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970B1 - 축전 소자 및 전원 모듈 - Google Patents

축전 소자 및 전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970B1
KR102092970B1 KR1020130085924A KR20130085924A KR102092970B1 KR 102092970 B1 KR102092970 B1 KR 102092970B1 KR 1020130085924 A KR1020130085924 A KR 1020130085924A KR 20130085924 A KR20130085924 A KR 20130085924A KR 102092970 B1 KR102092970 B1 KR 10209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fitting
terminal
power generation
generatio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169A (ko
Inventor
마사미츠 도노니시
쇼고 츠루타
류타로오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4001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01M50/529Intercel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e.g. in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축전 소자는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접속용 단자 부재를 갖는 접속체와,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추고, 상기 접속체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발전 요소 및 상기 접속체가 형성하는 도전로와 상기 수납 용기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축전 소자 및 전원 모듈{ENERGY STORAGE DEVICE AND POWER MODULE}
본 발명은 축전 소자 및 전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를 대체하는 것으로서 사용된다. 이 외에, 이차 전지는 휴대 전화 또는 IT 기기 등의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온 전지로 대표되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 이 때문에, 전기 자동차 등의 산업용 대형 전기 기기로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응용도 진행되고 있다.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모식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러한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9782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00)는 육면체의 외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외장은 용기 본체(110)와 판 형상의 덮개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10)의 형상은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이다. 용기 본체(110)의 개구는 덮개부(12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덮개부(12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다.
덮개부(120)에는 단자 인출용 관통 구멍(120a)이 개구되어 있다. 관통 구멍(120a)의 상방에는 절연 밀봉재(122)가 위치하고 있다. 절연 밀봉재(122)의 외형은 팔각기둥 형상이다. 절연 밀봉재(122)는 절연성 재료제의 부품이다. 절연 밀봉재(122)의 프레임체(122a)에 둘러싸인 저면(122b) 위에는 관통 구멍(12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22c)은 저면(122b)과 함께 덮개부(120)의 관통 구멍(120a)으로 연신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122c)은 관통 구멍(120a)에 연통하고 있다.
접속 부재(123)는 도전성 금속제 부품이다. 접속 부재(123)의 중앙에는, 팔각기둥 형상의 본체부(123a)가 위치하고 있다. 본체부(123a)의 양쪽 저면으로부터, 통부(123b 및 123c)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본체부(123a)는 절연 밀봉재(122)의 프레임체(122a)에 끼워 맞춘다. 통부(123b)는 덮개부(120)의 관통 구멍(120a)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통부(123b)는 용기 본체(110) 내부에 수납된 집전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집전체는 용기 본체(110) 내에서 발전 요소와 접속되어 있다.
덮개부(120)의 양단으로서, 관통 구멍(120a)보다도 외부 근처측에는 볼록부(120b)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0b)는 덮개부(120)의 벽체의 돌출 부분이다. 볼록부(120b)의 평면 형상(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또한, 볼록부(120b)에는 멈춤쇠 부재(121)가 씌워져 고정되어 있다. 멈춤쇠 부재(121)는 높이가 낮은 사각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멈춤쇠 부재(121)는 합성 수지제의 부품이다. 멈춤쇠 부재(121)의 이면(도시하지 않음)은 볼록부(120b)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멈춤쇠 부재(121)는 볼록부(120b)에 끼워 맞춤으로써 덮개부(120) 위에 고정된다.
또한, 멈춤쇠 부재(121)의 상방에는, 단자 부재(125)가 위치하고 있다. 단자 부재(125)에 의해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00)는 외부 부하 또는 다른 전지와 접속된다. 단자 부재(125)는 철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강도가 높은 도전제의 금속제의 부품이다. 단자 부재(125)는 볼트부(125a)와 베이스부(125b)를 구비하고 있다. 볼트부(125a)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125b)는 볼트부(125a)의 근원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25b)의 외형은 사각기둥 형상이다.
베이스부(125b)의 덮개부(120)와 대향하는 측의 주면에는 오목부(125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5c)의 형상은 멈춤쇠 부재(121)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오목부(125c)는 멈춤쇠 부재(121)에 끼워맞춘다. 이에 의해, 단자 부재(125)는 덮개부(120)와 절연된 상태에서 덮개부(120)에 고정된다.
또한, 접속 부재(123) 및 단자 부재(125)의 양쪽에 씌워지도록, 브리지 부재(124)가 적재되어 있다. 브리지 부재(124)의 표면에는 관통 구멍(124a)과, 관통 구멍(124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24a)에는 접속 부재(123)의 통부(123c)가 삽입된다. 관통 구멍(124b)에는 단자 부재(125)의 볼트부(125a)가 삽입된다. 브리지 부재(124)는 도전성 금속제의 판 형상의 부품이다. 관통 구멍(124a)에 통부(123c)가 삽입된다. 관통 구멍(124b)에 볼트부(125a)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통부(123c)의 선단이 코오킹(caulking) 가공된다. 이에 의해, 브리지 부재(124)는 접속 부재(123)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접속 부재(123)와 단자 부재(12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00)에서는 용기 본체(110) 내부에 축적된 전력은 단자 부재(125)를 통해서 이용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부하의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단자 부재(125)의 볼트부(125a)에 장착되어, 너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이에 의해,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00)와 외부 부하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은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00)에서는 단자 부재(125)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의 멈춤쇠 부재(121)를 개재해서 덮개부(1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절연성의 수지 재료제인 멈춤쇠 부재(121)와 금속 재료제인 덮개부(120)의 볼록부(120b) 사이에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는 단자 부재(125)를 덮개부(120)에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이 힘들었다.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00)와 같은 축전 소자에서는, 발전 요소로부터 수납 용기의 외부로 연장되는 도전로는 멈춤쇠 부재(121)와 같은 절연 구조에 의해 수납 용기와 절연된 상태에서 단자 부재(125)와 같은 접속용 단자에 접속된다. 그러나, 이 절연 구조를 수납 용기에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수납 용기에 도전로 주위의 절연 구조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축전 소자 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축전 소자는,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체와,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추고, 상기 접속체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발전 요소 및 상기 접속체가 형성하는 도전로와 상기 수납 용기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상기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상기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8은 상기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9는 상기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상기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상기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축전 소자는,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체와,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추고, 상기 접속체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발전 요소 및 상기 접속체가 형성하는 도전로와 상기 수납 용기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접속체는 외부 접속용 단자 부재를 갖고, 상기 절연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위치는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와는 다른,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직교 좌표의 대각에 위치하는 사분면 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직교 좌표의 1개의 좌표축 상에 상기 원점을 끼고 분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제1 끼워맞춤 개소 및 제2 끼워맞춤 개소를 포함하고 있고,
제1 끼워맞춤 개소로부터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까지의 거리가, 제2 끼워맞춤 개소로부터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까지의 거리보다도 긴,
본 발명의 제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상기 제1 끼워맞춤 개소의 외형 치수가 상기 제2 끼워맞춤 개소의 외형 치수보다도 큰,
본 발명의 제5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상기 제1 끼워맞춤 개소가 상기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보다도 외측 가장자리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끼워맞춤 개소가 상기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보다도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6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8 측면은,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와 이루는 각도가 90° 내지 180°의 범위로 되는 2개의 끼워맞춤 개소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9 측면은,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편평한 평면 형상을 갖는 끼워맞춤 개소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8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10 측면은,
상기 수납 용기 내에서 상기 발전 요소와 접속된 집전체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접속체는 상기 수납 용기의 벽체를 관통해서 상기 집전체와 접속된 중계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위치는 상기 중계 부재와 상기 집전체의 접속 위치와는 다른,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11 측면은,
상기 수납 용기 내에서 상기 발전 요소와 접속된 집전체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접속체는 상기 수납 용기의 벽체를 관통해서 상기 집전체와 접속된 중계 부재를 더 갖고,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중계 부재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 부재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9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12 측면은,
상기 단자 부재는, 외부에 노출된 축 형상의 단자 본체를 갖고,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단자 본체의 위치인,
본 발명의 제11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13 측면은,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표면을 따른 판 형상의 단자 본체를 갖고,
상기 중계 부재는, 일단부에서 상기 집전체와 결합하는, 축 형상의 중계 로드를 가짐과 함께, 상기 단자 부재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중계 로드의 위치인,
본 발명의 제11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14 측면은,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볼록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수납 용기의 볼록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오목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3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15 측면은,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오목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수납 용기의 오목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볼록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4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의 축전 소자이다.
