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307U -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 - Google Patents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307U
KR20120001307U KR2020100008518U KR20100008518U KR20120001307U KR 20120001307 U KR20120001307 U KR 20120001307U KR 2020100008518 U KR2020100008518 U KR 2020100008518U KR 20100008518 U KR20100008518 U KR 20100008518U KR 20120001307 U KR20120001307 U KR 201200013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ttached
attachment
support pl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3161Y1 (ko
Inventor
송주탁
Original Assignee
송주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탁 filed Critical 송주탁
Priority to KR2020100008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16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45B1/02Walking sticks with rollers for carrying parc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팡이를 간단히 손수레로 변신시켜 짐을 싣게 할 수 있는 기구로
종래에 단순히 짚고 다니는 역할만 하는 지팡이 대신 몸체와 그 부착물로 이루어진 지팡이를 짚고 다니다가 바퀴부착관을 분리시켜 몸체를 몸체삽입관에 삽입하여 손수레로 변신시켜 편리하게 짐을 싣고 다닐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기기는 몸체와 고리, 받침판 및 바퀴가 부착된 바퀴부착관으로 구성된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로 몸체(1)는 원기둥의 관으로 되어 있고, 위로는 손잡이가 있으며, 그 밑으로는 고리(3)가 고리부착관(4), 걸림판(5), 삽입봉(6), 지지판(7)에 의거 부착되어 앞으로 숙여져 짐을 걸 수 있고 그 밑으로 받침판(8)이 몸체(1)에 회전되게 부착되어 회전하되 옆으로 돌리면 90도 회전하여 짐을 받쳐주며, 두개의 바퀴(12)가 부착된 바퀴부착관(11)이 있되 몸체삽입관(13)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손수레가 되어 짐을 싣고 다닐 수 있는 기구이며
지팡이를 짚고 다니다가 운반하여야 할 물건이 있을 경우에는 간단히 손수레로 변신시켜 짐을 싣고 편리하게 다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A walking stick that combined a handcart}
본 고안은 사람이 지팡이를 짚고 다니다가 짐이 있어 운반하여야 할 경우에는 지팡이를 간단히 손수레로 변신시켜 짐을 싣고 갈 수 있게 함으로써 지팡이와 손수레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기구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팡이의 몸체를 바퀴부착관의 몸체삽입구에 삽입하면 몸체와 바퀴부착관이 일직선으로 되고 밑면은 꼬리가 되어 바닥을 짚을 수 있는 지팡이가 되며 몸체를 몸체삽입관에 삽입하면 바퀴부착관에 부착된 바퀴가 굴러갈 수 있으며 이때 지팡이의 몸체 윗면에 부착된 고리를 숙여 물건을 걸고 받침판을 돌려 물건을 받치게 하여 손수레로 만들어 짐을 싣고 다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팡이는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짚고 다님으로써 단순한 몸만 의지하는 역할밖에 못하였다. 