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494B1 -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494B1
KR102094494B1 KR1020180157977A KR20180157977A KR102094494B1 KR 102094494 B1 KR102094494 B1 KR 102094494B1 KR 1020180157977 A KR1020180157977 A KR 1020180157977A KR 20180157977 A KR20180157977 A KR 20180157977A KR 102094494 B1 KR102094494 B1 KR 10209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vehicle
unit
diagnosed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익희
김은석
김용국
박상웅
박진동
여운석
하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18015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07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검사용 진단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검사진단기와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전자장치와의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에 있어서, 통신모듈본체; 상기 통신모듈본체와 진단대상 자동차를 연결하여주는 통신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진단대상 자동차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DC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모듈본체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 차량통신흐름제어부 측 제어를 통하여 캔통신부와 랜통신부를 비롯한 차량 통신의 흐름을 통제하거나 통신프로토콜에 의한 시리얼 통신라인의 차량 통신을 통제하여 연결되는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통신 데이터를 관리하고, 차량통신흐름제어부의 입출력(I/O) 컨트롤을 통해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를 통제하여 차량 통신을 위한 여러 신호선들 중 필요한 신호선을 선택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CPU부; CPU부의 제어를 통해 통신프로토콜에 의한 시리얼 통신라인 및 캔통신부를 통제하는 통제기능을 하여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해당 통신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차량 통신데이터의 전기적 규격에 관한 신호 제어를 담당하여 표준화된 제어포맷을 제공함으로써 CPU부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차량통신흐름제어부; CPU부와 연동하여 작동되고,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 및 진단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메모리부; CPU부의 통제를 받아 캔통신을 위한 셋팅이 이루어지고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캔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차량통신흐름제어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통신데이터의 흐름이 제어되는 캔통신부; CPU부에 의해 제어되고,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랜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통신부; CPU부의 제어에 의한 차량통신흐름제어부 측 입출력(I/O) 컨트롤에 따라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차량 통신에 필요한 신호선을 선택 또는 해제하는 제어기능을 담당하고, 각 통신라인에 필요한 통신전압이 공급되게 하는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 무선 랜모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서, CPU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검사진단기 측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검사진단기 측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랜모듈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Communication Module Device for Diagnosis and Inspection on Electronic device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각 전자장치별 이상 작동 유무 확인 등의 검사 및 진단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장치까지 용이하게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을 갖는 검사진단기와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가 상호간에 원활하게 통신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원동기를 동력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도로 위를 달릴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엔진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차량이며,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거나 각종 작업을 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복합적인 기계, 기구의 결합에 의한 물리적인 제어를 통해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운전자에게 향상된 주행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전자제어장치가 모든 차량에 접목되고 있는 추세에 있는데, 자동차는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서 부품의 마모 및 열화가 진행되고 결함이 발생되어 사고 가능성 증가 및 배출가스 과다 배출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중대한 원인이 되고, 이에 따른 사고처리비용, 에너지 손실 및 고장으로 인한 교통 체증 등 경제적 손실도 매우 크기 때문에 언제나 일정수준 이상의 도로운행 적합성이 확보된 상태로 유지 관리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일정기간마다 자동차 검사를 실시하도록 법령으로 의무화 및 관리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생산되는 자동차에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각종 전자장치가 다수 장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이상 작동 유무 확인은 운행하는 자동차의 안전도 확보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자동차관리법 제32조의 2 제①항 3의2호를 신설하여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전자장치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동차 검사 및 진단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자동차의 각종 전자장치를 검사 및 진단하기 위해 케이블 등을 연결하여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를 실시 및 고장을 진단하고 있는데, 검사에 따른 효율성이 떨어짐은 물론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에 대해서는 용이한 검사 및 진단을 실시하지 못하는 등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하는데 있어 극히 제한된 업무만이 수행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56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92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각 전자장치별 이상 작동 유무 확인 등의 검사 및 진단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을 지원하면서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장치까지 