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801B1 -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801B1
KR102092801B1 KR1020187000567A KR20187000567A KR102092801B1 KR 102092801 B1 KR102092801 B1 KR 102092801B1 KR 1020187000567 A KR1020187000567 A KR 1020187000567A KR 20187000567 A KR20187000567 A KR 20187000567A KR 102092801 B1 KR102092801 B1 KR 10209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signal
information
information signal
par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526A (ko
Inventor
미치노리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04W4/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전력의 공급이 적은 자 기기여도 자 기기로부터 모 기기로의 통신이 안정되게 행해지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하는 자 기기(A1)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중계 송신부와 수신하는 중계 수신부를 가지는 중계기(R5)와, 데이터 신호(DS)의 취득을 위한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를 포함한 제 1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모 기기 송신부와 데이터 신호(DS)를 수신하는 모 기기 수신부를 가지는 모 기기(Z9)를 구비하고, 자 기기(A1)가, 환경 발전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자신을 특정하는 자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 2 정보 신호와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하며, 중계기(R5)가, 제 2 정보 신호 및 데이터 신호(DS)를 수신하여 자신의 기억부(95)에 기억하고, 중계기(R5)가, 모 기기(Z9)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에 의거하여, 기억된 데이터 신호(DS)를 미리 결정된 송신 경로(TP)를 따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본 발명은, 자(子) 기기로부터 중계기를 통하여 모(母)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느 무선 장치 자 기기(자 기기)로부터 기지국(모 기기)에 무선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방식은, 기지국에 직접적으로 정보의 전달을 행하는 통신 방식(비멀티홉 방식)이나, 복수의 무선 중계국간에서 정보를 중계함으로써 기지국으로 정보의 전달을 행하는 통신 방식(멀티홉 방식)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비멀티홉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은, 기지국의 수를 많이 설치할 수 없는 점에서, 무선 장치 자 기기와 기지국간에서의 통신 거리가 긴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무선 장치 자 기기로부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시스템이 복잡하고 또한 보다 많은 에너지(소비 전력)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장치 자 기기로부터의 무선이 기지국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멀티홉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은, 중계에 필요한 무선 중계국이 복수개 필요해지지만, 무선 장치 자 기기와 무선 중계국간 혹은 복수의 무선 중계국간 혹은 무선 중계국과 기지국간의 통신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무선 장치 자 기기로부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시스템을 간소하게 할 수 있어 에너지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멀티홉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에서는, 복수의 무선 중계국을 경유하는 점에서, 통신 품질의 확보를 위해, 통신 경로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와 같은 멀티홉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의 종래예로서, 특허 문헌 1에서는, 가정(수요가(需要家)(994))의 전력 미터나 가스 미터에 내장된 자 기기(902)가 취득한 수요가 정보(전력이나 가스의 사용량)를 모 기기(901)에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999)이 제안되고 있다. 도 7은, 종래예의 통신 시스템(999)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7의 (b)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999)은, 수요가 정보를 복수의 수요가(994)로부터 수집하는 모 기기(901)와, 복수의 수요가(994)에 각각 설치되어 각 수요가(994)의 수요가 정보를 모 기기(901)에 전송하는 복수 대의 자 기기(902)와, 각 수요가(994)에 설치되어 당해 수요가(994)의 수요가 정보를 자 기기(902)로부터 취득하는 관리 장치(90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통신 시스템(999)은, 수요가(994)의 수요가 정보를 자 기기(902)에서 취득하고, 가까이에 존재하는 다른 자 기기(902)를 중계기로서 이용하여, 멀티홉 통신을 행함으로써, 각 수요가(994)의 수요가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또한, 도 7의 (b)에서는, 통신 시스템(999)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멀티홉 통신 방법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통신 시스템(999)에서는, 우선, 모 기기(901A)로부터 데이터 취득의 요구가 자 기기(902a)에 내려진 경우, 모 기기(901A)로부터의 데이터 요구 신호를 수신한 자 기기(902a)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요가(994a)에서 취득한 데이터 신호(수요가 정보)를 주위에 발신하게 된다. 그 때에는, 동일한 수요가(994a)의 관리 장치(903a)에 대해서도 수요가 정보가 송신된다.
이어서, 자 기기(902a)의 가까이에 존재하는 자 기기(902b)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확정된 통신 루트(통신 경로)를 따라, 통신 경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수요가 정보)를 주위에 발신하게 된다. 이 통신 루트를 구축함에 있어서는, 각 자 기기(902)는, 신호(전파)가 직접 도달하는 범위에 존재하는 자 기기(902)에 대해, 헤일로 메시지(확인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있으며, 이 헤일로 메시지의 수신 상황(수신 전계 강도 등)을 항상 판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자 기기(902b)의 가까이에 존재하는 자 기기(902c)도, 미리 확정된 통신 루트를 따라, 통신 경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수요가 정보)를 주위에 발신하게 되고, 다음의 통신 경로에 있는 자 기기(도시되어 있지 않음), 다음의 자 기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데이터 신호(수요가 정보)가 전송되어 모 기기(901A)에까지 도달한다.