그 결과 지팡이를 짚고 다니다가 운반하여야 할 물건이 있을 경우에는 한손에 지팡이를 짚고 다른 한손에는 물건을 들고 가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지팡이가 없는 경우에도 무거운 물건을 직접 들고 가거나 큰 손수레를 끌고 가서 물건을 싣고 와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에 단순히 짚고 다니는 역할만 하는 지팡이 대신 지팡이의 몸체와 그 부착물로 이루어진 지팡이를 짚고 다니다가 휴대하여야 할 물건이 있을 경우에는 몸체 밑면에 삽입되어 있는 바퀴가 부착되어 있는 바퀴부착관을 분리시켜 이를 가로로 놓은 후 여기에 나 있는 몸체삽입관에 지팡이의 몸체를 삽입하여 손수레로 변신시킨 후 몸체에 부착된 고리를 숙이고 받침판을 90도 회전시켜 물건을 받칠 수 있게 한 후 고리에 물건을 걸어서 손수레로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몸체와 고리, 받침판 및 바퀴가 부착된 바퀴부착관으로 구성된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로 몸체(1)는 긴 원기둥의 관(管)으로 되어 있되 그 위로는 손잡이가 있고
손잡이(2) 밑 옆면으로 지지판(7)이 붙어 있고 여기에 작은 원기둥형의 삽입봉(6)이 부착되어 있으며 삽입봉(6)에는 둥근관으로 된 고리부착관(4)이 삽입되어 있되, 고리부착관(4)위로는 원기둥형의 고리(3)가 부착되어 있고 고리부착관(4) 전면으로는 직사각형의 걸림판(5)이 붙어 있는바
고리(3)를 앞으로 회전시키면 고리부착관(4)과 걸림판(5)도 함께 회전하되 이때 걸림판(5)의 밑 부분이 몸체(1)에 닿아 고리(3)는 45도로 숙여진 채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져 여기에 물건을 걸 수 있고
고리(3) 밑으로 직사각형의 판(板)으로 된 받침판(8)이 그 가운데의 회전부착점(9)에 의거 몸체(1)의 회전부착점(9)에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되 몸체(1)와 일직선으로 부착되어 있고, 몸체(1)의 오른편에서 회전부착점(9)의 조금아래편에 걸림봉(10)이 붙어 있는바, 받침판(8)의 윗부분을 오른편으로 90도 돌리면 받침판(8)에서 회전부착점(9)의 조금 위쪽 오른편이 걸림봉(10)에 닿아 더 이상 돌아가지 않고 몸체(1)와 직각이 되게 가로 놓여져 물건을 받쳐주며, 이때 다시 받침판(8)의 오른쪽을 위쪽 왼편으로 돌리면, 받침판(8)은 회전부착점(9)에서 조금 아래쪽 오른편이 걸림봉(10)에 닿아 더 이상 돌아가지 않고 몸체(1)와 일직선이 되게 놓이며
원기둥형의 관(菅)인 바퀴부착관(11)이 있되, 이곳 양편으로 두개의 바퀴(12)가 부착되어 회전하며 바퀴부착관(11)의 한쪽 면은 몸체삽입구(15)로 되어 있고 다른 한쪽 면은 꼬리(14)로 되어 있으며 가운데 면으로는 몸체삽입관(13)이 나 있는바 몸체(1)를 몸체삽입구(15)로 삽입하면 몸체(1)와 바퀴부착관(11)이 일직선으로 되고 밑면은 꼬리(14)가 되어 바닥을 짚을 수 있는 지팡이가 되며, 몸체(1)를 몸체삽입관(13)에 삽입하면 바퀴(12)가 굴러가는 손수레가 되어 사람이 짐을 싣고 다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본 지팡이를 짚고 다니다가 휴대하여야 할 소형 물건이나 약간 크고 무거운 물건이 있을 경우에 이를 가방 등에 넣은 후 별도로 들고 다니지 않고 본 지팡이를 손수레로 변신시켜 여기에 물건을 싣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지팡이는 주로 노인들이 사용하였으나 본 지팡이는 물건을 운반하기에 편리함으로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주부 등이 시장 보러 갈 때 본 지팡이를 짚고 가서 이를 손수레로 만든 후 여기에 구입물품들을 가방이나 쇼핑백에 담아서 여기에 걸고 손수레를 끌고 오면 힘들이지 않고 물건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일반인들이 산책 시에도 소지품(예를 들면 라디오, 손수건, 휴지, 지갑, 필기구, 핸드폰, 열쇠 등)을 소형 가방에 담아 본 지팡이에 걸고 다니면 별도 무겁게 들고 다니는 불편이 없다. 그리고 비 오는 날 우산이나 해뜨는 날 양산 등을 별도 들고 다니기에 매우 귀찮은데 여기에 걸고만 다니면 됨으로 아주 편리하다.
본 지팡이는 구태여 손수레로 변신시키지 않고도 다만 고리만 내려 물건을 걸고 지팡이를 짚고 다녀도 맨손으로 들고 다니는 것 보다는 훨씬 가볍게 다닐 수 있다. 왜냐하면 물건을 직접 손에 들지 않고 지팡이에 걸어서 지팡이를 짚기에 걸으면서 지팡이를 위로 올리는 동안은 무거워도 바닥에 대는 동안은 힘이 들지 않아서 물건을 들고 가기에 반절 힘 밖에 들지 않는다.