용이하게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도록 통신을 지원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을 갖는 검사진단기와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가 상호간에 원활하게 통신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통신 매개체로서 기능하도록 한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해 진단대상 자동차의 통신 가능한 통신프로토콜을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차종을 확대하여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도록 통신을 지원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는,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검사진단기와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전자장치와의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에 있어서, 통신모듈본체; 상기 통신모듈본체와 진단대상 자동차를 연결하여주는 통신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진단대상 자동차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DC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모듈본체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 차량통신흐름제어부 측 제어를 통하여 캔통신부와 랜통신부를 비롯한 차량 통신의 흐름을 통제하거나 통신프로토콜에 의한 시리얼 통신라인의 차량 통신을 통제하여 연결되는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통신 데이터를 관리하고, 차량통신흐름제어부의 입출력(I/O) 컨트롤을 통해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를 통제하여 차량 통신을 위한 여러 신호선들 중 필요한 신호선을 선택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CPU부; CPU부의 제어를 통해 통신프로토콜에 의한 시리얼 통신라인 및 캔통신부를 통제하는 통제기능을 하여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해당 통신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차량 통신데이터의 전기적 규격에 관한 신호 제어를 담당하여 표준화된 제어포맷을 제공함으로써 CPU부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차량통신흐름제어부; CPU부와 연동하여 작동되고,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 및 진단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메모리부; CPU부의 통제를 받아 캔통신을 위한 셋팅이 이루어지고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캔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차량통신흐름제어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통신데이터의 흐름이 제어되는 캔통신부; CPU부에 의해 제어되고,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랜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통신부; CPU부의 제어에 의한 차량통신흐름제어부 측 입출력(I/O) 컨트롤에 따라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차량 통신에 필요한 신호선을 선택 또는 해제하는 제어기능을 담당하고, 각 통신라인에 필요한 통신전압이 공급되게 하는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 무선 랜모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서, CPU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검사진단기 측 통신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검사진단기 측 통신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랜모듈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CPU부 및 메모리부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비되고, 통신모듈장치의 리셋과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스위치와 USB포트가 구비되는 리셋/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USB케이블을 사용한 연결을 통해 검사진단기 측과 연동되게 하는 USB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통신프로토콜에 대해 K-Line, L-Line ISO-9141, ISO-14230(KWP-2000), CANSingle/DoubleWire, ISO-11898(11bit,29bit), EthernetAutomotiveEthernet ISO-13400를 포함하는 통신프로토콜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외형이 자동차 형상의 몸체로 구비되며; 상기 통신케이블은 통신모듈본체에 연결 접속되는 본체커넥터부와, 진단대상 자동차에 연결 접속되는 차량커넥터부, 및 본체커넥터부와 차량커넥터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커넥터부와 케이블연결부는 연결잭 구성을 통해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구비하며, 상기 차량커넥터부에는 선단 핀부 내면에 LED를 노출되게 장착하고 차량커넥터부의 상면에 on/off용 스위치를 배치 및 LED와 연결 구비하여 어두운 환경을 갖는 진단대상 자동차 측 연결 접속시 LED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한 연결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각 전자장치별 이상 작동 유무 확인 등의 검사 및 진단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검사진단기 측과 진단대상 자동차 측간의 원활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특히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장치까지 용이하게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통신을 지원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해 진단대상 자동차의 통신 가능한 통신프로토콜을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차종을 확대하여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는 통신을 지원하며, 다양한 통신 지원을 위한 기능성을 높임과 더불어 제품화에 따른 디자인을 고려한 구성을 갖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에 있어 통신모듈본체의 PCB 상에 구현되는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에 있어 통신케이블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통신케이블의 차량커넥터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단대상 자동차의 각종 전자장치를 검사하여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검사진단기(1)와 진단대상 자동차(2)를 연결하여주는 통신인터페이스로서, 검사진단기(1)와 진단대상 자동차(2)에 설치된 전자장치와의 상호간 통신을 지원하여 자동차 전자장치의 용이한 검사 및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모듈본체(110)와, 상기 통신모듈본체(110)와 진단대상 자동차를 연결하여주는 통신케이블(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모듈본체(110)는 외형이 자동차 형상을 갖는 몸체로 구비되며, 선단의 동일선상으로 연장 돌출시킨 구조로 손잡이부(111)를 형성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취부하여 휴대 및 자동차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본체(110)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형상의 몸체로 외형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통신 지원을 위한 기능성을 높임과 더불어 제품화에 따른 디자인을 고려한 구성을 갖게 하였다.