또, 본 발명의 제16 측면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5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의 축전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있는 전원 모듈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용기 위에서, 도전로 주위의 절연 구조를 안정되게 끼워맞춤 및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축전 소자로서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모식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는 육면체의 외형을 갖는 수용 용기를 외장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수용 용기는 판 형상의 덮개부(20)와,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10)를 포함한다. 덮개부(20)의 재질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다. 용기 본체(10)는 개구(10x)를 갖는다.
전극체(11)는 띠 형상의 전극인 정극 및 부극과, 이들 사이에 끼어진 띠 형상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정극과 부극은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긴 원통형으로 권회되어 있다. 정극과 부극은 권회축이 다른 방향으로 세퍼레이터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정극 및 부극은 전극체(11)의 양단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폭만큼 세퍼레이터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전극의 단부에는 활물질이 담지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각 전극의 단부에는 기재인 금속박이 노출되어 있다.
정극의 전극체(11)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노출된), 알루미늄박은 정극(11a)이다. 정극(11a)에는 집전체(12)가 접속되어 있다. 집전체(12)는 도전성 금속 부재이다.
집전체(12)의 일단부에는, 주면(12a)이 형성되어 있다. 주면(12a)은 전극체(11)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신된 판 형상을 갖고 있다. 주면(12a) 위에는 관통 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집전체(12)의 타단부에는 아암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2c)는 전극체(11)의 측면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다. 아암부(12c)는 전극체(11)의 측면에 노출된 정극(11a)과 함께, 협지판(14)에 끼어져 있다. 협지판(14)의 재질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다. 협지판(14)에 끼어진 아암부(12c) 및 정극(11a)은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접속 및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는 정극측의 구성에만 부호를 붙이고 있다. 부극측의 전극 및 집전체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부극의 기재는, 예를 들어 구리이다.
덮개부(20)의 양단에는, 볼록부(21)가 표면(20a)으로부터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1)의 평면 형상(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볼록부(21)의 상부에는 표면(20a)과 평행한 평면(21a)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21a) 위에는 관통 구멍(21b)이 개구되어 있다. 또, 볼록부(21)보다도 덮개부(20)의 중앙 가까이에는 볼록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2)의 외형은 원통 형상이다.
덮개부(20)와 집전체(12) 사이에는, 절연 밀봉재(13)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 밀봉재(13)는 집전체(12)의 주면(12a)을 덮고 있다. 절연 밀봉재(13)의 재질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이다. 이 합성 수지는, 절연성 및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 밀봉재(13)의 주면(13a) 위에는 관통 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3b)은 덮개부(20)의 관통 구멍(21b) 및 집전체(12)의 관통 구멍(12b)과 동심원을 이루고 있다.
덮개부(20)의 상방에는 절연 밀봉재(23)가 위치하고 있다. 덮개부(20)의 볼록부(21) 및 볼록부(22)는 절연 밀봉재(23)로 덮여져 있다. 절연 밀봉재(23)의 재질은 절연 밀봉재(13)와 마찬가지이며, 예를 들어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이다. 절연 밀봉재(23)는 주면(23a)과, 주면(23a)의 주위에 형성된 프레임체(23b)를 구비한다. 주면(23a) 위에는 오목부(23c)와, 관통 구멍(23d)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c)에는 단자 부재(25)(후술함)가 적재된다. 관통 구멍(23d)은 덮개부(20)의 관통 구멍(21b)과 동심원을 이루고 있다. 또, 주면(23a)의 이면은 덮개부(20)와 대향하고 있다. 주면(23a)의 이면에는 오목부(23e)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e)는 덮개부(20)의 볼록부(21)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오목부(23e) 내에는 관통 구멍(23d)과 연통하는 통부(23f)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23f)는 관통 구멍(21b 및 13b)에 대응한 외형을 갖고 있다. 통부(23f)는 관통 구멍(21b) 및 관통 구멍(13b)에 끼워 넣도록 되어 있다.