또한, 다른 모 기기(901B)로부터 데이터 취득의 요구가 자 기기(902a)에 내려지는 경우도 있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요가(994a)에서 취득한 데이터 신호(수요가 정보)가, 중계기(자 기기(902b), 자 기기(902d), 자 기기(902e) 등)를 중계하여, 모 기기(901B)에 도달한다. 또한, 각 모 기기(901)는, 1개의 자 기기(902)뿐만 아니라, 다른 복수의 자 기기(902)의 수요가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4-72733호 공보
그러나, 종래예와 같은 수요가(994)(가정)에서 전원의 확보가 충분한 장소에 자 기기(902)가 있는 경우와 달리, 태양광 발전이나 진동 발전 등의 에너지 하베스트(환경 발전)의 전원으로 동작하는 자 기기를 가지는 경우, 데이터의 취득이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통신 시스템이어야 했다. 이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자 기기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여 수신 상태나 대기 상태로 할 수 없어, 모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의 요구를 수신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자 기기로부터의 헤일로 메시지(확인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할 수 없으므로, 확실한 통신 루트의 구축도 불가능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자 기기는 데이터를 취득했을 때에만 데이터를 발신하고, 통상은 슬립 상태(전원 오프 혹은 최소한의 전력으로의 가동)로 해 둔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중계기를 통한 모 기기와 자 기기가 서로 인식(동기)할 수 없으므로, 마찬가지로 통신 경로(통신 루트)를 확립할 수 없어, 자 기기로부터 모 기기로의 통신 경로가 수많이 존재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트래픽(통행량)이 증대하여, 모 기기(중계기도 포함함)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져버린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전력의 공급이 적은 자 기기여도 자 기기로부터 모 기기로의 통신이 안정되게 행해지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신호를 전파로 송신하는 자 기기 송신부를 가지는 자 기기와,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중계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신호를 외부에 상기 전파로 송신하는 중계 송신부를 가지는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모 기기 수신부를 가지는 모 기기를 구비한 멀티홉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 기기가, 자신을 특정하는 모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데이터 신호의 취득을 위한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를 포함한 제 1 정보 신호를 외부에 상기 전파로 송신하는 모 기기 송신부와, 당해 모 기기 송신부 및 상기 모 기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모 기기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중계기가, 상기 중계 수신부 및 상기 중계 송신부를 제어하는 중계 제어부와, 상기 자 기기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자 기기가, 태양광 발전이나 진동 발전 등의 환경 발전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자신을 특정하는 자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 2 정보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가, 상기 자 기기로부터의 당해 제 2 정보 신호 및 당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며, 상기 중계기가, 상기 모 기기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에 의거하여, 기억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미리 결정된 송신 경로를 따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자 기기가 데이터를 취득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뿐이므로, 데이터의 취득이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자 기기가 소비하는 환경 발전의 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중계기가 기억된 데이터 신호를 미리 결정된 송신 경로를 따라 송신하므로, 자 기기로부터 중계기를 통하여 모 기기까지, 데이터 신호를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적은 자 기기여도, 자 기기로부터 모 기기로의 송신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중계기의 상기 중계 제어부가, 상기 제 1 정보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함으로써, 수신한 상기 제 1 정보 신호에 자신을 특정하는 중계기 식별 정보를 더함과 함께, 상기 모 기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의 순서 이력도 더해, 상기 제 1 정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모 기기 제어부가, 상기 중계기 중, 소정의 상기 자 기기로부터 직접 송신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상기 중계기를 말단 중계기로 하고, 상기 모 기기로부터 당해 말단 중계기까지의 상기 순서 이력의 반대 경로를, 소정의 상기 자 기기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 경로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이 송신 경로를 따라, 자 기기로부터 모 기기로의 송신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중계기의 상기 중계 제어부가, 상기 제 1 정보 신호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와 대비되는 제 1 식별 임계값을 가지고, 당해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 1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각 중계기끼리의 사이 및 중계기와 모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이에 따라, 말단 중계기(중계기)로부터 모 기기로의 통신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중계기가 상기 제 1 식별 임계값을 상이한 값으로 복수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이 선택되는 환경에 따라, 제 1 식별 임계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에 따른 최적의 송신 경로를 확정할 수 있어, 자 기기로부터 중계기를 통하여 모 기기로의 통신을 보다 한층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중계기의 상기 중계 제어부가, 상기 제 2 정보 신호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와 대비되는 제 2 식별 임계값을 가지고, 당해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수신했을 때에, 수신한 상기 제 2 정보 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자 기기로부터 중계기로의 통신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중계기로부터 모 