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673B1 - 짐을 싣는 지팡이 - Google Patents

짐을 싣는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673B1
KR101417673B1 KR1020130100810A KR20130100810A KR101417673B1 KR 101417673 B1 KR101417673 B1 KR 101417673B1 KR 1020130100810 A KR1020130100810 A KR 1020130100810A KR 20130100810 A KR20130100810 A KR 20130100810A KR 101417673 B1 KR101417673 B1 KR 10141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wheel shaft
wheel axle
plat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탁
Original Assignee
송주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탁 filed Critical 송주탁
Priority to KR102013010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45B1/02Walking sticks with rollers for carrying parc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팡이를 손수레 형태로 만들어 짐을 싣고 갈 수 있는 기구로
종래에 단순히 짚고 다니는 역할만 하는 지팡이 대신 휴대하여야 할 물건이 있을 경우에 바퀴축(17)을 돌려서 고정시켜 짐을 싣고 갈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기기는 고리(3)가 고리부착함(4)에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고 받침판(6)이 지지대부착판(8)에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으며 바퀴축삽입구(13)가 형성된 바퀴축삽입함(12)에 걸림판지지대(14)와 지팡이지지판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고 바퀴축삽입함연결고리(25)가 부착되어 있되, 바퀴축고정판(21)이 고정판연결고리(24)에 의거 회전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바퀴축고정봉(22)이 고정봉삽입구(23)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손수레형태가 되고
바퀴축(17)을 왼편으로 민 후 왼편바퀴를 돌려서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속에 밀어 넣어 수직이 되게 놓은 후 바퀴축고정판(21)을 돌려 바퀴축고정봉(22)을 지팡이지지판(26)에 삽입시키면 지팡이 형태가 되어 짚고 다닐 수 있는 기구이며
지팡이로 짚고 다닐 수도 있고 짐이 있을 경우에는 간단히 손수레형태로 만들어 짐을 싣고 다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짐을 싣는 지팡이{A walking stick with a load}
본 발명은 사람이 지팡이를 짚고 다니다가 운반하여야 할 짐이 있을 경우에는 지팡이를 간단히 손수레로 변신시켜 짐을 싣고 다닐 수 있게 함으로서 지팡이를 손수레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구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팡이의 몸체에 고리와 받침판이 부착되어 있어 물건을 걸어 실을 수 있으며 몸체연결판에 의거 몸체와 연결된 바퀴축삽입함에는 바퀴와 바퀴축 및 다른 각종 부착물이 부착되어서 지팡이로 사용하다가 짐이 있을 경우에는 손수레로 변신시켜 짐을 싣고 다닐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짐을 싣는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팡이는 주로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짚고 다님으로서 단순히 몸만 의지하였을 뿐 짐을 실을 수는 없었다. 또한 현행의 손수레는 부피가 커서 빈 수레로 끌고 갈 때나 짐을 실었을 경우 대중교통의 이용이 제한된다. 즉 택시나 버스에 실어주지를 아니하여 먼 거리로 짐을 싣고 가야 할 경우 이용할 수가 없다. 그래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물품을 구입하여 올 경우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고 현행의 지팡이는 짐을 싣고 갈 수가 없음으로 지팡이를 짚고 가다가 운반하여야 할 물건이 있을 경우에는 한손에 지팡이를 짚고 다른 한손에는 물건을 들고 가야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단순히 짚고 다니는 역할만 하는 지팡이 대신 지팡이의 몸체와 바퀴축삽입함 및 그 부착물로 이루어진 지팡이를 짚고 다니다가 휴대하여야 할 물건이 있을 경우에는 바퀴축삽입함에 삽입되어 있는 바퀴축을 돌려서 바퀴와 바퀴축이 바퀴축삽입함 밑면에 수직이 되게 가로 놓은 후 바퀴축고정판으로 고정시켜서 바퀴가 굴러 갈 수 있도록 하되, 이때 고리를 내려 물건을 걸고 받침판을 펼쳐서 물건을 받쳐줌으로서 안정적으로 지팡이에 짐을 싣고 갈 수 있게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몸체와 그 부착물 및 바퀴축삽입함과 그 부착물로 구성된 짐을 싣는 지팡이에 있어
