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373B1 -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373B1
KR102096373B1 KR1020180095232A KR20180095232A KR102096373B1 KR 102096373 B1 KR102096373 B1 KR 102096373B1 KR 1020180095232 A KR1020180095232 A KR 1020180095232A KR 20180095232 A KR20180095232 A KR 20180095232A KR 102096373 B1 KR102096373 B1 KR 10209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urnace
mixed fuel
auxiliary casing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034A (ko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이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길 filed Critical 이영길
Priority to KR1020180095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3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2Structural details of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08Flow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6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in which an emulsion of water and fuel is spray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4Preheating devices; Vaporising devices
    • F23D11/441Vaporising devices incorporated with burners
    • F23D11/446Vaporising devices incorporated with burners heated by an auxiliary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7/00Supplying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other than air, to the fire, e.g. oxygen, steam
    • F23L7/007Supplying oxygen or oxygen-enrich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7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ent fuel
    • F23C2700/02Combustion apparatus using liquid fuel
    • F23C2700/026Combustion apparatus using liquid fuel with pre-vapori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9901Combustion process using hydrogen, hydrogen peroxide water or brown gas as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2Direct CO2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건조기에 설치되어 열효율을 높이고, 오일 또는 가스 연료등에의한 배기가스량을 줄이는 연소장치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외면을 이루는 연소보조케이싱, 상기 연소보조케이싱 일면에 구비되어 물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주입하는 혼합연료주입구, 상기 혼합연료주입구와 연통되어 연소보조케이싱 내부면으로 주입된 물이 기화되어 이송되는 축열로, 기화된 혼합연료가 연소열에 의해서 수소와 산소로 분리가 실시되면서 이송되는 물분해로, 수소와 산소로의 분리과정이 완료되면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연소되는 연소로 및 상기 축열로와 물분해로와 연소로를 가열하여 연소열을 배출하는 버너로 구성되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의 버너에 오일 또는 가스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펌프와 상기 연소장치의 연소보조케이싱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펌프로 이루어지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이며, 그 효과는 혼합연료를 사용하여 수소 및 산소로 분리하여 연소를 실시하여 버너에 투입되는 오일 또는 가스등의 연료를 줄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배가스를 줄여 대기오염을 저감시키고, 버너와 연소보조케이싱으로 구성된 연소장치를 사용하여 장치의 규모가 소규모로 구성되어 공간 효율이 크며, 장치 구성이 간편하고, 화석연료등의 에너지 소모에서 효율이 높으므로 건조기 또는 건조시설의 초기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Combustion device system Containing the combustion auxiliary casing}
본 발명은 열풍건조기에 설치되어 열효율을 높이고, 오일 또는 가스 연료등에의한 배기가스량을 줄이는 연소장치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외면을 이루는 연소보조케이싱, 상기 연소보조케이싱 일면에 구비되어 물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주입하는 혼합연료주입구, 상기 혼합연료주입구와 연통되어 연소보조케이싱 내부면으로 주입된 물이 기화되어 이송되는 축열로, 기화된 혼합연료가 연소열에 의해서 수소와 산소로 분리가 실시되면서 이송되는 물분해로, 수소와 산소로의 분리과정이 완료되면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연소되는 연소로 및 상기 축열로와 물분해로와 연소로를 가열하여 연소열을 배출하는 버너로 구성되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의 버너에 오일 또는 가스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펌프와 상기 연소장치의 연소보조케이싱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펌프로 이루어지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조는 물질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건조 시키려는 물질과 수분을 잘 흡수하는 물질을 함께 용기 속에 넣거나 건조한 공기로 물질 속의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물질을 넣은 용기속의 공기를 저압으로 만들어 수분을 증발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있으며, 더욱 세부적으로는 건조법으로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및 잠압건조등이 있고,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고체의 종류, 목적 및 주의사항에 따라 데시케이터, 자연건조기, 열풍건조기, 진공건조기, 통기건조기, 분무건조기, 동결건조기 및 적외선 건조기등 건조의 수단 또는 장치를 달리 적용하여 사용한다.