기기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경로를 축소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트래픽(통행량)을 억제하면서, 자 기기로부터 모 기기로의 통신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중계기가 상기 제 2 식별 임계값을 상이한 값으로 복수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이 선택되는 환경에 따라, 제 2 식별 임계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에 따른 최적의 송신 경로를 확정할 수 있어, 자 기기로부터 중계기를 통하여 모 기기로의 통신을 보다 한층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모 기기 제어부가, 소정의 상기 자 기기의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상기 말단 중계기 중, 상기 제 2 정보 신호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높은 상기 말단 중계기를, 소정의 상기 자 기기에 있어서의 지정 말단 중계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자 기기로부터 지정 말단 중계기(중계기)로의 송신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고, 이 지정 말단 중계기(중계기)를 포함한 송신 경로에서 자 기기로부터 모 기기로의 통신을 보다 한층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자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의 송신 경로를 1개로 축소하였으므로, 트래픽(통행량)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모 기기 제어부가,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정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중계 제어부가 최근의 상기 제 1 정보 신호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하며, 이 판단에 의거하여, 최근의 상기 송신 경로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통신 경로의 사이에서 어떠한 외적 요인이 발생하여 수신 신호 강도가 약화된 상태가 계속되었다고 해도, 소정의 타이밍에서, 수신 신호 강도가 최근에서 가장 강한 송신 경로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 기기로부터 중계기를 통하여 모 기기로의 통신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은, 자 기기가 데이터를 취득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뿐이므로, 데이터의 취득이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자 기기가 소비하는 환경 발전의 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중계기가 기억된 데이터 신호를 미리 결정된 송신 경로를 따라 송신하므로, 자 기기로부터 중계기를 통하여 모 기기까지, 데이터 신호를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적은 자 기기여도, 자 기기로부터 모 기기로의 송신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 1 정보 신호의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A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 2 정보 신호의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B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송신 경로의 확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C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방법의 플로우 차트 D도이다.
도 7은 종래예의 멀티홉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신호(DS)를 전파로 송신하는 자 기기(A1)와, 데이터 신호(DS)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중계기(R5(R51∼R59))와, 중계기(R5)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S)를 수신하는 모 기기(Z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에서는, 자 기기(A1), 중계기(R5) 및 모 기기(Z9)의 전부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AT)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안테나(AT)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선 형상 안테나, 루프·안테나, 평면 안테나 등, 다양한 타입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요지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은, 예를 들면 계측기나 측정기 등의 데이터 소스(500)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데이터 신호(DS)로 변환하여, 데이터 소스(500)에 접속된 자 기기(A1)로부터 안테나(AT)를 통하여 전파로 방사하고, 또한 중계기(R5)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DS)를 전파시켜, 모 기기(Z9)에까지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하고, 데이터를 통신시키는 시스템이다.
우선,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의 자 기기(A1)에 대해 설명한다. 자 기기(A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이나 진동 발전 등의 환경 발전을 행하는 발전기(EN1)와,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하는 자 기기 송신부(11)와, 자 기기 송신부(11)를 제어하는 자 기기 제어부(51)와,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AT)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자 기기(A1)의 발전기(EN1)는, 태양광 발전이나 진동 발전 등의 환경 발전(에너지 하베스트, 에네르기 하베스트, 에너지 하베스팅, 에네르기 하베스팅 등이라고 호칭되고 있음)을 행하는 기기로서, 이른바 건전지나 축전기 혹은 전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즉, 태양광이나 조명광, 기계가 발생시키는 진동, 열 등의 에너지를 채취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환경 발전은, 주변에 있는 얼마되지 않는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발전이다. 이 발전기(EN1)는, 자 기기 송신부(11) 및 자 기기 제어부(51)에 접속되고, 자신이 발전했을 때에만,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자 기기(A1)의 자 기기 송신부(11)는, 신호 처리 회로 및 송신 회로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소스(500)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포함한 디지털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에서 아날로그 신호인 데이터 신호(DS)로 변환하고 있다. 그리고, 자 기기 송신부(11)는, 발전기(EN1)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접속된 안테나(AT)를 통하여, 송신 회로에서 데이터 신호(DS)를 방사함으로써, 자 기기(A1)의 외부에 데이터 신호(DS)를 전파로 송신하고 있다.
또한, 자 기기 송신부(11)는, 자신을 특정하는 자 기기(A1)의 자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신호(이하, 제 2 정보 신호(ID2)라고 함)도 데이터 신호(DS)와 동시에 송신하고 있다.
