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270B1 -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 Google Patents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270B1
KR102095270B1 KR1020160149744A KR20160149744A KR102095270B1 KR 102095270 B1 KR102095270 B1 KR 102095270B1 KR 1020160149744 A KR1020160149744 A KR 1020160149744A KR 20160149744 A KR20160149744 A KR 20160149744A KR 102095270 B1 KR102095270 B1 KR 102095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w
sensor
state
diseas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438A (ko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4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27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Priority to US15/565,844 priority patent/US20180310885A1/en
Priority to NZ739154A priority patent/NZ739154B2/en
Priority to EP16918464.5A priority patent/EP3540679A4/en
Priority to AU2016102432A priority patent/AU2016102432A4/en
Priority to CN201680087011.5A priority patent/CN109416817A/zh
Priority to AU2016419441A priority patent/AU2016419441A1/en
Priority to PCT/KR2016/013616 priority patent/WO2018088611A1/ko
Priority to BR112017027077-3A priority patent/BR112017027077A2/pt
Priority to JP2017018488A priority patent/JP7134452B2/ja
Publication of KR2018005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438A/ko
Priority to AU2019264598A priority patent/AU201926459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270B1/ko
Priority to US17/242,688 priority patent/US202103381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1Stom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7Bol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1Foetal or obstetr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61B5/073Intestinal transmit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22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 A61B5/4238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stoma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61Capsules, e.g. for swallowing or im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62Apparatus with built-i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2Capsule shaped sensor housings, e.g. for swallowing or im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2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period of heat of animals, i.e. for detecting oest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6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pregnancy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8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birth of animals, e.g. parturition al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Abstract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관리 방법은 소의 위에 안착된 바이오 센서 캡슐로부터 상기 소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를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는 상기 소의 발정 및 분만에 대한 번식 관련 상태, 질병 상태, 매탄 가스 발생 상태, 및 반추위의 활동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라 함은 닭이나 오리, 돼지 또는 소와 같은 가축을 기르기 위한 건물을 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축사는 가축의 성장을 이롭게 하면서도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축사 내에는 많은 수의 가축이 집단 생활을 하게 되는데, 집단 생활에 따라 전염성을 갖는 질병이 유발되는 경우에는 축사 내 모든 가축에 대한 질병이 발생하게 되어 매우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된다.
특히, 최근 광우병과 같은 질병으로 인해 매년 많은 수의 가축이 죽어 축산농가에 막대한 손해를 끼치고 있다.
실시예들은 소의 질병을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생체 정보를 전송하는 바이오 캡슐 센서가 비싼 게더링 박스 필요 없이 바로 소에 경구 투여되어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관리 방법은 소의 위에 안착된 바이오 센서 캡슐로부터 상기 소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를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는 상기 소의 발정 및 분만에 대한 번식 관련 상태, 질병 상태, 매탄 가스 발생 상태, 및 반추위의 활동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발정 상태 또는 분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PH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의 활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에서 발생한 매탄 가스 발생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온도 정보, PH 농도, 및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질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건강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소의 발정, 수정, 임신, 및 분만에 대한 정보와, 상기 소의 최근 발정일, 수정 예정일, 최근 수정일, 감정 예정일, 분만 예정일, 건유 예정일, 최근 분만일, 및 발정 예정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관리 서버는 통신 모듈과, 소의 위에 안착된 바이오 센서 캡슐로부터 상기 소의 생체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소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를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는 상기 소의 발정 및 분만에 대한 번식 관련 상태, 질병 상태, 매탄 가스 발생 상태, 및 반추위의 활동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발정 상태 또는 분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PH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의 활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에서 발생한 매탄 가스 발생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온도 정보, PH 농도, 및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질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건강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소의 발정, 수정, 임신, 및 분만에 대한 정보와, 상기 소의 최근 발정일, 수정 예정일, 최근 수정일, 감정 예정일, 분만 예정일, 건유 예정일, 최근 분만일, 및 발정 예정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센서 캡슐은 상기 바이오 센서 캡슐을 소의 생체 내 일정 장소에 안착하기 위한 무게추와, 상기 소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들과,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LORA 통신 모듈이다.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상기 소의 위의 가속도 값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상기 소의 위의 각속도 값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와, 상기 소의 위의 온도 값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상기 소의 위에서 발생하는 매탄 가스 발생량을 감지하기 위한 매탄 센서와, 상기 소의 위의 PH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PH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이오 센서 캡슐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질병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질병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질병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질병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질병 관리 시스템(10)은 복수의 소들(100-1~100-n, n은 1보다 큰 자연수), 질병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장치(4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소들(100-1~100-n)은 바이오 센서 캡슐(200)이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소들(100-1~100-n)은 사용자 장치(400)의 사용자가 관리하는 소들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들(100-1~100-n) 중에서 일부는 사용자 장치(400)의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해서 관리되는 소들일 수 있다.