상기 열풍건조법으로 사용되는 열풍건조기는 가정용 건조 뿐만아니라 공업용건조기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열풍건조기의 종류는 밴드건조기, 화력건조기, 열원부가건조기, 버너부착건조기, 터널건조기등 다양한 방법으로 열풍에 의해 목적되는 고체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있다. 특히, 버너부착건조기는 버너가 부착된 열풍기조기 또는 보조열원용의 버너부착 상온통풍건조기로 공업용 및 가공식품, 과일과 채소류등의 농산물의 건조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버너부착건조기를 포함한 대부분의 열풍건조기들은 건조 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연료로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배가스 방출에 의한 대기 환경이 오염된다는 문제점과 높은 열량소비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열원인 버너의 연소를 물로 생성된 수소분자와 산소분자로 분리된 브라운가스등을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선행기술들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924호(2001. 05. 15.)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노즐의 외주연에 일정공간을 확보하여 압축공기와 브라운가스가 혼합된 BG믹스에어가 소용돌이를 일으키면서 오일이 분사되는 부분에 공급되도록 하여 연소를 촉진시킴으로써 완전연소를 도모하여 연료의 절약과 공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연소촉진용 브라운가스 버너를 제공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0579호(2010. 11. 16.)는 버너의 세터라인상에 일정공간을 확보하여 브라운가스 공급라인을 형성한 후 브라운가스노즐에서 브라운가스를 슈팅함으로써 기존연료가 타고 있는 화염의 중심부에 브라운가스 죤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브라운가스 슈팅 버너건을 이용한 연소촉진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종래 연소장치들은 브라운가스의 제조가 일반적으로 전기분해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 볼때 브라운가스를 제조하는 별도의 시설 또는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과 장치 및 시설의 규모가 크므로 공간활용으로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924호(2001. 05. 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0579호(2010. 11. 1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풍건조를 실시하는 종래기술의 배가스 배출량이 크다는 문제점과 높은 연료소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으로 물을 이용하여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방법을 전기분해로 실시하지 않으며, 장치 규모를 최소화하여 장치 또는 시설의 제조시 초기 비용을 절감시키고, 연소에 필요한 연료를 저감시켜 에너지소비를 줄이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은 최외면을 이루는 연소보조케이싱(120), 상기 연소보조케이싱(120) 일면에 구비되어 물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주입하는 혼합연료주입구(130), 상기 혼합연료주입구(130)와 연통되어 연소보조케이싱(120) 내부면으로 주입된 혼합연료가 기화되어 이송되는 축열로(140), 기화된 혼합연료가 연소열에 의해서 수소와 산소로 분리가 실시되면서 이송되는 물분해로(150), 수소와 산소로의 분리과정이 완료되면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연소되는 연소로(160) 및 상기 축열로(140)와 물분해로(150)와 연소로(160)를 가열하여 연소열을 배출하는 버너(110)로 구성되는 연소장치(100); 상기 연소장치(100)의 혼합연료주입구(130)에 혼합연료를 주입하는 연료펌프(200); 및 상기 연소장치(100)의 연소보조케이싱(120) 내부로 공기공급관(170)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펌프(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열로(140)는 최외면을 이루는 연소보조케이싱(120)의 내부면에 부착설치되되 주입되는 혼합연료의 이송이 물분해로(150) 영역에서 연소로(160) 영역으로 이송되었다가 물분해로(150)로 되돌아오도록 구성되어 버너(110) 및 연소로(16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혼합연료의 기화를 실시한다.
상기 물분해로(150)는 나선형 관으로 버너(110)방향에서 연소로(160) 방향으로 내방 지름이 넓어지는 구배로 형성된다.
상기 연소로(160)는 복수개의 원통형관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원통형관으로 물분해로(150)에서 개질되어 유입되는 혼합연료가 물분해로(150)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된 복수개의 천공을 통해 이송되되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원통형관을 통해 이송되고, 최종적으로 끝단에 위치된 분사노즐(162)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킨다.
상기 버너(110)는 물분해로(150)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며, 이때 버너(110)의 열에 의해서 축열로(140), 물분해로(150) 및 연소로(160)의 온도가 800∼1300℃를 유지한다.
상기 혼합연료는 알코올류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로 혼합비율은 중량대비 1 : 6 ∼ 8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보조케이싱(120), 축열로(140), 물분해로(150), 연소로(160) 및 분사노즐(162)은 인코넬소재로 니켈이 50~70 중량%가 혼합된다.
상기 연료펌프(200)는 혼합연료를 혼합연료주입구(130)로 주입하되 이때 압력은 6~7bar로 주입시킨다.
상기 공기공급펌프(300)에서 공기공급관(170)은 연소장치(10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연소장치(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시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고, 공기 또는 순수한 산소를 공급하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혼합연료를 사용하여 수소 및 산소로 분리하여 연소를 실시하여 버너에 투입되는 오일 또는 가스등의 연료를 줄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배가스를 줄여 대기오염을 저감시킨다.
(2) 본 발명은 버너와 연소보조케이싱으로 구성된 연소장치를 사용하여 장치의 규모가 소규모로 구성되어 공간 효율이 크다.