자 기기(A1)의 자 기기 제어부(51)는, 집적 회로(IC, integrated circuit)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자 기기 송신부(11)와 접속되어, 자 기기 송신부(11)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어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의 중계기(R5)에 대해 설명한다. 중계기(R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하는 중계 송신부(15)와, 데이터 신호(DS)를 수신하는 중계 수신부(35)와, 중계 송신부(15) 및 중계 수신부(35)를 제어하는 중계 제어부(55)와, 자 기기(A1)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S)를 기억하는 기억부(95)와,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AT)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중계기(R5)의 중계 송신부(15)는, 증폭 회로 및 송신 회로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중계 수신부(35)에서 수신된 자 기기(A1)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S) 혹은 제 2 정보 신호(ID2)를 증폭 회로에서 증폭하고, 접속된 안테나(AT)를 통하여, 송신 회로에서 데이터 신호(DS) 혹은 제 2 정보 신호(ID2)를 외부에 전파로 송신하고 있다. 또한, 중계 송신부(15)는, 중계 수신부(35)에서 수신된 모 기기(Z9)로부터의 제 1 정보 신호(ID1)(후술함)를 증폭 회로에서 증폭하고, 안테나(AT)를 통하여, 송신 회로에서 외부에 전파로 송신하고 있다.
또한, 중계 송신부(15)는, 자신을 특정하는 중계기(R5)의 중계기 식별 정보를 제 1 정보 신호(ID1) 및 제 2 정보 신호(ID2)에 더해 동시에 송신하고 있다.
중계기(R5)의 중계 수신부(35)는, 수신 회로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자 기기(A1)로부터 혹은 중계기(R5)를 통하여 전파되어 온 데이터 신호(DS) 및 제 2 정보 신호(ID2)와, 모 기기(Z9)로부터 혹은 중계기(R5)를 통하여 전파되어 온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 회로에서 수신하여 중계 송신부(15)에 송신하고 있다.
또한, 중계 수신부(35)는, 강도 표시 회로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수신한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산출하여, 중계 제어부(55)에 송신하고 있다. 또한, 중계 수신부(35)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DS) 및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산출하여, 중계 제어부(55)에 송신하고 있다.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중계 송신부(15) 및 중계 수신부(35)와 접속하고 있으며, 중계 송신부(15) 및 중계 수신부(35)의 제어를 하고 있다. 또한, 중계 제어부(55)는,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와 소정의 값인 식별 임계값(후술하는 제 1 임계값)을 비교하거나, 데이터 신호(DS)의 수신 신호 강도(RSSI)와 소정의 값인 데이터 임계값(후술하는 제 2 임계값)을 비교하거나, 제 1 정보 신호(ID1)에 포함되는 중계기 식별 정보나 제 2 정보 신호(ID2)에 포함되는 자 기기 식별 정보 등의 정보를 취출하거나 하고 있다.
중계기(R5)의 기억부(95)는, 메모리 등의 내부 기억 장치나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기억 장치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자 기기(A1)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S)를 기억함과 함께, 중계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 1 정보 신호(ID1)나 자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 2 정보 신호(ID2)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95)는, 소정의 값인 식별 임계값 등을 저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의 모 기기(Z9)에 대해 설명한다. 모 기기(Z9)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DS)의 취득을 위한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를 포함한 제 1 정보 신호(ID1)를 송신하는 모 기기 송신부(19)와, 중계기(R5)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S)를 수신하는 모 기기 수신부(39)와, 모 기기 송신부(19) 및 모 기기 수신부(39)를 제어하는 모 기기 제어부(59)와, 소정의 값 등을 저장하는 기록부(99)와,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AT)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모 기기(Z9)의 모 기기 송신부(19)는, 송신 회로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신호(DS)의 취득을 위한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를 포함한 제 1 정보 신호(ID1)를, 접속된 안테나(AT)를 통하여, 송신 회로에서 제 1 정보 신호(ID1)를 방사함으로써, 모 기기(Z9)의 외부에 제 1 정보 신호(ID1)를 전파로 송신하고 있다.
또한, 모 기기 송신부(19)는, 자신을 특정하는 모 기기(Z9)의 모 기기 식별 정보를 제 1 정보 신호(ID1)에 더해 동시에 송신하고 있다.
모 기기(Z9)의 모 기기 수신부(39)는, 수신 회로 및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중계기(R5)를 통하여 전파되어 온 데이터 신호(DS) 및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 회로에서 수신하고, 신호 처리 회로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모 기기 제어부(59)에 송신하고 있다.
모 기기(Z9)의 모 기기 제어부(59)는, 모 기기 송신부(19) 및 모 기기 수신부(39)와 접속하고 있으며, 모 기기 송신부(19) 및 모 기기 수신부(39)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모 기기 제어부(59)는, 모 기기 수신부(39)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소스(500)의 데이터를 기록부(99)에 저장하거나, 중계기(R5)를 통하여 전파되어 온 데이터 신호(DS)의 저장이나 제 2 정보 신호(ID2)에 포함되는 자 기기 식별 정보나 중계기 식별 정보 등의 정보를 취출하거나 하고 있다.