복수의 소들(100-1~100-n)은 질병 관리 서버(300)에 의해 관리되기 위해 ID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소들(100-1~100-n)은 바이오 센서 캡슐(200)에 할당된 ID로 구분되어 질병 관리 서버(300)에 의해서 관리될 수 있다.
복수의 소들(100-1~100-n)은 바이오 센서 캡슐(200)을 통해 생체 정보를 질병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복수의 소들(100-1~100-n)의 생체 내의 일정한 장소로 들어가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복수의 소들(100-1~100-n)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생체 정보를 질병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질병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소들(100-1~100-n)을 관리하고, 원격으로 복수의 소들(100-1~100-n)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사용자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병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소들(100-1~100-n)의 바이오 센서 캡슐(200)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들(100-1-100-n)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질병 관리 서버(300)는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들(100-1~100-n) 각각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고, 건강 상태를 사용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건강 상태는 소의 발정 및 분만에 대한 번식 관련 상태, 질병 상태, 매탄 가스 발생 상태, 및 반추위의 활동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질병 관리 서버(300)는 건강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알람을 사용자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질병 관리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질병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치(400)에 설치되어 실행되고, 질병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질병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질병 관리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질병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android market)에서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400)는 질병 관리 서버(300)로부터 복수의 소들(100-1~100-n)에 대한 건강 상태 및/또는 건강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알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는 소의 발정, 수정, 임신, 및 분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번식 관련 상태는 소의 최근 발정일, 수정 예정일, 최근 수정일, 감정 예정일, 분만 예정일, 건유 예정일, 최근 분만일, 및 발정 예정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400)가 질병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받는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는 도 4a 내지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400)는 PC(personal computer), 데이터 서버,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e-북(e-book),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스마트 밴드(smart band), 또는 스마트 링(smart 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400)를 통해 다수 개체, 예를 들어 복수의 소들(100-1~100-n)을 일괄 원격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이력 관리하고, 실시간 상태를 보고 받고, 건강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알람을 제공받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이오 센서 캡슐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복수의 센서들(210~250), 배터리(260), 무게추(270), 통신 모듈(280), 및 안테나(290)를 포함한다.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소의 생체 내의 일정한 장소, 예를 들어 위로 들어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생체 내에 있는 수분이나 위산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미도시)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10)는 소의 위의 가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210)는 실시간으로 소의 위의 가속도 값을 감지하고, 가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20)는 소의 위의 각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20)는 실시간으로 소의 위의 각속도 값을 감지하고, 각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온도 센서(230)는 소의 위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30)는 실시간으로 소의 위의 온도 값을 감지하고,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매탄 센서(240)는 소의 위의 매탄 가스 발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탄 센서(240)는 실시간으로 소의 위에서 발생하는 매탄 가스 발생량을 감지하고, 매탄 가스 발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PH 센서(250)는 소의 위의 PH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 센서(250)는 실시간으로 소의 위의 PH 농도를 감지하고, PH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온도 정보, 매탄 가스 발생 정보 및 PH 정보는 통신 모듈(280) 및 안테나(290)를 통해 질병 관리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배터리(260)는 바이오 센서 캡슐(200)의 각 구성(210, 220, 230, 240, 250, 280, 및 29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60)는 다양한 형태의 건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무게추(270)는 바이오 센서 캡슐(200)이 소의 생체 내에 주입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소의 생체 내 일정한 장소, 예를 들어 위로 들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무게를 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게추(270)는 소의 되새김질 과정에서 바이오 센서 캡슐(200)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소의 위에 안착될 수 있는 충분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바이오 센서 캡슐(200)이 무게추(27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소는 초식동물 중에서도 육식동물에게 언제 공격을 받을지 모르기 때문에 급히 풀을 뜯어서 씹지도 않고 배에 넣은 후, 안전한 곳에서 음식물을 다시 반추(되새김질)하는 동물인 반추동물이다.