(3) 본 발명은 장치 구성이 간편하고, 화석연료등의 에너지 소모에서 효율이 높으므로 건조기 또는 건조시설의 초기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의 연소장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축열로의 단면으로 혼합연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물분해로의 단면으로 혼합연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연소로의 단면도로 혼합연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의 연소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연료펌프 및 공기공급펌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의 실사도이다.
본 발명의 명칭은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으로 통상으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충분히 유추 가능한 별도의 기재는 생략하며, 필요 경우 실시예 및 도면을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한정 해석하지 아니하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의 연소장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의 연소장치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연료펌프 및 공기공급펌프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상기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연소장치 시스템을 하기에 상세하게 개진한다.
열풍건조기에 설치되는 연소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 시스템은
최외면을 이루는 연소보조케이싱(120), 상기 연소보조케이싱(120) 일면에 구비되어 물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주입하는 혼합연료주입구(130), 상기 혼합연료주입구(130)와 연통되어 연소보조케이싱(120) 내부면으로 주입된 혼합연료가 기화되어 이송되는 축열로(140), 기화된 혼합연료가 연소열에 의해서 수소와 산소로 분리가 실시되면서 이송되는 물분해로(150), 수소와 산소로의 분리과정이 완료되면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연소되는 연소로(160) 및 상기 축열로(140)와 물분해로(150)와 연소로(160)를 가열하여 연소열을 배출하는 버너(110)로 구성되는 연소장치(100);
상기 연소장치(100)의 혼합연료주입구(130)에 혼합연료를 주입하는 연료펌프(200); 및
상기 연소장치(100)의 연소보조케이싱(120) 내부로 공기공급관(170)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펌프(300);로 이루어진다.
한편, 버너(110)에 주입되는 연료는 가스 또는 오일류로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면상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기 연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축열로의 단면으로 혼합연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로 상기 도 2를 참고하여 축열로를 하기에 상세하게 개진한다.
상기 축열로(140)는 최외면을 이루는 연소보조케이싱(120)의 내부면에 부착설치되되 주입되는 혼합연료의 이송이 물분해로(150) 영역에서 연소로(160) 영역으로 이송되었다가 물분해로(150)로 되돌아오도록 구성되어 버너(110) 및 연소로(16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혼합연료의 기화를 실시한다.
상기 축열로(140)에서 혼합연료의 흐름은 혼합연료주입구(130)를 통해 주입된 혼합연료가 연소보조케이싱(120) 끝단까지 이송된 후 혼합연료주입구(130) 방향으로 이송되되 물분해로(150)로 기화되어 주입됨으로써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기 전처리 과정이다. 또한, 복수번의 직각방향 및 180도 방향으로 이송되어 내부 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물분해로의 단면으로 혼합연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로 상기 도 3을 참고하여 물분해로를 하기에 상세하게 개진한다.
상기 물분해로(150)는 나선형 관으로 버너(110)방향에서 연소로(160) 방향으로 내방 지름이 넓어지는 구배로 형성되어 버너(110)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에 노출면을 최대화하여 열의 흡수를 원활히 하며, 내부 압력을 유지한다. 한편, 버너(110)에서 발생되는 연소는 축열로(140)에서 물분해로(150)로 혼합연료가 주입되는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연소로의 단면도로 혼합연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로 상기 도 4를 참고하여 연소로를 하기에 상세하게 개진한다.
상기 연소로(160)는 복수개의 원통형관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원통형관으로 물분해로(150)에서 개질되어 유입되는 혼합연료가 물분해로(150)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된 복수개의 천공을 통해 이송되되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원통형관을 통해 이송되고, 최종적으로 끝단에 위치된 분사노즐(162)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킨다.
상기 연소로(160)는 물분해로(150)에서 분리되지 못한 혼합연료의 추가 분리를 실시한다. 또한, 버너(110)에서 발생되는 화력은 연소보조케이싱(120) 끝단까지 생성되어 분사노즐(162)에서 방출되는 개질된 혼합연료에 의해서 발화가 지속된다.
상기 버너(110)는 물분해로(150)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며, 이때 버너(110)의 열에 의해서 축열로(140), 물분해로(150) 및 연소로(160)의 온도를 800∼1300℃로 유지한다.
상기 혼합연료는 알코올류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로 혼합비율은 중량대비 1 : 6 ∼ 8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보조케이싱(120), 축열로(140), 물분해로(150), 연소로(160) 및 분사노즐(162)은 인코넬소재로 니켈이 50~70 중량%가 혼합된다.
