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231B1 -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231B1
KR100663231B1 KR1020060009227A KR20060009227A KR100663231B1 KR 100663231 B1 KR100663231 B1 KR 100663231B1 KR 1020060009227 A KR1020060009227 A KR 1020060009227A KR 20060009227 A KR20060009227 A KR 20060009227A KR 100663231 B1 KR100663231 B1 KR 10066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asing
waste styrofoam
fish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병
성홍근
강창구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0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바다에서 장시간 사용하여 해수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어업용 폐스티로폼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파쇄된 폐스티로폼을 열풍분사부의 복사열과 고온 열풍에 의한 대류를 동시에 이용하여 균일하고 빠르게 건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업용 폐스티로폼, 건조

Description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A mechanical high-speed drying equipment for waste polystyrene buo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내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내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열풍분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열풍분사부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풍 공기의 내부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및 주변 설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케이싱
100a: 흡입구
100b: 배출구
100c: 순환흡입구
100d: 순환관
110: 하부 케이싱
120: 상부 케이싱
200: 열풍분사부
210: 열풍관
220: 방열판
230: 열풍분사노즐
300: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
410: 흡입구용 송풍기
420: 배출구용 송풍기
430a: 전기히터
430b: 열풍관용 송풍기
430c: 열풍공급관
500: 공기압축기
본 발명은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업용 폐스티로폼은 어선을 이용한 조업이나 양식 등의 어업 활동을 위하여 바닷물에 오랜 시간 잠겨 있으므로 다량의 수분이 내부 깊숙이 침투하게 된다. 이러한 어업용 폐스티로폼을 플라스틱의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부피를 줄이는 감용의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어업용 폐스티로폼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감용이 어렵거나 감용 결과물의 질이 떨어져 재활용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수분이 많이 함유된 폐스티로폼을 감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건조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수분이 많이 함유된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들어있는 건조기에 고온의 열풍을 불어넣어 수분의 증발을 유도하거나, 폐스티로폼을 파쇄한 후에 넓은 공간에 방치하여 자연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열풍과 스티로폼의 접촉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군데군데 건조가 덜 이루어지는 부분이 많이 남게 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 건조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기도 하고, 자연건조시에는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면서도 불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짐은 물론 오랜 시간동안 잔류하고 있던 수분으로 인하여 폐스티로폼의 감용 결과물의 질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고온의 열원에서 방사하는 복사열 및 고온 열풍에 의한 대류열을 동시에 이용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어업용 폐스티로폼을 균일하고 빠르게 건조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의 몸체를 갖는 한편 이러한 몸체의 상부에는 흡입구(100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배출구(100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구(100a)로부터 유입된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외부로 흩어지지 아니하고 모두 몸체 내부를 하강하면서 건조된 후 상기 배출구(100b)를 통하여 빠져 나가도록 유도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나열된 상태에서 고온의 복사열 및 대류열을 방사함으로써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를 하강하면서 접촉하는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열풍분사부(2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수직 벽면에 다수 개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를 하강하면서 상기 열풍분사부(200)와 접촉하는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유동성을 높임으로써 이러한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흐름이 상기 열풍분사부(200)가 이루는 다수 개의 층 사이에서 적체되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모든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을 포함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싱(100)은 어업용 폐스티로폼의 건조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는 비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의 몸체를 갖는다.
이러한 케이싱(100)의 몸체 상부에는 흡입구(100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배출구(100b)가 형성되어 있는데,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어업용 폐스티로폼은 파쇄된 상태로 흡입구(100a)로 유입되어 외부로 흩어지지 아니하고 모두 케이싱(100)의 몸체 내부를 하강하면서 건조된 후 다시 배출구(100b)를 통하여 빠져 나가게 된다.