몸체(1)는 긴원기둥의 관(管)으로 되어 있되, 맨 위로 손잡이가 있고, 몸체(1)의 중간부분에 고리(3)가 고리부착함(4)에, 고리회전부착점(5)에 의거 회전되게 부착되어 상하로 회전 할 수 있고
고리(3)밑으로 받침판(6)이 받침판지지대(7)에 의거, 지지대고정판(9)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부착판(8)에 지지대회전부착점(10)에 의거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으며
옆면에 바퀴축삽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 바퀴축삽입함(12)이 몸체연결판(11)에 의거 몸체(1)와 연결되어 있으며, 바퀴축삽입함(12) 내부 오른편에 걸림판지지대(14)와 지팡이지지판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로 바퀴축삽입함연결고리(25)가 부착되어 있으며, 바퀴축삽입함(12) 맨 밑면에 두 개의 연결봉삽입구(20)와 한 개의 바퀴축지지함고정구(29)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으로 두 개의 바퀴(16)가 회전되게 부착된 바퀴축(17)이 바퀴축지지함(18) 내부로 삽입되어서 좌우로 이동 할 수 있고, 바퀴축지지함(18) 중앙 양편으로 지지함연결봉(19)이 부착되어서 연결봉삽입구(20)로 삽입되어져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밑면에 바퀴축지지함(18)과 함께 좌우로 회전될 수 있게 부착시키며
손수레 형태에서는 바퀴축(17) 우측면 끝에 꼬리(28)가 부착되어 있고 우측바퀴 좌측면으로 바퀴축지지함걸림봉(30)이 부착되어 있으며, 바퀴축 왼편으로 지팡이지지판(26)과 바퀴축걸림판(27)이 부착되어 있는바
바퀴축고장판(21)이 그 상부로 형성된 고정판연결고리(24)에 의거 바퀴축삽입함연결고리(25)에 삽입되어 상하 좌우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고, 그 하부로는 바퀴축고정봉(22)이 부착되어 있는바 이 바퀴축고정봉(22)을, 바퀴축지지함(18)이 바퀴축지지함 고정구(29)에 닿아 회전이 멈추었을 때, 고정봉삽입구(23)에 삽입하면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과 수직이 되게 가로로 고정시켜 바퀴(16)가 굴러갈 수 있는 손수레의 형태가 되고
바퀴축고정판(21)을 위로 올리고 바퀴축(17)을 왼편으로, 바퀴축지지함걸림봉(30)이 바퀴축지지함(18)에 닿을 때 까지, 밀어서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 왼편으로 위치시킨 후 왼쪽 바퀴를 위로 회전시키면 바퀴축(17)은 바퀴축지지함(18)과 함께 회전되어 바퀴축삽입함(12)내에 삽입되어 세로로 놓이게 되며, 이때 지팡이지지판(26)이 지팡이지지판삽입구(15)를 통과하여 위치되고, 바퀴축걸림판(27)은 걸림판지지대(14)위에 걸쳐져서 지팡이 형태를 이루는바 이때 바퀴축고정판(21)을 위로 올려 바퀴축고정봉(22)을 지팡이지지판(26)에 삽입하면 바퀴축(17)은 바퀴축삽입함(12)내에서 세로로 고정되고, 꼬리(28)가 밑면으로 내려와 바닥을 짚을 수 있는 형태가 되어 지팡이로 짚고 다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람들이 본 제품을 지팡이 형태로 만들어 짚고 다니다가 들고 가야할 물건이 있을 경우에 이를 가방 등에 넣은 후 본 제품을 손수레 형태로 변신시켜 여기에 싣고 끌고 감으로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지팡이는 주로 노인들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하였으나 본 제품의 지팡이는 물건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음으로 모든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주부들이 시장 보러 갈 때 본 제품을 지팡이 형태로 만들어 짚고 가서 이를 손수레 형태로 변신시킨 후 여기에 구입 물품들을 가방이나 쇼핑백에 담아서 싣고 오면 힘들이지 않고 물건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주부들의 장보기에 많은 편리를 도모한다.
또한 사람들이 산책 시에도 소지품(예를 들면 라디오, 손수건, 휴지, 지갑, 필기구, 핸드폰, 열쇠 등)을 휴대하여야 될 경우에 소형 가방 등에 담아서 본 제품에 싣고 다닌다면 별도 무겁게 들고 다니는 불편이 없다. 그리고 비오는 날 우산이나 해 뜨는 날 양산 등을 별도 들고 다니기에 매우 귀찮은데 본 제품에 싣고 다님으로서 편리한 생활을 누릴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본 제품은 손수레 형태로 만들어 위의 소지품들을 싣고 다닐 수도 있지만 소지 물품이 소형인 경우에는 손수레 형태로 변형시키지 않고 지팡이 형태에서 다만 고리만 내려 물건을 걸고 지팡이를 짚고 다녀도 맨손으로 다니는 것보다는 훨씬 가볍게 다닐 수 있다.
