 기립지지대(22)와, 상기 바닥웨이트부(21) 일측의 기름받이안치홈(23)에 탈착되는 기름받이통(24)을 갖는 받침수단(20) 및 상기 회동바디(11)의 용기탈착공(12)에 탈착되고 내부에 요리실(31)이 있거나 상기 요리실(31) 바닥부(34) 일측에 기름배출공(33)이 있는 각각의 요리용기(30,30')와, 상기 요리용기(30,30')의 요리실(31) 상부에 탈착되고 손잡이(41)가 있는 용기뚜껑(40)과, 상기 한쌍의 기립지지대(22)에 지지되는 회동바디(11)가 경사진 상태이거나 수직상태가 되도록 회동되게 하는 요리각도조절수단(50,50')과, 상기 요리용기(30,30')의 바닥부(34) 중앙에 있는 중앙홈부(35)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판부재(65)에 모터지지부(13)에 장착되고 제어부(80) 명령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모터(61)의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용기구동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Induction cooker for various dishes}
본 발명은 음식물을 요리하는데 쓰이는 요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와 끓이기 및 증숙과 복음요리 등과 같은 여러가지 요리가 가능한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드럼식 조리기가 선행기술로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조리통을 경사진 상태에서만 요리가 가능하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볶음밥이나 고기구이와 같은 요리만 할 수 있는 한정적인 요리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볶음밥이나 고기구이와 같은 요리만 할 수 있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음식재료가 들어간 조리통 무게가 그다지 무겁지 않기 때문에 모터 동력을 조리통으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있어서 음식재료가 들어간 조리통 무게가 무거눙 상태가 되면 모터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 구조에 무리가 가거나 부하가 걸리게 됨으로써 고장이 나거나 또는 다용도용 요리기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KR 10-1331289 B1 2013.11.20 KR 10-1640493 B1 2016.07.19
본 발명은 구이와 끓이기 및 증숙과 복음요리 등과 같은 여러가지 요리가 가능한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를 제공하려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리 종류에 따라 요리용기를 경사지게 하거나 세워지도록 조절하여 사용 가능한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를 제공하려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요리용기의 무게가 무겁더라도 용리용기로의 모터 동력전달이 양호하게 전달되고 동력전달 구조가 튼튼하여 고장 발생이 없고 제품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용기탈착공이 있는 회동바디와, 상기 회동바디 하부에 연장되는 "L"자 형태의 모터지지부와, 상기 회동바디 내부에 장착되는 인덕션코일(16)과 , 상기 용기탈착공 내주면 사방에 각각 고정되는 롤러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갖는 인덕션열공급수단과, 상기 회동바디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웨이트부와, 상기 바닥웨이트부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회동바디 양측의 바디축공에 각각 삽입되는 회동중심축을 내측에 각각 구비하는 한쌍의 기립지지대와, 상기 바닥웨이트부 일측의 기름받이안치홈에 탈착되는 기름받이통을 갖는 받침수단 및 상기 회동바디의 용기탈착공에 탈착되고 내부에 요리실이 있거나 상기 요리실 바닥부 일측에 기름배출공이 있는 각각의 요리용기와, 상기 요리용기의 요리실 상부에 탈착되고 손잡이가 있는 용기뚜껑과, 상기 한쌍의 기립지지대에 지지되는 회동바디가 경사진 상태이거나 수직상태가 되도록 회동되게 하는 요리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요리용기의 바닥부 중앙에 있는 중앙홈부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판부재에 모터지지부에 장착되고 제어부 명령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모터의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용기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리용기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기다란 뒤집음돌륜부가 요리용기와 일체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리각도조절수단은, 회동바디의 바디축공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측탈착돌기 및 우측탈착돌기와, 상기 바디축공에 삽입되는 회동중심축이 있는 기립지지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버튼이동홈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버튼과, 상기 버튼이동홈과 연통되고 회동중심축 하부에 구비되는 체결구관통장공과, 상기 체결구관통장공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부에 탈착홈이 있고 하부에 스프링로드를 구비하고 체결구관통장공을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조작버튼과 연결되는 승하강이동구와, 상기 스프링로드가 끼워져서 승하강이동구 상부방향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부재와, 상기 회동중심축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좌측스톱퍼돌기 및 우측스톱퍼돌기를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리각도조절수단이, 바디축공과 대향되는 기립지지대 내부에 장착되는 정역감속모터의 모터축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판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되는 역삼각돌기가 회동바디의 바디축공 외주연에 다수 구비되는 역삼각동력전달공에 정합되게 결합되어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구동수단이, 감속모터 동력으로 회전되는 동력전달판부재의 센타돌기 및 상기 센타돌기 