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021B1 - 여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여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021B1
KR102096021B1 KR1020190091602A KR20190091602A KR102096021B1 KR 102096021 B1 KR102096021 B1 KR 102096021B1 KR 1020190091602 A KR1020190091602 A KR 1020190091602A KR 20190091602 A KR20190091602 A KR 20190091602A KR 102096021 B1 KR102096021 B1 KR 102096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main body
rotation
co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은
Original Assignee
서정은
주식회사 드림워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은, 주식회사 드림워커 filed Critical 서정은
Priority to KR102019009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1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the rolling means being formed by the trunk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with immobilising means, e.g. means for blocking the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는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착탈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경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상기 본체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폐쇄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행용 캐리어{Carrier}
본 발명은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물건을 넣어 휴대하고 다니기에 간편하게 만든 기구로서, 휴대 방식이나 모양, 크기, 구조 등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상기 가방을 휴대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손으로 들고다니는 핸드백과, 어깨에 메고 다니는 배낭, 노면에 놓고 바퀴를 이용하여 끌고 다니는 캐리어(여행용 가방)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가방 중에서 특히 캐리어는 수납공간이 넓고 바퀴가 달려 있어 여행중 이동이 용이하고 물건의 보관 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한편 종래 가방에 있어서는 이동 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과다한 힘의 소요를 막기 위하여 학생용 가방이나 서류가방 등에 이르기까지 바퀴를 설치하여 구성된 바퀴 달린 가방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바퀴 달린 가방은 바퀴를 노면에 접촉시켜 이동하는 중에 계단 및 문턱, 도로경계턱 등과 같이 노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바퀴가 잘 굴러가지 못하게 되므로 가방 전체를 손으로 들어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노면이 평탄하지 않은 곳을 이동하거나 가방이 무거운 경우 가방의 무게가 바퀴로 집중됨으로써 바퀴의 회전축이 가방의 무게에 의하여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4724(2014.10.20. 등록)호에서는 가방의 일측면에 여러 개의 보조바퀴를 형성하고 메인바퀴가 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계단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방표면이 계단의 모서리에 접촉하여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캐리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수의 바퀴가 필요하며, 캐리어가 기울어졌을 때 계단, 바닥 등에 캐리어가 긁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계단, 바닥 등에 긁히지 않는 여행용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는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착탈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경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상기 본체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폐쇄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계단, 바닥 등에 긁히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덮개부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덮개커버부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개략 구성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는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착탈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경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상기 본체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폐쇄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바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바퀴부 및 제2 바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덮개부는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몸체부 및 상기 덮개몸체부와 착탈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덮개커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폐쇄된 루프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부는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바퀴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바퀴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한부는 상기 폐쇄된 루프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회전범위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및 상기 기울기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한부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덮개부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덮개커버부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는 사용자의 옷, 생활 필수품 등을 포함하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10)는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S1)을 형성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와 착탈되어 상기 보관공간(S1)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덮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보관공간(S1)을 형성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보관공간(S1)에 물품을 넣어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보관공간(S1)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덮개부(200)는 경첩 등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고, 경첩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되어 상기 보관공간(S1)을 커버함으로 인해 상기 보관공간(S1)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킬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0)와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보관공간(S1)을 외부와 연통시켜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덮개부(2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덮개부(200)는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저장공간(S2)을 형성하는 덮개몸체부(210) 및 상기 덮개몸체부(210)와 착탈되어 상기 저장공간(S2)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덮개커버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덮개몸체부(210)는 상기 보관공간(S1)과 구별되는 상기 저장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공간(S2)에 물품을 넣어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덮개커버부(220)는 상기 저장공간(S2)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덮개몸체부(210)는 경첩 등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덮개커버부(220)는 경첩 등에 의해 상기 덮개몸체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덮개커버부(220)는 경첩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덮개몸체부(210)와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S2)을 커버함으로 인해 상기 저장공간(S2)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킬 수 있고, 상기 덮개몸체부(210)와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S2)을 외부와 연통시켜 개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1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파지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며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경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지부(3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지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퀴부(400)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외력에 