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012B1 - 농수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012B1
KR102093012B1 KR1020180024987A KR20180024987A KR102093012B1 KR 102093012 B1 KR102093012 B1 KR 102093012B1 KR 1020180024987 A KR1020180024987 A KR 1020180024987A KR 20180024987 A KR20180024987 A KR 20180024987A KR 102093012 B1 KR102093012 B1 KR 10209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edium
heat
heating
tank
circul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654A (ko
Inventor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정진욱
(주)청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주)청우기술단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102018002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01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형성된 입수구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열매체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출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열매체순환탱크와; 상기 열매체순환탱크의 외부에 열매체순환탱크에 형성된 입수구와 출수구 간에 연결되어 내부로 열매체가 이동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의 내부에 유동하는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열매체순환탱크 외부 일측에는 내부에 피건조물이 보관되어 있는 대차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순환파이프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매체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대차에 보관되어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것이 특징인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제작공정이 단순하며, 운영비 및 설치비용이 적게 들어 가성비가 우수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s}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실의 내부에 열매체가 저장되어 있는 열매체순환탱크와 피건조물이 보관되어 있는 대차를 함께 설치하며, 상기 열매체순환탱크에는 열매체순환탱크의 내부로 열매체가 입수되는 입수구와 열매체순환탱크 내부에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가 출수되는 출수구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 간에는 열매체가 이동하도록 순환파이프를 연결하여 상기 순환파이프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매체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이용하여 대차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하고자 하는 것이 특징인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연료비가 가장 저렴한 것은 화목보일러를 사용하고 있으나, 화목보일러는 나무를 사용하기에 무차별적인 벌목 등으로 인해 환경적인 문제점이 있기에 현재에는 다양한 방식의 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817233호에 상자형 박스 외관 상단의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와 상단의 중앙에 설치된 제1 모터와 측단의 일측에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문으로 구성되고; 상자형 박스의 내부 중앙에 농수산물을 올린 채반이 걸리고, 조사되는 근적외선이 채반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향해 건조되게 유도하는 건조대; 상자형 박스의 내부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박스 내부 열기를 유지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에 덧대어져 상기 환기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건조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류 공급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대는, 농수산물을 올린 채반 걸림 면적을 줄여 건조효율을 높이게 되는 복수개 이상의 마름모형 건조대; 상기 마름모형 건조대의 내주나 외주를 따라 마름모형 건조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체결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류 공급판은 상기 환기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되도록 그 상단에 설치된 그릴; 상기 그릴 상에 결합되어 상기 환기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복수 이상의 팬; 상기 그릴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채반 방향으로 보내기 위하여 일면에 다수로 형성된 배기공; 상기 배기공들이 형성된 일면의 중앙에서 내부를 향해 함몰된 함몰공간; 및 상기 함몰공간에서 설치되어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채반을 향해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0151호에 농산물 또는 수산물인 피건조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 내부에 형성된 건조실에 상기 회전부를 구비하고 있는 챔버; 상기 챔버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상기 챔버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마이크로파를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상기 챔버의 전면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동작상태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는 금속도체로 차폐되어 있고, 상기 챔버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 및 상기 제어부 중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 공기통로는 금속철망으로 방호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파를 생성하여 상기 건조실로 유입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파발생부; 상기 챔버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와 인접되어 있는 제1면에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함; 상기 건조실의 수분을 상기 제어함의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면 중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와 반대방향에 장착되어 있는 수분배출용배기팬; 상기 제어함 외부의 건조하고 신선한 바람을 상기 제어함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형성하는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흡기팬; 및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 상기 수분배출용배기팬과 상기 흡기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면 중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와 인접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제어함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상기 챔버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순환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제작공정이 복잡하며, 또한 운영비 및 설치비용이 비해 건조효율 즉 가성비가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작공정이 단순하며, 운영비 및 설치비용이 적게 들어 가성비가 우수한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형성된 입수구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열매체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출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열매체순환탱크와; 상기 열매체순환탱크의 외부에 열매체순환탱크에 형성된 입수구와 출수구 간에 연결되어 내부로 열매체가 이동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의 내부에 유동하는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열매체순환탱크 외부 일측에는 내부에 피건조물이 보관되어 있는 대차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순환파이프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매체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대차에 보관되어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제작공정이 단순하며, 운영비 및 설치비용이 적게 들어 가성비가 우수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설치되는 열매체순환탱크 개요도.