외측으로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회전돌기와, 상기 동력전달판부재와 면접촉되고 요리용기 바닥부의 중앙홈부 테두리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판부재의 센타공 및 상기 센타공 외측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회전돌기가 관통하는 다수의 걸림장공에 의해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리용기 상부 양측에 용기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손잡이에 요리용기의 중심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이탈방지홈이 있는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양측에 이탈방지홈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뚜껑결착구와, 상기 슬라이드홈 중간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홈에 삽입된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보올이 뚜껑결착구 하부에 있는 보올가압홈에 삽입되어 뚜껑결착구에 보올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뚜껑탈착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요리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므로 요리 종류에 따라 요리용기를 경사지게 하거나 세워지도록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구이와 끓이기 및 밥을 짓거나 증숙과 복음요리 등과 같은 여러가지 요리가 가능한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리용기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 동력이 요리용기의 바닥부에서 한군데로 집중되어 동력 전달되지 않고 원주형으로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요리용기에 들어간 음식물 중량이 무겁더라도 요리용기가 양호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됨으로써 밥을 짓거나 갈비찜 등과 같이 무게가 무거운 음식물 요리도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식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요리용기의 무게가 무겁더라도 용리용기로의 모터 동력전달이 양호하게 전달되고 동력전달 구조가 튼튼하여 고장 발생이 없고 제품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의 전체 일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덕션열공급수단과 받침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롤러가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요리용기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리각도조절수단과 요리각도를 설명하는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리각도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요리각도조절수단의 구성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요리각도조절수단의 일측 단면 구성도,
도 11의 (a),(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요리각도조절수단에 의해서 요리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의 일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동바디가 경사진 상태로 요리각도가 조절된 상태의 작용을 설명하는 일실시예 요리각도조절수단의 일측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요부를 나타낸 작용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회동바디가 수직상태로 요리각도가 조절된 상태의 작용을 설명하는 일실시예 요리각도조절수단의 일측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를 나타낸 작용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요리각도조절수단의 일측 단면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요리각도조절수단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8의 (a),(b)는 본 발명의 용기구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뚜껑탈착수단을 설명하는 분리 단면도,
도 20는 본 발명의 뚜껑탈착수단을 설명하는 단면 구성도,
도 21은 도 20의 Y-Y'선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구분하면, 인덕션열공급수단(10)과, 상기 인덕션열공급수단(10)을 지지하는 받침수단(20)과, 상기 인덕션열공급수단(10)의 용기탈착공(12)으로 삽입되어 요리가 되는 음식물이 담기는 요리용기(30,30') 및 상기 인덕션열공급수단(10)의 회동바디(11)가 요리 종류에 따라 경사진 상태나 수직 상태로 회동되게 하는 요리각도조절수단(50,50')과, 상기 요리용기(30,30')를 요리과정에 회동되게 하는 용기구동수단(60)과, 상기 요리용기(30,30')의 용기뚜껑(40) 및 그 용기뚜껑(40)이 요리용기(30,30')에 탈착되게 하는 뚜껑탈착수단(70)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인덕션열공급수단(1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탈착공(12)이 있는 회동바디(11)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바디(11) 하부에 연장되는 "L"자 형태의 모터지지부(1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디(11) 내부에는 인덕션코일(16)을 구비한다. 