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079B1 -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 Google Patents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079B1
KR100798079B1 KR20060118046A KR20060118046A KR100798079B1 KR 100798079 B1 KR100798079 B1 KR 100798079B1 KR 20060118046 A KR20060118046 A KR 20060118046A KR 20060118046 A KR20060118046 A KR 20060118046A KR 100798079 B1 KR100798079 B1 KR 10079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air supply
storage tank
wast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1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병
정노택
김선동
김선송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2006011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29B13/06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of powder or pe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with internal subdivision of the drum, e.g. for subdividing or recycling the material to be dr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제 1,2저장조에 나누어 건조시켜 효율성이 높아지고, 상기 제 2저장조에 설치된 다수개의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후미진 곳의 폐스티로폼도 건조시킬 수 있어 여러번의 건조과정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건조기의 전력과 건조시간 및 비용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쇄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도록 형성된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에 있어서, 상측부에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폐스티로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제 1저장조와; 상기 제 1저장조를 통해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는 제 2저장조와; 상기 제 2저장조의 내부에 열풍공급관이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관의 일단부에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송풍팬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스티로폼, 건조기, 히터, 송풍팬, 저장조, 댐퍼, 실린더

Description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A drying machine for waste polystyrene buoy}
도 1은 종래의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 1저장조 120 : 제 2저장조
130 : 제 3저장조 140 : 열풍공급장치부
141 : 제 1열풍공급장치 142 : 제 2열풍공급장치
143 : 제 3열풍공급장치 144 : 열풍공급관
145 : 원형열풍공급관 146 : 히터
147 : 송풍팬 148 : 원형구
본 발명은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제 1,2저장조에 나누어 건조시켜 효율성이 높아지고, 상기 제 2저장조에 설치된 다수개의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후미진 곳의 폐스티로폼도 건조시킬 수 있어 여러번의 건조과정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건조기의 전력과 건조시간 및 비용이 감소하는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이란 발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스티로폼(Styrofoam) 등으로 불리어지며 폴리스티렌 수지에 펜탄 또는 부탄 등 탄화수소가스를 주입시킨 후 이를 증기로 부풀린 발포제품으로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인 합성수지소재이다. 스티로폼은 주로 가전제품의 포장재, 농수산물 상자, 양식용 부자, 주택단열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스티로폼 제품은 거의 단기 용도이거나 또는 1회 사용으로 폐기처분을 하고 있는 것으로, 사용후 폐기처분되는 폐스티로폼 제품은 그 수량과 부피가 방대하기 때문에 이를 수집하고 쓰레기장까지 운반하여 처리하는데에 엄청난 인력과 경비가 소요되는 것이며 때로는 자연환경속에 그대로 방치하여 버리는 양이 누적되고 있어, 이와 같이 버려지는 폐스티로폼 제품은 영구하게 썩지 않는 특성 때문에 주변환경과 자연환경을 더립히는 환경공해의 주범으로까지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환경공해를 줄이기 위하여 폐스티로폼을 재생하려고 하는데 많은 관심을 갖고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개번호가 제2000-19491호인 국내실용은 흡기구(10) 및 배기구(12)가 형성되고 상하에 걸쳐 길게 형성된 에어덕트(14)와, 내부에 재료분말이 투입되고 하단부가 상기 에어덕트(14)에 연결되는 콘테이너(16)와, 이 콘테이너(16)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밀폐된 공간을 갖는 건조실(18)과, 이 건조실(18)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백필터하우징(20)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비산된 재료분말이 건조되는 효과가 있지만, 에어덕트(14)와 건조실(18) 사이에 밀착되어 있는 콘테이너(16)를 분리시키고 이 콘테이너(16)에 재료분말을 투입한 후 다시 상기 에어덕트(14)와 건조실(18) 사이에 위치시키는 구성이어서 재료분말의 공급과 배출공정이 복잡하고, 열풍이 하부에서 공급되어 건조실 내부를 따라 상승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재료분말의 건조는 충분하지만 상부에 위치하는 재료분말의 건조는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풍이 에어덕트(14)의 끝부분에서 갑자기 팽창되어 유속이 저하되고 소음진동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고안은 미세한 재료분말에 관한 것이고 본 고안과 같이 입자가 크게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건조하는 데 불필요한 구성이 많아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제 1,2저장조에 나누어 건조시켜 효율성이 높아지고, 상기 제 2저장조에 설치된 다수개의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후미진 곳의 폐스티로폼도 건조시킬 수 있어 여러번의 건조과정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건조기의 전력과 건조시간 및 비용이 감소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도록 형성된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에 있어서, 