왜냐하면 물건을 직접 손에 들지 않고 지팡이에 걸어서 지팡이를 짚기에 걸으면서 지팡이를 위로 올리는 동안은 무거워도 바닥에 대는 동안은 힘이 들지 않아서 물건을 들고 가기에 반절 힘 밖에 들지 않는다. 그러기에 본 제품을 지팡이로 사용하여 짚고 다니며 산책하면서도 휴대물품을 힘들이지 않고 소지 운반할 수 있다.
어쨌든 근거리 장보러 갈 때나 소형물품 구입 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맨손으로 가서 물품을 들고 오는데 본 제품을 지팡이로 간단히 휴대하고 가서 힘들이지 않고 물건을 운반해 올 수 있다. 본 제품을 지팡이 형태로 되게 하였을 때에는 돌출 부분 등이 없이 거의 일반 지팡이 형태가 되게 설계하였기 미적 감각이 있어 짚고 다니기에 아주 좋고 손수레 형태가 되었을 때에는 튼튼하여 짐을 싣고 다니기에 편리하게 고안되었다.
다만 여기에서 크고 무거운 물건은 본 기기의 성질상 여기에 싣고 다닐 수 없으며 이때는 별도로 현행의 손수레로 사용하여야 한다. 본 기기는 구조가 간편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보급할 수 있어 모든 사람이 용이하게 구입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손수레 형태로 되었을 때의 전체의 정면도
도 2는 지팡이 형태로 되었을 때의 전체의 정면도
도 3은 몸체와 원래의 부착물
도 4는 바퀴축삽입함의 외부 모형과 그 외부로 나타 난 부착물
도 5는 바퀴와 바퀴축 및 그 부착물
도 6은 바퀴축삽입함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을 90도 회전시켜서 나타 낸 측면도
도 8은 바퀴축지지함과 지지함연결봉
도 9는 바퀴축고정판과 그 부착물
도 10은 바퀴축을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도 11은 도 10에서 좌측바퀴를 회전시켜 일부 위로 올렸을 경우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겠다. 본 기기는 크게 나누어 지팡이의 몸체와 바퀴축삽입함으로 구성되는데 몸체에는 고리와 받침판이 구성되어 있고 바퀴축삽입함에는 바퀴와 바퀴축 및 그 외 부착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세부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기기를 손수레 형태로 만들었을 때의 전체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보면 전체로 보아 우선 몸체(1)와 바퀴축삽입함(12)으로 나누어져 있고, 여기에 각각 부착물이 부착되어서 전체를 이루고 있다.
그러면 먼저 각각 여기에 부착된 부착물들의 구성을 보겠는데 먼저 도 1에서 몸체(1)와 그 부착물을 보겠다. 먼저 본 기기는 지팡이로 사용할 때의 기본을 이루는 부분인 몸체(1)가 있다. 이 몸체(1)는 둥글고 긴 원기둥형태의 관(管)으로 되어 있다. 이 몸체(1)의 윗부분에는 본 기기를 사용할 때 잡는 손잡이(2)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도 1에서 고리(3)를 보겠다. 이 고리(3)는 몸체(1)의 중간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물건을 걸 수 있는 곳이다. 그 구성을 보면 고리(3)와 고리부착함(4)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리(3)는 직사면체의 형태로,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은 밑면과 양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고리부착함(4)에 고리회전부착점(5)에 의거 회전되게 부착되어 지팡이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몸체(1)에 붙어 있다가 짐을 싣기 위하여 손수레 형태로 변형시킬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고리(3)를 회전시켜 밑으로 내려 몸체(1)와 45도 각도가 되게 벌어지게 한다. 그러면 여기에 가방 등 물건을 걸 수 있다.
고리부착함(4)의 밑면은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부착되어 있음으로 고리를 내렸을 경우에는 고리가 여기에 걸려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된다. 도 3은 몸체(1)와 몸체에 원래부터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들을 나타내었다.
다음에 고리(3) 밑면으로는 받침판(6)이 붙어 있는바 이곳은 고리에 물건을 걸었을 때에 물건을 받쳐주어 물건을 안전하게 싣고 갈 수 있게 하여 주는 곳이다. 이 받침판(6)은 윗면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옆면은 반원기둥 형태로 되어서 도 2에서와 같이 지팡이 형태에서는 몸체(1)에 밀착되어 지팡이와 일체를 이룬다.
도 2는 본 기기가 지팡이 형태로 되었을 때의 전체의 정면도이다. 도 2에서 보면 받침판(6)은 몸체(1)에 밀착되어 있고 그 밑 옆면으로 직사각형의 받침판지지대(7)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이 받침판지지대(7)는, 도 3에서와 보는바와 같은 두 개의 반 원판으로 되어 몸체(1) 옆면에 부착 되어있는, 지지대 부착판(8)에 지지대회전부착점(10)에 의거 회전되게 부착되어서 회전한다.