상기 인덕션코일(16)에 전류를 보내면 감아져 있는 인덕션코일(16)에 자력선이 발생되고 이 자력선이 요리용기(30,30')를 통과할 때 그 요리용기(30,30')의 주재료인 저항성분(철성분)에 의해서 와류전류가 만들어져서 요리용기(30,30') 내부에 있는 음식물이가열되는 것으로서, 가령 인덕션렌지등에 채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인덕션열공급수단(10)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바디(11)의 용기탈착공(12) 내주면 사방에 각각 고정되는 롤러축(17a)에 다수의 가이드롤러(17)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용기탈착공(12)으로 삽입된 요리용기(30,30')의 상단부 그 외주면이 가이드롤러(17)에 접촉되어 회동되므로 안정적인 회전이 도모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탈착공(12)의 내주면에는 과열감지센서(14)가 구비됨으로써 요리시에 설정된 요리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로 인가됨으로써 제어부(80)가 인덕션코일(16)로 공급되는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받침수단(20)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바디(11)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웨이트부(21)와, 상기 바닥웨이트부(21)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회동바디(11) 양측의 바디축공(26,51)에 각각 삽입되는 회동중심축(25,59)을 내측에 각각 구비하는 한쌍의 기립지지대(22) 및 상기 바닥웨이트부(21) 일측의 기름받이안치홈(23)에 탈착되는 기름받이통(24)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바디(11)는 회동중심축(25,59)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바닥웨이트부(21) 일측에는 제어부(80)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요리종류에 따라 가열온도, 가열시간등이 입력되어 있고 인덕션코일(16) 및 이후에 설명되는 정역감속모터(50) 및 감속모터(61)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회로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요리용기(30,30')는, 회동바디(11)의 용기탈착공(12)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구동수단(60)에 의해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단부 양측에 용기손잡이(71)를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될 있다.
또한,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을 넣게 되는 요리실(31)만 구비하는 요리용기(30)가 구비된다. 상기 요리용기(30)는 도 11의 (b)와 같이 회동바디(11)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조절한 상태에서 요리를 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요리용기(30)이며, 이 경우에는 밥을 짓거나 찜요리를 하거나 할 때 이용되는 요리용기(30)로 사용된다.
한편,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리용기(30')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기다란 뒤집음돌륜부(32)가 돌출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고, 요리용기(30') 바닥부(34) 일측에 기름배출공(33)을 구비하도록 된 요리용기(3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요리용기(30')는 도 11의 (a)와 같이 회동바디(11)를 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회동시키고 요리를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요리용기(30')이다. 이 경우에는 볶음밥을 할 때나 또는 고기 구이나 생선 구이를 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요리시에 요리실(31)의 음식물에서 나오는 기름은 용리용기(30')가 회전시에 기름배출공(33)이 하부쪽에 위치할 때 자동으로 흘러서 배출되어서 그 아래쪽에 있는 기름받이통(24)으로 흘러 내려서 고이게 된다.
또한, 요리용기(30')가 용기구동수단(60)의 감속모터(61) 동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음식물이 요리실(31)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요리용기(30')의 내부인 요리실(31)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뒤집음돌륜부(32)가 있기 때문에 한쌍의 뒤집음돌륜부(32)에 의해서 음식물이 회전되지 못하고 요리실(31) 하부방향쪽으로 떨어져서 낙하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음식물이 뒤집어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음식물이 고르게 익혀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음식물을 뒤집어주는 기능을 하는 뒤집음돌륜부(32)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요리용기(30')의 외주면을 프레스금형으로 가압하여 요리실(31)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뒤집음돌륜부(32)가 요리용기(30')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뒤집음돌륜부(32)가 요리용기(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튼튼하게 구비됨에 따라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요리용기(30,30')의 요리실(31) 상부에 탈착되고 손잡이(41)가 있는 용기뚜껑(40)을 구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바디(1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바디(11)가 옆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회동되게 하여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요리각도조절수단(50)을 구비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7 내지 도 14는 일측 기립지지대(12)의 외측면에 구비하는 조작버튼(55)을 조작하여 회동바디(11)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일실시예의 요리각도조절수단(50)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요리각도조절수단(50)은, 회동바디(11)의 바디축공(51) 하부 양측에 좌측탈착돌기(52) 및 우측탈착돌기(52')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바디축공(51)에 삽입되는 회동중심축(59)이 있는 기립지지대(22)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버튼이동홈(54)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버튼(55)을 구비한다.