절연 밀봉재(23)의 오목부(23c) 내에는, 단자 부재(25)가 적재된다. 단자 부재(25)는 종래예의 단자 부재(125)와 마찬가지로,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를 외부 부하 또는 다른 전지와 접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단자 부재(25)의 재질은, 예를 들어 철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강도가 높은 도전성 금속이다. 단자 부재(25)는 볼트부(25a)와 베이스부(25b)를 갖는다. 볼트부(25a)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25b)는 볼트부(25a)의 근원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5b)의 외형은 오목부(23c)에 끼워 맞추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절연 밀봉재(23)의 오목부(23c)에 단자 부재(25)가 배치된다. 절연 밀봉재(23)의 주면(23a)에 씌워지도록 중계 부재(24)가 적재된다. 중계 부재(24)는 판 형상의 브리지부(24a)와 중계 로드(24b)를 갖는다. 브리지부(24a)에는 관통 구멍(24a1)이 개구되어 있다. 브리지부(24a)의 재질은,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이다. 중계 로드(24b)는 브리지부(24a)로부터 덮개부(20)측을 향해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브리지부(24a)가 프레임체(23b)에 끼워 맞춤으로써, 중계 부재(24)가 절연 밀봉재(23)에 배치된다. 또한, 중계 부재(24)에서는 브리지부(24a)와 중계 로드(24b)는, 예를 들어 단조 또는 주조 등에 의해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브리지부(24a)와 중계 로드(24b)는 독립된 2개의 이종 또는 동종 재료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소재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절연 밀봉재(23) 및 단자 부재(25)로부터, 집전체(12) 주변까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조합된 상태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를, 덮개부(2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면서 중계 부재(24)의 중계 로드(24b)의 연신 방향과 평행한 면을 절단면으로 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20)의 관통 구멍(21b) 및 절연 밀봉재(13)의 관통 구멍(13b)에는 절연 밀봉재(23)의 통부(23f)가 관통되어 있다. 통부(23f)의 단부면은, 절연 밀봉재(13)의 이면과 함께, 집전체(12)의 주면(12a)에 접하고 있다. 그리고, 중계 부재(24)의 중계 로드(24b)는 절연 밀봉재(13)의 관통 구멍(13b) 및 집전체(12)의 관통 구멍(12b)을 관통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중계 로드(24b)의 선단은 코오킹되어 있다. 중계 로드(24b)의 선단은 코오킹 단부(24c)를 갖도록 정형된다. 코오킹 단부(24c)는 관통 구멍(13b)의 외경 및 관통 구멍(12b)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다.
절연 밀봉재(23)와, 덮개부(20)와, 절연 밀봉재(13) 및 집전체(12)는, 중계 부재(24)의 브리지부(24a)와 코오킹 단부(24c)에 끼어짐으로써, 서로 압착되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 단자 부재(25)의 베이스부(25b)는 오목부(23c)와 끼워 맞춘다. 단자 부재(25)의 볼트부(25a)는 중계 부재(24)의 브리지부(24a)의 관통 구멍(24a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단자 부재(25)(베이스부(25b))는 절연 밀봉재(23)와 브리지부(24a) 사이에 끼어져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집전체(12)와 단자 부재(25)는 중계 부재(24)를 개재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극체(11)에 축적된 전력을 덮개부(20)의 밖으로 꺼내기 위한 도전로가 형성된다.
또, 단자 부재(25)의 베이스부(25b)와 덮개부(20) 사이에는, 절연 밀봉재(23)의 오목부(23c)가 위치하고 있다. 중계 부재(24)의 중계 로드(24b)의 측면은, 절연 밀봉재(23)의 통부(23f)에 의해 덮여진 상태에서 덮개부(20)에 접하고 있다. 집전체(12)의 주면(12a)과 덮개부(20)의 이면 사이에는, 절연 밀봉재(13)가 위치하고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도전로와 덮개부(20)는 절연되어 있다.
또, 덮개부(20)에 있어서, 볼록부(21) 및 볼록부(22)는 덮개부(20)의 벽체를 변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21)의 형상은 덮개부(20)의 이면의 우묵한 곳(21X)의 반전 형상이다. 또한, 볼록부(22)의 형상은 덮개부(20)의 이면의 우묵한 곳(22X)의 반전 형상이다. 볼록부(21)는 절연 밀봉재(23)의 오목부(23g)에 끼워 맞춘다. 볼록부(22)는 절연 밀봉재(23)의 오목부(23e)에 끼워 맞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용기 본체(10)와 덮개부(20)의 조합은, 본 발명의 수납 용기에 상당한다. 전극체(11)는 본 발명의 발전 요소에 상당한다. 또, 집전체(12)와, 단자 부재(25)와, 중계 부재(24)는, 각각 본 발명의 집전체와, 단자 부재와, 중계 부재에 상당한다. 단자 부재(25)와 중계 부재(24)의 조합은, 본 발명의 접속체에 상당한다. 전극체(11), 집전체(12) 및 접속체를 포함하는 도전로가 본 발명의 도전로에 상당한다. 또, 절연 밀봉재(23)는 본 발명의 절연 부재에 상당한다. 단자 부재(25)의 볼트부(25a)는 본 발명의 단자 본체에 상당한다. 중계 부재(24)의 중계 로드(24b)는 본 발명의 중계 로드에 상당한다. 또한, 덮개부(20)의 볼록부(21 및 22)는 각각 본 발명의 볼록부에 상당한다. 절연 밀봉재(23)의 오목부(23e 및 23g)는 각각 본 발명의 오목부에 상당한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는 단자 부재(25)를 고정(또는 적재)하기 위한 절연 밀봉재(23)를 갖는다. 절연 밀봉재(23)는 덮개부(20)의 볼록부(21)에 끼워 맞추는 오목부(23e)와, 덮개부(20)의 볼록부(22)에 끼워 맞추는 오목부(23g)를 갖는다. 오목부(23e)와 오목부(23g)는 단자 부재(25)의 볼트부(25a)를 사이에 끼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 3의 주요부 평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덮개부(20) 위에 있어서, 오목부(23g)와 단자 부재(25)와, 중계 부재(24)의 중계 로드(24b)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23d)을 포함하는 오목부(23e)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23g)는 볼트부(25a)에 대해 덮개부(20)의 중앙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오목부(23e)는 볼트부(25a)에 대해 덮개부(20)의 외측 가장자리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절연 밀봉재(23)와 덮개부(20)의 끼워맞춤 개소는 2군데이다. 즉, 덮개부(20)의 볼록부(21)가 오목부(23e)에 끼워 맞추어지는 동시에, 덮개부(20)의 볼록부(22)가 오목부(23g)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덮개부(20) 위에 있어서의 절연 밀봉재(23)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기초한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종래예에서는, 단자 부재(125)와 덮개부(1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덜걱거림은, 선천적으로는 각 부재의 제조 공차에 기초해서 발생한다. 후천적으로는 이 덜걱거림은 단자 부재(25)와 외부 부하 또는 다른 전지의 접속 시, 또는 분리 시에, 볼트부(125) 주위의 토크, 또는 그 밖의 부하가 단자 부재(25)에 더해지는 데 기인하여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한편으로, 멈춤쇠 부재(볼록부)(120b)의 재질은 단자 부재(125)와 덮개부(120)를 절연하기 위해서 합성 수지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합성 수지 재료는 덮개부에 포함되는 금속 재료에 비해 내마모성 및 강도가 작다. 이 때문에, 단자 부재와 절연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고정밀도로 조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덜걱거림의 한 요인인 절연 밀봉재(23)의 회동의 중심이 되는 단자 부재(25)의 주위의 복수의 개소에 있어서, 덮개부(20)와 절연 밀봉재(23)가 끼워맞춤 및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 및 절연 밀봉재(23)를 안정되게 덮개부(20)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부(25a)의 위치(즉 절연 밀봉재(23)의 회동 중심)를 회동 중심 O라 한다. 이 회동 중심 O는 절연 밀봉재(23)의 단자 부재(25)의 고정 위치이다. 오목부(23e)에 의한 끼워맞춤 개소 P1과 오목부(23g)에 의한 끼워맞춤 개소 P2는 회동 중심(원점) O로부터, 서로 정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절연 밀봉재(23)는 2축(2군데)에서, 덮개부(2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한쪽의 끼워맞춤 개소 주위의 덜걱거림에 의한 절연 밀봉재(23)의 움직임이 다른 쪽의 끼워맞춤 개소에 의해 규제된다. 이 결과, 덜걱거림에 의한 절연 밀봉재(23) 전체의 움직임의 폭이 작게 억제된다.
