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142B1 - 냉각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142B1
KR102093142B1 KR1020170168096A KR20170168096A KR102093142B1 KR 102093142 B1 KR102093142 B1 KR 102093142B1 KR 1020170168096 A KR1020170168096 A KR 1020170168096A KR 20170168096 A KR20170168096 A KR 20170168096A KR 102093142 B1 KR102093142 B1 KR 10209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layer
discharge pipe
flow path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074A (ko
Inventor
강경석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 시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온텍 filed Critical (주) 시온텍
Priority to KR102017016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1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냉각탑의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 사이에 냉각수정화기를 장착하여, 냉각탑을 반복 순환하는 냉각수를 정화시켜 탁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각수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냉각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냉각탑(10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200); 냉각탑에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배출관(300); 상기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 사이에 결합되는 냉각수정화기(40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각수 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cooling-water}
본 발명은 냉각수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냉각탑의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 사이에 냉각수정화기를 장착하여, 냉각탑을 반복 순환하는 냉각수를 정화시켜 탁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각수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몰리브덴산염으로 계산된 수용성 몰리브덴산염을 1에서 10ppm 정도 그리고 인산염으로 계산된 안정화된 인산염을 5에서 25ppm 정도 함유하는 부식 방지제 조성물의 유효 양을 냉각탑수에 첨가하고 대체로 활성아연이 없는 부식방지 조성물, 그리고 시스템에서 물을 순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냉각탑계에서 탄소강의 점 부식속도를 지연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2는 고전압발생기(140)로부터 방전전압을 제공받아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120)와, 에어콤프레셔(150)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고농도의 산소를 상기 오존발생기(120)에 공급하는 산소발생기(130)와, 오존누설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CT(Contact Time)치로서 확인하는 오존누설감지기(170)와, 주파수 변조를 통하여 상기 오존발생기(120)의 오존발생량을 증가시키는 인버터(190)와, 상기 오존발생기(120)로부터 오존을 공급받아 미세한 오존기포를 발생하고 이를 냉각탑(300) 내에 폭기/분산시키는 오존분산기(200)와, 상기 엘리먼트들을 운전시키기는 콘트롤판넬(110)를 포함하는 냉각탑용 멸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120)으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상기 오존분산기(200)에 일정한 압력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압력레귤레이터(181)와, 상기 산소발생기(130)에서 고농도의 산소 발생시 분리되는 질소를 배출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위칭되는 압력스위치(1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용 멸균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3은 실리카, 칼슘 및 마그네슘 전체 하드니스(hardness), 부유 물질, 유기 물질, 미생물, 중금속, 염료, 세제, 및 비소와 같은 오염물질이 감소 및/또는 제거되고, 여러 공업의 공정, 반-공업의 공정 또는 가내수공업의 공정에 대한 물의 재사용을 허용하는 수질을 얻고, 물과 화학 제품에 관하여 절약하게 하는, 냉각탑과 역 삼투 폐기, 탈광화 시스템의 음이온 유니트의 재생과 같은 다른 공정을 위한 물, 항공기 대양(aircraft blue water) 및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기술적인 혁신은, 그것이 퇴적층의 형성을 일으키는, 실리카를 100%까지 제거하고 칼슘 및 마그네슘 하드니스 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며, 그것은 또한 고형물 분리 및 여과 시스템을 사용하여 처분되는 슬러지를 형성하는, 부유 물질을 처리수에서 제거하며; 이것으로, 0 내지 40 ppm 농도의 실리카를 가지고 전체 하드니스 염, 부유 물질 및 미생물의 농도를 감소시킨, 냉각탑 용 여분의 물로서 재사용이 가능한 수질을 얻고, 농도 사이클의 증가를 허용하고, 냉각탑에서 물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정화에 의한 물의 손실을 없애고, 또한 부식 속도, 하드니스 염 및 실리카의 퇴적층의 형성을 컨트롤하고, 컨트롤된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 및 유지하며, 화학 제품의 첨가를 감소시키는 것이며, 상기 시스템은 a) 벤츄리 이젝터 시스템, b) 산소 농축 시스템, c) 오존 발생 장치, d) pH 컨트롤 시스템, e) 전도도 컨트롤시스템, f) 알루미늄 플레이트 (철, 아연 또는 물로부터 그것을 분리하기 위하여 실리카와 반응하는 다른 금속)을 가지는 전기화학 셀, g) 고형물 분리 시스템 또는 여과 시스템, h) 산소 농축 시스템, i) 오존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4는 냉동기(refrigerator)의 냉각용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탑 시스템(cooling tower system)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로부터 상기 냉각탑으로 이송되는 상기 냉각용수의 회수경로를 제공하는 냉각용수 회수배관; 상기 냉각탑으로부터 상기 냉동기로 이송되는 상기 냉각용수의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냉각용수 공급배관; 및 상기 냉각용수 회수배관의 회수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용수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살균 처리하기 위한 살균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처리장치에서 플라즈마 발생 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냉각용수 회수배관을 통과하는 상기 냉각용수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시스템의 특징을 제시하고 있다.