또한, 버튼이동홈(54)과 연통되고 회동중심축(59) 하부에 체결구관통장공(53)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구관통장공(53)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부에 탈착홈(561)이 있고 하부에 스프링로드(562)를 구비하고 체결구관통장공(53)을 관통하는 체결구(563)에 의해 조작버튼(55)과 연결되는 승하강이동구(56)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작버튼(55)을 손가락 힘으로 하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면 체결구(563)와 연결되어 있는 승하강이동구(56)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조작버튼(55)에 가하던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가락 힘을 제거하면 탄력부재(57)의 탄력에 의해서 승하강이동구(56)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체결구(563)에 의해 연결된 조작버튼(55)이 자동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로드(562)가 끼워져서 승하강이동구(56) 상부방향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부재(57)가 있고, 회동중심축(59)의 외주면에 좌측스톱퍼돌기(58) 및 우측스톱퍼돌기(58')를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1의 (a)와 같이 회동바디(11)가 경사진 상태에서 (b)와 같이 회동바디(11)가 수직된 상태로 회동되게 할 때에는 먼저 조작버튼(55)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에 회동바디(11)의 수직방향이 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조작버튼(55)을 하부쪽으로 이동되게 하였던 힘을 해지하면 조작버튼(55)이 자동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회동바디(11)가 다시 경사진 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반대로 도 11의 (b)와 같이 회동바디(11)가 수직된 상태에서 (a)와 같이 회동바디(11)가 경사진 상태로 회동되게 할 때에는 이역시 먼저 조작버튼(55)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에 회동바디(11)가 수직방향이 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조작버튼(55)을 하부쪽으로 이동되게 하였던 힘을 해지하면 조작버튼(55)이 자동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회동바디(11)가 다시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회동바디(11)가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하강이동구(56)가 탄력부재(57)의 탄력에 의해서 상부방향으로 항시 이동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 상태는 탈착홈(56)에 좌측탈착돌기(52)가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회동바디(11)가 회동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는 우측탈착돌기(52')가 우측스톱퍼돌기(58')에 접촉되어서 회동바디(11)가 도 12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될 수도 없게 된다.
따라서, 회동바디(11)가 경사진 상태인 도 13과 같은 상태에서 조작버튼(55)을 수 조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승하강이동구(56)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탈착홈(561)에서 좌측탈착돌기(52)가 이탈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좌측탈착돌기(52)가 자유로워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회동바디(11)를 손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좌측탈착돌기(52)와 우측탈착돌기(52')는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회동바디(11)를 도 12와 같은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도 14와 같이 수직된 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키는 것이고, 이때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탈착돌기(52)도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좌측스톱퍼돌기(58)에 걸림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회동바디(11)가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동바디(1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가 되면 조작버튼(55)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던 손 힘(외력)을 해지하게 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력부재(57)의 탄력에 의해서 승하강이동구(56)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탈착홈(561)에 우측탈착돌기(52')가 삽입됨에 따라 회동바디(11)가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고 수직상태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와 같이 회동바디(11)가 수직된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할 경우에는 도 15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버튼(55)을 수 조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승하강이동구(56)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탈착홈(561)에서 우측탈착돌기(52')가 이탈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우측탈착돌기(52')가 