또한, 끼워맞춤 개소 P1의 위치는 오목부(23e)의 평면 상의 무게 중심 위치에 상당한다. 끼워맞춤 개소 P2의 위치는 오목부(23g)의 평면 상의 무게 중심 위치에 상당한다. 또는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의 외형 부분 또는 볼록부(21) 및 볼록부(22)의 외형 부분을 끼워맞춤 개소로 간주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동 중심 O와, 덮개부(20) 및 절연 밀봉재(23)의 끼워맞춤 위치가 이격되어 있다. 회동 중심 O로부터 끼워맞춤 개소 P1까지의 거리를 Da라 한다. 회동 중심 O로부터 끼워맞춤 개소 P2까지의 거리를 Db라 한다. 끼워맞춤 개소 P1로부터 P2까지의 거리는 (Da+Db)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끼워맞춤 개소 P1로부터 P2까지의 거리 (Da+Db)가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워맞춤 개소 P1로부터 끼워맞춤 개소 P2까지의 거리가 크게 설정되는 것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해진다. 즉, 도 4a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밀봉재(23)가 동일 치수의 오목부 α1 및 α2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덮개부(20)가 오목부 α1에 대응하는 볼록부 β1과, 오목부 α2에 대응하는 볼록부 β2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오목부 α1과 볼록부 β1은 일정한 클리어런스를 갖고 끼워 맞추어, 끼워맞춤 개소 P1을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 α2와 볼록부 β2는 일정한 클리어런스를 갖고 끼워 맞추어, 끼워맞춤 개소 P2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절연 밀봉재(23)는 회동 중심 O 주위에 있어서, 끼워맞춤 개소 P1 및 P2의 클리어런스 및 끼워맞춤 개소 P1로부터 P2까지의 거리에 따른 회동각 θ1만큼 회동한다.
이에 반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개소 P1로부터 P2까지의 거리 (Da+Db)를 보다 크게 설정하는 경우, 회동각 θ2를 회동각 θ1보다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 개소 P1로부터 P2까지의 거리(Da+Db)를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덜걱거림으로 이어지는 움직임의 일부인 회동 중심 O 주위의 회전의 회전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의 개별 클리어런스의 영향이 감소한다. 그 결과, 절연 밀봉재(23) 전체의 움직임의 폭을 더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는 회동 중심 O와 끼워맞춤 개소 P1(제1 끼워맞춤 개소)의 거리 Da와, 회동 중심 O와 끼워맞춤 개소 P2(제2 끼워맞춤 개소)의 거리 Db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즉, 거리 Da와 거리 Db 사이에, Da>Db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개소 P1 및 P2 각각에 있어서, 절연 밀봉재(23)에 설치된 오목부와 덮개부(20)에 설치된 볼록부가, 일정한 클리어런스를 갖고 끼워 맞춘다. 이 경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Da>Db로 함으로써, 끼워맞춤 개소 주위의 덜걱거림에 의한 움직임이 끼워맞춤 개소 P1에서 규제된다. 이에 의해, Da=Db로 한 경우에 비해, 회동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절연 밀봉재(23) 전체의 움직임의 폭을, 더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볼트부(25a)에 너트를 체결할 때와 같은 경우에 발생하는, 회동 중심 O(볼트부(25a))를 중심으로 하는 절연 밀봉재(23)의 회동에 기인하는 덜걱거림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다 큰 쪽의 거리 Da측의 오목부(23e)의 평면 치수(끼워맞춤 개소 P1의 평면 치수)가 작은 쪽의 거리 Db측의 오목부(23g)의 평면 치수(끼워맞춤 개소 P2의 평면 치수)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절연 밀봉재(23)의 볼트부(25a)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대한 저항의 밸런스(충격의 밸런스)가 오목부(23e)측과 오목부(23g)측에서 비교적 균등해진다. 이에 의해,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에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절연 밀봉재(23)가 볼트부(25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개소 P1에 있는 오목부(23e)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다. 또한, 오목부(23e)에서는, 덮개부(2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측의 치수 W가 짧은 방향의 치수 D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회동 중심 O의 접선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23e)와 볼록부(21)의 접촉 부분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끼워맞춤 개소 P1에 있어서의 덜걱거림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동 중심 O와 각 끼워맞춤 개소 P1 및 P2의 배치 관계를, 덮개부(20) 상의 배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상기 배치 관계는, 회동 중심 O와, 끼워맞춤 개소 P1 및 P2의 관계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배치 관계는 덮개부(20)의 외형 및 상기 배치 관계에 관련되지 않는 덮개부(20)의 각 요소의 위치는 무관하게 성립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덮개부(20) 위에 단자 부재(25) 및 중계 로드(24b)가 덮개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계 로드(24b)가 관통하는 오목부(23e)가, 덮개부(20)의 볼트부(25a)보다도 외측 가장자리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 내부에 있어서의 집전체(12)로부터 중계 로드(24b)까지의 거리가 짧아진다. 이 때문에, 전극체(11)의 중량에 의해 작용하는 중계 로드(24b)에의 모멘트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모멘트 하중이 크면, 중계 로드(24b)의 코오킹이 느슨해져서, 수납 용기의 기밀이 깨질 가능성이 우려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모멘트 하중을 저감하기 때문에 보다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에서는, 절연 밀봉재(23)와 덮개부(20)의 2개의 끼워맞춤 개소, 즉 볼록부(21)와 오목부(23e)의 끼워맞춤 개소 P1과, 볼록부(22)와 오목부(23g)의 끼워맞춤 개소 P2가, 단자 부재(25)의 볼트부(25a)를 사이에 끼우고 이격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연 밀봉재(23)의 덜걱거림이 억제된다. 그 결과, 절연 밀봉재(23)를 안정되게 수납 용기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끼워맞춤 개소 P1 및 P2와, 단자 부재(25)의 볼트부(25a)로서의 회동 중심 O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개소에 있어서, 덮개부(20)와 절연 밀봉재(23)가 끼워맞춤 고정된다. 또한, 볼트부(25a)의 위치와, 복수의 덮개부(20)와 절연 밀봉재(23)의 끼워맞춤 위치가 분리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밀봉재(23)에 발생하는 덜걱거림을 억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볼트부(25a)의 위치와 복수의 덮개부(20)와 절연 밀봉재(23)의 끼워맞춤 위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관계여도 된다. 도 5에서는 덮개부(20) 위에 회동 중심 O를 원점으로 해서, X-Y 좌표(직교 좌표)가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덮개부(20)와 절연 밀봉재(23)의 끼워맞춤 위치는 회동 중심 O를 제외한 X-Y 평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덮개부(20)와 절연 밀봉재(23)의 끼워맞춤 개소는 도 5 중에서, 대각의 관계에 있는 복수의 사분면을 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X-Y 좌표의 제1 사분면에 위치하는 끼워맞춤 개소 Pa와 제3 사분면에 위치하는 끼워맞춤 개소 P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끼워맞춤 개소는 제2 사분면에 위치하는 끼워맞춤 개소 Pb와, 제4 사분면에 위치하는 끼워맞춤 개소 P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회동 중심 O와 2개의 끼워맞춤 개소(접속 개소)가 이루는 각이 90° 이상이 된다. 이에 의해, 상기 2개의 끼워맞춤 개소간의 거리를, 2개의 끼워맞춤 개소로부터 회동 중심 O까지의 거리에 비해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 개소마다, 덜걱거림의 움직임의 방향이 다르다. 이에 의해, 전술한 절연 밀봉재(23)의 회동 중심 O 주위의 회동에 기인하는 덜걱거림을 보다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X-Y 좌표의 X축 또는 Y축 상으로 분산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워맞춤 개소가 X축 상으로 분산된 경우, 끼워맞춤 개소의 배치는, 도 3에 도시하는 배치와 대략 일치한다. 이 경우, 회동 중심 O와 2개의 끼워맞춤 개소의 이루는 각의 최대값은 180°가 된다.