상기 인코넬은 내열성이 좋고, 900℃ 이상의 산화기류 속에서도 산화하지 않고, 황을 함유한 대기에도 침지되지 않으며, 제트기관의 재료, 원자로의 연료용 스프링재, 전열기의 부분품, 고온도계용 보호관, 진공관의 필라멘트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연료펌프(200)는 혼합연료를 혼합연료주입구(130)로 주입하되 이때 압력은 6~7bar로 주입시키며, 연소장치(100) 내 혼합연료의 흐름이 실시되는 축열로(140), 물분해로(150) 및 연소로(160)의 지름을 최소화하고, 흐름을 변경시켜 연소장치(100) 내 압력을 주입시 압력으로 유지시켜 혼합연료의 기화 및 수소 및 산소로의 개질을 실시한다.
상기 공기공급펌프(300)에서 공기공급관(170)은 연소장치(10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연소장치(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시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고, 공기 또는 순수한 산소를 공급한다.
실시예 :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을 이용한 연소
본 발명의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소시 11℃로 이루어진 물의 온도를 50℃까지 높였다. 이때 물은 200㎏로 하고, 버너 연료는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연소장치 연료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연료를 사용하여 연소를 실시하였다.
시험예 : 연소장치 시스템을 이용한 연소시 연료 소비량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200㎏ 물의 온도를 11℃에서 50℃으로 높아질 동안 사용된 연료량과 대조군으로 혼합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버너 연료로 메탄올만 사용하여 물의 온도를 높였을때 사용된 연료량을 대조하는 시험을 진행하여 하기와 표 1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대조군
초기온도 11℃ 11℃
종단온도 50℃ 50℃
메탄올소비 900㎖ 3180㎖
혼합연료 1000㎖ -
총물소비량 200㎏ 200㎏
시간(분) 11 15
참고 : 메탄올 99.9%, 기본 발열량 4500kcal
온도차를 40℃로 하고, 메탄올의 발열량을 4500kcal로 하며, 200㎏물을 40℃로 높이는 것에 필요한 열량이 8,000kcal이므로 사용된 메탄올(대조군) 3.18ℓ이므로 물온도 상승에 필요한 열량을 메탄올 사용량 곱에 발열량으로 나누어(=8000 kcal/(3.18×4,500)) 메탄올만 사용하였을때 보일러(대조군)의 효율이 56%가 나온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혼합연료를 사용한 실시예의 열량을 계산하면(=메탄올열량×메탄올 사용량+수성연료열량×수성연료 사용량)×보일러 열효율) 본 발명의 혼합연료의 열량은 10,205kcal이 나온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메탄올만 연료로 사용한 대조군에 비하여 사용되는 메탄올의 량이 절감되었으며, 적은 연료량으로 높은 열량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더 빠른 시간안에 목표로 온도로 올라가 그 효과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200)를 이용하여 혼합연료주입구(130)로 주입되는 혼합연료는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 전기분해장치를 통해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시킨 후 주입될 수 있으며, 이때 혼합연료는 수소와 산소로 분리된 물과 메탄올을 동시에 각각 주입구로 주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은 혼합연료를 사용하여 수소 및 산소로 분리하여 연소를 실시하여 버너에 투입되는 오일 또는 가스등의 연료를 줄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배가스를 줄여 대기오염을 저감시키고, 버너와 연소보조케이싱으로 구성된 연소장치를 사용하여 장치의 규모가 소규모로 구성되어 공간 효율이 크며, 장치 구성이 간편하고, 화석연료등의 에너지 소모에서 효율이 높으므로 건조기 또는 건조시설의 초기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이 절감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은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연소장치 160 : 연소로
110 : 버너 162 : 분사노즐
120 : 연소보조케이싱 170 : 공기공급관
130 : 혼합연료주입구 200 : 연료펌프
140 : 축열로 300 : 공기공급펌프
150 : 물분해로

Claims (9)

  1. 열풍건조기에 설치되는 연소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 시스템은
    최외면을 이루는 연소보조케이싱, 상기 연소보조케이싱 일면에 구비되어 물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주입하는 혼합연료주입구, 상기 혼합연료주입구와 연통되어 연소보조케이싱 내부면으로 주입된 혼합연료가 기화되어 이송되는 축열로, 기화된 혼합연료가 연소열에 의해서 수소와 산소로 분리가 실시되면서 이송되는 물분해로, 수소와 산소로의 분리과정이 완료되면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연소되는 연소로 및 상기 축열로와 물분해로와 연소로를 가열하여 연소열을 배출하는 버너로 구성되는 연소장치;
    상기 연소장치의 혼합연료주입구에 혼합연료를 주입하는 연료펌프; 및
