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202B1 -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202B1
KR102095202B1 KR1020190118890A KR20190118890A KR102095202B1 KR 102095202 B1 KR102095202 B1 KR 102095202B1 KR 1020190118890 A KR1020190118890 A KR 1020190118890A KR 20190118890 A KR20190118890 A KR 20190118890A KR 102095202 B1 KR102095202 B1 KR 102095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flue
boiler
unit
det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하성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켐
Priority to KR102019011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202B1/ko
Priority to CN202010966313.8A priority patent/CN11255587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5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F23M11/04Means for supervising combustion, e.g.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3Joints; Connections between stack/duct and combus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통이 보일러의 연도에서 분리되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oT(Internet of Things) 보일러 및 보일러의 연도 또는 연통에 구비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감지수단이 감지한 연도와 연통의 상태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SEPARATION INSPECTING SYSTEM FOR FLUE}
본 발명은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통이 보일러의 연도에서 분리되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난방기술은 가스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가스보일러의 설치현황도 가스의 소모량과 비례하여 수요가 날로 급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가스보일러의 연소가스에 의한 일산화탄소(CO) 중독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도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일산화탄소는 체내에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Hb)과 결합하여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OHb)을 만들어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저하시켜 그 농도에 따라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가스 사고 가운데 보일러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가 70%를 차지할 정도로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는 대부분 가스보일러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가스보일러 사고를 원인별로 분석하여 보면, 연통 설치기준 미준수에 의한 사고 및 연통 연결부 이탈에 의한 사고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결국 가스보일러 사고의 대부분은 연통 불량 설치 및 관리 소홀로 인한 사고인 것이다.
이에 따라 보일러의 연통이 이탈되는 사고를 감지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8589호를 참조하면, 보일러의 연도와 연통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의 하부 연도에 고정수단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연통의 이탈을 감지하고, 연통이 이탈되면, 보일러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종래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설치 업자가 고정수단을 제대로 장착하지 않거나, 고정수단이 불량인 경우, 고정수단은 분리되지 않고, 연통만 연도에서 이탈될 수 있는데, 종래기술의 감지수단은 고정수단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고정수단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연통이 연도에서 이탈되는 경우, 이를 제대로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858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통이 보일러의 연도에서 분리되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도 또는 상기 연도에 연결되는 연통에 구비되어 상기 연도와 상기 연통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이 감지한 감지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연도와 연통의 분리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벤트를 진행하는 이벤트진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연도 또는 상기 연통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연도 또는 상기 연통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연도와 상기 연통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스위치센서로부터 전달받은 감지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이 아닌 경우, 연도와 연통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이벤트진행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일러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진행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알람음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진행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일러가 설치되는 보일러실에 구비되는 환기팬을 구동시키는 환기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진행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일러에 구비되는 배기팬을 구동시키는 배기팬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환기팬구동부는 상기 환기팬을 기 설정된 최대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배기팬구동부는 상기 배기팬을 기 설정된 최대 RPM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속도센서와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연도와 연통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연도와 연통이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속도센서와 스위치센서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연도와 연통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연도와 연통이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기팬구동부를 이용하여 보일러실로 누출되는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켜서, 일산화탄소 중독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기팬구동부 및 배기팬구동부를 이용하여 보일러실로 누출되는 연소가스는 물론, 보일러 내부에 남아 있는 연소가스 또한 신속하게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켜서, 일산화탄소 중독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감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가속도센서가 감지하는 감지값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감지값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스위치센서가 감지하는 감지값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환기팬구동부가 환기팬을 구동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환기팬구동부 및 배기팬구동부가 환기팬 및 배기팬을 구동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감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100)은 보일러실(10: 도 6 도시)에 구비되는 보일러(20: 도 6 도시)와 연결되는 연통(23: 도 6 도시)이 이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감지수단(110), 이벤트진행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보일러(20)는 내부에 가스에 의한 화염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미도시)와, 연소장치가 생성한 연소가스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매체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기를 통하여 열교환을 마친 연소가스는 연통(2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보일러(20)의 상측에는 연통(23)과 연결되기 위한 연도(22: 도 6 도시)가 돌출 형성되고, 연도(22)에 연통(23)이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연도(22)와 연통(23) 사이는 클램프(24: 도 6 도시)에 의하여 결합된다.