도 6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덮개부(20)의 중앙 가까이에, 오목부(23g1 및 23g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 개소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오목부(23g1)와 오목부(23e)의 배치 관계, 또는 오목부(23g2)와 오목부(23e)의 배치 관계는, 도 5에 도시하는 상기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부(25a)에 대한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의 배치는,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 서로 교체되어도 된다. 볼트부(25a),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고, 도 5에 도시하는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예시한 X-Y 좌표에서는,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덮개부(20)의 길이 방향 및 짧은 방향에, 각각 X축 및 Y축이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X-Y 좌표는 회동 중심 O에 대해 임의의 회전각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즉, 볼트부(25a)와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는 덮개부(20)의 외형 형상과는 관계없이 레이아웃되어도 된다. 볼트부(25a)와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는 회동 중심 O와,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접속 개소(오목부(23e) 및 오목부(23g)의 위치)의 이루는 각이 대략 90° 이상이고 대략 180° 이하가 되도록 레이아웃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절연 밀봉재(23)의 회동 중심 O 주위의 회동에 기인하는 덜걱거림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볼트부(25a)와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의 배치는 전술한 X-Y 좌표에 기초하는 배치에 구속되지 않아도 된다. 즉, 볼트부(25a)에 대응하는 회동 중심 O와,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에 대응하는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와의 위치 관계는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가 절연 밀봉재(23)의 회동 중심 O 주위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절연 밀봉재(23)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그들이 1개의 끼워맞춤 개소를 형성한다고 간주되지 않도록,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즉,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덜걱거림을 발생시키는 힘을 받는 방향이 서로 다른 정도로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X-Y 좌표를 사용하여 레이아웃한 경우, 각 사분면 또는 각 좌표축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개소를 배치할 때의 미차, 또는 전지 조립 시에 있어서의 오차, 또는 각 부품 치수에 있어서의 공차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미차, 오차, 또는 공차에 의해 회동 중심 O와 2개의 끼워맞춤 개소가 이루는 각에 수치적인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회동 중심 O와 2개의 끼워맞춤 개소가 이루는 각이 90° 이하가 되는(예를 들어, 수° 내지 10° 정도, 90°를 하회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오차는, 본 발명의 각도(대략 90° 이상 대략 180°)의 허용 범위에 포함된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볼트부(25a),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의 회동 중심 O와 각 끼워맞춤 개소가 이루는 각(제1 각도)이 180°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각도가 180°인 것은 회동 중심 O와 2개의 끼워맞춤 개소가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180°는 180°에 준하는 각도이다. 즉, 제1 각도가 대략 180°인 것은 회동 중심 O와 2개의 끼워맞춤 개소가 대략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을 때이며, 상기 미차 등의 범위 내에 각 부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오목부(23e) 및 오목부(23g)는 끼워맞춤 개소의 구체적 형상이다. 제1 각도가 대략 180°인 경우, 회동 중심 O를 포함하는 볼트부(25a)의 일부, 오목부(23e)의 일부 및 오목부(23g)의 일부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동일 직선으로 인접하는 정도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오목부(23e)는 덮개부(20)의 평면도에 있어서, 중계 부재(24)의 중계 로드(24b)의 삽입 위치(관통 구멍(23d))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끼워맞춤 영역의 위치와, 발전 요소와 집전체를 접속하는 중계 부재의 위치는 겹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도 7a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오목부(23e1)는 덮개부(20)의 중계 로드(24b)보다도 중앙 가까운 곳이어도 된다. 또는, 도 7b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오목부(23e2)는 덮개부(20)의 중계 로드(24b)보다도 외측 가장자리 가까운 곳이어도 된다. 특히, 도 7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목부(23e2)와 오목부(23g)의 거리(끼워맞춤 개소간의 거리) 및 볼트부(25a)와 오목부(23e2)의 거리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7b에 나타내는 예는 적합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밀봉재(23)의 오목부는 오목부(23g)와 같은 원형의 평면 형상(횡단면 형상) 또는 오목부(23e)와 같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횡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들 오목부의 형상은,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오목부(23e1 및 23e2)의 평면 형상은 정사각형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밀봉재(23)의 오목부(23e)는 덮개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절연 밀봉재(23)의 오목부는 수납 용기의 주면인 덮개부(20)의 형상에 대응하지 않아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목부(23e3 및 23e4)의 형상은 덮개부(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변을 갖는 직사각형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목부(23e3 및 23e4)의 형상은 절연 밀봉재(23)의 덜걱거림의 한 요인이 되는 오목부(23e3 및 23e4)와 볼트부(25a) 상의 회동 중심 O의 관계에 기초하여 정해져 있다. 오목부(23e3 및 23e4)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이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은 도 5에 도시하는 X-Y 좌표계에 있어서, 좌표축 Y를 회동 중심 O 주위로 회전시킨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축 Y1 및 Y2를 따르고 있다. 좌표축 Y와, 좌표축 Y1 및 Y2는 모두, 회동 중심 O의 반경 방향에 대응한다. 따라서, 오목부(23e3 및 23e4)의 형상은, 이 반경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편평한 형상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끼워맞춤 개소 P1에 있어서의 덜걱거림 억제의 효과가 유지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오목부(23g3)는 오목부(23g)의 변형예이며, 타원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이 오목부(23g3)도 오목부(23e3 및 23e4)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접속체는 볼트부(25a)를 갖는 단자 부재(25) 및 중계 부재(24)를 포함한다. 그러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접속체는 볼트부(25a)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자 부재(25)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이 예에서는, 브리지부(24a)는 관통 구멍(24a1)을 갖고 있지 않다. 브리지부(24a)의 표면에, 외부 부하로부터의 배선이 용접 등에 의해 직접 접속된다. 이 예에서는, 브리지부(24a)가 용접 단자(접속체의 단자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 단자 부재(25)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절연 밀봉재(23)는 오목부(23c)를 갖고 있지 않다. 또한, 통부(23f)와 프레임체(23b) 사이에, 오목부(23h)가 더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20)는 오목부(23h)에 대응한 형상의 볼록부(26)를 갖는다. 