의해 소정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바퀴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덮개부(200)에 연결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바퀴부(400)는 상기 본체부(100)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을 둘러싸는 폐쇄된 루프(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바퀴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에 바퀴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 전체를 연속적으로 둘러싸, 폐쇄된 원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바퀴부(400)의 가상의 회전축은 상기 본체부(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4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도 계단, 바닥 등에 부딪히지 않아,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퀴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베어링(미 도시) 또는 기어, 체인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본체부(100)는 상대적인 상기 바퀴부(4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바퀴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바퀴부(410) 및 제2 바퀴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퀴부(410) 및 상기 제2 바퀴부(42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중을 각각 분산 전달받아 지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여행용 캐리어(10)는 상기 폐쇄된 루프의 가상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가 회전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제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상의 중심축(X)은 상기 가상의 회전축과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본체부(100)가 의도치 않게 상기 가상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제1 위치(T1)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바퀴부(400)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본체부(100)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고, 상기 제1 위치(T1)와 다른 제2 위치(T2)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바퀴부(400)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500)가 상기 제1 위치(T1)에 위치되는 경우 바닥과 접촉되지 않아 상기 가상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위치(T1)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T2)로 이동되는 경우 바닥과 접촉되어 상기 가상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소정의 연결축(미 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연결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T1)에서 상기 제2 위치(T2)로 및 상기 제2 위치(T2)에서 상기 제1 위치(T1)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500)가 상기 제1 위치(T1) 및 상기 제2 위치(T2)에 있는 경우, 걸림턱(미 도시) 등에 의해 걸림되어 소정의 외력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만 상기 제1 위치(T1)에서 상기 제2 위치(T2)로 및 상기 제2 위치(T2)에서 상기 제1 위치(T1)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폐쇄된 루프의 가상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가 회전되는 회전범위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미 도시).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용자의 키 등의 신체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30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끌고갈 때, 상기 파지부(300)와 바닥이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키가 작은 어린이의 경우 상기 파지부(300)와 바닥이 이루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키가 큰 어른의 경우 상기 파지부(300)와 바닥이 이루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30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이끄는 회전 범위 내에 상기 제한부(500)가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제한부(5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키가 작은 어린이일 경우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 상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파지부(300)와 가까운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키가 큰 어른일 경우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 상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파지부(300)와 먼 위치로 이동되어, 그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연결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T1)에서 상기 제2 위치(T2)로 및 상기 제2 위치(T2)에서 상기 제1 위치(T1)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 상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10)는 상기 본체부(100)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울기센서(600) 및 상기 기울기센서(600)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본체부(100)의 회전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한부(500)를 상기 제1 위치(T1)로부터 상기 제2 위치(T2)로, 상기 제2 위치(T2)로부터 상기 제1 위치(T1)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울기센서(600)는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가상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기울기센서(600)로부터 감지된 상기 본체부(100)의 회전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한부(500)를 상기 제1 위치(T1)로 및 상기 제2 위치(T2)로 위치 변화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700)는 기어, 체인 등의 구성을 통해 상기 제한부(500)를 상기 제1 위치(T1)에서 상기 제2 위치(T2)로 및 상기 제2 위치(T2)에서 상기 제1 위치(T1)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700)는 미리 입력된 소정의 회전허용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회전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한부(500)를 제1 위치(T1)로 유지시킬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회전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한부(500)를 상기 제1 위치(T1)로부터 상기 제2 위치(T2)로 이동시켜 상기 본체부(10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10)는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상기 회전허용 범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입력값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어부(700), 상기 제한부(500), 상기 기울기센서(60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0)가 계단, 바닥 등에 긁히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본체부
200: 덮개부
300: 파지부
400: 바퀴부
500: 제한부

Claims (6)

  1. 여행용 캐리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착탈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경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상기 본체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폐쇄된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폐쇄된 루프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부는,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바퀴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바퀴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폐쇄된 루프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회전범위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여행용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바퀴부 및 제2 바퀴부를 구비하는,
    여행용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몸체부 및
    상기 덮개몸체부와 착탈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덮개커버부를 구비하는,
    여행용 캐리어.