다만 여기서 크고 무거운 물건은 본 기기의 성질상 여기에 싣고 다닐 수 없으며 이때는 별도로 현행의 손수레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기기는 구조가 간편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보급할 수 있어 모든 사람이 용이하게 구입 사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지팡이 모양 전체를 조립한 평면도
도 2는 지팡이의 몸체와 원래부터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
도 3은 바퀴부착관과 바퀴 및 몸체삽입관
도 4는 고리와 고리부착관 및 걸림판
도 5는 받침판
도 6은 바퀴부착관이 몸체에서 분리된 후에 고리가 회전해서 45도 숙여지고 받침판이 90도 회전하여 몸체와 직각이 되었을 때
도 7은 바퀴부착관과 바퀴 및 몸체삽입관을 가로로 놓은 모형도
도 8은 지팡이가 손수레로 변신했을 때의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겠다. 본 기기는 지팡이의 몸체에 몇 가지 부착물이 부착되어서 본 기기를 이루고 있다. 이를 구성별로 보면 지팡이는 손잡이와 몸체, 고리, 받침판, 바퀴가 부착된 바퀴부착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꼬리가 있는 바퀴부착관의 몸체삽입구에 몸체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팡이가 되고, 바퀴부착관의 몸체삽입관에 몸체가 삽입되고 고리를 숙인다음 받침판을 돌려놓으면 손수레가 되어 짐을 나를 수 있는 구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그 세부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그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기기를 지팡이로 사용할 때의 전체를 조립한 정면도이다. 여기서 보면 지팡이는 크게 나누어 몸체(1)와 고리(3), 그리고 받침판(8)과 바퀴(12)가 부착된 바퀴부착관(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개별적으로 구체적인 사항을 보겠는데 먼저 몸체(1)를 도 2에서 보겠다. 도 2는 지팡이의 몸체(1)와 거기에 원래부터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나타내었다. 즉 고리(3)와 받침판(8), 바퀴부착관(11) 등의 부착물을 제외하고 원래부터 몸체에 붙어 있어 몸체와 하나를 이루고 있는 부착물만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보면 몸체(1)는 둥글고 긴 원기둥형의 관(菅)으로 되어 있어 지팡이를 짚고 다닐 수 있는 기본을 이루고 있는 부분이다. 이 몸체(1)의 윗부분에는 지팡이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2)가 나 있다.
다음에는 도1에서 고리(3)를 보겠다. 이 고리(3)는 몸체(1) 윗부분에서 손잡이 밑으로 나 있는 것으로 물건을 걸 수 있는 곳이다. 그 구성을 보면 이 고리(3)는 고리와 고리부착관(4), 걸림판(5), 삽입봉(6), 지지판(7)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고리(3)와 고리부착관(4), 걸림판(5)이 별개의 하나로 되어 있고 삽입봉(6)과 지지판(7)이 붙어서 별개로 되어 있는데 도 2에서 보면 지지판(7)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되어서 몸체(1) 위쪽에서 옆면으로 붙어 있다, 그리고 삽입봉(6)은 조그마한 원기둥 형태로 오른쪽 가의 둥근면이 지지판(7)에 붙어 있되 몸체(1)와는 조금 떨어져 있어 이 곳으로 고리부착관(4)을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봉(6)과 지지판(7)은 원래부터 몸체(1)에 붙어 있는 부착물이다.
다음에 고리(3)와 고리부착관(4), 걸림판(5)이 함께 붙어 있되 별개로 있는데 이를 도 4에서 나타내었다. 도 4는 고리(3)와 고리부착관(4) 및 걸림판(5)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보면 고리(3)는 둥근 원기둥형태로 물건을 걸 수 있는 곳이며 이 고리(3)에는 작은 원기둥 형태의 둥근관으로 된 고리부착관(4)이 가로로 붙어 있다.
또 이 고리부착관(4) 전면에는 직 사각형의 걸림판(5)이 붙어 있다. 여기서 도 4의 고리부착관(4)을 도 2의 삽입봉(6)에 삽입하면 고리부착관(4)에 부착된 고리(3)와 걸림판(5)도 함께 삽입되어져 도 1의 형태와 같이 되는바 여기서 고리부착관(4)이 회전하면 고리(3)와 걸림판(5)도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고리(3)를 앞 쪽으로 회전시키면 도 6에서와 같이 고리가 앞으로 숙여진다.