상기 통신모듈본체(110)는 전원 인가를 위한 전원입력부 및 통신모듈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여주는 작동램프가 표출되어 구비되며, 완충기능을 통해 충격에 보호받도록 실리콘 등의 고무계 소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모듈본체(110)는 자동차 형상을 갖는 몸체에 내장되는 PCB 상에 구현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검사진단기(1)와 진단대상 자동차(2)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이때, 상기 PCB 상에 구현되어 검사진단기(1)와 진단대상 자동차(2) 간의 통신을 지원하게 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부(1110), CPU부(1120),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 메모리부(1140), 캔통신부(1150), 랜통신부(1160),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1170), 무선랜모듈 커넥터부(1180), 리셋/업데이트부(1190), USB통신부(12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110)는 상기 통신케이블(120)을 통해 연결된 진단대상 자동차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모듈본체(110)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상기 전원부(1110)는 CPU부(1120),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 메모리부(1140), 캔통신부(1150), 랜통신부(1160),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1170), 무선랜모듈 커넥터부(1180), 리셋/업데이트부(1190), USB통신부(1200)의 구성요소 각각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1110)는 DC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자체적으로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10)는 DC 12V 내지 48V를 공급받아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필요한 전압, 즉 5V, 3.3V, 1.8V, 1.5V, 1.2V 등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은 CPU부(1120),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 메모리부(1140), 캔통신부(1150), 랜통신부(1160),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1170), 무선랜모듈 커넥터부(1180), 리셋/업데이트부(1190), USB통신부(1200)를 나타낸다.
상기 CPU부(1120)는 상기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 측 제어를 통하여 캔통신부(1150)와 랜통신부(1160)를 비롯한 차량 통신의 흐름을 통제하거나 통신프로토콜에 의한 시리얼 통신라인의 차량 통신을 통제하여 연결되는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통신 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의 입출력(I/O) 컨트롤을 통해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1170)를 통제하여 차량 통신을 위한 여러 신호선들 중 필요한 신호선을 선택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CPU부(1120)는 무선랜모듈 커넥터부(1180)에 무선랜모듈을 장착한 경우, 동작되는 무선랜모듈의 통신 흐름 또한 제어한다.
또한, 상기 CPU부(1120)는 리셋/업데이트부(1190)를 통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와 리셋을 관리하는 기능을 하고 이는 메모리부(1140)의 통제와 함께 이루어지며, 검사진단기(1)와 진단대상 자동차(2) 간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한다.
상기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는 상기 CPU부(120)의 제어를 통해 통신프로토콜에 의한 시리얼 통신라인 및 캔통신부(1150)를 통제하는 통제기능을 하여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해당 통신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상기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는 차량 통신데이터의 전기적 규격에 관한 신호 제어를 담당하여 표준화된 제어포맷을 제공함으로써 CPU부(120)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메모리부(1140)는 상기 CPU부(1120)와 연동하여 작동되고,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 및 진단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상기 캔통신부(1150)는 상기 CPU부(1120)의 통제를 받아 캔통신을 위한 셋팅이 이루어지고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캔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에서의 제어를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통신데이터의 흐름이 제어된다.
상기 랜통신부(1160)는 상기 CPU부(1120)에 의해 제어되고,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랜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1170)는 상기 CPU부(1120)의 제어에 의한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 측 입출력(I/O) 컨트롤에 따라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차량 통신에 필요한 신호선을 선택 또는 해제하는 제어기능을 담당하고, 각 통신라인에 필요한 통신전압이 공급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무선랜모듈 커넥터부(1180)는 무선 랜모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CPU부(1120)에서의 제어를 통해 검사진단기 측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거나 또는 검사진단기 측 서버로 데이터를 무선 송신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상기 무선 랜모듈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리셋/업데이트부(1190)는 상기 CPU부(1120) 및 메모리부(1140)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비되고, 통신모듈장치(100)의 리셋과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스위치와 USB포트가 구비된다.
상기 USB통신부(1200)는 USB케이블을 사용한 연결을 통해 검사진단기 측과 연동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통신모듈본체(110)는 K-Line, L-Line ISO-9141, ISO-14230(KWP-2000), CANSingle/DoubleWire, ISO-11898(11bit,29bit), EthernetAutomotiveEthernet ISO-13400를 포함하는 통신프로토콜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자동차의 차종을 확대하여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본체(110)는 케이블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이는 통신케이블(120)의 연결 접속에 사용된다.