상측부에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폐스티로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제 1저장조와; 상기 제 1저장조를 통해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는 제 2저장조와; 상기 제 2저장조의 내부에 열풍공급관이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관의 일단부에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송풍팬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열풍공급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저장조는 단면상 "∪" 형태를 취하여 외주면 상단부에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폐스티로폼이 내부에 투입되어 1차 자연건조되고, 하단부에는 제 2저장조로 폐스티로폼의 투입을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 2저장조는 사각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광하엽의 호퍼형태로 상,하부가 중공된 디스크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의 하단부에는 건조된 폐스티로폼을 저장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관이 측면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제 3저장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제 2저장조의 내부 상측에 열풍공급 관이 형성되어 히터와 송풍팬에 의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 1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제 1열풍공급장치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저장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크의 내부 하측에 열풍공급관이 형성되어 히터와 송풍팬에 의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 2열풍공급장치와,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원형열풍공급관이 형성되어 히터와 송풍팬에 의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 3열풍공급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는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자연건조시키는 제 1저장조(110)와, 상기 제 1저장조(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 2저장조(120)와, 상기 제 2저장조(120)에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기 위해 설치된 다수개의 열풍공급장치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저장조(110)는 상측부에 설치된 공급관(111)을 통해 폐스티로폼이 투입되도록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수직 단면상 "∪" 형태를 취하여 외주면 상단부에 설치된 공급관(111)을 통해 폐스티로폼이 내부에 투입되어 1차 자연건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저장조(110)와 하단에 설치되는 제 2저장조(120)의 사이에는 제 2저장조(120)로 폐스티로폼의 투입을 개폐하는 댐퍼(112)가 설치되고, 상기 댐퍼(112)는 외주면에 설치된 에어실린더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저장조(110)의 상부는 제 1저장조(110)와 같은 재질의 덮개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 1저장조(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습기가 배출되도록 망형태로 된 덮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저장조(120)는 제 1저장조(1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제 1저장조(110)를 통해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며, 외관의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광하엽의 호퍼형태로 상,하부가 중공된 디스크(12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121) 내부에는 건조시킬 폐스티로폼이 저장되어 상기 다수개의 열풍공급장치부(140)에 의해 건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121)의 하단부에는 건조된 폐스티로폼을 저장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관(131)이 측면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제 3저장조(130)가 설치된다. 이때, 제 3저장조(130)의 내주면에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디스크(121)의 내주면을 따라 좌,우로 반복 이동되는 와이퍼(132)가 다수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132)는 디스크(121)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실린더에 의해 좌,우 반복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와이퍼(132)가 작동함으로써, 디스크(121) 내부에 형성된 폐스티로폼을 섞어주거나 외부로 배출시, 꽉 막힌 폐스티로폼을 휘저어 줘 하단방향으로 수월하게 낙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저장조(130)에 형성된 배출관(131)의 끝단부에는 흡기팬이 설치되어 상기 흡기팬에 의해 폐스티로폼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흡기팬과 연통된 공급관(111)을 통해 제 1저장조(110)로 다시 이송되어 건조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부(140)는 제 2저장조(120)의 내부 상측에 열풍공급관(144)이 형성되어 히터(146)와 송풍팬(147)에 의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 1열풍공급장치(141)와, 상기 제 1열풍공급장치(14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저장조(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크(121)의 내부 하측에 열풍공급관(144)이 형성되어 히터(146)와 송풍팬(147)에 의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 2열풍공급장치(142)와, 상기 디스크(121)의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원형열풍공급관(145)이 형성되어 히터(146)와 송풍팬(147)에 의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 3열풍공급장치(1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열풍공급관(144)과 원형열풍공급관(145)의 끝단부에는 히터(146) 또는 열교환기와 송풍팬(147)이 연결되어 상기 히터(146) 또는 열교환기에서 대기의 공기를 가열하여 생성된 고온의 공기를 송풍팬(147)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열풍공급관(144)과 원형열풍공급관(145)을 통해 열풍이 디스크(121) 내부에 전달된다.
