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012B1 -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012B1
KR102095012B1 KR1020180103726A KR20180103726A KR102095012B1 KR 102095012 B1 KR102095012 B1 KR 102095012B1 KR 1020180103726 A KR1020180103726 A KR 1020180103726A KR 20180103726 A KR20180103726 A KR 20180103726A KR 102095012 B1 KR102095012 B1 KR 10209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formation
lost
loss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814A (ko
Inventor
노명진
Original Assignee
노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명진 filed Critical 노명진
Priority to KR102018010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0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은 고객의 개인정보, 상기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의 목록 및 각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는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갑에 들어있던 물건 및 상기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하는 분실물 정보 조회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 상기 조회된 물건의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건의 발급기관에 상기 물건의 분실을 신고하는 분실 신고부; 및 상기 신고된 물건의 분실신고 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고객 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SYSTEM FOR REPORTING LOST PROPERTY INTEGRALLY}
본 발명은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지갑의 분실이나 도난으로 인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신용카드 등을 분실하였을 경우, 한 번의 분실신고 요청을 통해 분실한 모든 증명서, 신용카드 등을 통합적으로 신고 처리할 수 있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든 경제활동을 하는데 있어 본인임을 증명하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은 반드시 필요한 수단으로서 분실시 해당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도난 또는 분실신고를 한 후 필요에 따라 재발급 받고 있다.
또한, 산업과 경제의 발전에 따라 모든 경제 활동이 신용거래 위주로 재편되고 있으며, 신용거래의 중요 수단으로 신용카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경제 활동이 가능한 모든 사람이 각종 증명서와 신용카드를 적게는 하나에서 많게는 수 개씩 소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신용카드는 보관과 취급이 어려운 현금보다는 투명한 신용경제 사회의 정착과 함께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개인의 부주의로 분실하는 경우 분실자에게 치명적인 금전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을 분실하였을 경우 습득자의 악용 소지가 있고 자신도 모르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은행과 제휴된 신용카드의 경우 자신의 통장계좌와 연결되어 현금 인출기능이 포함되어 있다면 신용카드의 분실로 인하여 통장에 남아 있는 예금 잔고까지도 모두 분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증명서가 다른 사람에 의해 도용될 경우 예기치 않은 금전적 손해는 물론 자신의 신용에 치명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신용카드의 분실시 분실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용카드사는 24시간 신용카드 분실 신고전화를 운영하고 있으며, 분실자는 분실한 신용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에 전화로 신용카드 분실사실을 통보하고, 신용카드의 사용중지 또는 해제를 요청한다.
그러나, 각 카드사마다 운영하고 있는 분실신고 전화번호가 다르게 되어 있어, 분실된 카드의 종류에 따라 각 카드사로 일일이 전화를 걸어 본인임을 확인 받고 신용카드의 분실을 신고하여야 하나, 소지한 신용카드의 카드사 전화번호를 일일이 기억하기가 어렵고, 전화번호를 114 등을 통해 확인한 후 전화를 걸더라도 그때마다 일일이 자신의 신상정보를 불러주고 본인임을 확인 받아야 하는 등 신고절차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민등록증과 같은 관공서에서 발급한 증명서의 경우 이를 분실하였을 때, 증명서를 발급한 관공서를 방문하여 분실사유를 기재한 분실 신고서를 제출하고, 일정 기간을 기다린 후 재발급을 받게 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나 금전적으로 피해를 입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에 대한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데, 스마트폰에도 신용카드 정보, 공인인증서, 개인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어, 스마트폰을 분실한 경우에도 지갑을 분실했을 때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133930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지갑을 분실한 경우 분실된 지갑에 들어있던 물건의 목록을 고객이 알 수 있도록 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각 물건의 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지갑을 분실한 경우 고객의 분실신고 요청 한 번으로 분실한 지갑에 들어있었던 모든 물건의 분실신고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의 스마트폰에 포함된 정보들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스마트폰을 분실한 경우 분실된 스마트폰에 포함된 정보들의 목록을 고객이 알 수 있도록 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의 스마트폰에 포함된 신용카드 정보, 공인인증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스마트폰을 분실한 경우 고객의 분실신고 요청 한 번으로 분실한 스마트폰에 포함된 신용카드, 공인인증서 등의 분실신고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은 고객의 개인정보, 상기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의 목록 및 각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는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갑에 들어있던 물건 및 상기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하는 분실물 정보 조회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 상기 조회된 물건의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건의 발급기관에 상기 물건의 분실을 신고하는 분실 신고부; 및 상기 신고된 물건의 분실신고 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고객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이 상기 분실신고의 해지를 원하는 경우, 상기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해지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분실 신고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신고된 물건의 분실신고 내용을 기초로 상기 물건의 발급기관에 상기 물건의 분실신고를 해지신청하고,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는 상기 분실신고가 해지신청된 물건의 해지신청 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갑은 상기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으로서 체크카드, 신용카드,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금용거래용 보안카드 및 금융거래용 OTP(One Time Password)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로서 발급기관 명칭, 발급기관 연락처, 발급기관 웹사이트 주소 및 발급기관의 응용프로그램 접속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전화통화,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용 응용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본인인증을 