상기 통신모듈본체(110)는 배터리충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케이블(120)은 상기 통신모듈본체(110) 측에 연결 접속되는 본체커넥터부(121)와, 상기 진단대상 자동차 측에 연결 접속되는 차량커넥터부(122), 및 상기 본체커넥터부(121)와 차량커넥터부(122)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1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차량커넥터부(122)와 케이블연결부(123)는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선단 핀부(122b)를 갖는 차량커넥터부(122) 측 고장이 잦고 때론 케이블연결부(123) 측 불량이 발생하는데, 차량커넥터부와 케이블연결부를 통째로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통신케이블(120)의 교체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량커넥터부(122)와 케이블연결부(123)는 암수 연결잭(122a)(123a) 구성을 통해 서로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고장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통신케이블(120) 측 과다한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량커넥터부(122)에는 선단 핀부(122b)의 내면에 LED(124)를 핀에 간섭되지 않게 노출되게 장착하고 차량커넥터부의 상면에 on/off용 스위치(125)를 노출 배치 및 LED와 연결 구비하여 어두운 환경을 갖는 진단대상 자동차(2) 측 연결 접속시 LED(124)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한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100)는 전원부(1110), CPU부(1120), 차량통신흐름제어부(1130), 메모리부(1140), 캔통신부(1150), 랜통신부(1160),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1170), 무선랜모듈 커넥터부(1180), 리셋/업데이트부(1190), USB통신부(1200)를 포함하는 통신모듈본체(110)를 통해 검사진단기와 진단대상 자동차 간의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특히 진단대상 자동차의 차종별 또는 시스템별 통신프로토콜에 근거한 다양한 통신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통해서는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각 전자장치별 이상 작동 유무 확인 등을 위한 검사 및 진단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을 지원하며,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장치까지 용이하게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도록 통신을 지원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정과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100: 통신모듈장치 110: 통신모듈본체
120: 통신케이블 1110: 전원부
1120: CPU부 1130: 차량통신흐름제어부
1140: 메모리부 1150: 캔통신부
1160: 랜통신부 1170: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
1180: 무선랜모듈 커넥터부 1190: 리셋/업데이트부
1200: USB통신부

Claims (5)

  1.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검사진단기와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전자장치와의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에 있어서,
    통신모듈본체; 상기 통신모듈본체와 진단대상 자동차를 연결하여주는 통신케이블; 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자동차 형상의 외형으로 구비하되, 용이하게 취부하여 휴대 및 자동차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케이블은 통신모듈본체에 연결 접속되는 본체커넥터부와, 진단대상 자동차에 연결 접속되는 차량커넥터부, 및 본체커넥터부와 차량커넥터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차량커넥터부와 케이블연결부는 상호간 암수 연결잭 구성을 통해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구비하며, 상기 차량커넥터부에는 선단 핀부 내면에 LED를 노출되게 장착하고 차량커넥터부의 상면에 on/off용 스위치를 배치 및 LED와 연결 구비하여 어두운 환경을 갖는 진단대상 자동차 측 연결 접속시 LED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한 연결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진단대상 자동차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DC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모듈본체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 차량통신흐름제어부 측 제어를 통하여 캔통신부와 랜통신부를 비롯한 차량 통신의 흐름을 통제하거나 통신프로토콜에 의한 시리얼 통신라인의 차량 통신을 통제하여 연결되는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통신 데이터를 관리하고, 차량통신흐름제어부의 입출력(I/O) 컨트롤을 통해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를 통제하여 차량 통신을 위한 여러 신호선들 중 필요한 신호선을 선택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CPU부; CPU부의 제어를 통해 통신프로토콜에 의한 시리얼 통신라인 및 캔통신부를 통제하는 통제기능을 하여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해당 통신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차량 통신데이터의 전기적 규격에 관한 신호 제어를 담당하여 표준화된 제어포맷을 제공함으로써 CPU부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차량통신흐름제어부; CPU부와 연동하여 작동되고,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 및 진단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메모리부; CPU부의 통제를 받아 캔통신을 위한 셋팅이 이루어지고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캔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차량통신흐름제어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통신데이터의 흐름이 제어되는 캔통신부; CPU부에 의해 제어되고,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랜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통신부; CPU부의 제어에 의한 차량통신흐름제어부 측 입출력(I/O) 컨트롤에 따라 진단대상 자동차와의 차량 통신에 필요한 신호선을 선택 또는 해제하는 제어기능을 담당하고, 각 통신라인에 필요한 통신전압이 공급되게 하는 차량통신라인 MUX/Control부; 무선 랜모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서, CPU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검사진단기 측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검사진단기 측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랜모듈 커넥터부; 를 포함하되 내장되는 PCB 상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CPU부 및 메모리부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비되고, 통신모듈장치의 리셋과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스위치와 USB포트가 구비되는 리셋/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USB케이블을 사용한 연결을 통해 검사진단기 측과 연동되게 하는 USB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본체는,
