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494U -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 Google Patents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494U
KR20170001494U KR2020150006801U KR20150006801U KR20170001494U KR 20170001494 U KR20170001494 U KR 20170001494U KR 2020150006801 U KR2020150006801 U KR 2020150006801U KR 20150006801 U KR20150006801 U KR 20150006801U KR 20170001494 U KR20170001494 U KR 201700014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anel
agricultural
boiler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이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희 filed Critical 이재희
Priority to KR2020150006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494U/ko
Publication of KR20170001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VC 온수패널로 패널안에 직접 온수를 통과시켜 그 복사열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는 건조실(100)의 측벽과 격벽에 채반을 빌딩식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레일(102)들과 공기를 건조실(100)로 순환시키기 위한 환풍구(50)와,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40)로 구성된 건조기(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외벽에 형성되는 보일러(20)와,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형성된 레일(102)에 슬라이드 형식으로 배치되며, 보일러와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온수패널(10)과, 상기 보일러(20) 및 온수패널(10)과 파이프형태의 유/출입배관(6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보일러(20)로부터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하나 이상의 온수패널(10)로 분배하고 온수패널(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모아 보일러로 유입시키는 분배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를 이용하면, 열풍식이 아닌 온수패널을 이용하여 먼지 등과 같은 불순물로 인해 농수산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Dryers for agricultural products heated panel}
본 고안은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VC 온수패널로 패널안에 직접 온수를 통과시켜 그 복사열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을 단시간에 인공적으로 건조하기 위하여 각종의 건조기가 개발/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건조기는 건조실 내부에 온도 및 풍량을 조절하는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시 불편함이 있었고, 오존을 발생시켜 온풍을 살균하기 위한 시스템이 없거나 있더라도 설치된 위치상 본래의 목적하는 기능을 최상으로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건조실 내부에 공급되는 온풍이 확실하게 살균되지 않아 농산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곰팡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9149호(다목적 농산물 살균 건조기,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건조실 측벽과 격벽에 채반을 빌딩식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레일들과 작동레바가 구비된 풍량조절구와 온풍을 건조실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과, 온풍을 만들기 위한 히터와 온풍을 살균하고 온풍에 오존을 형성 시키기 위한 오존발생기와 발열장치들로 구성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은 측벽에 온풍이 이동하면서 건조실의 내부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간부 및 구멍들과, 건조실의 가운데에는 격벽을 형성하여 온풍이 이동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고, 격벽의 하단은 좌우측으로 온풍이 공급되도록 토출구를 형성하며, 건조기의 상부에는 건조실과 연통된 온풍회수관을 마련하여 발열장치와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산물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열풍을 건조기 내부에 순환시켜서 건조하는 방법으로 먼지 등과 같은 불순물이 건조기 내부에 함께 순환되어 농산물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9149호(다목적 농산물 살균 건조기, 등록일자 2006년 04월 03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PVC 온수패널로 패널안에 직접 온수를 통과시켜 복사열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 층별로 천정에 살균등을 설치하여 자외선으로 살균처리를 하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온수패널의 내부공간에 황토층을 형성하여 가열시 몸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며, 건조시 발생한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건조실(100)의 측벽과 격벽에 채반을 빌딩식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레일(102)들과 공기를 건조실(100)로 순환시키기 위한 환풍구(50)와,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40)로 구성된 건조기(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외벽에 형성되는 보일러(20)와,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형성된 레일(102)에 슬라이드 형식으로 배치되며, 보일러와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온수패널(10)과, 상기 보일러(20) 및 온수패널(10)과 파이프형태의 유/출입배관(6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보일러(20)로부터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하나 이상의 온수패널(10)로 분배하고 온수패널(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모아 보일러로 유입시키는 분배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온수패널(10)은, 온수가 통과되는 온수배관통로(11c)와 이격공간통로(11d)가 번갈아가며 반복된 상태로 성형된 패널부(11)와, 상기 패널부(11)의 전후면에 형성된 온수배관통로(11c)에 결합되며, 이웃하는 온수배관통로(11c)를 결합하여 온수를 통과시키는 온수연결구(12) 및 상기 온수패널(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온수배관통로(11c)에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30)로부터 온수를 유/출입하는 유/출입연결구(14a, 14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널부(11)의 이격공간통로(11d)에는 건조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며,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황토층(13)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부(11)의 양측 끝단에는 건조기(100)의 크기에 따라 온수패널(10)을 연장결합이 가능하도록 철(凸)형태의 연장돌기(11a)와 요(凹)형태의 연장홈(1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온수패널(10)의 