WO92/18665 A1 (공개일자 1992년10월29일) KR 10-0419998 B1 (등록일자 2004년02월11일) KR 10-2009-0024274 A (공개일자 2009년03월06일) KR 10-1303081 B1 (등록일자 2013년08월28일)
본 발명은 냉각수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냉각탑의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 사이에 냉각수정화기를 장착하여, 냉각탑을 반복 순환하는 냉각수를 정화시켜 탁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각수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냉각수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냉각탑(10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200); 냉각탑에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배출관(300); 상기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 사이에 결합되는 냉각수정화기(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정화기는 일측이 냉각수공급관과 결합되며, 타측이 냉각수배출관과 결합되는 제1유로(410);, 일측이 냉각수공급관과 결합되며, 타측이 냉각수배출관과 연결되며, 중간에 이온교환기(500)가 장착되는 제2유로(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일측이 냉각수공급관에 연통되며, 타측이 제1유로 및 제2유로와 연통되는 제1제어밸브(430);, 일측이 제1유로 및 제2유로에 연통되며, 타측이 냉각수배출관에 연통되는 제2제어밸브(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기에 형성되며,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출관(5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배출관에 형성되며,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기(610);, 상기 탁도측정기의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1제어밸브 및/또는 제2제어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6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기는 탄소층을 포함하여 적층되는 원통형 적층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축전식 탈염 전극으로, 상기 적층체는 층의 면 방향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측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유로; 층의 면 방향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출유로; 및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를 따라 감싸 형성되되,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로 및 상기 유출유로는 상기 밀봉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스페이서층; 제1이온교환층, 상기 탄소층 및 상기 제1이온교환층과 반대극의 제2이온교환층;이 순서대로 접하여 적층되는 바이폴라 적층체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층은 제1스페이서층 및 제2스페이서층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폴라 적층체는 상기 제1스페이서층, 상기 제1이온교환층, 상기 탄소층, 상기 제2이온교환층 및 상기 제2스페이서층이 순서대로 접하여 적층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금속층, 상기 탄소층 및 이온교환층이 순서대로 접하여 적층되는 바이폴라 적층체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바이폴라 적층체의 외부로 돌출된 금속단자를 포함하는 금속전극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냉각탑의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 사이에 냉각수정화기를 장착하여, 냉각탑을 반복 순환하는 냉각수를 정화시켜 탁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는 냉각수의 이온교환 후 냉각수의 잔류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정화된 냉각수를 다시 공급함으로써 냉각수의 염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냉각수정화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온교환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정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냉각수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냉각탑(10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200); 냉각탑에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배출관(300); 상기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 사이에 결합되는 냉각수정화기(400);를 포함한다.
냉각탑은 냉동기에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를 낮추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냉각탑에 공급된 냉각수는 냉동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므로 가온상태가 되며, 가온상태의 냉각수는 냉각탑 내부에서 대기와 접촉되어 온도를 저하시킨다. 온도가 대기온도로 저하된 냉각수는 다시 냉각수로 공급된다. 냉각수는 냉동기 및 냉각탑을 반복 순환하며, 반복 순환과정 중 냉각수 탁도가 높아지는 문제를 유발한다. 탁도가 높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 사이에 냉각수정화기를 장착하였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정화기는 일측이 냉각수공급관과 결합되며, 타측이 냉각수 배출관과 결합되는 제1유로(410);, 일측이 냉각수공급관과 결합되며, 타측이 냉각수 배출관과 연결되며, 중간에 이온교환기(500)가 장착되는 제2유로(420);를 포함한다.
냉각수정화기 내부에는 2개의 유로를 형성하며, 하나의 유로(제1유로)는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을 직결시켜,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반면 다른 하나의 유로(제2유로)는 이온교환기를 장착하며, 냉각수가 이온교환기를 통해 정화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일측이 냉각수공급관에 연통되며, 타측이 제1유로 및 제2유로와 연통되는 제1제어밸브(430);, 일측이 제1유로 및 제2유로에 연통되며, 타측이 냉각수배출관에 연통되는 제2제어밸브(440);를 포함한다.