반추 동물의 위는 4개로 되어 있다. 마찬 가지로, 소의 위도 4개로 되어 있다. 제1 위(예를 들어, 혹위)는 소가 급하게 먹은 음식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상기 소의 위 전체 부피 중에서 80%를 차지한다. 제2 위(예를 들어, 벌집위)는 음식물을 섞어서 다시 입으로 내뱉는 역할을 한다. 입에서 되 씹은 음식물은 제3 위(겹주름위), 제4 위(주름위)를 거쳐 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씹지 않고 삼킨 음식물은 덩어리가 되어 가장 큰 제1 위(혹위)에 들어가고, 여기에서 음식물은 촉촉하고 부드럽게 되어 제2 위(벌집위)로 들어간다. 음식물은 여기에서 적당히 좋은 크기로 나뉘어지지만, 한가할 때 음식물은 제2 위(벌집위)에서 입으로 다시 가지고 와서 다시 씹히기 시작한다. 이에, 소는 하루 종일 무언가 씹고 있다. 씹어서 다시 삼키면 음식물은 제3 위(겹주름위), 제4 위(주름위)로 이동해 가며, 최종적으로 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음식물이 소화될 수 있다.
이렇게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데에는 3일 이상이 걸리며, 소는 이런 소화 과정을 통해 음식물에 들어 있는 모든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소는 사료를 먹은 후 30~40분부터 되새김을 시작하며 상기 되새김은 40~50분간 6~8회 되새김을 하며 50~60㎏을 되새김한다. 즉, 소는 하루에 8시간을 먹고, 8시간을 되새김하고, 8시간을 쉰다.
바이오 센서 캡슐(200)이 소의 생체 내에 주입될 때,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대부분 소의 체내의 일정한 장소, 예를 들어 제1 위(혹위)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위(혹위)는 소의 위의 전체 부피 중에서 80%를 차지하며,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안착하기에 적당한 장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소는 음식물을 되새김질하는 반추동물로 매 순간 제1 위(혹위)와 제2 위(벌집위)에 있는 음식물을 입으로 게워 상당한 무게의 양을 되새김을 한다. 이 과정에서 바이오 센서 캡슐(200)는 음식물과 섞여 입으로 다시 빠져 나올 수 있다.
또한, 제1 위(혹위)는 여러 개의 공간으로 되어 있으며, 소의 위 속 음식물은 수분과 함께 섞여있는 경우가 많다. 이때, 바이오 센서 캡슐(200)이 충분한 무게를 가지지 못할 경우 음식물과 섞이는 과정 속에서 수분으로 인해 음식물 위에 뜨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소의 되새김질 과정에서 음식물과 함께 소의 입으로 배출된다.