여기서, 제 1열풍공급장치(141)와 제 2열풍공급장치(142)의 열풍공급관(144)에 끝단부는 단면상 "M" 형태를 취하여 상부측에 원형구(148)가 형성되어 폐스티로폼이 열풍공급관(144)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열풍공급관(144)의 끝단부에서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커버(14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149)는 폐스티로폼이 열풍공급관(144)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1차로 막아주고, 상기 원형구(148)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3열풍공급장치(143)의 원형열풍공급관(145)은 디스크(12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링형태이고 , 상기 디스크(121)와 접촉되는 원형열풍공급관(145)의 내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열풍공급홀(145a)이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홀(145a)은 디스크(121)의 원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121)의 내부에 열풍을 공급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는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제 1,2저장조에 나누어 건조시켜 효율성이 높아지고, 상기 제 2저장조에 설치된 다수개의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후미진 곳의 폐스티로폼도 건조시킬 수 있어 여러번의 건조과정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건조기의 전력과 건조시간 및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도록 형성된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에 있어서,
    상측부에 설치된 공급관(111)을 통해 폐스티로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제 1저장조(110)와;
    상기 제 1저장조(1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제 1저장조(110)를 통해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는 제 2저장조(120)와;
    상기 제 2저장조(120)의 내부에 열풍공급관(144)이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관(144)의 일단부에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146)와 송풍팬(147)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열풍공급장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저장조(110)는 수직 단면상 "∪" 형태를 취하여 외주면 상단부에 설치된 공급관(111)을 통해 폐스티로폼이 내부에 투입되어 1차 자연건조되고, 하단부에는 제 2저장조(120)로 폐스티로폼의 투입을 개폐하는 댐퍼(1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저장조(120)는 사각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광하엽의 호퍼형태로 상,하부가 중공된 디스크(1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21)의 하단부에는 건조된 폐스티로폼을 저장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관(131)이 측면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제 3저장조(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저장조(130)의 내주면에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디스크(121)의 내주면을 따라 좌,우로 반복 이동되는 와이퍼(132)가 다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부(140)는 제 2저장조(120)의 내부 상측에 열풍공급관(144)이 형성되어 히터(146)와 송풍팬(147)에 의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 1열풍공급장치(141)와, 상기 제 1열풍공급장치(14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저장조(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크(121)의 내부 하측에 열풍공급관(144)이 형성되어 히터(146)와 송풍팬(147)에 의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 2열풍공급장치(142)와, 상기 디스크(121)의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원형열풍공급관(145)이 형성되어 히터(146)와 송풍팬(147)에 의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 3열풍공급장치(1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열풍공급장치(141,142)의 열풍공급관(144)에 끝단부는 단면상 "M" 형태를 취하여 상부측에 원형구(148)가 형성되어 폐스티로폼이 열풍공급관(144)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열풍공급관(144)의 끝단부에서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커버(14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열풍공급장치(143)의 원형열풍공급관(145)은 디스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링형태이고 , 상기 디스크(121)와 접촉되는 원형열풍공급관(145)의 내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열풍공급홀(145a)이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홀(145a)은 디스크의 원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의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31)의 끝단부에는 흡기팬이 설치되어 상기 흡기팬에 의해 폐스티로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9. 삭제
KR20060118046A 2006-11-28 2006-11-28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KR10079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8046A KR100798079B1 (ko) 2006-11-28 2006-11-28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8046A KR100798079B1 (ko) 2006-11-28 2006-11-28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079B1 true KR100798079B1 (ko) 2008-01-28

Family

ID=3921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18046A KR100798079B1 (ko) 2006-11-28 2006-11-28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0369A (zh) * 2019-06-19 2019-09-10 张家港市贝司德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多功能干燥机
CN110883980A (zh) * 2019-12-02 2020-03-17 泰州莱宝利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合成树脂制造用干燥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85A (ko) * 2000-09-06 2001-01-05 김현용 열풍분사식 해쇄형 건조기 및 건조시스템
KR200226144Y1 (ko) 2000-12-12 2001-06-01 정주산업개발주식회사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200263436Y1 (ko) 2001-10-27 2002-02-04 허미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건조기
KR20050112671A (ko) * 2004-05-27 2005-12-01 최병수 폐 스티로폼 건조장치
KR100663231B1 (ko) 2006-01-31 2007-01-02 한국해양연구원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85A (ko) * 2000-09-06 2001-01-05 김현용 열풍분사식 해쇄형 건조기 및 건조시스템
KR200226144Y1 (ko) 2000-12-12 2001-06-01 정주산업개발주식회사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200263436Y1 (ko) 2001-10-27 2002-02-04 허미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건조기
KR20050112671A (ko) * 2004-05-27 2005-12-01 최병수 폐 스티로폼 건조장치
KR100663231B1 (ko) 2006-01-31 2007-01-02 한국해양연구원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0369A (zh) * 2019-06-19 2019-09-10 张家港市贝司德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多功能干燥机
CN110883980A (zh) * 2019-12-02 2020-03-17 泰州莱宝利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合成树脂制造用干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5945A (ko) 탄소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KR100798079B1 (ko)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CN204963483U (zh) 一种新型干燥机
KR101498863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0762370B1 (ko) 건조기
CN200989716Y (zh) 谷物循环低温真空干燥装置
CN201532086U (zh) 混合流箱式干燥机
KR200263436Y1 (ko)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건조기
CN105264318A (zh) 在集装箱内蒸发液体和干燥固定床颗粒并且回收冷凝水的方法
CN204854194U (zh) 一种烘干木材的设备
CN101493278A (zh) 废热循环利用型高效节能快速烘干机
CN211400561U (zh) 一种物料烘干装置及物料烘干设备
CN106269431A (zh) 一种烘干固化设备
CN104126660B (zh) 一种全天候流化床法谷物干燥机
CN201266003Y (zh) 立式气流烘干机
KR20090005804A (ko) 음식물 건조처리기
KR101152290B1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공급장치
CN203810878U (zh) 一种高效干燥机
CN208963795U (zh) 一种搪瓷储藏罐
CN207849926U (zh) 节能环保塑料干燥机
KR101989506B1 (ko) 회전식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건조 시스템
KR102093012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CN2743764Y (zh) 高效真空振动干燥机
KR102129659B1 (ko) 농수산물 건조방법
CN111023723A (zh) 一种物料烘干装置及物料烘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