감지수단(110)은 보일러(20)의 연도(22) 또는 연통(23)에 구비되어 연도(22)와 연통(23)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2의 (a)와 같이, 가속도센서(111)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2의 (b)와 같이, 가속도센서(111) 및 온도센서(112)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2의 (c)와 같이, 가속도센서(111) 및 스위치센서(1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속도센서(111)는 연도(22)와 연결되는 연통(23)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연통(23)의 일단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중력센서, 3축 가속도센서(111)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112)는 연통(23)과 연결되는 연도(22)의 단부에 장착되어 연도(22)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거나 또는 연도(22)와 연결되는 연통(23)의 단부에 장착되어 연통(23)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다. 스위치센서(113)는 연도(22)와 연통(23) 사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마이크로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는 연도(22)에 고정접점이 장착되고 연통(23)에 이동접점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연도(22)와 연통(23)이 장착되면 고정접점과 이동접점이 접촉되어, 접점 변화가 발생되지 않고,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되면 고정접점과 이동접점이 분리되어, 접점 변화가 발생된다.
이벤트진행부(120)는 제어부(130)가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각종 이벤트를 진행하는 것으로, 전원차단부(121), 알람부(122), 환기팬구동부(123) 및 배기팬구동부(124)를 포함한다.
전원차단부(121)는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일러(20)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시켜서, 보일러(20)가 더 이상 연소가스를 생성하지 않도록 한다.
알람부(122)는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알람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적색 광을 점멸시키는 점멸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22)는 무선 통신 기능도 부가되어,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위험을 알리는 알람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보일러(20)는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IoT(Internet of Things) 보일러로 구성되어, 감지수단(110)이 감지한 연도와 연통의 상태 정보 또는 제어부(130)가 생성하는 알람메시지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이라 함은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형될 차세대 너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할 수 있다
환기팬구동부(123)는 보일러(20)가 설치되는 보일러실(10)에 구비되는 환기팬(12)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되면, 보일러실(10)에 연소가스가 가득 차게 되고, 이러한 연소가스는 실내로 확산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일러실(10)에 구비되는 환기팬(12)을 구동시켜서 보일러실(10)로 퍼지는 연소가스를 즉시 외부로 강제로 배기시키는 것이다. 이때, 환기팬구동부(123)는 환기팬(12)을 기 설정된 최대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구동시켜서, 연소가스를 최대한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팬구동부(124)는 보일러(20)에 구비되는 배기팬(21)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되면, 보일러(20) 내부에는 미처 연통(23) 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연소가스가 남아 있게 되며, 이러한 연소가스가 실내로 확산되면, 일산화탄소 중독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일러(20)의 연도(22)에 구비되는 배기팬(21)을 구동시켜서 보일러(20) 내부의 연소가스를 즉시 보일러(20) 외부로 강제로 배기시키는 것이다. 이때, 보일러(20) 외부 즉, 보일러실(10)에는 환기팬구동부(123)에 의하여 환기팬(12)이 구동되고 있으므로, 보일러(20)의 외부로 배기되는 연소가스는 환기팬(12)에 의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배기팬구동부(124)는 환기팬구동부(123)와 마찬가지로 배기팬(21)을 기 설정된 최대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구동시켜서, 연소가스를 최대한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감지수단(110)이 감지한 감지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연도(22)와 연통(23)의 분리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가속도센서가 감지하는 감지값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가속도센서(111)가 감지한 감지값을 분석하여 연도(22) 또는 연통(23)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111)가 연통(23)에 장착된 경우, 보일러(20)가 작동됨에 따라 보일러(20)의 진동이 연통(23)으로 전달되므로, 가속도센서(111)가 감지하는 감지값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정하게 떨리는 수준으로 감지된다. 그러나 연통(23)이 연도(22)에서 이탈하는 순간(t1), 연통(23)은 심하게 흔들릴 것이고, 가속도센서(111)가 감지하는 감지값은 기 설정된 기준값 즉, 연통(23)이 연도(22)에서 이탈하기 이전의 일정하게 떨리는 수준을 초과하게 되며, 이때, 제어부(130)는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한 제어부(13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벤트진행부(120)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감지값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온도센서(112)가 감지한 감지값을 분석하여 연도(22) 또는 연통(23)의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112)가 연통(23)에 장착된 경우, 보일러(20)가 작동됨에 따라 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연통(23)으로 전달되므로, 온도센서(112)가 감지하는 감지값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정하게 고온 수준으로 감지된다. 