그런데 지지대부착판(8)은 둥근면 중앙의 밑면이 막혀 있어 받침판지지대((7)를 회전시킬 경우 여기에 닿아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고정되어 도 1에서와 같이 45도 각도로 벌어진 형태가 된다. 이때는 짐을 싣기 위하여 손수레 형태로 변형 시킨 경우로 받침판지지대(7)에 연결 부착된 받침판(6)도 45도 각도로 벌어진 채 고정되어 고리(3)에 걸린 물건을 몸체에서 흔들리지 않게 받쳐주게 된다.
다음에 도 1에서 몸체(1)의 밑면에 그림 형태와 같은 몸체연결판(11)이 부착되어 있는바 이곳은 지팡이의 몸체(1)와 바퀴축삽입함(12)을 연결하여 주는 곳이다. 이상으로 지팡이의 몸체(1)와 그 부착물에 대하여 설명하였거니와 다음에는 바퀴축삽입함(12)과 그 부착물에 대하여 보겠다.
도 1에서 나타난 바퀴축삽입함(12)을 이해의 편의상 도 6에서 다시 나타내었는바 도 6은 바퀴축삽입함만 별도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면 바퀴축삽입함(12)은 원기둥 형태로 되어 있되 왼편 옆면으로 바퀴축삽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곳은 바퀴축삽입함(12)에 세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 바퀴축(17)이 삽입되어 질 수 있는 공간이다.
이 바퀴축삽입구(13)는 도 7에서와 같이 바퀴축삽입함(12)을 90도 돌려서 보면 그 형태를 확실히 알 수 있다. 이 바퀴축삽입함(12)은 도 1에서와 같이 지팡이의 몸체(1)에 몸체연결판(11)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부착물의 작동에 의해서 지팡이의 역할을 하거나 손수레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형태에서 바퀴축삽입함(12)의 내부를 생략한 외부모형과 그 외부로 나타나 있는 부착물만을 나타낸 모형으로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보면 바퀴축(17)은 바퀴축삽입함(12)내부에만 있어 나타나지 않았고 바퀴축걸림판(27) 역시 나타나지 않았는데 도 1에서는 바퀴축삽입함(12)의 내부의 부착물을 투명하게 나타내었다.
다음에 도 6에서 바퀴축삽입함(12)내부의 오른편 윗면에 걸림판지지대(14)가 소형 직사각형의 형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곳은 도1에서와 같이 본 기기를 지팡이 형태로 만들 때 바퀴축(17)에 부착되어 있는 바퀴축걸림판(27)이 여기에 걸려서 바퀴축(17)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걸림판지지대(14)는 바퀴축삽입함(12) 내부에 부착된 것으로 도 4에서 보면 나타나 있지 않다.
다음 도 6에서 바퀴축삽입함(12)에는 걸림판지지대(14) 밑으로 지팡이지지판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바퀴축삽입함(12) 옆면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구멍으로서 도 7에서 보면 그 형태를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7은 도 6을 90도 회전시켜서 나타냄으로서 바퀴축삽입함(12)과 그 부착물의 상태를 명확히 하였다. 이 지팡이지지판삽입구(15)는 본 기기를 지팡이 형태로 만들 때 바퀴축(17)에 부착된 지팡이지지판(26)이 이곳을 통과하여 지팡이지지판 위의 둥근 구멍이 이곳을 통해 나옴으로서 이 둥근 구멍에 바퀴축고정판(21)에 형성되어 있는 바퀴축고정봉(22)을 삽입시켜서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에 세로로 놓인 채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또 지팡이지지판삽입구(15) 밑면으로 도 6에서와 같이 바퀴축삽입함연결고리(25)가 반원(半圓)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바 이곳은 바퀴축고정판(21)을 연결시키는 곳이다. 또한 그 밑면 즉 바퀴축삽입함(12) 맨 밑면으로 둥근 구멍으로 된 연결봉삽입구(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의 상세 형태를 도 7에서 보면 양측으로 두 개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곳은 바퀴축지지함(18)에 부착된 지지함연결봉((19)이 삽입되어져서 바퀴축(17)과 바퀴축지지함(18)을 바퀴축삽입함(12)에 연결시켜 주며, 바퀴축(17)이 회전할 수 있게 하여주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리고 도 6에서 바퀴축삽입함(12) 오른쪽 밑면으로 바퀴축지지함고정구(29)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도 7에서 보면 바퀴축삽입함(12) 가장 밑면에 뚫린 조그만 구멍으로 여기는 도 1에서와 같이 본 기기를 손수레 형태로 만들고자 바퀴축을 회전시켜서 가로로 놓을 때 바퀴축지지함(18)이 이곳에 닿아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바퀴축(17)이 가로로 일직선으로 놓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다음에는 도 1에서 바퀴축삽입함(12) 밑면으로 부착되어 있는 바퀴와 바퀴축 및 그 부착물에 대해서 보기로 한다. 