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321B1 - 저당용 밥솥 - Google Patents

저당용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321B1
KR102096321B1 KR1020190127973A KR20190127973A KR102096321B1 KR 102096321 B1 KR102096321 B1 KR 102096321B1 KR 1020190127973 A KR1020190127973 A KR 1020190127973A KR 20190127973 A KR20190127973 A KR 20190127973A KR 102096321 B1 KR102096321 B1 KR 10209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rice cooker
grain receiving
grain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박희천
Original Assignee
이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수 filed Critical 이완수
Priority to KR102019012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밥의 당질을 낮출 수 있는 저당용 밥솥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 덮개부를 포함하는 외부 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저장공간이 형성된 물 저장부,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저장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곡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곡물 수용공간에 상기 저장공간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미세홀이 천공된 곡물 수용부, 상기 곡물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고, 상기 곡물 수용공간을 상기 외부 덮개부 측으로 연통하는 증기 배출홀과 상기 외부 덮개부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증기 수집홈이 형성된 내부 덮개부 및 상기 외부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가열 가능한 히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당용 밥솥{RICE COOKER FOR REDUCING SUCROSE CONTENT}
본 발명은 저당용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밥의 당질을 낮출 수 있는 저당용 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전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밥이나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구이다.
전기밥솥은 본체부에 쌀 등의 음식물을 담고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저면부에 전기로 열을 가하여 조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5995호의 전자동 전기밥솥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기밥솥은 조리된 밥의 당성분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다이어트를 하는 사용자나 건강상의 이유로 당성분을 제거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하는 사용자는 밥 등의 조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조리된 밥 등으로부터 당성분을 낮출 수 있는 저당용 밥솥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된 밥의 당질을 낮출 수 있는 저당용 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은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 덮개부를 포함하는 외부 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저장공간이 형성된 물 저장부,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저장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곡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곡물 수용공간에 상기 저장공간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미세홀이 천공된 곡물 수용부, 상기 곡물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고, 상기 곡물 수용공간을 상기 외부 덮개부 측으로 연통하는 증기 배출홀과 상기 외부 덮개부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증기 수집홈이 형성된 내부 덮개부 및 상기 외부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가열 가능한 히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물 수용부의 저면은 상기 물 저장부의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곡물 수용부의 미세홀은 상기 곡물 수용부와 상기 물 저장부 사이에 액체만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개구부는 내측 둘레부에 오목한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물 저장부는 상단 외측 둘레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단턱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곡물 수용부는 상단 외측 둘레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단턱부에 안착되는 제2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덮개부의 상기 증기 배출홀은 상기 증기 수집홈으로부터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덮개부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천공된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본체는 하부에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된 밥으로부터 당질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되는 밥과 밥의 조리에 사용된 물 및 밥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수분이 모인 물을 분리하여 당질이 포함된 물을 별도로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A-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물 저장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외부 본체 하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곡물 저장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내부 덮개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내부 덮개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A-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은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수용공간(1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개구부(110a)를 개폐하는 외부 덮개부(101)를 포함하는 외부 본체(100), 상기 수용공간(110)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저장공간(210)이 형성된 물 저장부(200), 상기 저장공간(210)의 개구된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저장공간(210)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곡물 수용공간(310)를 형성하되 상기 곡물 수용공간(310)에 상기 저장공간(210)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미세홀(320)이 천공된 곡물 수용부(300), 상기 곡물 수용공간(310)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고, 상기 곡물 수용공간(310)을 상기 외부 덮개부(101) 측으로 연통하는 증기 배출홀(410)과 상기 덮개부(101)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증기 수집홈(420)이 형성된 내부 덮개부(400) 및 상기 외부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된 가열 가능한 히터부(500)를 포함한다.