이때, 흡입구(100a)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00a)에 대하여 공기를 강하게 분사하는 흡입구용 송풍기(410)를 연결함으로써 흡입구용 송풍기(410)에 의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흡입구(100a) 내부로 쉽게 유입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일한 차원으로 배출구(100b)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00b)로부터 공기를 강하게 흡인하는 배출구용 송풍기(420)를 연결함으로써 배출구용 송풍기(420)에 의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건조된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배출구(100b)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0)은 그 내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역할을 달리하는 건조영역(A) 및 수분배출영역(B)으로 구분된다. 이때, 건조영역(A)은 케이싱(100)의 몸체 하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케이싱(100) 내부에 유입된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건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에 해당하며, 수분배출영역(B)은 케이싱(100)의 몸체 상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건조영역(A)에서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분이 케이싱(100)의 몸체 외부로 빠져나가는 영역에 해당한다.
이 경우 케이싱(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질상의 특징을 서로 달리하는 하부 케이싱(110) 및 상부 케이싱(120)으로 다시 구분되는데, 하부 케이싱(110)은 건조영역(A)에 대응하는 부분이며, 상부 케이싱(120)은 수분배출영역(B)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이때, 하부 케이싱(110)은 그 단면이 세 겹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재질을 갖는 바, 그 중 중간층은 단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열풍분사부(200)(후술함)가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방사하는 복사열 및 대류열이 외부로 빠져나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며, 나머지 외곽의 두 층은 스텐레스로 이루어짐으로써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분에 의하여 케이싱(100)의 몸체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싱(120)은 건조영역(A)에서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분이 증발하여 상승한 후 케이싱(100)의 몸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섬유재질의 부직포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는 케이싱(100)의 몸체 상부에 흡입구(100a)와는 별도의 순환흡입구(100c)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러한 순환흡입구(100c)와 배출구(100b)는 관 형상의 순환관(100d)으로 서로 연결시켜서 배출구(100b)로부터 빠져 나온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순환관(100d)을 통하여 순환흡입구(100c)로 유입된 후 다시 케이싱(100)의 몸체 내부를 하강하면서 재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를 통과한 후에도 미처 다 건조되지 못한 어업용 폐스티로폼을 다시 자동적으로 재건조시켜 완벽한 건조 상태에 이른 폐스티로폼만을 양성해 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배출구(100b)에 배출구(100b)를 통과하는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건조 상태를 체크하는 별도의 건도측정기(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배출구(100b)가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건조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당해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순환관(100d)으로 이송시키고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건조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당해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열풍분사부(200)는 케이싱(100) 내부에 존재하면서 고온의 열을 방출하여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 어업용 폐스티로폼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열풍분사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나열된 상태에서 고온의 복사열 및 대류열을 방사함으로써 케이싱(100)의 내부를 하강하면서 열풍분사부(200)에 접촉하는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열풍분사부(200)가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이유는 흡입구(100a)로 유입되어 케이싱(100)의 몸체 내부를 하강하게 되는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열풍분사부(20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열풍분사부(200)의 경사를 따라 아래로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만약, 열풍분사부(200)가 경사지게 설치되지 아니하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케이싱(100)의 몸체 내부를 하강하던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열풍분사부(200)에 의해 차단되어 열풍분사부(200) 위에 쌓이게 되며 그 결과 건조된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열풍분사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온의 열풍이 흐르는 관 형상의 열풍관(210); 및 열풍관(210)의 상부에서 열풍관(210)과 접한 상태로 위치하며 열풍관(2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케이싱(100)의 내부 공간으로 발산시키는 핀(fin) 역할을 하는 판 형상의 방열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이때, 방열판(220)은 열전달률이 높은 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관(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관이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다수 