자유로워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회동바디(11)를 손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좌측탈착돌기(52)와 우측탈착돌기(52')는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회동바디(11)를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도 12와 같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키는 것이고, 이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탈착돌기(52')도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우측스톱퍼돌기(58')에 걸림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회동바디(11)가 더 이상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동바디(1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가 되면 조작버튼(55)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던 손 힘(외력)을 해지하게 되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력부재(57)의 탄력에 의해서 승하강이동구(56)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탈착홈(561)에 좌측탈착돌기(52)가 삽입됨에 따라 회동바디(11)가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고 경사진 상태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작버튼(55)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동바디(11)를 경사진 방향이나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에 조작버튼(55)에 가하던 힘을 해지하면 조작버튼(55)이 자동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회동바디(11)를 도 11의 (a)와 같이 경사진 방향이나 또는 도 11의 (b)와 같이 수직된 방향으로 요리를 할 각도(이하 요리각도라고 함)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리각도조절수단(50')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는 요리각도조절수단(50')이 바디축공(51)과 대향되는 기립지지대(22) 내부에 장착되는 정역감속모터(501)의 모터축(501a)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판(502)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되는 역삼각돌기(503)가 회동바디(11)의 바디축공(51) 외주연에 다수 구비되는 역삼각동력전달공(505)에 정합되게 결합되어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요리각도조절수단(50')에 있어서는 제어부(80)를 조작하여 그 제어부(80)의 명령에 의해서 정역감속모터(501)가 가령 정회전되게 구동하게 되면 회동바디(11)가 수직된 상태로 회동된 후 정지되는 것이고, 반대로 정역감속모터(501)가 역회전되게 구동되게 하면 회동바디(11)가 경사진 상태로 회동된 후 정지된 상태로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부(80)의 제어회로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요리각도조절수단(50')에 있어서는 동력전달판(502)의 역삼각돌기(503)가 바디축공(51) 외주연에 다수 구비되는 역삼각동력전달공(505)에 정합되게 결합되어 구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정역감속모터(501)의 구동력이 넓은 전달면적으로 회동바디(11)에 충분히 전달되기 때문에 고장발생이 없고 회동바디(11)를 도 11의 (a)와 같이 경사진 방향이나 또는 도 11의 (b)와 같이 수직된 방향으로 요리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경사진 상태나 수직된 상태로 회동되는 회동바디(11)의 용기탈착공(12)으로 삽입되는 요리용기(30,30')를 회동시키는 용기구동수단(60)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과 도 18를 참조하면, 용기구동수단(60)은 감속모터(61) 동력으로 회전되는 동력전달판부재(62)의 센타돌기(63) 및 상기 센타돌기(63) 외측으로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회전돌기(64) 및 상기 동력전달판부재(62)와 면접촉되고 요리용기(30,30') 바닥부(34)의 중앙홈부(35) 테두리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판부재(65)의 센타공(66) 및 상기 센타공(66) 외측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회전돌기(64)가 관통하는 다수의 걸림장공(67)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회동바디(11)의 용기탈착공(12)으로 요리용기(30,30')를 끼우게 되면 센타공(66)으로 센타돌기(63)가 끼워지면서 다수의 걸림장공(67)으로 회전돌기(64)가 각각 끼워지는 상태가 되므로 한쌍의 동력전달판부재(62,65)가 자연스럽게 면접촉되는 상태로 연결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동력전달이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회전돌기(64)가 회전되기 때문에 한축에 의해서만 동력전달되는 종래보다는 넓은 면적에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적은 감속모터(61) 동력에 의해서도 음식물이 들어 있어서 비교적 무건운 상태가 되는 요리용기(30,30')를 충분한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탈착수단(70)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뚜껑탈착수단(70)은 요리용기(30,30') 상부 양측에 용기손잡이(71)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손잡이(71)에 요리용기(30,30')의 중심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이탈방지홈(72)이 있는는 