이에, 무게추(270)를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소의 위 속 여러 공간을 음식물과 함께 섞여 움직이면서 중력에 의해 이동 공간의 바닥에 가라앉아 이동하게 되며,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자연스럽게 적당한 위치에 안착되어, 생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바이오 센서 캡슐(200)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210~250)가 소의 내부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0)과 안테나(290)는 바이오 센서 캡슐(200)과 질병 관리 서버(3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바이오 센서 캡슐(200)과 질병 관리 서버(300)는 통신 모듈(280) 및 안테나(290)를 통해 서로 신호(또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280)은 LORA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바이오 센서 캡슐(200)과 질병 관리 서버(300) 사이에 게더링 장치 필요 없이, 바이오 센서 캡슐(200)는 통신 모듈(280)을 통해 20km 내에 통신망에 접속하여 생체 정보를 질병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210~25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집적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80) 및/또는 안테나(290)도 은 PCB에 집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비싼 게더링 박스 필요 없이, 소에 바로 경구 투여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질병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질병 관리 서버(300)는 통신 모듈(310) 및 컨트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310)은 질병 관리 서버(300)와 바이오 센서 캡슐(200)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10)은 질병 관리 서버(300)와 사용자 장치(400)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질병 관리 서버(300)와 바이오 센서 캡슐(200)은 통신 모듈(310)을 통해 서로 신호(또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질병 관리 서버(300)와 사용자 장치(400)는 통신 모듈(310)을 통해 서로 신호(또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질병 관리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통신 모듈(310)을 통해 바이오 센서 캡슐(200)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건강 상태는 소의 발정 및 분만에 대한 번식 관련 상태, 질병 상태, 매탄 가스 발생 상태, 및 반추위의 활동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330)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소의 발정 상태 및/또는 분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트롤러(330)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PH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소의 위의 활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330)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소의 위에서 발생한 매탄 가스 발생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330)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온도 정보, PH 농도, 및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소의 질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통신 모듈(310)을 통해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번식 관련 상태에 대한 정보는 소의 발정, 수정, 임신, 및 분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번식 관련 상태에 대한 정보는 소의 최근 발정일, 수정 예정일, 최근 수정일, 감정 예정일, 분만 예정일, 건유 예정일, 최근 분만일, 및 발정 예정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질병 관리 서버(300)는 건강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알람(예를 들어, 체온 상승 경고 알람, 체온 하락 경고 알람, 분만 예정일 알람 감정 예정일 알람, 건유 예정일 알람, 또는 발정 예정일 알람 등)을 사용자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module)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듈이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질병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330)는 소의 위에 안착된 바이오 센서 캡슐(200)로부터 소의 생체 정보를 통신 모듈(3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S510).
컨트롤러(330)는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530).
컨트롤러(330)는 소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310)을 통해 소를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S550). 이때, 건강 상태는 상기 소의 발정 및 분만에 대한 번식 관련 상태, 질병 상태, 매탄 가스 발생 상태, 및 반추위의 활동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매탄 센서, PH 센서가 탑재된 바이오 센서 캡슐에 있어서,
    무게추를 추가 구성하여 소정의 무게를 더함으로써 소의 되새김질 과정에서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바이오 센서 캡슐을 소의 제1위 내에 안착시키는, 제1위 캡슐 안착단계;
    상기 소의 제1위에 안착된 바이오 센서 캡슐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매탄 센서, PH 센서를 통하여 소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생체 정보 취득 단계;
    질병 관리 서버와 소의 제1위 내에 안착된 상기 바이오 센서 캡슐에 탑재된 상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매탄 센서, PH 센서 사이에 LORA 통신망을 연결하는, LORA 통신 연결 단계;
    질병 관리 서버에서, 소의 제1위에 안착된 바이오 센서 캡슐로부터 상기 소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질병 관리 서버에서, 상기 수신한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분석 단계; 및