그러나 연통(23)이 연도(22)에서 이탈하는 순간(t1), 연통(23)은 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제대로 전달받지 못할 것이고, 온도센서(112)가 감지하는 감지값은 기 설정된 기준값 즉, 연통(23)이 연도(22)에서 이탈하기 이전의 고온 수준 미만으로 내려가게 되며, 이때, 제어부(130)는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가속도센서(111)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고, 온도센서(112)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충격, 또는 지진 등으로 인하여 연통(23)이 임의로 흔들릴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가속도센서(111)가 감지한 감지값은 기준값을 초과하므로, 가속도센서(111)가 감지한 감지값 만으로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속도센서(111)가 감지한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온도센서(112)가 감지한 감지값 또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가속도센서(111) 및 온도센서(112) 모두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속도센서(111)와 온도센서(112)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연도(22)와 연통(23)이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스위치센서가 감지하는 감지값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스위치센서(113)가 감지한 감지값을 분석하여 연도(22) 또는 연통(23)의 점점 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센서(113)가 연도(22)에 장착된 경우, 연통(23)이 연도(22)에 장착된 스위치센서(113)를 누르게 되어, 접점 변화가 발생되지 않아, 스위치센서(113)가 감지하는 감지값은 일정 수준의 전압으로 감지된다. 그러나 연통(23)이 연도(22)에서 이탈하는 순간(t1), 연통(23)은 스위치센서(113)를 누르지 못하게 되어, 접점 변화가 발생되며, 스위치센서(113)가 감지하는 감지값은 기 설정된 기준값 즉, 연통(23)이 연도(22)에서 이탈하기 이전의 전압 미만으로 내려가게 되며, 이때, 제어부(130)는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가속도센서(111)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고, 스위치센서(113)로부터 전달받은 감지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이 아닌 경우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가속도센서(111)가 감지한 감지값 만으로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우므로, 가속도센서(111) 및 스위치센서(113) 모두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속도센서(111)와 스위치센서(113)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연도(22)와 연통(23)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연도(22)와 연통(23)이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환기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도(22)와 연통(23)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한 제어부(130)는 제어신호를 이벤트진행부(120)의 전원차단부(121), 알람부(122) 및 환기팬구동부(123)로 전달한다. 그러면 전원차단부(121)는 보일러(20)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시켜서, 보일러(20)가 더 이상 연소가스를 생성하지 않도록 한다. 알람부(122)는 소리, 안내메시지 등을 외부로 출력하여 연도(22)와 연통(23)이 이탈된 상태를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환기팬구동부(123)는 보일러실(10)에 구비되는 환기팬(12)을 구동시켜서, 보일러실(10)로 누출되는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때, 환기팬구동부(123)는 환기팬(12)을 기 설정된 최대 RPM으로 구동시켜서, 연소가스를 최대한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환기팬구동부(123)를 구비하므로, 보일러실(10)로 누출되는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켜서, 일산화탄소 중독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의 환기팬구동부 및 배기팬구동부가 환기팬 및 배기팬을 구동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연도(22)와 연통(23)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한 제어부(130)는 제어신호를 이벤트진행부(120)의 전원차단부(121), 알람부(122), 환기팬구동부(123) 및 배기팬구동부(124)로 전달한다. 그러면 전원차단부(121)는 보일러(20)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알람부(122)는 소리, 안내메시지 등을 외부로 출력하고, 환기팬구동부(123)는 보일러실(10)에 구비되는 환기팬(12)을 구동시켜서, 보일러실(10)로 누출되는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시킨다.
배기팬구동부(124)는 보일러(20)에 구비되는 배기팬(21)을 구동시켜서, 보일러(20) 내부에 남아 있는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보일러(20) 외부로 강제로 배기시킨다. 이때, 보일러(20) 외부 즉, 보일러실(10)에는 환기팬구동부(123)에 의하여 환기팬(12)이 구동되고 있으므로, 보일러(20)의 외부로 배기되는 연소가스는 환기팬(12)에 의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배기팬구동부(124) 또한 환기팬구동부(123)와 마찬가지로 배기팬(21)을 기 설정된 최대 RPM으로 구동시켜서 연소가스를 최대한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환기팬구동부(123) 및 배기팬구동부(124)를 구비하므로, 보일러실(10)로 누출되는 연소가스는 물론, 보일러(20) 내부에 남아 있는 연소가스 또한 신속하게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켜서, 일산화탄소 중독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110: 감지수단 111: 가속도센서
112: 온도센서 113: 스위치센서
120: 이벤트진행부 121: 전원차단부
122: 알람부 123: 환기팬구동부
124: 배기팬구동부 130: 제어부

Claims (9)

  1. 보일러의 연도 또는 상기 연도에 연결되는 연통에 구비되어 상기 연도와 상기 연통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이 감지한 감지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연도와 연통의 분리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벤트를 진행하는 이벤트진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연도 또는 상기 연통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연도 또는 상기 연통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연도와 상기 연통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스위치센서로부터 전달받은 감지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이 아닌 경우, 연도와 연통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진행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일러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진행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알람음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진행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일러가 설치되는 보일러실에 구비되는 환기팬을 구동시키는 환기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진행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일러에 구비되는 배기팬을 구동시키는 배기팬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구동부는 상기 환기팬을 기 설정된 최대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배기팬구동부는 상기 배기팬을 기 설정된 최대 RPM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KR1020190118890A 2019-09-26 2019-09-26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KR102095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90A KR102095202B1 (ko) 2019-09-26 2019-09-26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CN202010966313.8A CN112555879A (zh) 2019-09-26 2020-09-15 烟筒脱离检测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90A KR102095202B1 (ko) 2019-09-26 2019-09-26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202B1 true KR102095202B1 (ko) 2020-03-31