이때 고리부착관(4) 앞쪽에 붙어 있는 걸림판(5)도 함께 회전하면서 도 6과 같이 걸림판(5) 밑 부분이 몸체(1)에 닿아 고리(3)는 더 이상 내려오지 않고 45도 각도로 숙여져 고정된다. 그러면 여기에 물건을 걸 수 있다.
다음에는 받침판(8)을 보겠다. 도 5는 받침판(8)을 나타내었는바 이는 직 사각형의 판(板)이며 고리(3)에 건 물건을 옆으로 흔들리지 않게 받혀주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이 받침판(8)은 도 5에서 보면 가운데로 회전부착점(9)이 나 있는데 이 곳(9)이 도 2에서 나 있는 회전부착점(9)으로 회전되게 부착되어서 회전한다.
이 받침판(8)은 도 1에서 보면 몸체(1)와 일직선으로 놓여져 있는바 이때는 지팡이로 사용할 때이다. 여기서(도 1) 받침판(8)의 윗부분을 오른편(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면 받침판(8)은 회전부착점(9)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90도 각도로 회전하여 멈춘다. 그래서 도 6에서와 같이 몸체(1)와 받침판(8)은 서로 직각이 되게 놓여진다.
도 6은 몸체(1)에서 바퀴부착관(11)을 분리한 후 고리(3)가 회전하여 45도 각도로 숙여지고 받침판(8)이 90도 회전하여 몸체(1)와 직각이 되게 놓여졌을 때이다.
그러면 여기서 받침판(8)이 회전하여 멈추는 원리를 보겠다. 도 2에서 보면 몸체(1)의 오른쪽에서 회전부착점(9) 조금 밑으로 걸림봉(10)이 붙어 있다.
이 걸림봉(10)은 조그마한 원기둥 형태의 둥근 물체로 도 1에서 받침판(8)이 몸체(1)와 일직선으로 놓여 있을 경우에는 걸림봉(10)이, 회전부착점(9)에서 조금 밑면 오른쪽의 받침판(8)을 막고 있어 받침판(8)의 밑면이(회전부착점을 중심으로 밑면) 오른쪽(걸림봉 방향)으로 나가지 못하게 막고 있다.
그런데 도 1에서 받침판(8)의 윗면을 오른쪽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90도 돌리면 회전부착점(9)에서 조금 위쪽 오른편의 받침판(8)이 걸림봉(10)에 닿아 도 6에서와 같이 몸체와 직각이 되게 가로로 일직선으로 놓이고 더 이상 돌아가지 않는다. 그러면 도 6에서 고리(3)에 가방의 끈이나 다른 물건의 고리 등을 걸고 물건을 받침판(8)위에 올려놓으면 물건은 몸체(1)와 받침판(8)이 열십자가 되어 받쳐줌으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다.
다음에는 도 6에서 받침판(8)의 오른편을 위쪽 왼편(화살표 방향)으로 다시 돌리면 받침판(8)은 전과는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도 1과 같이 몸체(1)와 일직선이 되게 놓인다. 이때에는 위에서 이미 기술한바와 같이 받침판(8)은 회전부착점(9)의 조금 밑면 오른쪽이 걸림봉(10)에 닿아 더 이상 돌아가지 않는다.
다음은 바퀴부착관(11)과 그 부착물을 보겠다. 도 3은 바퀴부착관(11)과 바퀴(12) 및 몸체삽입관(13)을 나타내었는데 이를 설명의 편의상 도 7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바퀴부착관(11)과 여기에 부착된 바퀴(12) 및 몸체 삽입관(13)을 가로로 놓았을 때의 모형인바 여기서 보면 먼저 바퀴부착관(11)이 있는데 이것은 둥근 원기둥형태의 관(菅)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그 양편으로 두개의 바퀴(12)가 부착되어서 바퀴가 회전한다.
이 바퀴부착관(11)에는 도면에 안 나타나 있지만 바퀴의 양편으로 바퀴가 빠져나갈 수 없도록 막음 장치가 되어 있어 바퀴(12)가 바퀴부착관(11)에서 일탈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회전한다.
이 바퀴부착관(11)의 속(내부)은 빈 공간이고, 도 7에서 왼편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삽입구(15)로 되어 이곳으로 몸체(1)를 삽입할 수 있으며 오른편은 꼬리(14)인데 이곳은 지팡이를 짚을 때 땅에 닿는 부분이다. 그리고 가운데 위쪽으로 몸체삽입관(13)이 나 있는데 이것은 조그마한 둥근 관으로, 크기가 몸체(1)가 딱 맞게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여기에 몸체(1)의 밑면이 삽입된다.