    질병 관리 서버는, 상기 판단한 소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를 관리하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건강 상태 전송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생체 정보 취득 단계; 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이오 센서 캡슐의 값 및 각속도 값을 측정하여 소의 제1위의 활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활동 상태 판단정보를 취득하는, 제1위 활동 상태 판단정보 취득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분석 단계는,
    상기 취득한 생체 정보에 포함된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발정 상태 또는 분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PH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위의 활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위에서 발생한 매탄 가스 발생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온도 정보, PH 농도 및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질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건강 상태는 상기 소의 발정 및 분만에 대한 번식 관련 상태, 질병 상태, 매탄 가스 발생 상태, 및 제1위의 활동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 전송 단계는,
    건강 상태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질병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자신의 ID가 할당된 상태로 복수의 소들의 위에 각각 장착되어, 해당 소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바이오 센서 캡슐;
    복수의 바이오 센서 캡슐을 ID 별로 관리하며, 상기 바이오 센서 캡슐로부터 상기 소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소의 건강 상태를 상기 소를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질병 관리 서버;
    상기 질병 관리 서버로부터 복수의 소들 각각에 대한 건강 상태를 제공 받는 사용자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위에 안착되는 바이오 센서 캡슐은,
    상기 바이오 센서 캡슐에 소정의 무게를 더함으로써 소의 되새김질 과정에서 상기 센서 캡슐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소의 생체 내 제1위에 들어가 안착시키기 위한 무게추;
    상기 소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들;
    상기 질병 관리 서버와 상기 복수의 센서들과의 직접 통신을 연결하는 LORA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센서들과 통신 연결된 질병 관리 서버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획득한 소의 생체 정보를 전송하는 안테나; 및
    상기 복수의 센서들, 통신 모듈 및 안테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상기 소의 제1위의 가속도 값을 감지하고, 제1위의 가속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제1위의 활동상태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소의 제1위의 각속도 값을 감지하고, 각속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제1위의 활동상태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소의 제1위의 온도 값을 감지하고,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센서;
    상기 소의 제1위에서 발생하는 매탄 가스 발생량을 감지하고, 매탄 가스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매탄 센서;
    상기 소의 제1위의 PH 농도를 감지하고, PH 정보를 생성하는 PH 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의 생체 정보는,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온도 정보, 매탄 가스 발생 정보 및 PH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강 상태는 상기 소의 발정, 수정, 임신 및 분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소의 최근 발정일, 수정 예정일, 최근 수정일, 감정 예정일, 분만 예정일, 건유 예정일, 최근 분만일, 및 발정 예정일에 대한 정보, 질병 상태, 매탄 가스 발생 상태, 및 제1위의 활동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질병 관리 서버는,
    상기 바이오 센서 캡슐 및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바이오 센서 캡슐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소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PH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위의 활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에서 발생한 매탄 가스 발생량을 판단하며,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발정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의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온도 정보, PH 농도, 및 매탄 가스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의 질병 상태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60149744A 2016-11-10 2016-11-10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KR10209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44A KR102095270B1 (ko) 2016-11-10 2016-11-10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BR112017027077-3A BR112017027077A2 (pt) 2016-11-10 2016-11-24 método de gerenciamento de doença e aparelhos de operação da mesma
EP16918464.5A EP3540679A4 (en) 2016-11-10 2016-11-24 DISEAS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S FOR IMPLEMENTING THIS