Family

ID=7000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890A KR102095202B1 (ko) 2019-09-26 2019-09-26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5202B1 (ko)
CN (1) CN11255587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933Y1 (ko) * 1995-10-16 2000-07-15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난방기기 배기관의 이상유무 검지장치
KR101778589B1 (ko) 2015-12-07 2017-09-14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연통 이탈 감지장치
KR101845856B1 (ko) * 2016-12-13 2018-04-06 주식회사 귀뚜라미 가스 감지 및 지진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2950A (ko) * 2016-12-22 2018-07-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기온도와 송풍팬 전류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4238A (en) * 1976-12-30 1978-07-25 Seihoku Sangyo Kk Apparatus for preventing gas leaking of multiifunctional gas combustion appliance
AU552660B1 (en) * 1984-12-24 1986-06-12 Rinnai Kabushiki Kaisha Safety apparatus for combustion device
JPS646618A (en) * 1987-06-30 1989-01-11 Toshiba Corp Detector for detecting slip-off of exhaust pipe of burner
US4885573A (en) * 1987-08-12 1989-12-05 Gas Research Institute Diagnostic system for combustion controller
JP2673354B2 (ja) * 1987-10-22 1997-11-05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燃焼制御回路
JPH05126960A (ja) * 1991-11-05 1993-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排気管脱落検知装置
JP2594873Y2 (ja) * 1993-09-09 1999-05-10 株式会社コロナ 強制給排気式燃焼器具
US5567143A (en) * 1995-07-07 1996-10-22 Servidio; Patrick F. Flue draft malfunction detector and shut-off control for oil burner furnaces
JP3447887B2 (ja) * 1996-03-19 2003-09-16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燃焼器の給排気装置
JP3864572B2 (ja) * 1998-07-10 2007-01-10 神鋼電機株式会社 反応ガス供給管の折損検出装置
JP2000230717A (ja) * 1999-02-09 2000-08-22 Sanyo Electric Co Ltd 燃焼機器の排気管外れ検知装置
US9011334B2 (en) * 2007-09-27 2015-04-21 Baxter International Inc. Access disconnect detection
JP2010156616A (ja) * 2008-12-26 2010-07-1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のタイヤ外れ状態検出装置
CA2757724C (en) * 2010-11-16 2014-12-02 Field Controls, Llc Vent proving system
CN102042867B (zh) * 2010-12-02 2013-09-0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震动检测电路
JP6553970B2 (ja) * 2015-07-24 2019-07-31 Ntn株式会社 異常診断装置およびセンサ外れ検知方法
CN106355828A (zh) * 2016-08-26 2017-01-25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检测穿戴设备脱落的方法和装置
KR101938572B1 (ko) * 2016-12-22 2019-01-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CN107393608A (zh) * 2017-08-22 2017-11-24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核电站松脱部件监测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933Y1 (ko) * 1995-10-16 2000-07-15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난방기기 배기관의 이상유무 검지장치
KR101778589B1 (ko) 2015-12-07 2017-09-14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연통 이탈 감지장치
KR101845856B1 (ko) * 2016-12-13 2018-04-06 주식회사 귀뚜라미 가스 감지 및 지진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2950A (ko) * 2016-12-22 2018-07-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기온도와 송풍팬 전류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55879A (zh)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203B1 (ko)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및 방법
RU2008114637A (ru) Беспроводная сенсорная система с программ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US20070085692A1 (en) Carbon monoxide detector on a gas powered generator
RU2006145962A (ru) Беспроводная сенсорная система
US20100231394A1 (en) Carbon monoxide detection and dissipation apparatus
JP2001074283A (ja) 換気システム
KR102095202B1 (ko)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CN109658646A (zh) 消防信息指示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CN111246622A (zh) Led灯具、隧道消防系统、控制方法、控制设备和存储介质
KR20190014936A (ko) 화재 감시 시스템 및 화재 감시 방법
KR101390165B1 (ko) 화재 예방 후드 자동화 시스템
KR102164817B1 (ko) 연통 이탈 감지 장치
CN113782851A (zh) 保护装置、电池储能系统及电子设备
CN204719905U (zh) 一种手机智能控制的烟道防灭火装置
CN207438922U (zh) 防电阀及燃气热水器
CN1125343A (zh) 火情检测器和火情接收器
KR102274638B1 (ko)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 시스템 및 방법
JPH102554A (ja) ガス遮断装置
KR20180117188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베이스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2018037044A (ja) 警報器
CN215526888U (zh) 燃气控制系统
JP2018037045A (ja) 警報器
CN213211259U (zh) 一种主动式电缆隧道环境安全监测装置
KR20200079612A (ko) 다기능 팬
JP2018037046A (ja) 警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