개의 관 상호간은 서로 막힌 곳이 없도록 각 관들의 끝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결국 전체적으로 볼 때 열풍관(210)은 하나의 판과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열풍관(210)이 판과 같은 형상을 이루어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하는 이유는 될 수 있는 한 열풍관(210)이 케이싱(100) 내부에서 차지하게 되는 영역을 넓힘으로써 열풍관(210)을 통한 열전달량을 최대한으로 높이고 이로 인하여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빠른 시간 내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그리고, 열풍관(210)을 이루는 다수 개의 관들이 서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하는 이유는 열풍관(210) 내부를 흐르는 열풍의 압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열풍분사노즐(230)(후술함)이 케이싱(10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하는 열풍의 세기를 균일하게 맞추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열풍관(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열을 방출하는 전기히터(430a); 전기히터(430a)에 의하여 고온 상태가 된 공기(열풍)를 열풍관(210) 내부로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열풍관용 송풍기(430b); 및 열풍관(210)과 열풍관용 송풍기(430b)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열풍관용 송풍기(430b)가 분사하는 열풍을 열풍관(210)으로 전달하는 관 형상의 열풍공급관(430c)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경우 열풍관(210)은 열풍공급관(430c)을 통하여 열풍을 계속적으로 공급받게 되는데 그 결과 열풍관(210)의 온도는 내부에서 흐르는 열풍에 의하여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때, 방열판(220)은 이러한 열풍관(210)의 열을 전달받아 다시 복사하게 되는데 그 결과 방열판(220) 위를 흘러내리던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은 방열판(220)이 발산하는 복사열에 의하여 건조된다.
한편, 열풍관(2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열풍을 직접 열풍관(210) 외부로 분사하는 다수 개의 열풍분사노즐(230)을 구비한다.
이때, 열풍분사노즐(230)은 열풍관(21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며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열풍관(210) 전체에 고루 분포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열풍분사노즐(230)이 열풍관(21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분사노즐(230)이 열풍관(210)의 하부로 열풍을 분사함으로써 당해 열풍분사부(200)의 아래에 층을 이루어 위치하고 있는 다른 열풍분사부(200)의 상면에서 흘러내리고 있는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열풍을 가하게 되므로 결국 다수의 층을 이루어 분포하는 열풍분사부(200)는 열풍분사노즐(230)이 분사하는 열풍의 대류열을 이용하여 연쇄적으로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열풍분사노즐(23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열풍관(210) 전체에 고루 분포하는 경우에는 열풍분사노즐(230)이 분사하는 열풍의 세기가 모두 균일하므로 결국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건조 또한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은 케이싱(100) 내부로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를 하강하는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즉,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은 케이싱(100)의 수직 벽면에 다수 개가 부착된 상태에서 케이싱(100) 내부로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를 하강하면서 열풍분사부(200)와 접촉하는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유동성을 높임으로써 이러한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흐름이 열풍분사부(200)가 이루는 다수 개의 층 사이에서 적체되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모든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한 후 이를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공기압축기(50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여 축축한 상태인 폐스티로폼 조각들은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이 분사하는 고압공기에 의하여 각각 흩어지게 되므로 서로 뒤엉키지도 않고 방열판(220) 위에 달라붙어서 적체되지도 않는다. 그 결과 폐스티로폼 조각들은 방열판(220)이 발산하는 복사열과 열풍분사노즐(230)이 분사하는 열풍에 의한 대류열을 고르게 흡수하여 각 입자가 균일하게 건조될 뿐만 아니라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연속적인 유입 및 배출 과정도 순조롭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이 케이싱(100)의 수직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이 분사하는 고압공기가 열풍분사부(200)의 층 사이에 고르게 전달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의 효능이 더욱 쉽게 발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는 경사지게 설치된 다단의 열판에 의한 복사열과 고온의 열풍에 의한 대류열을 동시에 이용하여 파쇄된 폐스티로폼을 빠르고 균일하게 건조시키는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어업용 폐스티로폼의 감용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한다. 이로써 해안에 버려진 어업용 폐스티로폼의 처리 효과가 증가하는 한편 어업용 폐스티로폼을 양질의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경제적 파급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16)