실시하는 본인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상기 본인인증을 실시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의 목록 및 각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에 대한 변동사항을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의 목록 및 각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상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분실물 정보 조회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및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분실 신고부는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 상기 조회된 응용프로그램의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관리기관에 상기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의 분실을 신고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은 신용카드 응용프로그램, 은행 응용프로그램 및 증권회사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지갑을 분실한 경우 분실된 지갑에 들어있던 물건의 목록을 고객이 알 수 있도록 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각 물건의 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지갑을 분실한 경우 고객의 분실신고 요청 한 번으로 분실한 지갑에 들어있었던 모든 물건의 분실신고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의 스마트폰에 포함된 정보들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스마트폰을 분실한 경우 분실된 스마트폰에 포함된 정보들의 목록을 고객이 알 수 있도록 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의 스마트폰에 포함된 신용카드 정보, 공인인증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스마트폰을 분실한 경우 고객의 분실신고 요청 한 번으로 분실한 스마트폰에 포함된 신용카드, 공인인증서 등의 분실신고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1020)은 고객 단말기(1010)로부터 분실물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면,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물건을 조회한 뒤, 분실신고가 필요한 물건들을 각 물건의 발급기관(1060)인 카드회사(1030), 은행(1040), 관공서(1050)에 일괄적으로 분실신고할 수 있다. 이 때, 고객이 소지한 물건은 체크카드, 신용카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금용거래용 보안카드, OTP(One Time Password)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10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1020)은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2010), 분실물 정보 조회부(2020), 분실 신고부(2030), 고객 정보 관리부(204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205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2010)는 고객 단말기(1010)로부터 지갑, 스마트폰 등 소지품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지갑 내에 있는 개별 물건마다 분실신고 요청을 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개별 정보 또는 개별 응용프로그램마다 분실신고 요청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전화통화,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용 응용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소지품에 대한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용 응용프로그램은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1020)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고, 고객으로부터 전화통화를 수신하기 위해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1020)는 ARS 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분실물 정보 조회부(2020)는 데이터베이스(2050)를 통해 분실신고 요청된 지갑에 어떤 물건이 들어있는지를 조회할 수 있고,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들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 때, 지갑에 포함될 수 있는 물건은 체크카드, 신용카드,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금용거래용 보안카드 및 금융거래용 OTP(One Time Password)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는 물건의 발급기관 명칭, 발급기관 연락처, 발급기관의 웹사이트 주소 및/또는 발급기관의 응용프로그램 접속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분실물 정보 조회부는 데이터베이스(2050)를 통해 분실신고 요청된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의 목록, 각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정보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은 카드회사 응용프로그램, 은행 응용프로그램, 관공서 응용프로그램 및/또는 증권회사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상세정보는 각 응용프로그램을 운영 또는 관리하는 회사 또는 기관의 명칭, 연락처, 웹사이트 주소 및/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접속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스마트폰에 저장된 정보는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나 스마트폰에 결합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실 신고부(2030)는 데이터베이스(2050)에 기 저장된 고객의 개인정보 및 분실물 정보 조회부(2020)에 의해 조회된 지갑 속의 물건들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들의 상세정보를 기초로 해당 물건의 발급기관 또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운영기관에 해당 물건들 및/또는 해당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의 분실을 신고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란 카드회사 응용프로그램와 관련된 카드정보, 은행 응용프로그램 또는 증권회사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계좌정보, 보안카드정보 및/또는 공인인증서 정보, 관공서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운전면허증/주민등록증/여권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부(2040)는 분실신고 요청 전 고객 단말기(101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의 목록, 각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 고객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목록, 각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상세정보, 스마트폰에 저장된 보안정보 및/또는 그 밖에 고객의 소지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050)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고객 정보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술한 정보들의 변동사항을 고객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정보 관리부는 분실신고 후, 신고된 물건의 분실신고 내용 및/또는 신고된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의 분실신고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이전에 요청했던 분실신고의 해지를 원하는 경우,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2010)는 고객 단말기(1010)로부터 지갑 및/또는 스마트폰의 분실신고 해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분실 신고부(2030)는 데이터베이스(2050)에 저장된 분실신고 내용을 기초로 해당 물건의 발급기관 및/또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관리기관에 기 신고한 분실신고를 