상단면 천장에는 농수산물을 건조시 자외선으로 살균작업을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살균등(7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기의 전면부에는 투명유리가 형성된 한 쌍의 개폐문을 형성하여 건조되는 과정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의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의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를 이용하면, 열풍식이 아닌 온수패널을 이용하여 먼지 등과 같은 불순물로 인해 농수산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 층별로 천정에 살균등을 설치하여 자외선으로 살균처리 함으로써 위생적인 농수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온수패널의 내부공간에 황토층을 형성하여 가열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며, 건조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문이 개방된 상태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온수패널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패널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온수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패널과 보일러의 온수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패널을 연장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문이 개방된 상태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온수패널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의 패널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온수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패널과 보일러의 온수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8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패널을 연장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건조실(100)의 측벽과 격벽에 채반을 빌딩식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레일(102)들과 공기를 건조실(100)로 순환시키기 위한 환풍구(50)와,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40)로 구성된 건조기(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외벽에 형성되는 보일러(20)와,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형성된 레일(102)에 슬라이드 형식으로 배치되며, 보일러와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온수패널(10)과, 상기 보일러(20) 및 온수패널(10)과 파이프형태의 유/출입배관(6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보일러(20)로부터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하나 이상의 온수패널(10)로 분배하고 온수패널(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모아 보일러로 유입시키는 분배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온수패널(10)은, 온수가 통과되는 온수배관통로(11c)와 이격공간통로(11d)가 번갈아가며 반복된 상태로 성형된 패널부(11)와, 상기 패널부(11)의 전후면에 형성된 온수배관통로(11c)에 결합되며, 이웃하는 온수배관통로(11c)를 결합하여 온수를 통과시키는 온수연결구(12) 및 상기 온수패널(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온수배관통로(11c)에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30)로부터 온수를 유/출입하는 유/출입연결구(14a, 14b)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온수패널의 온수배관통로가 10구가 형성되었을 경우 전면부에는 양끝단의 온수배관통로를 비워둔 상태로 4개의 온수연결구를 결합하며, 후면부에는 5개의 온수연결구를 결합하여 온수가 온수배관통로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양끝단의 온수배관통로에는 유/출입연결구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유/출입연결구는 분배기와 연결되어 있는 유/출입배관과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온수배관통로 및 이격공간통로는 1개의 온수배관통로와 2개의 이격공간통로가 한 세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수연결구는 온수배관통로와 연결하고 온수를 통과시키기 위해 형성된 2개의 배관과, 상기 2개의 배관이 연결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연결몸체와, 상기 2개의 배관 외측면 중앙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막음턱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막음턱은 온수연결구와 온수배관통로가 결합되었을 경우 내부로 순환되는 온수가 틈새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막음 턱을 구비하여 다중으로 가압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출입연결구는 유입연결구(14a)와 출입연결구(14b)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연결구는 출입연결구보다 직선부분의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연결구 및 출입연결구의 길이가 유사하게되면 배관이 겹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유/출입배관과 연결되었을 경우 유입연결구가 온수패널방향으로 내측방향에, 출입연결구는 외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7참조).
이는 형태나 배관의 길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패널부(11)의 이격공간통로(11d)에는 건조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며,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황토층(13)이 더 형성된다.
이때, 패널부의 이격공간통로에 황토층을 형성하는 것은 건조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효율을 증가시키며 건조시키는 농수산물이 탈취 및 황토로 인한 건강상 이점을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부(11)의 양측 끝단에는 건조기(100)의 크기에 따라 온수패널(10)을 연장결합이 가능하도록 철(凸)형태의 연장돌기(11a)와 요(凹)형태의 연장홈(11b)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온수패널을 연장할 경우에는 제1온수패널의 연장돌기와 제2온수패널의 연장홈이 결합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2온수패널의 전후면에는 온수연결구가 결합되며, 각각 양끝단에 비워진 1개의 온수배관통로에 온수연결구를 결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2온수패널이 연장결합되어 온수가 순환하게 되고 제1, 2온수패널이 결합되지 않은 양끝단에는 상기 유/출입연결구가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도 8참조)
이를 통해, 건조기의 크기에 따라 온수패널의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수패널(10)의 상단면 천장에는 농수산물을 건조시 자외선으로 살균작업을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살균등(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살균등(90)은 각 층별로 배치되는 온수패널(10)의 상단면 천장에 형성되며, 자외선으로 살균처리함으로써 농수산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것이다.