또한, 모 기기 제어부(59)는, 모 기기 송신부(19)가 소정의 타이밍에서 제 1 정보 신호(ID1)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타이밍이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이나, 데이터 신호(DS)를 일정 횟수 수신한 타이밍 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 기기(Z9)는, 유선으로 접속된 외부 기기에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모 기기(Z9)의 기록부(99)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소스(500)의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소정의 값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어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의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에 있어서의, 제 1 정보 신호(ID1) 및 제 2 정보 신호(ID2)의 전달 방법에 대해, 도 1,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 1 정보 신호(ID1)의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A도이다. 도 4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 2 정보 신호(ID2)의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B도이다.
우선, 모 기기(Z9)로부터 발신되는 제 1 정보 신호(ID1)의 전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모 기기(Z9)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송신하는 소정의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소정의 타이밍인 경우에는, 모 기기(Z9)는, 모 기기 송신부(19)로부터 모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 1 정보 신호(ID1)를 송신한다. 이때, 이 제 1 정보 신호(ID1) 중에, 데이터 신호(DS)의 취득을 위한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모 기기(Z9)의 근방에 배치된 중계기(R5),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중계기(R51), 중계기(R53) 및 중계기(R54)가, 송신되어 온 제 1 정보 신호(ID1)를 중계 수신부(35)에서 수신하고, 중계 제어부(55)가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일정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와, 기억부(95)에 저장되어 있던 제 1 식별 임계값을 비교하여,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기(R5)(중계 제어부(55))는,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채용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중계기(R5)(중계 제어부(55))는, 제 1 식별 임계값 이하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이 수신 신호 강도(RSSI)의 약한 신호를 제 1 정보 신호(ID1)로서 판단하고,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채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모 기기(Z9)에 비교적 가까운 중계기(R51) 및 중계기(R53)는, 어느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하여,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채용해, 모 기기(Z9)로부터 비교적 먼 중계기(R54)는, 어느 제 1 식별 임계값 이하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하므로,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채용하지 않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 1 식별 임계값을 상이한 값으로 복수 가지고 있으며, 제 1 식별 임계값의 대소(大小)로 수신한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의 강약의 차를 구별할 수 있고, 제 1 정보 신호(ID1)의 취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계기(R51)만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중계기(R51), 중계기(R53) 및 중계기(R54)의 전부가 제 1 정보 신호(ID1)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이 선택되는 환경에 따라, 제 1 식별 임계값을 선택하여, 환경에 따른 최적의 송신 경로(TP)를 확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제 1 정보 신호(ID1) 중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 1 정보 신호(ID1) 중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계 제어부(55)는,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기억부(95)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제 1 정보 신호(ID1) 중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중계 제어부(55)는,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기억부(95)에 저장하지 않고, 파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 기기 식별 정보 및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나 그 순서 이력도 더해, 제 1 정보 신호(ID1)를 외부에 중계 송신부(15)에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중계기(R51) 및 중계기(R53)는, 어느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수신했으므로, 모 기기(Z9)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한 이력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를 더해 제 1 정보 신호(ID1)로 하고,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외부에 송신하게 된다.
이어서, 제 1 정보 신호(ID1)가 송신된 중계기(R5)의 근방에 배치된 중계기(R5)는, 식별 정보(모 기기 식별 정보 및 중계기 식별 정보)와 이력 정보가 부가된 제 1 정보 신호(ID1)를 중계 수신부(35)에서 수신하고, 중계 제어부(55)가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일정(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중계기(R51)의 근방에 배치된 중계기(R5)는, 중계기(R52), 중계기(R53) 및 중계기(R55)이며, 중계기(R52), 중계기(R53) 및 중계기(R55)의 각각은,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하고,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일정(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중계기(R53)의 근방에 배치된 중계기(R5)는, 중계기(R51), 중계기(R54) 및 중계기(R56)가 되고, 중계기(R51), 중계기(R54) 및 중계기(R56)의 각각은,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하고,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일정(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동일하게 하여, 제 1 정보 신호(ID1)가 송신된 중계기(R5)의 근방에 배치된 각각의 중계기(R5)(중계 제어부(55))는,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채용하고, 제 1 정보 신호(ID1) 중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정보 신호(ID1)를 기억부(95)에 저장한다. 한편, 각각의 중계기(R5)(중계 제어부(55))는, 제 1 식별 임계값 이하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이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약한 제 1 정보 신호(ID1)로서 판단하고,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채용하지 않고 파기한다.
이어서, 어느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한 중계기(R5)는, 지금까지의 이력(이력 정보)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를 더해, 쇄신한 제 1 정보 신호(ID1)를 외부에 중계 송신부(15)에서 송신한다. 이러한 순서를 각 중계기(R5)가 행하고, 모 기기(Z9)로부터의 제 1 정보 신호(ID1)가 중계기(R5) 사이를 전파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기(R5)가 수신한 제 1 정보 신호(ID1) 중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계기(R5)(중계 제어부(55))는,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기억부(95)에 저장하지 않음과 함께,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외부에 송신하지 않고 종료한다.