슬라이드홈(73)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슬라이드홈(73)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양측에 이탈방지홈(72)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돌기(74)를 갖는 뚜껑결착구(75)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결착구(75)는 이탈방지돌기(74)가 이탈방지홈(72)에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탈착수단(70)은 슬라이드홈(73) 중간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홈(76)에 삽입된 스프링(77)의 탄력을 받는 보올(78)이 뚜껑결착구(75) 하부에 있는 보올가압홈(79)에 삽입되어 뚜껑결착구(75)에 보올(78)이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호 75a는 손가락홈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20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결착구(75)가 외측방향(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요리용기(30,30')의 요리실(31) 상부에 용기뚜껑(40)을 끼워서 요리실(31)이 밀폐되게 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뚜껑결착구(75)를 도 20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뚜껑결착구(75)의 선단부가 용기뚜껑(40)의 테두리단부(43) 위쪽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용기뚜껑(40)이 요리용기(30,3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요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뚜껑(40)을 요리용기(30,30')로부터 이탈시켜 열고자 할 경우에는 도 20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결착구(75)가 외측방향(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용기뚜껑(40)의 테두리단부(43)를 가로막고 있던 뚜껑결착구(75)의 선단부가 테두리단부(43)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요리용기(30,30')로부터 용기뚜껑(40)을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뚜껑결착구(75)는 스프링(77) 탄력을 받는 보올(78)이 뚜껑결착구(75)를 상부방향으로 항시 가압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뚜껑결착구(75)를 이동시키는 외력(손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뚜껑결착구(75)가 저절로 이동되지 않게 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용기뚜껑(40)이 요리용기(30,3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뚜껑결착구(75)에 의해 결착된 상태에 요리를 하는 과정에 용기뚜겅(40)이 저절로 열리지 않게 되므로 안전한 요리가 도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인덕션열공급수단 11:회동바디
12:용기탈착공 13:모터지지부
14:과열감지센서 16:인덕션코일
17:가이드롤러 17a:롤러축
20:받침수단 21:바닥웨이트부
22:기립지지대 23:기름받이안치홈
24:기름받이통 25:회동중심축
26:바디축공 30,30':요리축공
31:요리실 32:뒤집음돌륜부
33:기름배출공 34:바닥부
35:중앙홈부 40:용기뚜껑
41:손잡이 43:테두리단부
50,50':요리각도조절수단 51:바디축공
52:좌측탈착돌기 52':우측탈착돌기
53:체결구관통장공 54:버튼이동홈
55:조작버튼 56:승하강이동구
561:탈착홈 562:스프링로드
563:체결구 57:탄력부재
58:좌측스톱퍼돌기 58':우측스톱퍼돌기
59:회동중심축 501:정역감속모터
501a:모터축 502:동력전달판
503:역삼각돌기 505:역삼각동력전달공
60:용기구동수단 61:감속모터
62:동력전달판부재 63:센타돌기
64:회전돌기 65:동력전달판부재
66:센타공 67:걸림장공
70:뚜껑탈착수단 71:용기손잡이
72:이탈방지홈 73:슬라이드홈
74:이탈방지돌기 75:뚜껑결착구
75a:손가락홈부 76:스프링홈
77:스프링 78:보올
79:보올가압홈 80:제어부

Claims (6)

  1. 용기탈착공(12)이 있는 회동바디(11)와, 상기 회동바디(11) 하부에 연장되는 "L"자 형태의 모터지지부(13)와, 상기 회동바디(11) 내부에 장착되는 인덕션코일(16)과 , 상기 용기탈착공(12) 내주면 사방에 각각 고정되는 롤러축(17a)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7)를 갖는 인덕션열공급수단(10);
    상기 회동바디(11)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웨이트부(21)와, 상기 바닥웨이트부(21)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회동바디(11) 양측의 바디축공(26,51)에 각각 삽입되는 회동중심축(25,59)을 내측에 각각 구비하는 한쌍의 기립지지대(22)와, 상기 바닥웨이트부(21) 일측의 기름받이안치홈(23)에 탈착되는 기름받이통(24)을 갖는 받침수단(20);
    상기 회동바디(11)의 용기탈착공(12)에 탈착되고 내부에 요리실(31)이 있거나 상기 요리실(31) 바닥부(34) 일측에 기름배출공(33)이 있는 각각의 요리용기(30,30');
    상기 요리용기(30,30')의 요리실(31) 상부에 탈착되고 손잡이(41)가 있는 용기뚜껑(40);
    상기 한쌍의 기립지지대(22)에 지지되는 회동바디(11)가 경사진 상태이거나 수직상태가 되도록 회동되게 하는 요리각도조절수단(50,50');
    상기 요리용기(30,30')의 바닥부(34) 중앙에 있는 중앙홈부(35)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판부재(65)에 모터지지부(13)에 장착되고 제어부(80) 명령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모터(61)의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용기구동수단(60)을 구비하되,