이와 같은 자외선살균등을 통해 탄저병에 걸린 고추의 경우 건조하는 과정에서 탄저병의 확산을 방지하고 살균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온수패널(10)을 이용함으로써 복사열에 의한 건조방법을 채택하여 건조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고추의 경우 탈색이나 부패가 없이 태양초와 같은 고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기의 전면부에는 투명유리가 형성된 한 쌍의 개폐문을 형성하여 건조되는 과정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열풍식 건조기의 경우에는 건조기 내부에 온풍을 유입시켜 농수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내부 먼지 및 이물질로 인해 시야가 흐려져서 개폐문에 유리를 구비할 필요성이 없었으나, 본 고안의 온수패널을 이용하여 복사열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전면 개폐문에 투명유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의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할 것이다.
100 : 건조기 101 : 개폐문
102 : 받침부재
10 : 온수패널 11 : 패널몸체
12 : 온수연결구 13 : 황토층
14 : 유/출입연결구
20 : 보일러
30 : 제어장치
40 : 배기구
50 : 환기구
60 : 유/출입배관
70 : 자외선살균등

Claims (6)

  1. 내부공간을 가지는 건조실(100)의 측벽과 격벽에 채반을 빌딩식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레일(102)들과 공기를 건조실(100)로 순환시키기 위한 환풍구(50)와,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40)로 구성된 건조기(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외벽에 형성되는 보일러(20)와;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형성된 레일(102)에 슬라이드 형식으로 배치되며, 보일러와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온수패널(10)과;
    상기 보일러(20) 및 온수패널(10)과 파이프형태의 유/출입배관(6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보일러(20)로부터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하나 이상의 온수패널(10)로 분배하고 온수패널(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모아 보일러로 유입시키는 분배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패널(10)은,
    온수가 통과되는 온수배관통로(11c)와 이격공간통로(11d)가 번갈아가며 반복된 상태로 성형된 패널부(11)와;
    상기 패널부(11)의 전후면에 형성된 온수배관통로(11c)에 결합되며, 이웃하는 온수배관통로(11c)를 결합하여 온수를 통과시키는 온수연결구(12); 및 상기 온수패널(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온수배관통로(11c)에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30)로부터 온수를 유/출입하는 유/출입연결구(14a, 14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11)의 이격공간통로(11d)에는 건조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며,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황토층(1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 건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11)의 양측면 끝단에는 건조기(100)의 크기에 따라 온수패널(10)을 연장결합이 가능하도록 철(凸)형태의 연장돌기(11a)와 요(凹)형태의 연장홈(1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패널(10)의 상단면 천장에는 농수산물을 건조시 자외선으로 살균작업을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살균등(7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전면부에는 투명유리(101a)가 형성된 한 쌍의 개폐문(101)을 형성하여 건조되는 과정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KR2020150006801U 2015-10-20 2015-10-20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KR201700014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01U KR20170001494U (ko) 2015-10-20 2015-10-20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01U KR20170001494U (ko) 2015-10-20 2015-10-20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94U true KR20170001494U (ko) 2017-04-28

Family

ID=5866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801U KR20170001494U (ko) 2015-10-20 2015-10-20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4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654A (ko) * 2018-03-02 2019-09-11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90104653A (ko) * 2018-03-02 2019-09-11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149B1 (ko) 2004-03-08 2006-04-12 조성오 다목적 농산물 살균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149B1 (ko) 2004-03-08 2006-04-12 조성오 다목적 농산물 살균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654A (ko) * 2018-03-02 2019-09-11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90104653A (ko) * 2018-03-02 2019-09-11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91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ging water from a whirlpool system
CA24462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ging water from a whirlpool system
AU2001253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ging water from a whirlpool system
KR20170001494U (ko) 농수산물용 온수패널건조기
CN204461009U (zh) 一种热利用率高的冻干原料药生产用蒸汽烘箱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US9452230B2 (en) Washer/disinfector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CN214746219U (zh) 一种烘干洗护系统的新风装置
KR101388644B1 (ko) 자외선 난반사 구조를 갖는 자외선 살균기
CN107034646B (zh) 一种船用衣物干燥杀菌除臭装置
JP2008295467A (ja) 温冷ミスト器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KR101434657B1 (ko) 다기능 식품 건조기
CN206755781U (zh) 一种菊花用除氧杀菌干燥装置
KR10136626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187655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DE602007004774D1 (de) Maschine zum Spülen und Trocknen von Geschirr, die mit einer Vorrichtung zur Geruchsbehandlung ausgestattet ist
CN113719227A (zh) 一种内镜传递窗系统
CN210532853U (zh) 一种金银花烘干用热风循环烘箱
CN113040685A (zh) 一种洗碗机烘干装置
CN110897736A (zh) 一种双门隔断式内窥镜清洗消毒系统
CN207970268U (zh) 一种环保低能耗型蒸汽消毒柜
CN105725905A (zh) 一种干脚机
JP3184957B2 (ja) 浴槽湯水の循環恒温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