이어서, 자 기기(A1)로부터 발신되는 제 2 정보 신호(ID2)의 전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정보 신호(ID2)의 전달 방법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DS)의 전달 방법에 따라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 기기(A1)가 환경 발전으로부터의 전력을 얻어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할 때에, 자 기기(A1)는, 자신을 특정하는 자 기기(A1)의 자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 2 정보 신호(ID2)를 자 기기 송신부(11)에서 송신한다.
이어서, 자 기기(A1)의 근방에 배치된 중계기(R5),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중계기(R56), 중계기(R58) 및 중계기(R59)가, 송신되어 온 데이터 신호(DS)(제 2 정보 신호(ID2)도 포함함)를 중계 수신부(35)에서 수신하고, 중계 제어부(55)가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일정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와, 기억부(95)에 저장되어 있던 제 2 식별 임계값을 비교해,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기(R5)(중계 제어부(55))는,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이 제 2 정보 신호(ID2)를 채용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중계기(R5)(중계 제어부(55))는, 제 2 식별 임계값 이하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이 수신 신호 강도(RSSI)의 약한 신호를 제 2 정보 신호(ID2)로서 판단하고, 이 제 2 정보 신호(ID2)를 채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자 기기(A1)에 비교적 가까운 중계기(R58) 및 중계기(R59)는, 어느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하여, 이 제 2 정보 신호(ID2)를 채용하고, 모 기기(Z9)로부터 비교적 먼 중계기(R56)는, 어느 제 2 식별 임계값 이하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하므로, 이 제 2 정보 신호(ID2)를 채용하지 않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 2 식별 임계값도 제 1 식별값과 마찬가지로, 상이한 값으로 복수 가지고 있으며, 제 2 식별 임계값의 대소로 수신한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의 강약의 차를 구별할 수 있어, 제 2 정보 신호(ID2)의 취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계기(R59)만이 제 2 정보 신호(ID2)를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중계기(R56), 중계기(R58) 및 중계기(R59)의 모두가 제 2 정보 신호(ID2)를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이 선택되는 환경에 따라, 제 2 식별 임계값을 선택하고, 환경에 따른 최적의 송신 경로(TP)를 확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제 2 정보 신호(ID2) 중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 2 정보 신호(ID2) 중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계 제어부(55)는, 이 제 2 정보 신호(ID2)와 데이터 신호(DS)를 기억부(95)에 저장한다. 한편, 제 2 정보 신호(ID2) 중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중계 제어부(55)는, 이 제 2 정보 신호(ID2)를 기억부(95)에 저장하지 않고, 파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이 제 2 정보 신호(ID2)와 데이터 신호(DS)를 기억부(95)에 저장할 때에, 중계 제어부(55)는, 제 2 정보 신호(ID2)를 확인하고, 다른 중계기(R5)를 거치지 않고 자 기기(A1)로부터 직접 송신되어 온 경우, 이 때의 수신 신호 강도(RSSI)도 기억부(95)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에, 이 중계기(R5)는, 소정의 자 기기(A1)의 데이터 신호(DS)를 기억하고 있는 말단 중계기로서 위치 부여된다.