    통신프로토콜에 대해 K-Line, L-Line ISO-9141, ISO-14230(KWP-2000), CANSingle/DoubleWire, ISO-11898(11bit,29bit), EthernetAutomotiveEthernet ISO-13400를 포함하는 통신프로토콜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5. 삭제
KR1020180157977A 2018-12-10 2018-12-10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KR10209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77A KR102094494B1 (ko) 2018-12-10 2018-12-10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77A KR102094494B1 (ko) 2018-12-10 2018-12-10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494B1 true KR102094494B1 (ko) 2020-03-27

Family

ID=6995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977A KR102094494B1 (ko) 2018-12-10 2018-12-10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99B1 (ko) 2022-11-21 2024-02-01 한국교통안전공단 서버형 자동차 전자장치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9591A (ja) * 2002-01-16 2003-07-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故障診断装置
KR20110085679A (ko) 2010-01-21 2011-07-27 글로컴비즈코리아주식회사 지그비 통신과 캔 통신의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장치
KR101529250B1 (ko) 2012-12-31 2015-06-18 주식회사 지. 아이. 티 자동차 검사 시스템
KR20170039950A (ko) * 2015-10-02 2017-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20180070299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자가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9591A (ja) * 2002-01-16 2003-07-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故障診断装置
KR20110085679A (ko) 2010-01-21 2011-07-27 글로컴비즈코리아주식회사 지그비 통신과 캔 통신의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장치
KR101529250B1 (ko) 2012-12-31 2015-06-18 주식회사 지. 아이. 티 자동차 검사 시스템
KR20170039950A (ko) * 2015-10-02 2017-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20180070299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자가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99B1 (ko) 2022-11-21 2024-02-01 한국교통안전공단 서버형 자동차 전자장치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40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communication rang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vehicle diagnostic equipment
US89354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devices for servicing a device-under-service
JP4872031B2 (ja) 車両のコンピュータへの複数通信チャネル入力を遠隔テストする装置及び方法
US9117321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use remote and local control modes to acquire and visually present data
US8340855B2 (en) USB isolation for vehicle communication interface
WO2012024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scanner module to buffer and bulk send vehicle data responsive to network conditions
KR20170015855A (ko) 차량 검측 방법, 모바일 단말기와 차량 탑재 단말기
CN105398345B (zh) 用于电动车辆的直流快速充电测试方法和系统
CN203965938U (zh) 车载诊断装置和车载诊断系统
US9911251B2 (en) Vehicle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20100241320A1 (en) Liftgate controller
CN104106190B (zh) 具有主动过压保护的车辆通信部件和方法
KR102094494B1 (ko)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
CN105191048A (zh) 异常诊断装置
US10514411B2 (en) Testing system for multiple-unit locomotives
US10024923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vehicle-external testing device to a battery removed from a vehicle
KR101972142B1 (ko) 진단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934946B1 (en) Measumement module for electronic interface device for connecting a trailer lighting system to a vehicle lighting system
CN102416914A (zh) 一种汽车第二代随车诊断(obdⅱ)接口切换器
CN107076981A (zh) 用于车辆诊断/编程的接口集成电路以及车辆诊断仪
JP2009126323A (ja) 車両用故障診断装置
JP2018126139A (ja) 農作業機用リモコン操作装置のホルダー
CN203552055U (zh) 用于汽车的车载控制器的诊断系统
US9714970B2 (en) Method for measuring the presence of a high-voltage and establishing the absence of voltage
CN214504212U (zh) 一种空气悬架电控模块的k线故障诊断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