해지신청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부(2040)는 분실신고가 해지신청된 물건 및/또는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의 해지신청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1020)은 본인인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인인증부(미도시)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본인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2010)는 본인인증이 완료된 고객 단말기로부터의 분실신고 요청만을 적절한 요청으로서 수신하고, 본인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고객 단말기로부터의 분실신고 요청은 부적절한 요청으로 판단하고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1020)은 신고물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2010)을 통해서 소지품의 분실신고 요청이 수신되고, 분실물 정보 조회부(2020)를 통해서 소지품(지갑, 스마트폰 등)에 포함된 물건 또는 정보의 목록이 조회되면, 신고물 선택부는 조회된 목록에서 분실신고가 필요한 물건 또는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물건 또는 정보에 대해서만 분실신고를 처리하도록 분실 신고부에 해당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신고물 선택부는 조회된 목록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웹사이트, 스마트폰용 응용어플리케이션 등)를 통해 고객(고객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기로부터 조회된 목록 중 분실신고가 필요한 물건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물건 또는 정보에 대해서 분실신고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정보 관리부(2040)는 고객으로부터 수집한 소지품 내역 또는 소지품에 포함된 물건이나 정보들의 보안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지갑에 포함된 A신용카드의 등급을 상등급으로 설정하고, B신용카드의 등급을 하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의 지갑에 포함된 물건들 중 상등급으로 설정된 물건들은 분실신고 요청시 즉시 분실신고를 진행하고, 하등급으로 설정된 물건들은 분실신고 요청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분실신고를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지갑에 대해 분실신고 요청이 수신되면, 고객 정보 관리부는 지갑에 포함된 물건들 중 A신용카드는 즉시 분실신고를 진행하고, B신용카드는 경과를 지켜보고 일정 시간(예를 들어, 12시간) 후에 분실신고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정보 관리부(2040)는 소지품 중 신용카드, 운전면허증, 공인인증서 등 해당 물건의 효력 기한이 정해져 있는 물건들의 효력 기한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 정보 관리부는 효력 기한이 다가오는 물건에 대해서 일정 기간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에게 효력 기한이 얼마남지 않았음을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 정보 관리부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해당 물건의 기한 갱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물건의 상세정보를 기초로 해당 물건의 발급기관 또는 관리기관에 해당 물건의 갱신을 신청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물건의 상세정보는 해당 물건이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인 경우, 카드번호, CVC(Card Validation Code)번호, 유효기간, 카드 비밀번호 정보, 해당 물건이 운전면허증인 경우, 면허번호, 발급일자 및 암호 일련번호, 해당 물건이 공인인증서 또는 보안카드/OTP카드인 경우, 일련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정보 관리부(2040)는 고객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 포함)를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고객 정보 관리부는 응용프로그램별로 로그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대한 분실신고 요청이 수신되면, 고객 정보 관리부 또는 분실 신고부는 각 응용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에 대한 분실신고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고객 정보 관리부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응용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의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청된 응용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를 고객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방법은 고객 단말기로부터 지갑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010),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갑에 들어있던 물건 및 상기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하는 단계(S3020),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 상기 조회된 물건의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건의 발급기관에 상기 물건의 분실을 신고하는 단계(S3030), 상기 신고된 물건의 분실신고 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3040),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해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05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신고된 물건의 분실신고 내용을 기초로 상기 물건의 발급기관에 상기 물건의 분실신고를 해지신청하는 단계(S3060) 및/또는 상기 분실신고가 해지신청된 물건의 해지신청 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30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명세서에서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 분실물 정보 조회부, 분실 신고부, 고객 정보 관리부, 데이터베이스, 신고물 선택부 및/또는 본인인증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통합 신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10: 고객 단말기
1020: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1030: 카드회사
1040: 은행
1050: 관공서
1060: 발급기관
2010: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
2020: 분실물 정보 조회부
2030: 분실 신고부
2040: 고객 정보 관리부
2050: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고객의 개인정보, 상기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의 목록 및 각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는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갑에 들어있던 물건 및 상기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하는 분실물 정보 조회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 상기 조회된 물건의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건의 발급기관에 상기 물건의 분실을 신고하는 분실 신고부; 및