이어서,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 기기 식별 정보 및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나 그 순서 이력도 더해, 제 2 정보 신호(ID2)를 외부에 중계 송신부(15)에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중계기(R58) 및 중계기(R59)는, 어느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했으므로, 자 기기(A1)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한 이력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를 더해 제 2 정보 신호(ID2)로 하고, 이 제 2 정보 신호(ID2)를 외부에 송신하게 된다. 또한, 제 2 정보 신호(ID2)와 동시에 데이터 신호(DS)도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제 2 정보 신호(ID2)가 송신된 중계기(R5)의 근방에 배치된 중계기(R5)는, 식별 정보(모 기기 식별 정보 및 중계기 식별 정보)와 이력 정보가 부가된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하고,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일정(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중계기(R58)의 근방에 배치된 중계기(R5)는, 중계기(R55) 및 중계기(R56)이며, 중계기(R55) 및 중계기(R56) 각각은, 제 2 정보 신호(ID2)를 중계 수신부(35)에서 수신하고, 중계 제어부(55)가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일정(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중계기(R59)의 근방에 배치된 중계기(R5)는, 중계기(R56) 및 중계기(R57)가 되고, 중계기(R56) 및 중계기(R57)의 각각은,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하여,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일정(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동일하게 하여, 제 2 정보 신호(ID2)가 송신된 중계기(R5)의 근방에 배치된 각각의 중계기(R5)(중계 제어부(55))는,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이 제 2 정보 신호(ID2)를 채용하고, 제 2 정보 신호(ID2) 중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정보 신호(ID2)를 기억부(95)에 저장한다. 한편, 각각의 중계기(R5)(중계 제어부(55))는, 제 2 식별 임계값 이하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이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약한 신호를 제 2 정보 신호(ID2)로서 판단하고, 이 제 2 정보 신호(ID2)를 채용하지 않고 파기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DS)가 동시에 송신되고 있던 경우에는, 중계 제어부(55)는, 데이터 신호(DS)도 동시에 기억부(95)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어느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한 중계기(R5)는, 그 때까지의 이력(이력 정보)에 자신의 중계기 식별 정보를 더해, 쇄신한 제 2 정보 신호(ID2)를 외부에 중계 송신부(15)에서 송신한다. 이러한 순서를 각 중계기(R5)가 행하고, 자 기기(A1)로부터의 제 2 정보 신호(ID2)가 중계기(R5) 사이를 전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정보 신호(ID2)가 수신 신호 강도(RSSI)의 보다 강한 조합으로 중계기(R5)를 통하여 전파되어 가므로, 자 기기(A1)로부터 중계기(R5)로의 통신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 기기(Z9)는, 모 기기(Z9)의 근방에 배치된 중계기(R5)로부터의 제 2 정보 신호(ID2)를 모 기기 수신부(39)에서 수신하고, 이 수신한 제 2 정보 신호(ID2)를 모 기기(Z9)의 기록부(99)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정보 신호(ID2)가, 자 기기(A1)로부터 송신되어, 복수의 중계기(R5)를 통하여, 모 기기(Z9)에 전파된다. 그 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가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가지는 제 2 정보 신호(ID2)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중계기(R5)로부터 모 기기(Z9)에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하는 송신 경로(TP)를 축소할 수 있어, 트래픽(통행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에 있어서의, 송신 경로(TP)의 확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송신 경로(TP)의 확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C도이다.
우선, 모 기기(Z9)(모 기기 제어부(59))는, 모 기기 수신부(39)에서 수신하여 기록부(99)에 저장된 제 2 정보 신호(ID2)의 전부에 대해 확인을 행한다. 그리고, 모 기기(Z9)(모 기기 제어부(59))는, 각각의 제 2 정보 신호(ID2)에 기록된 자 기기 식별 정보 및 중계기 식별 정보, 및 이력을 추출하여 비교를 행한다.
이어서, 모 기기 제어부(59)는, 중계기(R5)의 내, 소정의 자 기기(A1)로부터 제 2 정보 신호(ID2)(데이터 신호(DS)도 포함함)가 직접 송신된 중계기(R5)를 소정의 자 기기(A1)에 있어서의 말단 중계기로서, 1개 혹은 복수 특정한다.
이어서, 모 기기 제어부(59)는, 중계기(R5)인 각각의 말단 중계기가 기억하고 있는 제 1 정보 신호(ID1)의 순서 이력을 각각 비교하고, 각각의 순서 이력 중, 모 기기(Z9)로부터 말단 중계기까지의 순서 이력이 가장 적은 경로를 추출하여, 이 경로를 가지는 제 1 정보 신호(ID1)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 순서 이력의 경로의 반대 경로를 소정의 자 기기(A1)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DS)의 송신 경로(TP1)로서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 기기(A1)로부터 중계기(R5)를 통하여 모 기기(Z9)까지의 데이터 신호(DS)의 송신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1개의 자 기기(A1)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S)의 송신 경로(TP1)를 1개로 축소하였으므로, 트래픽(통행량)을 대폭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모 기기 제어부(59)는, 특정한 말단 중계기 중, 기억하고 있는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가장 높은 말단 중계기를 소정의 자 기기(A1)에 있어서의 지정 말단 중계기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이 지정 말단 중계기인 말단 중계기가 기억하고 있는 제 1 정보 신호(ID1)의 순서 이력을 추출하여, 이 순서 이력의 경로의 반대 경로를 소정의 자 기기(A1)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DS)의 송신 경로(TP2)로서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 기기(A1)로부터 중계기(R5)로의 통신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1개의 자 기기(A1)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S)의 송신 경로(TP2)를 1개로 축소하였으므로, 트래픽(통행량)을 대폭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정 말단 중계기가 수신하는 제 2 정보 신호(ID2)(데이터 신호(DS))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가장 높으므로, 자 기기(A1)가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DS)의 송신 신호 강도를 낮게 억제했다고 해도, 지정 말단 중계기에서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 기기(A1)로부터의 송신에 가해지는 전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경로가 적은 송신 경로(TP1)와 자 기기(A1)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높은 송신 경로(TP2)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모 기기(9Z)(모 기기 제어부(59))는, 이 송신 경로(TP1)(송신 경로(TP2))를 소정의 자 기기(A1)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DS)의 송신 경로(TP)로서 확정한다. 한편, 송신 경로(TP1)와 송신 경로(TP2)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 기기(9Z)(모 기기 제어부(59))는, 어느 것을 송신 경로(TP)로서 확정하도록 하고 있다. 어느 것을 선택할지는, 상기 서술한 효과를 선택함으로써, 미리 결정해 두도록 하고 있다.