    상기 연소장치의 연소보조케이싱 내부로 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로는 복수개의 원통형관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원통형관으로 물분해로에서 개질되어 유입되는 혼합연료가 물분해로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된 복수개의 천공을 통해 이송되되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원통형관을 통해 이송되고, 최종적으로 끝단에 위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로는 최외면을 이루는 연소보조케이싱의 내부면에 부착설치되되 주입되는 혼합연료의 이송이 물분해로 영역에서 연소로 영역으로 이송되었다가 물분해로로 되돌아오도록 구성되어 버너 및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혼합연료의 기화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해로는 나선형 관으로 버너방향에서 연소로 방향으로 내방 지름이 넓어지는 구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물분해로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며, 이때 버너의 열에 의해서 축열로, 물분해로 및 연소로의 온도가 800∼130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연료는 알코올류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로 혼합비율은 중량대비 1 : 6 ∼ 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보조케이싱, 축열로, 물분해로, 연소로 및 분사노즐은 인코넬소재로 니켈이 50~70 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는 혼합연료를 혼합연료주입구로 주입하되 이때 압력은 6~7bar로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펌프에서 공기공급관은 연소장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연소장치 내부로 공기를 공급시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고, 공기 또는 순수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KR1020180095232A 2018-08-16 2018-08-16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KR10209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32A KR102096373B1 (ko) 2018-08-16 2018-08-16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32A KR102096373B1 (ko) 2018-08-16 2018-08-16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34A KR20200020034A (ko) 2020-02-26
KR102096373B1 true KR102096373B1 (ko) 2020-04-02

Family

ID=6963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232A KR102096373B1 (ko) 2018-08-16 2018-08-16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6508A (zh) * 2020-04-03 2020-06-26 佛山市艾伦斯家电实业有限公司 一种高效环保的甲醇气化燃烧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014A (ja) * 1998-10-07 2000-04-18 Yoshinaga Tekunika Kk 燃料予熱手段を備えたバーナー装置
KR101292141B1 (ko) * 2012-02-21 2013-08-09 황용석 과열 증기를 이용한 연소버너장치
KR101711178B1 (ko) * 2016-09-12 2017-02-28 주식회사 이플러스 알코올 수성가스용 연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924Y1 (ko) 2000-11-07 2001-05-15 김상남 연소촉진용 브라운가스 버너
KR101042799B1 (ko) 2009-05-06 2011-06-20 김성곤 브라운가스 슈팅 버너건을 이용한 연소촉진시스템
KR101238407B1 (ko) * 2010-12-03 2013-02-28 (주)진성하이텍 초임계수 혼합 연료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014A (ja) * 1998-10-07 2000-04-18 Yoshinaga Tekunika Kk 燃料予熱手段を備えたバーナー装置
KR101292141B1 (ko) * 2012-02-21 2013-08-09 황용석 과열 증기를 이용한 연소버너장치
KR101711178B1 (ko) * 2016-09-12 2017-02-28 주식회사 이플러스 알코올 수성가스용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34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52135A1 (zh) 节能voc废气处理系统
CN104748125A (zh) 一种热解挥发份的燃烧系统
JP5634158B2 (ja) バイオマスの炭化処理装置、及び炭化物の製造方法
US20160091248A1 (en)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process air for paper drying systems
KR102096373B1 (ko) 연소보조 케이싱이 포함된 연소장치 시스템
JP5744721B2 (ja) 炭化方法および装置
CN101539298A (zh) 一种用于钢板彩涂线的废气处理方法及焚烧炉
CN105509457A (zh) 一种多元体废气回燃焚烧热风循环炉
CN105371280B (zh) 一种固废有机物质清洁焚烧的装置与方法
KR101565315B1 (ko) 재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CN208058828U (zh) 一种加热炉燃烧器
JP2010101543A (ja) 乾燥・炭化装置
KR100562766B1 (ko) 폐목재를 이용한 활성탄제조장치
CN105805756B (zh) 垃圾环保高效热解装置
CN110564429B (zh) 一种制备活性炭尾气耦合生物质直燃脱硝的系统和方法
CN208577662U (zh) 一种气固分离装置
CN103939917B (zh) 一种炉内强化燃烧装置
CN208187087U (zh) 天然气低氮燃烧用于烘缸内部直燃装置
CN205933593U (zh) 一种污泥高效处理装置
CN208090664U (zh) 一种水基燃料和蒸汽混合燃烧机
KR20050024745A (ko) 도자기 소성로
CN217952293U (zh) 一种均匀加热的干法制废酸裂解炉
CN216079802U (zh) 一种风冷助燃燃烧筒装置
CN218787623U (zh) 一种利用分解水助燃的燃烧炉
JP7462330B2 (ja) 赤外線放射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