여기서 도 7의 형태로 가로 놓인 바퀴부착관(11)을 도 3의 형태인 세로로 놓고 도 2의 몸체에 고리(3)와 받침판(8)이 부착되어 도 1과 같은 형태로 된 몸체(1) 밑면을 바퀴부착관(11)의 윗면에 나 있는 구멍인 몸체삽입구(15)에 밀어 넣는다.
그러면 몸체(1)는 그 밑면이 바퀴부착관(11) 안으로 전부 삽입되어 바퀴부착관(11) 밑면까지 내려간다. 여기서 바퀴부착관(11)의 몸체삽입구(15)의 크기는 몸체(1)가 딱 맞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어 몸체(1)가 삽입되어 지면 안정적으로 부착된다. 그러면 도 1과 같이 몸체(1)와 바퀴부착관(11)이 일직선으로 부착되어 지고 꼬리(14)가 바닥을 짚을 수 있는 형태의 지팡이가 되어서 사람이 손잡이를 잡고 지팡이를 짚으면서 다닐 수 있다.
다음에는 도 1의 형태에서 몸체(1)의 밑면에 삽입되어 있는 바퀴부착관(11)을 분리하여 가로로 놓아 도 7과 같은 형태로 하여 둔다. 다음에 도 1의 몸체(1)에서 고리를 숙이고 받침판(8)을 돌려 몸체(1)와 직각이 되게 놓아 도 6의 형태와 같이 만든 후 도 6의 몸체(1)의 밑면을 도 7의 형태의 바퀴부착관(11)위에 나 있는 몸체삽입관(13)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 8의 형태로 되어 손수레가 된다. 도 8은 지팡이가 손수레로 변신했을 때의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서 보면 바퀴부착관(11)이 가로로 놓여 양쪽 바퀴(12)가 바닥에 닿아 구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몸체(1)가 삽입되어 바퀴부착관(11)과 하나가 됨으로써 손수레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8에 의거 고리(3)에 가방 끈이나 기타 물건의 고리를 걸고 받침판(8)에 가방 등 물건을 올려놓는바 이때 몸체(1)와 받침판(8)이 열십자로 되어 물건을 받쳐 주어 물건이 안정되게 몸체(1)에 놓여지게 됨으로 사람이 손잡이(2)를 잡고 몸체(1)를 조금 굽혀 앞으로 밀거나 끌면 바퀴(12)가 구르면서 손수레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기기는 지팡이의 형태로 하여 짚고 다닐 수가 있으며 또한 손수레로 변신시켜 물건을 싣고도 다닐 수 있어 사람들이 생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 몸체 2 : 손잡이 3 : 고리 4 : 고리부착관 5 : 걸림판 6 : 삽입봉 7 : 지지판 8 : 받침판 9 : 회전부착점 10 : 걸림봉 11 : 바퀴부착관 12 : 바퀴 13 : 몸체삽입관 14 : 꼬리 15 : 몸체삽입구

Claims (1)

  1. 몸체와 고리, 받침판 및 바퀴가 부착된 바퀴부착관으로 구성된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에 있어, 몸체(1)는 긴원기둥의 관(菅)으로 되어 있되 그 위로는 손잡이가 있고
    손잡이(2)밑 옆면으로 지지판(7)이 붙어 있고 여기에 작은 원기둥형의 삽입봉(6)이 부착되어 있으며 삽입봉(6)에는 둥근관으로 된 고리부착관(4)이 삽입되어 있되, 고리부착관(4)위로는 원기둥형의 고리(3)가 부착되어 있고 고리부착관(4) 전면으로는 직사각형의 걸림판(5) 붙어 있는바
    고리(3)를 앞으로 회전시키면 고리부착관(4)과 걸림판(5)도 함께 회전하되 이때 걸림판(5)의 밑 부분이 몸체(1)에 닿아 고리(3)는 45도로 숙여진 채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져 여기에 물건을 걸 수 있고
    고리(3)밑으로 직사각형의 판(板)으로 된 받침판(8)이 그 가운데의 회전부착점(9)에 의거 몸체(1)의 회전부착점(9)에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되 몸체(1)와 일직선으로 부착되어 있고, 몸체(1)의 오른편에서 회전부착점(9)의 조금 아래편에 걸림봉(10)이 붙어 있는바, 받침판(8)의 윗부분을 오른편으로 90도 돌리면, 받침판(8)에서 회전부착점(9)의 조금 위쪽 오른편이 걸림봉(10)에 닿아 더 이상 돌아가지 않고 몸체(1)와 직각이 되게 가로 놓여져 물건을 받쳐주며, 이때 다시 받침판(8)의 오른쪽을 위쪽 왼편으로 돌리면, 받침판(8)은 회전부착점(9)에서 조금 아래쪽 오른편이 걸림봉(10)에 닿아 더 이상 돌아가지 않고 몸체(1)와 일직선이 되게 놓이며