바퀴(16)는 두 개로 바퀴축(17)에 양측 가 쪽으로 삽입되어져 있으며 이 바퀴축(17)은 원통형으로 된 바퀴축지지함(18) 내부로 삽입되어져서 그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5는 바퀴(16)와 바퀴축(17) 및 그 부착물만을 이해의 편의상 별도로 나타낸 도면으로 여기서 그 부착물을 보도록 하겠다. 전술한바와 같이 바퀴축(17) 양측으로 바퀴(16)가 삽입되어서 굴러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바퀴(16)의 오른쪽 바퀴축(17) 끝에는 꼬리(28)가 부착되어 있다. 이 꼬리는 도 2에서처럼 본 기기가 지팡이 형태로 되었을 때 지팡이의 밑면에 내려가서 지팡이를 짚을 때에 바닥에 닿아 짚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다음에 바퀴축(17)에는 고정봉삽입구(23)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구멍은 소형의 둥근 구멍으로서 바퀴축고정판(21)에 부착된 바퀴축고정봉(22)이 삽입되어 바퀴축(17)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바퀴축(17) 중간 좌측면으로 지팡이지지판(26)이 부착되어 있는바 이는 소형의 직사각형의 판 위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곳은 지팡이 형태로 되었을 때에 지팡이지지판삽입구(15)를 통과하여 이 작은 구멍이 바퀴축삽입함(12) 오른쪽 면에 돌출되어 놓이게 되며 여기에 바퀴축고정판(21)에 부착된 바퀴축고정봉(22)을 삽입시켜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 내에서 세로로 놓인 채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고정봉삽입구(23) 왼편으로는 바퀴축걸림판(27)이 소형 직사각형으로 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곳은 도 2에서와 같이 지팡이 형태로 되었을 때에 걸림판지지대(14) 위에 위치해서 여기에 걸려 바퀴축(17)이 바퀴축삽입함(12) 내에서 밑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바퀴축걸림판(27)이 바퀴축삽입함(12) 오른쪽 면에 닿아서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 도 8에서 보면 바퀴축지지함(18)과 지지함연결봉(19)을 별도로 나타내었는바 바퀴축지지함(18)은 원통형의 관으로 되어 있고 지지함연결봉(19) 역시 소형의 관으로 바퀴축지지함(18)의 옆면 중앙 양측으로 붙어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5의 바퀴축(17)이 도 8의 바퀴축지지판(18)내로 삽입되어 진다. 그러면 도 1의 형태와 같이 된다. 여기서 삽입되어 진 바퀴축(17)은 바퀴축지지함(18)내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오른쪽 바퀴의 바로 좌측으로 소형의 바퀴축지지함걸림봉(30)이 부착되어 있는바 이곳은 바퀴축(17)을 바퀴축지지함(18)내에서 왼편으로 밀면 도 10에서와 같이 이곳이 바퀴축지지함(18)의 오른편에 닿아 더 이상 왼편으로 나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다음에는 바퀴축고정판(21)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9는 바퀴축고정판(21)과 그 부착물을 별도로 나타내었는바 여기서 보면 바퀴축고정판(21)은 직사각형으로 된 판이고 그 위편으로 고정판연결고리(24)가 부착되어 있는바 이것은 둥근 구멍으로 바퀴축삽입함연결고리(25)와 교차하여 연결되어 있기에 바퀴축고정판(21)은 상하 좌우로 자유로 회전할 수 있고, 도 9에서 바퀴축고정판(21)의 아래쪽 면에 바퀴축고정봉(22)이 부착되어 있되 이것은 원통형으로 약간 구부러진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바퀴축고정봉(22)은 도 1에서와 같이 본 기기가 손수레 형태로 되었을 때에는 바퀴축(17)에 형성된 고정봉삽입구(23)에 삽입되어서 바퀴축고정판(21)이 바퀴축(17)을 가로로 고정시켜 손수레로 사용할 수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지팡이 형태가 되었을 때에는 지팡이지지판(26)위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함으로서 바퀴축고정판(21)이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내에서 세로로 고정시켜 지팡이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기기의 구조를 설명하였거니와 이하에서는 지팡이와 손수레가 서로 변신되는 작동원리를 설명코자 한다. 도 1은 본 기기가 짐을 싣기 위하여 손수레 형태로 되었을 때를 나타내었다.