외부 본체(100)는 하부의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수용공간(110)을 형성하고, 수용공간(110)의 하측부에 가열 가능한 히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부(500)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가열될 수 있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본체(100)의 하부 중 히터부(500)의 중앙부에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재(51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히터부(5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본체(100)는 상부에 외부 덮개부(101)를 설치할 수 있다.
외부 덮개부(101)는 수용공간(110)의 개구부(11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외부 본체(100)의 하부와 힌지 결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덮개부(101)는 수용공간(110)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부에 천공된 배출구(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물 저장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외부 본체 하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부(200)는 상단 외측 둘레부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단턱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0)은 개구부(110a)의 내측 둘레부에 오목한 안착홈(110b)을 형성하고, 물 저장부(200)가 수용공간(110)에 수용될 시 제1 단턱부(220)가 안착홈(110b)에 안착되어 물 저장부(200)를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물 저장부(200)는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저면을 히터부(500)에 접촉하게 위치하여 히터부(500)에 의해 가열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곡물 저장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 수용부(300)는 상단 외측 둘레부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단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턱부(330)는 곡물 수용부(300)를 물 저장부(200)의 저장공간(210)에 수용할 시 제2 단턱부(330)를 제1 단턱부(220)의 상측에 안착되게 하여 곡물 수용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곡물 수용부(300)는 물 저장부(200)의 저장공간(210)에 수용될 시 곡물 수용부(300)의 저면과 물 저장부(200)의 저면과의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곡물 수용부(300)의 미세홀(320)은 곡물 수용부(300)의 저면 및 측면 등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곡물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쌀 등과 같은 곡물에 비해 크기가 작은 미세홀(320)을 통해 곡물 수용공간(310)과 저장공간(210)의 사이에 물 등과 같이 곡물에 비해 입자의 크기가 작은 액체만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즉, 곡물 수용공간(310)에 쌀 등과 같은 곡물을 수용하고 저장공간(210)에 물 등과 같은 액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곡물이 액체에 잠길 수 있도록 곡물 수용부(300)를 물 저장부(200)의 저장공간(210)에 수용하고, 물 저장부(200)에 저장된 액체를 가열하여 가열된 액체에 의해 곡물 수용부(300)에 수용된 곡물을 가열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곡물 수용부(300)의 저면과 물 저장부(200)의 저면과의 사이가 이격되어 조리되는 곡물에 포함되었던 당질을 흡수한 액체와 조리된 곡물을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된 곡물의 당질을 낮출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내부 덮개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덮개부(400)는 둘레 테두리부(401)를 곡물 수용부(300)의 제2 단턱부(330) 상측에 안착하여 곡물 수용부(300)의 곡물 수용공간(310)를 덮을 수 있다.
증기 수집홈(420)은 내부 덮개부(400)의 둘레 테두리부(401)로부터 외부 덮개부(101)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증기 배출홀(410)은 증기 수집홈(420)의 중앙부에 외부 덮개부(101) 측으로 볼록하고 중앙이 천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내부 덮개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당용 밥솥의 내부 덮개부의 증기 배출홀(410)은 천공된 중앙부와 이격되고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부(411)를 상부에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411)는 복수 개의 지지대(411a)로 증기 배출홀(410)과 연결되고, 증기 배출홀(410)의 천공된 중앙부와 이격된 상태로 천공된 중앙부와 외부 덮개부(101)의 사이를 가로막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411)는 만곡되어 양단을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411)는 증기 배출홀(410)의 천공된 중앙부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를 손잡이부(411)에 한번 부딪히게 하여 물방울을 형성하게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411)에 맺힌 수증기의 물방울은 증기 수집홈(420)으로 수집되고 물(H2O)에 비해 고분자인 당질은 물보다 더 쉽게 증기 수집홈(420)에 수집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411)는 내부 덮개부(400)를 곡물 수용부(300)에 안착하거나 곡물 수용부(300)로부터 내부 덮개부(400)를 분리할 때 사용자의 손을 파지하게 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부 덮개부(400)는 곡물 수용공간(310)에 수용된 쌀 등의 곡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물 저장부(200)의 저장공간(210)에 저장된 물 등의 액체가 증발하는 증기를 증기 배출홀(410)을 통해 외부 덮개부(101)의 내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덮개부(101)의 내측벽에 부딪혀서 모인 증기는 하측에 위치한 내부 덮개부(400)로 흘러내려 오목한 증기 수집홈(420)에 수집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덮개부(400)는 곡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포함된 당질이 다시 곡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된 밥의 당질을 낮추는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내부 덮개부(400)와 물 저장부(200)는 저당용 밥솥에 분리하기 쉽게 조립되어, 내부 덮개부(400)와 물 저장부(200)를 저당용 밥솥으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 내부 덮개부(400)의 증기 수집홈(420)과 물 저장부(200)에 각각 저장된 당질을 포함한 액체를 별도로 수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수집된 당질을 포함한 액체를 다른 음식의 조리 등에 활용하기 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된 밥으로부터 당질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되는 밥과 밥의 조리에 사용된 물 및 밥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수분이 모인 물을 분리하여 당질이 포함된 물을 별도로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당용 밥솥을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외부 본체
101: 외부 덮개부
101b: 배출구
110: 수용공간
110a: 개구부
110b: 안착홈
200: 물 저장부
210: 저장공간
220: 제1 단턱부
300: 곡물 수용부
310: 곡물 수용공간
320: 미세홀
330: 제2 단턱부
400: 내부 덮개부
401: 둘레 테두리부
410: 증기 배출홀
411: 손잡이부
411a: 지지대
420: 증기 수집홈
500: 히터부
510: 센서부재