    상기 신고된 물건의 분실신고 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고객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이 상기 분실신고의 해지를 원하는 경우, 상기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해지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분실 신고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신고된 물건의 분실신고 내용을 기초로 상기 물건의 발급기관에 상기 물건의 분실신고를 해지신청하고,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는 상기 분실신고가 해지신청된 물건의 해지신청 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수집한 소지품 내역 또는 소지품에 포함된 물건이나 정보들의 보안 등급을 설정하고, 분실신고 요청 시 상등급으로 설정된 물건들은 즉시 분실신고를 진행하고, 하등급으로 설정된 물건들은 분실신고 요청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분실신고를 진행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는 소지품 중 물건의 효력 기한이 정해져 있는 물건들의 효력 기한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효력 기한이 다가오는 물건에 대해서 일정 기간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에게 효력 기한의 잔존 여부를 통지하고,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효력 기한이 다가오는 물건의 기한 갱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물건의 상세정보를 기초로 물건의 발급기관 또는 관리기관에 물건의 기간갱신을 신청하고,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의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청된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갑은 상기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으로서 체크카드, 신용카드,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금용거래용 보안카드 및 금융거래용 OTP(One Time Password)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로서 발급기관 명칭, 발급기관 연락처, 발급기관 웹사이트 주소 및 발급기관의 응용프로그램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전화통화,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용 응용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본인인증을 실시하는 본인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상기 본인인증을 실시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갑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지갑에 들어있는 물건의 목록 및 각 물건에 대한 상세정보에 대한 변동사항을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변동사항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의 목록 및 각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상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분실신고 요청 수신부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분실신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분실물 정보 조회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및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분실 신고부는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 상기 조회된 응용프로그램의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관리기관에 상기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의 분실을 신고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은 신용카드 응용프로그램, 은행 응용프로그램 및 증권회사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KR1020180103726A 2018-08-31 2018-08-31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KR10209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726A KR102095012B1 (ko) 2018-08-31 2018-08-31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726A KR102095012B1 (ko) 2018-08-31 2018-08-31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814A KR20200025814A (ko) 2020-03-10
KR102095012B1 true KR102095012B1 (ko) 2020-03-30

Family

ID=6980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726A KR102095012B1 (ko) 2018-08-31 2018-08-31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0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694A (ja) * 2000-07-19 2002-01-31 Nec Corp カード紛失時の取扱停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465A (ko) * 2002-10-14 2004-04-28 주식회사씨엠티 분실물 통합신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분실물통합신고 방법
KR20110133930A (ko) 2010-06-07 2011-12-14 나승민 핸드폰을 이용한 분실물 신고 및 습득
KR20150006232A (ko) * 2013-07-08 2015-01-16 브이피 주식회사 카드 분실 신고 방법 및 중계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694A (ja) * 2000-07-19 2002-01-31 Nec Corp カード紛失時の取扱停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814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6422B2 (en) Voice recognition to authenticate a mobile payment
US7761384B2 (en) Strategy-driven methodology for reducing identity theft
RU266872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дифференцирова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в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US8567670B2 (en) Dynamic card verification values and credit transactions
US85495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acting with multiple domains based on a credential
JP5713516B1 (ja) カード決済端末及びカード決済システム
CN101627574A (zh) 用于交易审查服务的系统和方法
US201300360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processing transactions
RU2643503C1 (ru)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подлинности товаров или услуг
BRPI1010327A2 (pt) sistema de transaÇço financeira sem cartço
US2017022873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inhibiting fraudulent payment card transactions
KR20110049649A (ko) 금융서버 및 전자지갑디바이스를 연계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9212733A (ja)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における認証サーバ、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2095012B1 (ko) 분실물 통합 신고 시스템
Seaman et al. Pci dss applicability
KR101123627B1 (ko) 거스름돈 적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스름돈 적립 서비스 방법
JP7204832B1 (ja) 決済システム、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88162B2 (ja) 口座申込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情報端末
JP7204833B1 (ja) 決済システム、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21766A (ja) 発行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発行サーバ
KR100840689B1 (ko) 유무선 휴대 인터넷을 이용한 명의 도용 지킴이 방법 및 시스템
Mrema Changing smartcard technology usage in Tanzania
TW200841262A (en) A method using telephone number and identification number for double-verification of online credit card payment
WO201605549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inhibiting fraudulent payment card transactions
KR101611665B1 (ko) 보안 금융 거래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금융 기관의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