AU2016102432A AU2016102432A4 (en) 2016-11-10 2016-11-24 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CN201680087011.5A CN109416817A (zh) 2016-11-10 2016-11-24 疾病管理方法及用于执行该方法的装置
AU2016419441A AU2016419441A1 (en) 2016-11-10 2016-11-24 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US15/565,844 US20180310885A1 (en) 2016-11-10 2016-11-24 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NZ739154A NZ739154B2 (en) 2016-11-10 2016-11-24 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PCT/KR2016/013616 WO2018088611A1 (ko) 2016-11-10 2016-11-24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JP2017018488A JP7134452B2 (ja) 2016-11-10 2017-02-03 牛の管理方法及び管理サーバ
AU2019264598A AU2019264598A1 (en) 2016-11-10 2019-11-14 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US17/242,688 US20210338165A1 (en) 2016-11-10 2021-04-28 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44A KR102095270B1 (ko) 2016-11-10 2016-11-10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438A KR20180052438A (ko) 2018-05-18
KR102095270B1 true KR102095270B1 (ko) 2020-03-31

Family

ID=6210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744A KR102095270B1 (ko) 2016-11-10 2016-11-10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310885A1 (ko)
EP (1) EP3540679A4 (ko)
JP (1) JP7134452B2 (ko)
KR (1) KR102095270B1 (ko)
CN (1) CN109416817A (ko)
AU (3) AU2016419441A1 (ko)
BR (1) BR112017027077A2 (ko)
WO (1) WO2018088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6348A (zh) * 2018-06-01 2018-11-20 陕西乾乐科贸有限公司 一种利用加速度传感器检测哺乳动物反刍的方法
JP7112360B2 (ja) * 2019-03-20 2022-08-03 株式会社セントラル情報サービス 牛の生体情報通知方法
CN109997711B (zh) * 2019-05-20 2021-09-10 佛山市嘉沃农业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一种基于甲烷监测的奶牛饲料配料投喂系统
KR102069305B1 (ko) * 2019-11-19 2020-01-22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개체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JP1661983S (ko) 2019-12-19 2020-06-22
JP6847478B1 (ja) * 2020-02-07 2021-03-24 株式会社Eco‐Pork 畜産情報管理システム、畜産情報管理サーバ、畜産情報管理方法、畜産情報管理プログラム、畜産情報管理用データ構造
KR102112177B1 (ko) * 2020-02-11 2020-05-19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가축의 반추위 내 메탄가스 측정을 위한 생체정보 캡슐 및 측정 방법
KR102390411B1 (ko) * 2020-05-06 2022-04-26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소 구제역 백신접종 이후 반추위 내 체온 및 활동성 변화에 따른 유산 또는 조산 예측 방법
KR102214710B1 (ko) * 2020-05-28 2021-02-10 이안스(주)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WO2021251714A1 (ko) * 2020-06-10 2021-12-16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가축의 질병 관리 방법, 질병 관리 서버 및 질병 관리 시스템
KR102443610B1 (ko) * 2020-06-10 2022-09-16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KR102353063B1 (ko) * 2020-06-19 2022-01-1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바디 센서모듈을 이용한 의료 캡슐
JP6861878B1 (ja) 2020-09-10 2021-04-21 太平洋工業株式会社 無線端末、家畜監視システム及び家畜監視方法
AU2021396978A1 (en) 2020-12-08 2023-02-23 Ruminant Biotech Corp Limited Improvements to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substances to animals
EP4284241A1 (en) * 2021-01-29 2023-12-06 PTS Technologies Pte Limited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for livestock
CN113091862A (zh) * 2021-04-09 2021-07-09 东北农业大学 一种称重准确的奶牛智能称重系统
CN113397486B (zh) * 2021-06-16 2023-09-19 深圳市在那科技有限公司 一种反刍动物的健康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15985502B (zh) * 2023-03-16 2023-06-13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多元感知的狮头鹅健康决策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07B1 (ko) * 2007-07-13 2008-08-12 아이쓰리시스템 주식회사 센서를 구비한 캡슐형 내시경 및 상기 캡슐형 내시경의통신 방법
KR101423879B1 (ko) * 2013-04-26 2014-08-01 주식회사 유비유이노베이션 온도센서를 탑재한 캡슐 형태의 생체주입형 rfid 태그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질병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376B2 (ja) * 1993-03-26 2000-03-15 サージミヤワキ株式会社 動物用体内型個体識別器具
JP2007124966A (ja) * 2005-11-04 2007-05-24 Technos Japan:Kk 動物の発情情報、出産情報及び/又は生体情報検知装置。
JP2007142966A (ja) * 2005-11-21 2007-06-07 Yamaha Corp 音圧測定装置、観客席および劇場
JP4827529B2 (ja) * 2005-12-28 2011-11-30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被検体内観察システム
KR20080000266A (ko) * 2006-06-27 2008-01-02 (주)이레생명연구소 가축관리신호 발신장치 및 그 발신장치를 이용한 무인가축관리 시스템.