Claims (8)

  1.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수용공간(1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개구부(110a)를 개폐하는 외부 덮개부(101)를 포함하는 외부 본체(100);
    상기 수용공간(110)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저장공간(210)이 형성된 물 저장부(200);
    상기 저장공간(210)의 개구된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저장공간(210)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에 상단이 개구된 곡물 수용공간(310)을 형성하되 상기 곡물 수용공간(310)에 상기 저장공간(210)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미세홀(320)이 천공된 곡물 수용부(300);
    상기 곡물 수용공간(310)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고, 상기 곡물 수용공간(310)을 상기 외부 덮개부(101) 측으로 연통하는 증기 배출홀(410)과 상기 외부 덮개부(101)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증기 수집홈(420)이 형성된 내부 덮개부(400); 및
    상기 외부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된 가열 가능한 히터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덮개부(400)의 상기 증기 배출홀(410)은 상기 증기 수집홈(420)의 중앙부에 상기 외부 덮개부(101) 측으로 볼록하고 중앙이 천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증기 배출홀(410)은 천공된 중앙부와 이격되고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부(411)를 상부에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411)는 복수 개의 지지대(411a)로 상기 증기 배출홀(410)과 연결되고, 상기 증기 배출홀(410)의 천공된 중앙부와 이격된 상태로 천공된 상기 중앙부와 상기 외부 덮개부(101)의 사이를 가로막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411)는 만곡되어 양단을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밥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물 수용부(300)의 저면은 상기 물 저장부(200)의 저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밥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물 수용부(300)의 미세홀(320)은 상기 곡물 수용부(300)와 상기 물 저장부(200) 사이에 액체만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밥솥.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기 개구부(110a)는 내측 둘레부에 오목한 안착홈(110b)을 형성하고,
    상기 물 저장부(200)는 상단 외측 둘레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착홈(110b)에 안착되는 제1 단턱부(2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밥솥.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곡물 수용부(300)는 상단 외측 둘레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단턱부(220)에 안착되는 제2 단턱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밥솥.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덮개부(101)는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천공된 배출구(10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밥솥.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100)는 하부에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재(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밥솥.
KR1020190127973A 2019-10-15 2019-10-15 저당용 밥솥 KR10209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73A KR102096321B1 (ko) 2019-10-15 2019-10-15 저당용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73A KR102096321B1 (ko) 2019-10-15 2019-10-15 저당용 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321B1 true KR102096321B1 (ko) 2020-04-02

Family

ID=7028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973A KR102096321B1 (ko) 2019-10-15 2019-10-15 저당용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3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6055A (zh) * 2020-07-20 2020-11-2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气饭煲及其烹饪低糖米饭的方法
CN112006533A (zh) * 2020-08-20 2020-12-01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压力低糖饭烹饪器具
KR20220077712A (ko) * 2020-12-02 2022-06-09 (주)쿠첸 조리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463Y1 (ko) * 2003-03-18 2003-06-02 조상규 다기능 중탕기
KR100451023B1 (ko) * 2002-05-30 2004-10-06 문진옥 탕관과 그를 이용한 중탕장치
KR102023172B1 (ko) * 2017-11-07 2019-09-19 항저우 시앙티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밥솥
KR102028379B1 (ko) * 2019-08-14 2019-10-04 김미영 가열식 조리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023B1 (ko) * 2002-05-30 2004-10-06 문진옥 탕관과 그를 이용한 중탕장치
KR200315463Y1 (ko) * 2003-03-18 2003-06-02 조상규 다기능 중탕기
KR102023172B1 (ko) * 2017-11-07 2019-09-19 항저우 시앙티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밥솥
KR102028379B1 (ko) * 2019-08-14 2019-10-04 김미영 가열식 조리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6055A (zh) * 2020-07-20 2020-11-2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气饭煲及其烹饪低糖米饭的方法
CN112006533A (zh) * 2020-08-20 2020-12-01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压力低糖饭烹饪器具
KR20220077712A (ko) * 2020-12-02 2022-06-09 (주)쿠첸 조리 기기
KR102441615B1 (ko) 2020-12-02 2022-09-06 (주)쿠첸 조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321B1 (ko) 저당용 밥솥
US5515773A (en) Steam oven
US6619192B2 (en) Frying pan
EP1240860B1 (en) Cooking vessel
EP1343356B1 (en) Microwave oven having a coffee maker
EP3406165A1 (en) Energy-saving safety pot having no steam outlet
CN106175477B (zh) 无油空气炸锅
JP2009285231A (ja) 炊飯器
KR102096322B1 (ko) 저당용 밥솥
CN219048115U (zh)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WO2016073485A1 (en) Rice cooking insert
KR100995572B1 (ko) 웰빙 찜즙기
EP1466545A1 (en) Cookware and cookware lid
CN208463629U (zh) 一种米饭烹饪装置
KR101286836B1 (ko) 업소용 대형국솥
JP7254952B2 (ja) 調理器具及びその調理構造
KR20100114290A (ko) 가열용기용 뚜껑
JP3148165U (ja) バーベキューコンロ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200118560A (ko) 당질 저감 밥솥
KR102436196B1 (ko) 전기압력밥솥
JP2002238742A (ja) 煮炊調理器
KR102321700B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용 스팀 캡
KR20130032996A (ko) 국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