이에 의해, 오목부(23h)와 볼록부(26)가 끼워맞춤 개소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서는, 절연 밀봉재(23)는 오목부(23g)와 볼록부(22)의 끼워맞춤 개소 및 오목부(23h)와 볼록부(26)의 끼워맞춤 개소의 2군데에 의해, 덮개부(20)에 고정되는 이들 끼워맞춤 개소 사이에는, 중계 부재(24)의 중계 로드(24b)가 위치하고 있다. 이 중계 로드(24b)의 위치가 절연 밀봉재(23)의 단자 부재(브리지부(24a))의 고정 위치가 된다. 도 3에 도시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각 끼워맞춤 개소와 중계 로드(24b)는 평면 상에 있어서,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 밀봉재(23)와, 접속체로서 기능하는 중계 부재(24)는 중계 로드(24b)의 위치(고정 위치)에서 직접 고정된다. 중계 로드(24b)의 위치가 도 4에 도시하는 회동 중심 O가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 밀봉재(23)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중계 로드(24b)가 집전체(12)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단독 사용 시 또는 보관 시 등에 있어서도, 수납 용기에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 절연 밀봉재(23)의 중계 로드(24b)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기인하는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를 전원 모듈로서 사용하는 경우, 버스바가 브리지부(24a)에 용접 접합된다. 이 경우, 당해 모듈 사용 중에 진동이나 충격 등이 버스바를 통해서 중계 로드(24b) 또는 집전체(12)에 직접적으로 전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때, 절연 밀봉재(23)와 덮개부(20)의 끼워맞춤 개소에서의 덜걱거림이 크면,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발생한 불필요한 응력이 버스바 및 중계 부재(중계 단자)(24) 등에 가해진다. 이에 의해, 용접부 및 절연 밀봉재(23)의 기밀 부분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9에 나타낸 예에 따르면, 이러한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 및 이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중계 부재(24)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단자 부재와 일체화된 중계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브리지부(24a)가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판 형상의 단자 본체에 상당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회동 중심 O가 중계 로드(24b)의 위치와 일치한다. 이에 관해, 도 3 등에 나타내는 볼트부(25a)를 갖는 예에서도, 회동 중심 O가 중계 로드(24b)의 위치와 일치한다고 간주하여, 각자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밀봉재(23)는 주면(23a)과, 통부(23f)를 포함하고 있다. 주면(23a)에는 중계 부재(24)의 브리지부(24a)와, 단자 부재(25)의 베이스부(25b)가 적재된다. 통부(23f)는 중계 부재(24)의 중계 로드(24b)의 측면을 덮는다. 그러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절연 밀봉재는 집전체로부터 용기 본체 상까지 형성되는 도전로와 덮개부(20)를 절연할 수 있으면 된다. 따라서, 절연 밀봉재의 구체적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부(20)가 볼록부(21 및 22)를 갖는 한편, 절연 밀봉재(23)가, 이들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23e 및 23g)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에서는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전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또는,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일부가, 다른 끼워맞춤 개소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끼워맞춤의 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덮개부(20)가 오목부를 갖는 한편, 절연 밀봉재가 볼록부를 가져도 된다(예를 들어, 도 10 참조).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예와는 달리, 덮개부(20)의 표면(20a)이 볼록부(22) 대신에 오목부(27)를 갖고 있다. 한편, 절연 밀봉재(23)가 오목부(23g) 대신에 오목부(27)에 대응하는 볼록부(23i)를 갖고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예는, 복수의 돌출 방향(끼워맞춤의 방향)이 다른 끼워맞춤 개소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모두에 있어서, 덮개부(20)가 오목부(27 및 28)를 갖고 있다. 집전체(12)는 덮개부(20)가 편평한 이면에 면접촉하고 있다. 집전체(12)에 인접하여 오목부(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절연 밀봉재(23)가 오목부(27 및 28)에 대응한 두개의 볼록부(23i 및 23j)를 갖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특히 절연 밀봉재(23)가 볼록부(23i 및 23j)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절연 밀봉재(23)측의 두께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코오킹 가공 시 등에 있어서의 균열의 발생 또는 변형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끼워맞춤 개소를 형성하는 오목부는 오목부(23g)와 같은 절연 밀봉재(절연 부재)(23) 상의 오목부 또는 오목부(27)와 같은 덮개부(20)의 벽체의 변형을 반영한 형상이다. 그러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끼워맞춤 개소를 형성하는 오목부는, 예를 들어 관통 구멍이어도 된다. 요컨대,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끼워맞춤 개소를 형성하는 오목부는 볼록부에 대해 끼워맞춤 가능하면 된다. 오목부는 끼워맞춤에 직접 관계하지 않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의 전극체(11)는 권회형이다. 그러나, 전극체(11)는 적층형의 전극체여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소자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대표되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는,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충방전 가능한 전지이면 된다. 축전 소자는, 예를 들어 니켈 수소 전지 또는 그 외 각종 이차 전지여도 되고, 일차 전지여도 된다. 또한, 축전 소자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와 같은 전기를 전하로서 직접 축적하는 방식의 소자여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축전 소자는 전기를 축적 가능한 소자이면 된다. 본 발명의 축전 소자는, 구체적인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10) 및 덮개부(20)로 구성되는 전지 용기는 본 발명의 수납 용기에 상당한다. 절연 밀봉재(23) 및 단자 부재(25)는 덮개부(20) 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절연 부재 및 단자 부재는 용기 본체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부재는 수납 용기에,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수납 용기를 구성하는 덮개부와 용기 본체의 결합의 형태, 나아가서는 수납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의 종류, 형상 또는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1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다. 그러나, 용기 본체(10)의 재질은, 다른 임의의 재질이어도 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10)의 재질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또는 그 외 임의의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10)의 형상은, 외형 육면체이다. 그러나, 용기 본체(10)의 형상은, 다른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용기 본체(10)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통 형상, 구형, 타원체 또는 그 외 임의 형상의 곡면체, 또는 다면체 등이어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용기의 형상, 재질, 또는 그 밖의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의 실시 형태로서, 단체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발명의 전원 모듈은 복수의 축전 소자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전원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의 집합체여도 된다. 이 구성은 축전 소자간의 접속에 기인하는 절연 부재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합하다.