그러면 여기서 본 기기가 도 2의 지팡이의 형태로 되는 과정을 보겠다. 도 1에서 바퀴축고정판(21)을 위로 회전시켜 바퀴축고정봉(22)을 고정봉삽입구(23)로부터 분리시켜 놓으면 바퀴축고정판(21)은 도 10의 형태와 같이 된다. 그러면 바퀴축(17)은 고정이 풀려서 바퀴축지지판(18) 속에서 좌우로 이동하거나 또는 바퀴축지지함(18)과 함께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형태로 되어 있는 바퀴축(17)을 왼편으로 밀되 바퀴축지지함걸림봉(30)이 바퀴축지지함(18)에 닿을 때까지 밀어 놓는다. 그러면 바퀴축(17)은 도 10의 형태와 같이 되어 바퀴축삽입함(12) 밑면에서 왼편으로 놓이게 된다. 여기서 바퀴축지지함(18)은 제자리에 있고 바퀴축(17)만 이동한다.
이때 바퀴축(17)은 바퀴축삽입함(12)과 수직으로 가로로 놓여 있다. 도 10은 바퀴축고정판(21)을 위로 올리고 바퀴축(17)을 왼편으로 밀어서 이동시켰을 때를 나타내었다.
다음에는 바퀴축(17)의 왼편을 위로 올린다. 그러면 바퀴축(17)은 바퀴축지지함(18)내에 삽입되어 있기에 바퀴축지지함(18)과 함게 회전한다. 도 11은 바퀴축의 왼편을 일부 올려서 바퀴축삽입함(12)과 45도 각도를 이루었을 때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올린 후 바퀴축 왼편을 계속 밀어 올려서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에 완전히 밀어 넣으면 바퀴축걸림판(27)이 바퀴축삽입함(12)의 안쪽 가에 닿아 고정되어서 도 2에서와 같이 바퀴축(17)은 바퀴축삽입함(12)의 한 가운데에 세로 일직선으로 놓이게 된다.
또한 이때 바퀴축걸림판(27)은 바퀴축삽입함(12)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판지지대(14) 위에 걸쳐져 바퀴축(17)이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이때에 왼편바퀴(16)는 지팡이의 몸체(1)와 삽입함(12) 사이의 공간에 가로로 삽입되어 지고, 오른 쪽 바퀴(16)는 바퀴축삽입함(12)의 밑면에 도 2에서와 같이 놓이게 된다.
그런 다음 바퀴축고정판(21)을 위로 회전시켜 올려 바퀴축고정봉(22)을 지팡이지지판(26) 위로 형성되어 있는 둥근 구멍에 삽입하여 놓는다. 그러면 바퀴축(17)은 고정되어 좌우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본 기기를 지팡이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때에 바퀴축(17) 맨 밑면에 부착되어 있는 꼬리(28)는 본 기기를 지팡이로 사용할 때에 바닥을 짚는 역할을 하여 지팡이로서의 효용을 발휘시킨다.
다음에 몸체(1)에 부착되어 있는 받침판(6)의 양편을 오므리면 받침판(6)은 도 2에서와 같이 지팡이의 몸체(1)에 밀착되어 지팡이와 일체를 이루어 지팡이로 사용할 때 지팡이의 원형에 가깝게 하여 미적 감각을 돋우어 준다. 여기서 지지대부착판(8)은 받침판지지대(7)를 오므리는 역할도 함으로 받침판(6)이 지팡이의 형태로 되었을 때에 몸체(1)에 붙어서 벌어지지 않는다.
다음에 고리는 도 2에서 수그러져 있는데 위로 올리면서 회전시켜 몸체(1)에 밀착시켜 놓으면 지팡이와 일체가 되어 지팡이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형태가 된다.
이것역시 고리부착함(4)이 고리(3)를 오므리는 역할을 함으로 고리(3)가 몸체(1)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완전히 본 기기가 지팡이의 형태가 되면 사람이 지팡이로 짚고 다닐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 2의 형태에서 도 1의 손수레 형태로 되는 과정을 보겠다. 이는 도 1의 형태에서 도 2의 형태로 되는 과정을 반대로 하면 되지만 다시 구체사항을 보기로 하겠다.
먼저 도 2에서 고리(3)를 회전시켜 밑으로 내린다. 그러면 고리부착함(4)의 밑면이 45도 각도로 경사졌음으로 고리는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수그러진 후 여기에 닿아서 더 이상 수그러지지 않고 멈춘다. 그러면 도 1에서와 같은 형태로 되어 여기에 물건을 걸 수가 있다.