  4. 삭제
  5. 삭제
  6. 여행용 캐리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착탈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외부로부터 단절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경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상기 본체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폐쇄된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폐쇄된 루프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부는,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바퀴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바퀴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및
    상기 기울기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한부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여행용 캐리어.
KR1020190091602A 2019-07-29 2019-07-29 여행용 캐리어 KR10209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02A KR102096021B1 (ko) 2019-07-29 2019-07-29 여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02A KR102096021B1 (ko) 2019-07-29 2019-07-29 여행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021B1 true KR102096021B1 (ko) 2020-04-01

Family

ID=7027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602A KR102096021B1 (ko) 2019-07-29 2019-07-29 여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699B1 (ko) 2021-03-11 2021-05-28 김민재 수납형 바퀴를 가지는 캐리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0495A (en) * 1978-02-16 1979-07-10 Conard Donald D Suitcase with transporting rims
CN107242657A (zh) * 2017-05-12 2017-10-13 成都理工大学 智能行李箱及智能行李箱管理系统
WO2018025912A1 (ja) * 2016-08-05 2018-02-08 株式会社Novel スーツケース
KR101931778B1 (ko) * 2018-04-30 2018-12-21 주식회사 트레졀콜렉션 착탈 가능형태의 바퀴수단을 갖는 여행용 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0495A (en) * 1978-02-16 1979-07-10 Conard Donald D Suitcase with transporting rims
WO2018025912A1 (ja) * 2016-08-05 2018-02-08 株式会社Novel スーツケース
CN107242657A (zh) * 2017-05-12 2017-10-13 成都理工大学 智能行李箱及智能行李箱管理系统
KR101931778B1 (ko) * 2018-04-30 2018-12-21 주식회사 트레졀콜렉션 착탈 가능형태의 바퀴수단을 갖는 여행용 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699B1 (ko) 2021-03-11 2021-05-28 김민재 수납형 바퀴를 가지는 캐리어
US11357299B1 (en) 2021-03-11 2022-06-14 Minjae KIM Carrier with retractable whe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088B2 (en) Cargo cart for wheeled mobility device
KR102096021B1 (ko) 여행용 캐리어
EP3507167B1 (en) Mobile storage unit
RU2743758C2 (ru) Багажный чемодан и его колёсная база
CN105683035A (zh) 组合式的滑板车和手推车
JPH04317603A (ja) かばん
JP2001513729A (ja) スーツケースやショッピングカートのごとき物品運搬具
US11584419B2 (en) Separable wheel pack assembly
WO2009098461A1 (en) Wheeled apparatus for transporting loads
US20150251681A1 (en) Detachable Stroller Handle Tray
CN214686643U (zh) 一种重载机器人的移动机构
CN207444487U (zh) 一种便携式大容量的行李箱
JPH0736688Y2 (ja) キャディバッグ
CN206914379U (zh) 一种越障小推车
KR102672286B1 (ko) 하이브리드 골프백
US20060096337A1 (en) Personal and portable laundry system
JP3835559B1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WO2018025912A1 (ja) スーツケース
IT201900009027A1 (it) Monopattino elettrico ripiegabile multifunzione
KR20160011822A (ko) 쇼핑카트
JP3084358U (ja) スリ・ひったくり防止袋
KR102188053B1 (ko) 장바구니
US11919558B2 (en) Shopping trolley
KR20110045901A (ko) 쇼핑백
KR101417673B1 (ko) 짐을 싣는 지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