냉각수정화기 내부에는 2개의 밸브를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밸브는 냉각수 유동경로를 제1유로 또는 제2유로로 변환한다. 냉각수가 냉각수정화기를 거치지 않고 순환되는 경우에는 제1제어밸브과 제2제어밸브를 제1유로로 연통하며, 냉각수가 냉각수정화기를 경유해야 되는 경우에는 제1제어밸브 및 제2제어밸브를 제2유로 연통시킨다. 따라서, 냉각수는 제2유로에 형성된 냉각수정화기 통과하게 되며, 따라서 냉각수는 이온교환에 의해 정화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기에 형성되며,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출관(510);을 포함한다.
이온교환기 내부에서 냉각수는 이온교환되며, 이온교환 후 냉각수의 잔류부산물은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폐기된다. 또한 정화된 냉각수는 다시 제2유로로 공급되어 냉각수의 염도를 낮추게 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 실시예 3-1 또는 4-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배출관에 형성되며,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기(610);, 상기 탁도측정기의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1제어밸브 및/또는 제2제어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620);를 포함한다.
오염된 냉각수를 실시간으로 정화하면 정화 효율이 낮아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탁도측정기가 냉각수정화기 이전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탁도를 측정한다. 냉각수의 탁도수치가 일정수치 이상의 경우에는 제2유로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냉각수를 정화한다. 제2유로로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제어기는 제1제어밸브 및 제2제어밸브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며, 탁도측정기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는다.
[실시예 6-1]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기는 탄소층을 포함하여 적층되는 원통형 적층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축전식 탈염 전극으로, 상기 적층체는 층의 면 방향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측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유로; 층의 면 방향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출유로; 및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를 따라 감싸 형성되되,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로 및 상기 유출유로는 상기 밀봉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스페이서층; 제1이온교환층, 상기 탄소층 및 상기 제1이온교환층과 반대극의 제2이온교환층;이 순서대로 접하여 적층되는 바이폴라 적층체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층은 제1스페이서층 및 제2스페이서층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폴라 적층체는 상기 제1스페이서층, 상기 제1이온교환층, 상기 탄소층, 상기 제2이온교환층 및 상기 제2스페이서층이 순서대로 접하여 적층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9-1]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금속층, 상기 탄소층 및 이온교환층이 순서대로 접하여 적층되는 바이폴라 적층체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0-1] 본 발명의 냉각수 정화장치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바이폴라 적층체의 외부로 돌출된 금속단자를 포함하는 금속전극인 것을 포함한다.
100 : 냉각탑 200 : 냉각수공급관
300 : 냉각수배출관 400 : 냉각수정화기
410 : 제1유로 420 : 제2유로
430 : 제1제어밸브 440 : 제2제어밸브
500 : 이온교환기 510 : 배출관
610 : 탁도측정기 620 : 제어기

Claims (10)

  1. 냉각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냉각탑(10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200);,
    냉각탑에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배출관(300);,
    상기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 사이에 결합되는 냉각수정화기(400);,
    상기 냉각수정화기는 일측이 냉각수공급관과 결합되며, 타측이 냉각수배출관과 결합되는 제1유로(410);,
    일측이 냉각수공급관과 결합되며, 타측이 냉각수배출관과 연결되며, 중간에 이온교환기(500)가 장착되는 제2유로(420);,
    일측이 냉각수공급관에 연통되며, 타측이 제1유로 및 제2유로와 연통되는 제1제어밸브(430);,
    일측이 제1유로 및 제2유로에 연통되며, 타측이 냉각수배출관에 연통되는 제2제어밸브(440);,
    상기 이온교환기에 형성되며, 이온교환된 냉각수의 잔류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폐기하는 배출관(510);,
    상기 냉각수배출관에 형성되며, 냉각수정화기 이전에 설치되어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기(610);,
    상기 탁도측정기의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1제어밸브 및/또는 제2제어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620);
    상기 이온교환기는 탄소층을 포함하여 적층되는 원통형 적층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축전식 탈염 전극으로, 상기 적층체는 층의 면 방향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측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유로;
    층의 면 방향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출유로; 및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를 따라 감싸 형성되되,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로 및 상기 유출유로는 상기 밀봉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냉각수 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스페이서층;
    제1이온교환층, 상기 탄소층 및 상기 제1이온교환층과 반대극의 제2이온교환층;이 순서대로 접하여 적층되는 바이폴라 적층체인 것을 포함하는 냉각수 정화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층은 제1스페이서층 및 제2스페이서층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폴라 적층체는 상기 제1스페이서층, 상기 제1이온교환층, 상기 탄소층, 상기 제2이온교환층 및 상기 제2스페이서층이 순서대로 접하여 적층되는 것을 포함하는 냉각수 정화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금속층, 상기 탄소층 및 이온교환층이 순서대로 접하여 적층되는 바이폴라 적층체인 것을 포함하는 냉각수 정화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바이폴라 적층체의 외부로 돌출된 금속단자를 포함하는 금속전극인 것을 포함하는 냉각수 정화장치.