    원기둥형의 관(菅)인 바퀴부착관(11)이 있되, 이곳 양편으로 두개의 바퀴(12)가 부착되어 회전하며 바퀴부착관(11)의 한쪽 면은 몸체삽입구(15)로 되어 있고 다른 한쪽 면은 꼬리(14)로 되어 있으며 가운데 면으로는 몸체삽입관(13)이 나 있는바 몸체(1)를 몸체삽입구(15)로 삽입하면 몸체(1)와 바퀴부착관(11)이 일직선으로 되고 밑면은 꼬리(14)가 되어 바닥을 짚을 수 있는 지팡이가 되며, 몸체(1)를 몸체삽입관(13)에 삽입하면 바퀴(12)가 굴러가는 손수레가 되어 사람이 짐을 싣고 다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가 결합된 지팡이.
KR2020100008518U 2010-08-17 2010-08-17 손수레 겸용 지팡이 KR200463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18U KR200463161Y1 (ko) 2010-08-17 2010-08-17 손수레 겸용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18U KR200463161Y1 (ko) 2010-08-17 2010-08-17 손수레 겸용 지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07U true KR20120001307U (ko) 2012-02-27
KR200463161Y1 KR200463161Y1 (ko) 2012-10-18

Family

ID=4593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518U KR200463161Y1 (ko) 2010-08-17 2010-08-17 손수레 겸용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1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73B1 (ko) * 2013-08-26 2014-07-09 송주탁 짐을 싣는 지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87Y1 (ko) * 2018-02-13 2018-12-11 송주탁 쇼핑용 지팡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310A (ja) 2003-07-30 2005-02-24 Goto:Kk 腰掛け、ブレーキ付き手押し車
JP2006334185A (ja) 2005-06-03 2006-12-14 Tadashi Shikanuma 松葉杖と腰掛とキャリアを兼ねた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73B1 (ko) * 2013-08-26 2014-07-09 송주탁 짐을 싣는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161Y1 (ko)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069B1 (en) Portable shopping cart
US7717440B1 (en) Adaptable luggage cart for transporting items between remote locations
US9145155B2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US20150048598A1 (en) Walker Device with Air Tank Holder
US20100078279A1 (en) Wheeled luggage and reclining chair
KR200463161Y1 (ko) 손수레 겸용 지팡이
FR2904921A1 (fr) Un sac-chariot avec roues pliables et systeme de rangement
US20110127737A1 (en) Wheeled hamper system
JP3202455U (ja) 折り畳み式キャリーカー
US20130154213A1 (en) System for assisting a user in carrying bags or other items
US20150251681A1 (en) Detachable Stroller Handle Tray
CN104939466A (zh) 一种多功能行李箱
KR200488087Y1 (ko) 쇼핑용 지팡이
KR101417673B1 (ko) 짐을 싣는 지팡이
CN206675128U (zh) 多功能雨伞
US8632092B2 (en) Rollator having an adjustable seat orientation
US20090127830A1 (en) Shopping Bag Carrier
CN206576477U (zh) 文具收纳盒
JP2010195379A (ja) ショッピングキャリー
WO2009117857A1 (zh) 箱包拉杆
KR102268508B1 (ko) 다기능 지팡이
CN204812503U (zh) 一种多功能行李箱
KR20130003254U (ko) 쇼핑용 핸드 캐리어
JP3228663U (ja) スーツケース等の底足
CN210611286U (zh) 一种多功能行李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