  1. 고온의 열원에서 방사하는 복사열 및 고온 열풍에 의한 대류열을 동시에 이용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어업용 폐스티로폼을 균일하고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의 몸체를 갖는 한편 이러한 몸체의 상부에는 흡입구(100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배출구(100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구(100a)로부터 유입된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외부로 흩어지지 아니하고 모두 몸체 내부를 하강하면서 건조된 후 상기 배출구(100b)를 통하여 빠져 나가도록 유도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나열된 상태에서 고온의 복사열 및 대류열을 방사함으로써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를 하강하면서 접촉하는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열풍분사부(2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수직 벽면에 다수 개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를 하강하면서 상기 열풍분사부(200)와 접촉하는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유동성을 높임으로써 이러한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흐름이 상기 열풍분사부(200)가 이루는 다수 개의 층 사이에서 적체되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모든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
    을 포함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은 그 내부가 각각의 역할을 달리하는 건조영역(A) 및 수분배출영역(B)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건조영역(A)은 상기 케이싱(100)의 몸체 하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유입된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건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수분배출영역(B)은 상기 케이싱(100)의 몸체 상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상기 건조영역(A)에서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분이 상기 케이싱(100)의 몸체 외부로 빠져나가는 영역에 해당하며,
    이 경우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건조영역(A)에 대응하는 하부 케이싱(110) 및 상기 수분배출영역(B)에 대응하는 상부 케이싱(120)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110)은,
    그 단면이 세 겹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재질을 갖는 바,
    그 중 중간층은 단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열풍분사부(200)가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방사하는 복사열 및 대류열이 외부로 빠져나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며, 나머지 외곽의 두 층은 스텐레스로 이루어짐으로써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분에 의하여 몸체가 부식되는 것 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120)은,
    상기 건조영역(A)에서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분이 증발하여 상승한 후 상기 케이싱(100)의 몸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섬유재질의 부직포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 상의 흡입구(100a)에는 상기 흡입구(100a)에 대하여 공기를 강하게 분사하는 흡입구용 송풍기(410)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러한 흡입구용 송풍기(410)에 의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미건조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상기 흡입구(100a) 내부로 쉽게 유입될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 상의 배출구(100b)에는 상기 배출구(100b)로부터 공기를 강하게 흡인하는 배출구용 송풍기(420)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러한 배출구용 송풍기(420)에 의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건조된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상기 배출구 (100b)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은,
    몸체 상부에 상기 흡입구(100a)와는 별도의 순환흡입구(100c)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순환흡입구(100c)와 상기 배출구(100b)는 관 형상의 순환관(100d)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배출구(100b)로부터 빠져 나온 폐스티로폼 조각들이 상기 순환관(100d)을 통하여 상기 순환흡입구(100c)로 유입된 후 다시 상기 케이싱(100)의 몸체 내부를 하강하면서 재건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00b)에는 별도의 건도측정기(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되며 이러한 건도측정기(미도시)는 상기 배출구(100b)를 통과하는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건조 상태를 체크하게 되는 바, 이 경우 상기 배출구(100b)는 상기 배출구(100b)를 통과하는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건조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당해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상기 순환관(100d)으로 이송하지만 상기 배출구(100b)를 통과하는 폐스티로폼 조각들의 건조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당해 폐스티로폼 조각들을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사부(200)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사부(200)는,
    내부에 고온의 열풍이 흐르는 관 형상의 열풍관(210); 및
    상기 열풍관(210)의 상부에서 상기 열풍관(210)과 접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열풍관(2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공간으로 발산시키는 핀(fin) 역할을 하는 판 형상의 방열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관(210)은,