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형성된 입수구(220)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열매체가 가열수단(240)에 의해 가열되어 출수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열매체순환탱크(200)와;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외부에 열매체순환탱크(200)에 형성된 입수구(220)와 출수구(230) 간에 연결되어 내부로 열매체가 이동하는 순환파이프(300)와;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내부에 유동하는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0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 외부 일측에는 내부에 피건조물이 보관되어 있는 대차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순환파이프(400)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매체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대차에 보관되어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입수구(220)와 출수구(200) 간에 연결된 순환파이프(300)는 가열기(100)의 내부의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늘리기 위해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210)의 상부 일측에 순환파이프(300)를 통해 열매체가 입수되는 입수구(2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는 가열된 열매체가 순환파이프(300)로 출수되는 출수구(23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는 내부로 입수되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24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240)은 전열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열매체는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형성된 입수구(220)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열매체가 가열수단(240)에 의해 가열되어 출수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열매체순환탱크(200)와;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외부에 열매체순환탱크(200)에 형성된 입수구(220)와 출수구(230) 간에 연결되어 내부로 열매체가 이동하는 순환파이프(300)와;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내부에 유동하는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0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 외부 일측에는 내부에 피건조물이 보관되어 있는 대차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순환파이프(400)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매체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대차에 보관되어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것이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건조실(100)의 내부에 열매체가 저장되어 있는 열매체순환탱크(200)와 피건조물이 보관되어 있는 대차(500)를 함께 설치하며,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에는 열매체순환탱크(200)의 내부로 열매체가 입수되는 입수구(220)와 열매체순환탱크(200) 내부에서 가열된 열매체가 출수되는 출수구(23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입수구(220)와 출수구(230) 간에는 열매체가 이동하도록 순환파이프(300)를 연결하여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매체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이용하여 대차(500)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240)은 전열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열매체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입수구(220)와 출수구(200) 간에 연결된 순환파이프(300)는 가열기(100)의 내부의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늘리기 위해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열매체로부터 발생된 열이 건조실(10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건조실(100)의 내부에는 송풍팬(600)을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순환파이프(300)는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상면에는 보조탱크(7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탱크(700)의 상면에는 열매체순환탱크(200)의 내부에 저장된 열매체가 부족할 시 열매체를 주입할수 있도록 주입구(7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구(710)는 열매체가 주입이 되는 순간 이외에는 일반적으로 뚜껑(도면 미도시)으로 폐쇄하도록 한다.
그리고 보조탱크(700)의 또 다른 상면에는 보조탱크(700)의 내부에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압력배출관(72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배출관(720)은 역U자 형상으로 일단이 보조탱크(7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은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회피하기 위하여 내부에 유체(본 발명에서는 열매체인 프로필렌 글리콜)이 저수되어 있는 저수조(800)에 잠겨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조탱크(700)와 열매체순환탱크(200) 사이에는 열매체투시관(730)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열매체투시관(730)은 원통형 관으로 하단은 열매체순환탱크(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단은 보조탱크(700)의 내부측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보조탱크(700)의 내부에 열매체인 프로필렌 글리콜을 투입하게 되면 열매체투시관(730)의 상단을 통해 열매체순환탱크(200)로 주입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설치되는 열매체순환탱크 개요도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매체순환탱크(2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210)의 상부 일측에 순환파이프(300)를 통해 열매체가 입수되는 입수구(2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는 가열된 열매체가 순환파이프(300)로 출수되는 출수구(23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는 내부로 입수되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24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본체(210)의 내부는 각각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에 의해 공간이 3등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격판(260)에 의해 분할된 하부 측 공간에는 열매체인 프로필렌 글리콜을 가열하는 가열수단(240)으로서 전열히터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전열히터는 프로필렌 글리콜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되지 않도록 케이싱(28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 사이의 공간에는 양단이 각각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에 의해 지지되도록 복수 개의 히트봉(270)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히트봉(270)의 하단은 하부 격판(260)을 관통하여 하부 측 공간에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에, 가열수단(240)에 의해 하부 공간 내에서 열매체를 가열하게 되면 열매체의 열기가 히트봉(270)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히트봉(270)은 알루미늄을 사용하되, 히트봉(270)의 외주연에는 열매체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동일 재질의 핀이나 요철판을 복수 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251, 261)이 형성되어 있어, 열매체인 프로필렌 글리콜은 본체(210)의 내부 공간이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이 구획되어 있더라도 각각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에 형성된 관통공(251, 261)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열매체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하여 입수구(220)는 본체(210)의 상부 측 측면에 형성되고, 출수구(230)은 하부 측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매체순환탱크(200)의 하면에는 내부에 저수되어 있는 열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밸브(290)가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제작공정이 단순하며, 운영비 및 설치비용이 적게 들어 가성비가 우수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건조실
200. 열매체순환탱크 210. 본체 220. 입수구
230. 출수구 240. 가열수단 250. 상부 격판
251. 관통공 260. 하부 격판 261. 관통공
270. 히트봉 280. 케이싱
290. 드레인 밸브
300. 순환파이프
400. 순환펌프
600. 송풍팬
700. 보조탱크 710. 주입구 720. 압력배출관
730. 열매체투시관
800. 저수조