요컨대,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이면, 이상 설명한 것을 포함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 여러가지 변경을 가한 것으로서 실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납 용기에서, 도전로 주위의 절연 구조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고, 예를 들어 이차 전지와 같은 축전 소자에 있어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하의 제1 내지 제13 축전 소자 및 제1 전원 모듈이어도 된다.
제1 축전 소자는,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접속용 단자 부재를 갖는 접속체와, 상기 발전 요소 및 상기 접속체가 형성하는 도전로와 상기 수납 용기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체는 상기 절연 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수납 용기 위에 있어서의 (a) 상기 접속체의 상기 단자 부재의 위치와 다른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 또는 상기 수납 용기 위에 있어서의 (b) 상기 접속체와 상기 절연 부재의 고정 위치와 다른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춘다.
제2 축전 소자는, 제1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적어도 상기 수납 용기 위에 있어서의 (a) 상기 접속체의 상기 단자 부재의 위치 또는 (b) 상기 접속체와 상기 절연 부재의 고정 위치를 원점으로 하고, 상기 원점 주위의 임의의 회전각으로 설정되는 직교 좌표의 (가) 대각에 위치하는 사분면상 또는 (나) 상기 원점을 사이에 끼운 좌표축 상으로 분산되어 있다. 제3 축전 소자는, 제2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원점이, 상기 수납 용기 위에 있어서의 (a) 상기 접속체의 상기 단자 부재의 위치인 경우, (b) 상기 접속체와 상기 절연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있다.
제4 축전 소자는, 제2 또는 제3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원점의 거리와,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다른 하나와 상기 원점의 거리는 다르다. 제5 축전 소자는, 제4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상기 하나의 끼워맞춤 개소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원점의 거리가 큰 쪽이, 외형 치수가 보다 크다. 제6 축전 소자는, 제5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가 위치하는 상기 수납 용기의 주면 상에 있어서, 상기 원점과 상기 주면의 외측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상기 끼워맞춤 개소의 거리가 상기 원점과 상기 주면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상기 끼워맞춤 개소의 거리보다 크다.
제7 축전 소자는, 제2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a) 상기 접속체의 상기 단자 부재의 위치 또는 (b) 상기 접속체와 상기 절연 부재의 고정 위치 및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제8 축전 소자는, 제2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 형상은 상기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을 따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편평한 도형이다.
제9 축전 소자는, 제2 내지 제8 중 어느 하나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체는 상기 수납 용기 내에서 상기 발전 요소와 접속된 집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수납 용기의 벽체를 관통해서 상기 집전체와 접속된 중계 부재를 더 갖고,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중계 부재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 부재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0 축전 소자는, 제9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축 형상의 단자 본체를 갖고, (a) 상기 접속체의 상기 단자 부재의 위치는 상기 단자 본체의 위치이다.
제11 축전 소자는, 제9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표면을 따른 판 형상의 단자 본체를 갖고, 상기 중계 부재는 일단부에서 상기 집전체와 결합하는 축 형상의 중계 로드를 가짐과 함께, 상기 단자 부재와 일체화되어 있고, (b) 상기 접속체와 상기 절연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중계 로드의 위치이다. 제12 축전 소자는,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볼록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절연 부재의 오목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형성된다.
제13 축전 소자는, 제1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오목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오목부 및 상기 절연 부재의 볼록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전원 모듈은 제1 내지 제13 중 어느 하나의 축전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있다.

Claims (17)

  1.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체와,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춰지고, 상기 접속체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발전 요소 및 상기 접속체가 형성하는 도전로와 상기 수납 용기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 부재는,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서 상기 수납 용기에 끼워 맞춰지고, 해당 절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저면을 갖는, 축전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체는 외부 접속용 단자 부재를 갖고,
    상기 절연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위치는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와는 다른 축전 소자.
  3.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체와,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춰지고, 상기 접속체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발전 요소 및 상기 접속체가 형성하는 도전로와 상기 수납 용기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체는 외부 접속용 단자 부재를 갖고,
    상기 절연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위치는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와는 다르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직교 좌표의 대각에 위치하는 사분면 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축전 소자.
  4.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체와,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춰지고, 상기 접속체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발전 요소 및 상기 접속체가 형성하는 도전로와 상기 수납 용기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체는 외부 접속용 단자 부재를 갖고,
    상기 절연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위치는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와는 다르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직교 좌표의 1개의 좌표축 상에 상기 원점을 끼고 분산되어 있는 축전 소자.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제1 끼워맞춤 개소 및 제2 끼워맞춤 개소를 포함하고 있고,
    제1 끼워맞춤 개소로부터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까지의 거리가, 제2 끼워맞춤 개소로부터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까지의 거리보다도 긴 축전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맞춤 개소의 외형 치수가 상기 제2 끼워맞춤 개소의 외형 치수보다도 큰 축전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맞춤 개소가 상기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보다도 외측 가장자리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끼워맞춤 개소가 상기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보다도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는 축전 소자.