JP2007296312A (ja) * 2006-11-02 2007-11-15 Remote:Kk 分娩予知通報システムの測温/送信モジュール
JP2008220522A (ja) * 2007-03-09 2008-09-25 Hoya Corp 姿勢検出ユニット、記憶ユニット、相対姿勢算出ユニット、相対姿勢検出システム、およびカプセル内視鏡姿勢検出システム
US20090182207A1 (en) * 2008-01-16 2009-07-16 Tenxsys Inc. Ingestible animal health sensor
NZ593497A (en) * 2011-06-16 2013-01-25 Kahne Ltd Animal digestion monitoring system with bolus having a transmitter and designed to be retained in the dorsal sac of the rumen
KR20140067195A (ko) * 2012-11-24 2014-06-05 주식회사 엠앤지파트너스 가축의 경구투여용 생체정보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KR101574593B1 (ko) * 2013-03-27 2015-12-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KR20160012719A (ko) * 2014-07-25 2016-02-03 (주)티엔티리써치 소를 포함한 가축의 발정여부 및 질병징후 감지장치와 통합 관제시스템
JP6647544B2 (ja) * 2015-02-09 2020-02-14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牛の第一胃鼓脹症検出方法及び第一胃鼓脹症検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07B1 (ko) * 2007-07-13 2008-08-12 아이쓰리시스템 주식회사 센서를 구비한 캡슐형 내시경 및 상기 캡슐형 내시경의통신 방법
KR101423879B1 (ko) * 2013-04-26 2014-08-01 주식회사 유비유이노베이션 온도센서를 탑재한 캡슐 형태의 생체주입형 rfid 태그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질병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419441A2 (en) 2019-12-05
AU2016102432A4 (en) 2020-01-23
BR112017027077A2 (pt) 2018-08-14
US20180310885A1 (en) 2018-11-01
JP2018074992A (ja) 2018-05-17
NZ739154A (en) 2021-02-26
AU2016419441A1 (en) 2018-05-24
EP3540679A1 (en) 2019-09-18
CN109416817A (zh) 2019-03-01
EP3540679A4 (en) 2020-06-17
WO2018088611A1 (ko) 2018-05-17
KR20180052438A (ko) 2018-05-18
JP7134452B2 (ja) 2022-09-12
AU2019264598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270B1 (ko)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US113935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imal health, nutrition, and/or wellness recommendations
Herlin et al. Animal welfare implications of digital tools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cattle and sheep on pasture
Mahfuz et al. Applications of smart technology as a sustainable strategy in modern swine farming
Wang et al. IoT-based measurement system for classifying cow behavior from tri-axial accelerometer
Patel et al.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livestock and poultry farming
Mancuso et al. Cow Behavioural Activities in Extensive Farms: Challenges of Adopting Automatic Monitoring Systems
Rosell-Moll et al. Use of accelerometer technology for individual tracking of activity patterns, metabolic rates and welfare in farmed gilthead sea bream (Sparus aurata) facing a wide range of stressors
US20210338165A1 (en) 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Santos et al. Automated systems for estrous and calving detection in dairy cattle
Antanaitis et al. Influence of subclinical ketosis in dairy cows on ingestive-related behaviours registered with a real-time system
JP2022002507A (ja) 病気管理方法及びこれを行うための装置
Liu et al. A Review on Information Technologies Applicable to Precision Dairy Farming: Focus on Behavior, Health Monitoring, and the Precise Feeding of Dairy Cows
Dong et al. PigSense: Structural vibration-based activity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pigs
Gurule et al. A Case Study Using Accelerometers to Identify Illness in Ewes following Unintentional Exposure to Mold-Contaminated Feed
KR102443610B1 (ko)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Simanungkalit et al. Validation of automatic systems for monitoring the licking behaviour in Angus and Brahman cattle
Antanaitis et al. Change in rumination behavior parameters around calving in cows with subclinical ketosis diagnosed during 30 days after calving
Barwick et al. On-animal motion sensing using accelerometers as a tool for monitoring sheep behaviour and health status
NZ739154B2 (en) 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KR20170138260A (ko) 대동물(소,말등)의 움직임과 목넘김소리등을 센싱하여, 생체 신호를 빅데이터로 저장 및 변환하고, 저장된 빅데이터에 근거한 대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알고리즘
Aunindita et al. Use of machine learning and IoT for monitoring and tracking of livestock
Tahsin Development of a propeller P8X 32A based wireless biosensor system for cattle health monitoring and disease detection
Antanaitis et al. Ruminating, Eating, and Locomotion Behavior Registered by Innovative Technologies around Calving in Dairy Cows
Mancino Design of an automated system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dairy cow behaviour in free-stall ba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