    관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열풍을 직접 상기 열풍관(210) 외부로 분사하는 다수 개의 열풍분사노즐(2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사노즐(230)은,
    상기 열풍관(21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며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열풍관(210) 전체에 고루 분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관(210)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관이 병렬적으로 나열되지만 이들 상호간은 서로 막힌 곳이 없도록 각 관들의 끝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관(210)은,
    고온의 열을 방출하는 전기히터(430a);
    상기 전기히터(430a)에 의하여 고온 상태가 된 공기(열풍)를 상기 열풍관(210) 내부로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열풍관용 송풍기(430b); 및
    상기 열풍관(210)과 상기 열풍관용 송풍기(430b)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열풍관용 송풍기(430b)가 분사하는 열풍을 상기 열풍관(210)으로 전달하는 관 형상의 열풍공급관(430c)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 속 건조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220)은,
    열전달률이 높은 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에는 공기압축기(500)가 연결되어 있는 바, 이러한 공기압축기(500)는 외부의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한 후 이를 상기 브릿지 방지 공기분사노즐(300)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KR1020060009227A 2006-01-31 2006-01-31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KR100663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27A KR100663231B1 (ko) 2006-01-31 2006-01-31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27A KR100663231B1 (ko) 2006-01-31 2006-01-31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231B1 true KR100663231B1 (ko) 2007-01-02

Family

ID=3786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227A KR100663231B1 (ko) 2006-01-31 2006-01-31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79B1 (ko) 2006-11-28 2008-01-28 한국해양연구원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KR102179322B1 (ko) 2019-09-26 2020-11-17 조기환 어업용 폐스티로폼, 폐각 및 폐목재를 활용한 불연보드용 분말, 이를 이용한 불연보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509U (ko) * 1992-12-28 1994-07-28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열풍 건조장치
KR20010000285A (ko) * 2000-09-06 2001-01-05 김현용 열풍분사식 해쇄형 건조기 및 건조시스템
KR200263436Y1 (ko) 2001-10-27 2002-02-04 허미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건조기
KR200359496Y1 (ko) 2004-06-01 2004-08-18 김용재 벨트의 금속장식 성형장치 및 벨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509U (ko) * 1992-12-28 1994-07-28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열풍 건조장치
KR20010000285A (ko) * 2000-09-06 2001-01-05 김현용 열풍분사식 해쇄형 건조기 및 건조시스템
KR200263436Y1 (ko) 2001-10-27 2002-02-04 허미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건조기
KR200359496Y1 (ko) 2004-06-01 2004-08-18 김용재 벨트의 금속장식 성형장치 및 벨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79B1 (ko) 2006-11-28 2008-01-28 한국해양연구원 어업용 폐부자 건조기
KR102179322B1 (ko) 2019-09-26 2020-11-17 조기환 어업용 폐스티로폼, 폐각 및 폐목재를 활용한 불연보드용 분말, 이를 이용한 불연보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231B1 (ko) 어업용 폐스티로폼 고속 건조장치
CN113532048B (zh) 一种高分散性的饲料颗粒烘干设备
KR20130054833A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525934B1 (ko) 애완동물용 스파
KR101177052B1 (ko) 통기식 회전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JP2011521198A (ja) 有機物質からなる対象物を乾燥させる乾燥方法および乾燥器
KR101025216B1 (ko) 농산물 건조장치
CN204255040U (zh) 一种斜口式风刀
KR101925759B1 (ko)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KR101320577B1 (ko) 냉동 고추 살균건조기
KR20070102367A (ko) 수조용 복합 순환장치
KR101987132B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207385631U (zh) 一种进料量可控的干燥粉碎装置
KR20170096478A (ko) 수산물 건조장치
CN207322261U (zh) 一种方便清洗的猪舍
CN206978698U (zh) 一种水果清洗设备
CN103791621A (zh) 一种丰字形非平衡翅片式电热板及升温加湿装置
US2006018407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warm or hot air cabin and corresponding warm air cabin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3952470B2 (ja) 流動乾燥装置
TWI563913B (zh) Improved submersible water temperature heating device
KR20060036426A (ko) 균일한 건조를 위한 농산물 건조기
KR200418197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140115851A (ko) 버섯 배지 건조기
CN109210902A (zh) 一种建筑板材立式烘干装置
RU229874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лубяного сырь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