KR1020170168096A 2017-12-08 2017-12-08 냉각수 정화장치 KR10209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96A KR102093142B1 (ko) 2017-12-08 2017-12-08 냉각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96A KR102093142B1 (ko) 2017-12-08 2017-12-08 냉각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74A KR20190068074A (ko) 2019-06-18
KR102093142B1 true KR102093142B1 (ko) 2020-05-27

Family

ID=6710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096A KR102093142B1 (ko) 2017-12-08 2017-12-08 냉각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1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890A (ja) * 2002-02-12 2005-06-16 レール・リキード−ソシエテ・アノニム・ア・ディレクトワール・エ・コンセイユ・ドゥ・スールベイランス・プール・レテュード・エ・レ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セデ・ジョルジュ・クロード 流体を冷却水を使用して冷却するための冷却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0887A1 (en) 1991-04-12 1995-07-05 Gulf Coast Performance Chemical,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general and pitting corrosion in cooling tower water
KR100419998B1 (ko) 2003-02-13 2004-02-26 삼중테크 주식회사 냉각탑용 멸균장치
MXPA06007148A (es) 2006-06-21 2007-04-23 Alcocer Juan Jorge Diaz Gonzal Metodo y sistema integral para tratamiento de aguas para las torres de enfriamiento y procesos que requieren eliminar la silice del agua.
KR101290728B1 (ko) * 2008-03-07 201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
KR101303081B1 (ko) 2012-11-27 2013-09-03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냉각탑 시스템
KR101591257B1 (ko) * 2014-04-15 2016-02-03 (주)시온텍 축전식탈염복합전극, 축전식탈염복합전극 셀 및 축전식복합탈염전극의 제조방법
KR20160019012A (ko) * 2014-08-08 2016-02-18 한국전력공사 냉각수 순환 시스템의 부식 방지를 위한 냉각수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890A (ja) * 2002-02-12 2005-06-16 レール・リキード−ソシエテ・アノニム・ア・ディレクトワール・エ・コンセイユ・ドゥ・スールベイランス・プール・レテュード・エ・レ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セデ・ジョルジュ・クロード 流体を冷却水を使用して冷却するための冷却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74A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733B2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EP1682453B1 (en) Water treatment system
JP5836392B2 (ja) バイポーラ膜を用いた水処理
EP1890970B1 (en) Electrodialysis reversal and electro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method of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US20050103717A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20090152183A1 (en) Disinfection System Improvements
KR102107924B1 (ko) 초순수 제조 장치
JP7366527B2 (ja) 水処理装置
GB2509309A (en) Cooling process
WO2015138599A1 (en) Multi-port flow switching valve
KR102093142B1 (ko) 냉각수 정화장치
US20120248016A1 (en) Fluid handling and cleaning circulation system
Fedorenko Ultrapure Water Production by Continuous Electrodeionization Method: Technology and Economy.
JP4697758B2 (ja) 脱塩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RU2656049C2 (ru) Установка комплексной водоочистки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биль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УМКВА-1
JP2008178826A (ja) 水処理装置
JP4475568B2 (ja) 電気式脱塩水製造装置内の菌発生抑制方法
KR100896887B1 (ko) 스케일 방지 기능을 갖는 냉·온 알칼리수 공급장치
CN204897541U (zh) 一种带电磁除垢的工业循化水零排放处理系统
CN211497241U (zh) 一种水冷冷水机组一体化输配系统
KR102457869B1 (ko) 세정수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켜 멤브레인에서 이물질을 부상시켜 세정할 수 있는 멤브레인 세정장치 및 방법
CN208776489U (zh) 移动式循环水净化处理系统
JPS61209097A (ja) 汚水の処理装置
KR20170044982A (ko)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수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각수 정화 방법
CN116143232A (zh) 一种风电机组冷却介质在线监控防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