그리고 받침판(6)을 몸체(1)의 양편으로 벌리면 양 옆으로 벌어지되 받침판지지대(7)가 지지대고정판(9)에 닿아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45도 각도로 벌어져 멈춘다. 그러면 고리(3)에 물건을 걸었을 때에 물건이 받침판(6)위에 안정적으로 놓여 받침판(6)이 물건을 받쳐줌으로서 물건을 싣고 다닐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서 지팡이지지판(26)에 바퀴축고정봉(22)의 삽입에 의거 여기에 고정되어 있는 바퀴축고정판(21)을 밑으로 내려 바퀴축고정봉(22)을 지팡이지지판(26)에서 분리하여 놓으면, 바퀴축(17)은 바퀴축지지함(18)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바퀴축(17)을 왼편 아래로 회전시키면 왼편바퀴가 밑으로 내려와서 도 10에서와 같이 가로로 놓여 지며, 이때 바퀴축지지함(18)의 오른편이 바퀴축지지함고정구(29)에 닿아서 바퀴축(17)은 더 이상 오른편으로 회전하지 않기에 바퀴축삽입함(12)과 수직을 이룬다.
이때에 바퀴축(17)을 오른편으로 밀어서 지팡이지지판(26)이 바퀴축지지함(18)에 닿을 때까지 밀어 놓으면 바퀴축(17)은 도 1에서와 같이 그 중앙이 바퀴축삽입함(12) 밑면에 놓이게 된다.
이때 바퀴축고정판(21)을 회전시켜 바퀴축고정봉(22)을 고정봉삽입구(23)에 삽입하여 놓으면 바퀴축(17)은 바퀴축삽입함(12)의 밑면에 바퀴축삽입함(12)과 수직으로 부착된 채 고정된다. 그러면 바퀴도 고정되어 굴러감으로서 짐을 싣고 다닐 수 있는 손수레의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기기는 지팡이를 사람이 짚고 다니며 사용하되 물건이 있을 경우에는 물건을 싣고도 다닐 수 있게 함으로서 사람들의 생활에 편의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 몸체 2 : 손잡이 3 : 고리 4 : 고리부착함 5 : 고리회전부착점 6 : 받침판 7 : 받침판지지대 8 : 지지대부착판 9 : 지지대고정판 10 : 지지대회전부착점 11 : 몸체연결판 12 : 바퀴축삽입함 13 : 바퀴축삽입구 14 : 걸림판지지대 15 : 지팡이지지판삽입구 16 : 바퀴 17 : 바퀴축 18 : 바퀴축지지함 19 : 지지함연결봉 20 : 연결봉삽입구 21 : 바퀴축고정판 22 : 바퀴축고정봉 23 : 고정봉삽입구 24 : 고정판연결고리 25 : 바퀴축삽입함연결고리 26 : 지팡이지지판 27 : 바퀴축걸림판 28 : 꼬리 29 : 바퀴축지지함고정구 30 : 바퀴축지지함걸림봉

Claims (1)

  1. 몸체와 그 부착물 및 바퀴축삽입함과 그 부착물로 구성된 짐을 싣는 지팡이에 있어
    몸체(1)는 긴원기둥의 관(管)으로 되어 있되, 맨 위로 손잡이가 있고, 몸체(1)의 중간부분에 고리(3)가 고리부착함(4)에, 고리회전부착점(5)에 의거 회전되게 부착되어 상하로 회전할 수 있고
    고리(3) 밑으로 받침판(6)이 받침판지지대(7)에 의거, 지지대고정판(9)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부착판(8)에 지지대회전부착점(10)에 의거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으며
    옆면에 바퀴축삽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 바퀴축삽입함(12)이 몸체연결판(11)에 의거 몸체(1)와 연결되어 있으며, 바퀴축삽입함(12) 내부 오른편에 걸림판지지대(14)와 지팡이지지판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로 바퀴축삽입함연결고리(25)가 부착되어 있으며, 바퀴축삽입함(12) 맨 밑면에 두 개의 연결봉삽입구(20)와 한 개의 바퀴축지지함고정구(29)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으로 두 개의 바퀴(16)가 회전되게 부착된 바퀴축(17)이 바퀴축지지함(18)내부로 삽입되어서 좌우로 이동 할 수 있고, 바퀴축지지함(18) 중앙 양편으로 지지함연결봉(19)이 부착되어서 연결봉삽입구(20)로 삽입되어져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 밑면에 바퀴축지지함(18)과 함께 좌우로 회전될 수 있게 부착시키며
    손수레 형태에서는 바퀴축(17) 우측면 끝에 꼬리(28)가 부착되어 있고 우측바퀴 좌측면으로 바퀴축지지함걸림봉(30)이 부착되어 있으며, 바퀴축 왼편으로 지팡이지지판(26)과 바퀴축걸림판(27)이 부착되어 있는바
    바퀴축고정판(21)이 그 상부로 형성된 고정판연결고리(24)에 의거 바퀴축삽입함연결고리(25)에 삽입되어 상하 좌우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고, 그 하부로는 바퀴축고정봉(22)이 부착되어 있는바 이 바퀴축고정봉(22)을, 바퀴축지지함(18)이 바퀴축지지함고정구(29)에 닿아 회전이 멈추었을 때, 고정봉삽입구(23)에 삽입하면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과 수직이 되게 가로로 고정시켜 바퀴(16)가 굴러갈 수 있는 손수레의 형태가 되고