  8.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체와,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춰지고, 상기 접속체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발전 요소 및 상기 접속체가 형성하는 도전로와 상기 수납 용기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체는 외부 접속용 단자 부재를 갖고,
    상기 절연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위치는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와는 다르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와 이루는 각도가 90° 내지 180°의 범위가 되는 2개의 끼워맞춤 개소를 포함하고 있는 축전 소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편평한 평면 형상을 갖는 끼워맞춤 개소를 포함하고 있는 축전 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 내에서 상기 발전 요소와 접속된 집전체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접속체는 상기 수납 용기의 벽체를 관통해서 상기 집전체와 접속된 중계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의 위치는, 상기 중계 부재와 상기 집전체의 접속 위치와는 다른 축전 소자.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 내에서 상기 발전 요소와 접속된 집전체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접속체는 상기 수납 용기의 벽체를 관통해서 상기 집전체와 접속된 중계 부재를 더 갖고,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중계 부재에 접속됨과 함께, 축 형상의 단자 본체를 갖고, 상기 단자 본체가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단자 본체의 위치인 축전 소자.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 내에서 상기 발전 요소와 접속된 집전체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접속체는 상기 수납 용기의 벽체를 관통해서 상기 집전체와 접속된 중계 부재를 더 갖고,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중계 부재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을 따른 판 형상의 단자 본체를 갖고, 상기 단자 본체가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중계 부재는, 일단부에서 상기 집전체와 결합하는 축 형상의 중계 로드를 가짐과 함께, 상기 단자 부재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단자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중계 로드의 위치인 축전 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볼록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수납 용기의 볼록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오목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형성되는 축전 소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오목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수납 용기의 오목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볼록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형성되는 축전 소자.
  15. 제1항에 기재된 축전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있는 전원 모듈.
  16. 제3항, 제4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 내에서 상기 발전 요소와 접속된 집전체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접속체는 상기 수납 용기의 벽체를 관통해서 상기 집전체와 접속된 중계 부재를 갖고,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중계 부재에 접속됨과 함께, 축 형상의 단자 본체를 갖고,
    상기 축 형상의 단자 본체는, 상기 중계 부재보다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는, 축전 소자.
  17.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체와,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춰지고, 상기 접속체를 고정 함과 함께, 상기 발전 요소 및 상기 접속체가 형성하는 도전로와 상기 수납 용기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끼워맞춤 개소는, 제1 끼워맞춤 개소 및 제2 끼워맞춤 개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1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춰지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제2 끼워맞춤 개소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끼워 맞춰지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끼워맞춤 개소 및 상기 제2 끼워맞춤 개소는, 상기 절연 부재의 회동 중심을 사이에 끼우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축전 소자.
KR1020130085924A 2012-07-30 2013-07-22 축전 소자 및 전원 모듈 KR102092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9017A JP6119139B2 (ja) 2012-07-30 2012-07-30 蓄電素子及び電源モジュール
JPJP-P-2012-169017 2012-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169A KR20140016169A (ko) 2014-02-07
KR102092970B1 true KR102092970B1 (ko) 2020-03-24

Family

ID=4991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924A KR102092970B1 (ko) 2012-07-30 2013-07-22 축전 소자 및 전원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37133B2 (ko)
JP (1) JP6119139B2 (ko)
KR (1) KR102092970B1 (ko)
CN (2) CN103579536B (ko)
DE (1) DE102013214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5094B (zh) * 2015-01-12 2021-12-28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顶盖
USD804418S1 (en) * 2015-07-14 2017-12-05 Gs Yuasa International Ltd. Rechargeable battery
JP6623898B2 (ja) * 2016-03-30 2019-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US10388933B2 (en) 2016-08-08 2019-08-20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JP6849099B2 (ja) * 2017-11-21 2021-03-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ケース
US11329469B2 (en) * 2019-12-30 2022-05-10 Consolidated Edison Company Of New York, Inc. Apparatus to limit event energ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683B1 (ko) 2002-02-05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JP2009283335A (ja) 2008-05-23 2009-12-03 Gs Yuasa Corporation 電池
JP2011233399A (ja) * 2010-04-28 2011-11-17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91B1 (ko) * 2005-04-27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WO2008084883A2 (ja) * 2007-01-12 2008-07-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電極構造およびバッテリ装置の製造方法
JP5418809B2 (ja) * 2008-10-16 2014-02-19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23105B1 (ko) * 2009-03-11 2011-03-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JP5790987B2 (ja) * 2010-05-17 2015-10-07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US8916287B2 (en) * 2010-08-16 2014-12-2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JP5679272B2 (ja) 2010-08-30 2015-03-04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電極端子付き電池蓋および密閉型電池
JP2012164634A (ja) * 2011-01-20 2012-08-30 Gs Yuasa Corp 蓄電素子
CN103329303B (zh) 2011-01-31 2016-05-11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元件
US9023497B2 (en) 2011-02-18 2015-05-0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748034B2 (en) 2011-04-14 2014-06-10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including one of projecting portion a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lid plate
JP5862237B2 (ja) 2011-11-29 2016-02-16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683B1 (ko) 2002-02-05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JP2009283335A (ja) 2008-05-23 2009-12-03 Gs Yuasa Corporation 電池
JP2011233399A (ja) * 2010-04-28 2011-11-17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42513B (zh) 2020-11-20
DE102013214501A1 (de) 2014-01-30
CN103579536B (zh) 2018-02-02
US9537133B2 (en) 2017-01-03
US20140030586A1 (en) 2014-01-30
KR20140016169A (ko) 2014-02-07
JP2014026948A (ja) 2014-02-06
CN108242513A (zh) 2018-07-03
CN103579536A (zh) 2014-02-12
JP6119139B2 (ja)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970B1 (ko) 축전 소자 및 전원 모듈
US9601725B2 (en) Energy storage element
KR102096911B1 (ko) 전원 장치
JP6724298B2 (ja) 電源モジュール
US9118070B2 (en) Energy storage element
US9105881B2 (en) Energy storage element
US8455134B2 (en) Secondary battery with insulating film between current collectors and a case
CN105470420B (zh) 蓄电装置
EP2490283A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60016613A (ko) 축전 장치
US9172078B2 (en) Energy storag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142809A1 (ja) 蓄電装置
JP2016072230A (ja) 蓄電装置
JP5930162B2 (ja) 電池
JP6187148B2 (ja) 蓄電素子及び電源モジュール
JP2014235845A (ja) 蓄電モジュール
WO2018230523A1 (ja) 蓄電装置
JP6418283B2 (ja) 電源装置
KR20130116807A (ko) 전지
JP6556986B2 (ja) 蓄電装置
JP7410909B2 (ja) 蓄電装置およびその車両搭載構造
JP2013134899A (ja) 電池
JP5729562B2 (ja) 電池
JP2019133834A (ja) 蓄電素子
JP2019175642A (ja) 蓄電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