    상기 용기구동수단(60)이, 감속모터(61) 동력으로 회전되는 동력전달판부재(62)의 센타돌기(63) 및 상기 센타돌기(63) 외측으로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회전돌기(64)와, 상기 동력전달판부재(62)와 면접촉되고 요리용기(30,30') 바닥부(34)의 중앙홈부(35) 테두리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판부재(65)의 센타공(66) 및 상기 센타공(66) 외측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회전돌기(64)가 관통하는 다수의 걸림장공(67)에 의해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각도조절수단(50)은,
    회동바디(11)의 바디축공(51)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측탈착돌기(52) 및 우측탈착돌기(52')와;
    상기 바디축공(51)에 삽입되는 회동중심축(59)이 있는 기립지지대(22)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버튼이동홈(54)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버튼(55)과;
    상기 버튼이동홈(54)과 연통되고 회동중심축(59) 하부에 구비되는 체결구관통장공(53)과;
    상기 체결구관통장공(53)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부에 탈착홈(561)이 있고 하부에 스프링로드(562)를 구비하고 체결구관통장공(53)을 관통하는 체결구(563)에 의해 조작버튼(55)과 연결되는 승하강이동구(56)와;
    상기 스프링로드(562)가 끼워져서 승하강이동구(56) 상부방향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부재(57)와;
    상기 회동중심축(59)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좌측스톱퍼돌기(58) 및 우측스톱퍼돌기(58')를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각도조절수단(50')이,
    바디축공(51)과 대향되는 기립지지대(22) 내부에 장착되는 정역감속모터(501)의 모터축(501a)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판(502)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되는 역삼각돌기(503)가 회동바디(11)의 바디축공(51) 외주연에 다수 구비되는 역삼각동력전달공(505)에 정합되게 결합되어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5. 삭제
  6. 삭제
KR1020190100650A 2019-08-16 2019-08-16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KR102096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650A KR102096382B1 (ko) 2019-08-16 2019-08-16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US17/054,396 US20210196073A1 (en) 2019-08-16 2020-04-27 Multipurpose induction cooker
PCT/KR2020/005531 WO2021033869A1 (ko) 2019-08-16 2020-04-27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650A KR102096382B1 (ko) 2019-08-16 2019-08-16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382B1 true KR102096382B1 (ko) 2020-04-03

Family

ID=7028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650A KR102096382B1 (ko) 2019-08-16 2019-08-16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96073A1 (ko)
KR (1) KR102096382B1 (ko)
WO (1) WO2021033869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763A (zh) * 2020-06-03 2020-10-27 瑞峰(天津)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多功能的烤肉锅
WO2021033869A1 (ko) * 2019-08-16 2021-02-25 (주)성신이엔씨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CN113243758A (zh) * 2020-06-05 2021-08-13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分体式压力烹饪器具
US20220003425A1 (en) * 2020-07-05 2022-01-06 Kitchen Robotics Ltd Cooking Apparatus Based on Induction Heating System and Incorporating Cookware Rotation Mechanism
CN114271697A (zh) * 2021-12-24 2022-04-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炒菜机的加料控制方法、装置及炒菜机
KR102425196B1 (ko) 2022-01-27 2022-07-27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사용이 편리한 인덕션 요리장치
KR20220168104A (ko) 2021-06-15 2022-12-22 (주)성신이엔씨 요리용기가 회전되는 인덕션 요리기용 전자유도가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2363S1 (en) * 2020-07-16 2022-12-13 Midea Group Co., Ltd. Electric induction cook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631A (ko) * 2009-05-13 2010-11-23 김행춘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KR101331289B1 (ko)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CN105559518A (zh) * 2015-12-01 2016-05-11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锅
KR101640493B1 (ko) 2015-10-08 2016-07-19 주식회사 에버그린코리아 드럼식 조리기
WO2019082981A1 (ja) * 2017-10-26 2019-05-0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15B1 (ko) * 2005-12-23 2007-10-08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기준 프레임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술용 항법장치의 보정 방법