    바퀴축고정판(21)을 위로 올리고 바퀴축(17)을 왼편으로, 바퀴축지지함걸림봉(30)이 바퀴축지지함(18)에 닿을 때까지, 밀어서 바퀴축(17)을 바퀴축삽입함(12) 왼편으로 위치시킨 후 왼쪽 바퀴를 위로 회전시키면 바퀴축(17)은 바퀴축지지함(18)과 함께 회전되어 바퀴축삽입함(12)내에 삽입되어 세로로 놓이게 되며, 이때 지팡이지지판(26)이 지팡이지지판삽입구(15)를 통과하여 위치되고, 바퀴축걸림판(27)은 걸림판지지대(14) 위에 걸쳐져서 지팡이 형태를 이루는바 이때 바퀴축고정판(21)을 위로 올려 바퀴축고정봉(22)을 지팡이지지판(26)에 삽입하면 바퀴축(17)은 바퀴축삽입함(12)내에서 세로로 고정되고, 꼬리(28)가 밑면으로 내려와 바닥을 짚을 수 있는 형태가 되어 지팡이로 짚고 다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짐을 싣는 지팡이
KR1020130100810A 2013-08-26 2013-08-26 짐을 싣는 지팡이 KR10141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810A KR101417673B1 (ko) 2013-08-26 2013-08-26 짐을 싣는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810A KR101417673B1 (ko) 2013-08-26 2013-08-26 짐을 싣는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673B1 true KR101417673B1 (ko) 2014-07-09

Family

ID=5174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810A KR101417673B1 (ko) 2013-08-26 2013-08-26 짐을 싣는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87Y1 (ko) * 2018-02-13 2018-12-11 송주탁 쇼핑용 지팡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459U (ko) * 1989-10-23 1991-06-20
JPH09140424A (ja) * 1995-11-28 1997-06-03 Hikari Moole:Kk ステッキ
WO2005105220A1 (de) 2004-05-04 2005-11-10 Kraft & Ausdauer Sportgeräte Gmbh Trainingsstock für sportler
KR20120001307U (ko) * 2010-08-17 2012-02-27 송주탁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459U (ko) * 1989-10-23 1991-06-20
JPH09140424A (ja) * 1995-11-28 1997-06-03 Hikari Moole:Kk ステッキ
WO2005105220A1 (de) 2004-05-04 2005-11-10 Kraft & Ausdauer Sportgeräte Gmbh Trainingsstock für sportler
KR20120001307U (ko) * 2010-08-17 2012-02-27 송주탁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87Y1 (ko) * 2018-02-13 2018-12-11 송주탁 쇼핑용 지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015B2 (en) Wheeled shopping tote
JP4538495B2 (ja) 車輪付き手荷物ケース
US9848681B1 (en) Travel luggage with push and pull functions
US7717440B1 (en) Adaptable luggage cart for transporting items between remote locations
US20120228074A1 (en) Travel Master
US9233700B1 (en) Portable cart with removable shopping bag
US20050275195A1 (en) Foldable cart
JP2000512530A (ja) コンテナー又はカートのローラ機構
US20160368516A1 (en) Portable Valet Mechanism and Method of Use
US8622357B2 (en) Luggage support arm
US8162348B2 (en) Folding cart
KR101417673B1 (ko) 짐을 싣는 지팡이
US20150251681A1 (en) Detachable Stroller Handle Tray
US20170225699A1 (en) Collapsible Cart Assembly
JP3173347U (ja) ショッピングカー
US9914468B2 (en) Collapsible cart
GB2541123B (en) A wheeled bag suitable for attaching to a buggy
JP3181838U (ja) スーツケース用台座及びこれを使用したスーツケース
KR200463161Y1 (ko) 손수레 겸용 지팡이
KR200488087Y1 (ko) 쇼핑용 지팡이
CN210227195U (zh) 一种旅行箱
KR20110061702A (ko) 어깨에 멜 수 있는 휴대용 운반장치
JP3128002U (ja) ショッピングカー
KR102188053B1 (ko) 장바구니
JP3171787U (ja) キャリーカ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