Claims (3)

  1.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형성된 입수구(220)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열매체가 가열수단(240)에 의해 가열되어 출수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열매체순환탱크(200)와;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외부에 열매체순환탱크(200)에 형성된 입수구(220)와 출수구(230) 간에 연결되어 내부로 열매체가 이동하는 순환파이프(300)와;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내부에 유동하는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00);
    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 외부 일측에는 내부에 피건조물이 보관되어 있는 대차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순환파이프(400)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매체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대차에 보관되어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것이 특징인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240)은 전열히터를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열매체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입수구(220)와 출수구(200) 간에 연결된 순환파이프(300)는 가열기(100)의 내부의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늘리기 위해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열매체로부터 발생된 열이 건조실(10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건조실(100)의 내부에는 송풍팬(600)을 장착하며,
    상기 순환파이프(300)는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상면에는 보조탱크(7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탱크(700)의 상면에는 열매체순환탱크(200)의 내부에 저장된 열매체가 부족할 시 열매체를 주입할수 있도록 주입구(7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구(710)는 열매체가 주입이 되는 순간 이외에는 뚜껑으로 폐쇄하며,
    보조탱크(700)의 또 다른 상면에는 보조탱크(700)의 내부에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압력배출관(72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배출관(720)은 역U자 형상으로 일단이 보조탱크(7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은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회피하기 위하여 내부에 열매체인 프로필렌 글리콜이 저수되어 있는 저수조(800)에 잠겨 있도록 하며,
    상기 보조탱크(700)와 열매체순환탱크(200) 사이에는 열매체투시관(730)을 구비하며,
    상기 열매체투시관(730)은 원통형 관으로 하단은 열매체순환탱크(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단은 보조탱크(700)의 내부측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보조탱크(700)의 내부에 열매체인 프로필렌 글리콜을 투입하게 되면 열매체투시관(730)의 상단을 통해 열매체순환탱크(200)로 주입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열매체순환탱크(200)의 본체(210)의 내부는 각각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에 의해 공간이 3등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격판(260)에 의해 분할된 하부 측 공간에는 열매체인 프로필렌 글리콜을 가열하는 가열수단(240)으로서 전열히터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전열히터는 프로필렌 글리콜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되지 않도록 케이싱(28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 사이의 공간에는 양단이 각각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에 의해 지지되도록 복수 개의 히트봉(270)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히트봉(270)의 하단은 하부 격판(260)을 관통하여 하부 측 공간에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어,
    가열수단(240)에 의해 하부 공간 내에서 열매체를 가열하게 되면 열매체의 열기가 히트봉(270)에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히트봉(270)은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되, 히트봉(270)의 외주연에는 열매체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동일 재질의 핀이나 요철판을 복수 개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251, 261)이 형성되어 있어, 열매체인 프로필렌 글리콜은 본체(210)의 내부 공간이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이 구획되어 있더라도 각각 상부 격판(250)과 하부 격판(260)에 형성된 관통공(251, 261)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되,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열매체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하여 입수구(220)는 본체(210)의 상부 측 측면에 형성되고, 출수구(230)은 하부 측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24987A 2018-03-02 2018-03-02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09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987A KR102093012B1 (ko) 2018-03-02 2018-03-02 농수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987A KR102093012B1 (ko) 2018-03-02 2018-03-02 농수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654A KR20190104654A (ko) 2019-09-11
KR102093012B1 true KR102093012B1 (ko) 2020-03-24

Family

ID=6794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987A KR102093012B1 (ko) 2018-03-02 2018-03-02 농수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0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126Y1 (ko) * 2000-08-31 2001-02-15 최세균 농산물 건조기
KR200370751Y1 (ko) 2004-09-06 2004-12-17 한성공업 주식회사 온수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40090Y1 (ko) 2006-12-15 2008-05-23 (주)한국기술이앤지 농수산물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790Y1 (ko) * 1996-09-09 1999-02-01 황석근 농수산물 건조용 열풍장치
KR20170001494U (ko) * 2015-10-20 2017-04-28 이재희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126Y1 (ko) * 2000-08-31 2001-02-15 최세균 농산물 건조기
KR200370751Y1 (ko) 2004-09-06 2004-12-17 한성공업 주식회사 온수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40090Y1 (ko) 2006-12-15 2008-05-23 (주)한국기술이앤지 농수산물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654A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281B1 (ko) 농수산물의 열풍순환식 건조시스템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878643B1 (ko) 광열건조장치 및 광열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
BR112021003229A2 (pt) rotor para secagem de grãos úmidos e processos e sistema de secagem de grãos úmidos
KR101246341B1 (ko) 건조기
CN112146406B (zh) 一种用于颗粒物料的带下料结构的烘干设备
KR102093012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529948B1 (ko) 좁은 공간에서도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물 수분 증발기
KR102129659B1 (ko) 농수산물 건조방법
CN202382528U (zh) 一种木材烘干设备
KR102003988B1 (ko) 식품의 건조시스템
KR100814775B1 (ko) 냉동기를 이용한 내부공기순환식 농수산물건조장치
CN203857765U (zh) 物料干燥装置
CN109237919B (zh) 一种粮食干燥装置及其干燥方法
KR101721797B1 (ko) 목재건조장치
KR101319145B1 (ko)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KR101504307B1 (ko) 식품 건조기
CN109520221A (zh) 一种农产品烘烤干制系统
KR100830848B1 (ko) 농작물 건조기
CN211707311U (zh) 烤漆烘干机
CN2673606Y (zh) 木材单板干燥设备
KR200487693Y1 (ko) 전열 면적 확장형 열전도 모듈이 내장된 열풍난로
KR100636892B1 (ko) 건조기
KR100798079B1 (ko)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CN217154793U (zh) 一种应用于大米加工的循环式谷物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