WO2014030837A1 (en) * 2012-08-22 2014-02-27 Jong Yon Jo Cylindrical cooker
US9474410B2 (en) * 2012-10-25 2016-10-25 Hamilton Beach Brands, Inc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693654B2 (en) * 2014-07-11 2017-07-04 Dennis Carl Smith Automatic cooker
US10638876B2 (en) * 2014-12-18 2020-05-05 Jianhao ZHANG Automatic stir-fryer
KR20170085398A (ko) *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인덕션 회전식 국솥
US11179000B2 (en) * 2018-10-10 2021-11-23 Whealthy Franchise Inc. Cooking apparatus with rotating container
CN111358272B (zh) * 2018-12-25 2021-12-0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式加热的炒菜机
KR102096382B1 (ko) * 2019-08-16 2020-04-03 (주)성신이엔씨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CN112826309A (zh) * 2020-12-31 2021-05-25 江西旺来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发热升降火锅的升降机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631A (ko) * 2009-05-13 2010-11-23 김행춘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KR101331289B1 (ko)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KR101640493B1 (ko) 2015-10-08 2016-07-19 주식회사 에버그린코리아 드럼식 조리기
CN105559518A (zh) * 2015-12-01 2016-05-11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锅
WO2019082981A1 (ja) * 2017-10-26 2019-05-0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869A1 (ko) * 2019-08-16 2021-02-25 (주)성신이엔씨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CN111820763A (zh) * 2020-06-03 2020-10-27 瑞峰(天津)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多功能的烤肉锅
CN113243758A (zh) * 2020-06-05 2021-08-13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分体式压力烹饪器具
CN113243758B (zh) * 2020-06-05 2022-06-03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分体式压力烹饪器具
US20220003425A1 (en) * 2020-07-05 2022-01-06 Kitchen Robotics Ltd Cooking Apparatus Based on Induction Heating System and Incorporating Cookware Rotation Mechanism
KR20220168104A (ko) 2021-06-15 2022-12-22 (주)성신이엔씨 요리용기가 회전되는 인덕션 요리기용 전자유도가열장치
CN114271697A (zh) * 2021-12-24 2022-04-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炒菜机的加料控制方法、装置及炒菜机
KR102425196B1 (ko) 2022-01-27 2022-07-27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사용이 편리한 인덕션 요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96073A1 (en) 2021-07-01
WO2021033869A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382B1 (ko) 다용도 인덕션 요리기
JP6972187B2 (ja) 調理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
US9549570B2 (en) Roasting and glazing method
CN101427889B (zh) 一种三明治压制机和烤架装置的组合件
US960997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US7238921B2 (en) Combination bread toaster and steamer device with shared wattage and method
JPH03231619A (ja) 調理用グリル組立体
EP1864599A1 (en) Multi-purpose grill
US20050247210A1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having removable heating plates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2030985B1 (ko) 회전식 구이기
CA3069959A1 (en) Programmable cooking system
US9642392B2 (en) Roasting and glazing apparatus
WO2006007767A1 (fr) Machine pour petit dejeuner combinee multifonction
KR20200000280A (ko) 다용도 요리기
WO2006046804A1 (en) A grill
EP3399894B1 (en) A toaster
KR101468474B1 (ko) 교반용 솥장치
US534255A (en) Combined broiler
KR101458747B1 (ko) 구이기용 가열수단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구이기
KR20060095245A (ko) 곡물 볶음 냄비
EP4076014B1 (en)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for collecting coffee chaffs
KR20240068269A (ko) 다용도 전기 양면 그릴기
CN116725393A (zh) 多功能烹饪器具及其用途
KR200361209Y1 (ko) 구이용조리기의이동그릴
KR101869132B1 (ko) 커버와 연동하는 손잡이를 구비한 주방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