또한, 어느 송신 경로(TP)의 확정에 있어서도,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인 경우에만 순서 이력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각 중계기(R5)끼리의 사이 및 중계기(R5)와 모 기기(Z9)의 사이의 통신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이에 따라, 말단 중계기(중계기(R5))로부터 모 기기(Z9)로의 통신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경로(TP)의 확정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로 게다가 최적의 송신 경로(TP)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모 기기(Z9)가 소정의 타이밍(상기 서술한 시간이나 횟수 등)에서 제 1 정보 신호(ID1)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최신의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한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최근의 이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판단하여, 이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서술한 순서에 따라, 최근의 송신 경로(TP)를 확정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통신 경로의 사이에서 어떠한 외적 요인이 발생하여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약화된 상태가 계속되었다고 해도, 소정의 타이밍에서,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최근에서 가장 강한 송신 경로(TP)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송신 경로(TP)는, 중계기(R5)의 기억부(95) 및 모 기기(Z9)의 기록부(99)에, 최신의 송신 경로(TP)로서, 덮어 쓰기 저장된다.
마지막으로, 모 기기(Z9)의 모 기기 제어부(59)는, 확정한 송신 경로(TP)를 제 1 정보 신호(ID1)에 포함시켜, 이 제 1 정보 신호(ID1)를 모 기기 송신부(19) 및 안테나(AT)를 통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도 3에 나타내는 전달 방법으로, 모 기기(Z9)로부터의 확정된 송신 경로(TP)가 각 중계기(R5)에 전파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확정된 송신 경로(TP)에 포함된 중계기(R5)는, 미리 결정된 송신 경로(TP)로서, 기억부(95)에 기억하는 것이 된다.
이어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DS)의 송수신 방법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데이터 신호(DS)의 송수신 방법의 플로우 차트 D도이다.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 기기(A1)(자 기기 송신부(11))는, 환경 발전으로부터의 전력을 얻어, 데이터 소스(500)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에서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신호(DS)를 자 기기 송신부(11)에서 생성한다.
이어서, 자 기기(A1)의 자 기기 송신부(11)는, 환경 발전으로부터의 전력을 얻고, 접속된 안테나(AT)를 통하여, 송신 회로에서 데이터 신호(DS)를 전파로 외부에 송신하고 있다. 그 때에는, 자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 2 정보 신호(ID2)를 동시에 송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 기기(A1)가 데이터를 취득해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할 뿐이므로, 데이터의 취득이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자 기기(A1)가 소비하는 환경 발전의 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자 기기(A1)의 근방에 배치된 말단 중계기(중계기(R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 기기(A1)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 신호(DS)(제 2 정보 신호(ID2)도 포함함)를 수신한다. 그리고, 말단 중계기(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기억부(95)에 저장되어 있던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 데이터 신호(DS)(제 2 정보 신호(ID2)도 포함함)를 기억부(95)에 저장한다.
한편, 모 기기(Z9)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소스(500)로부터의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데이터 신호(DS)의 취득을 위한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를 모 기기 송신부(19)로부터 송신한다.
이어서, 중계기(R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되어 온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를 중계 수신부(35)에서 수신하고, 이어서, 중계 송신부(15)에서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말단 중계기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존재하는 중계기(R5)는, 이 수신과 송신을 행하고 있다.
이어서, 자 기기(A1)의 근방에 배치된 말단 중계기(중계기(R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 기기(Z9)로부터 복수의 중계기(R5)를 통하여 전파되어 온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를 수신한다. 그리고, 말단 중계기(중계기(R5))는, 이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에 의거하여, 기억부(95)에 기억된 데이터 신호(DS)를 중계 송신부(15)에서 송신한다.
이어서, 송신 경로(TP) 중에 배정된 중계기(R5)는, 송신되어 온 데이터 신호(DS)를 중계 수신부(35)에서 수신하고, 이어서, 중계 송신부(15)에서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 기기(Z9)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존재하는, 송신 경로(TP) 중에 배정된 중계기(R5)는, 이 수신과 송신을 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시점에서, 모 기기(Z9)가 데이터 신호(DS)를 수신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모 기기(Z9)는, 이 데이터 신호(DS)를 기록부(99)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 기기(Z9)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에 의거하여, 미리 결정된 송신 경로(TP)를 따라, 중계기(R5)가 자 기기(A1)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하여 전파시키고 있으므로, 자 기기(A1)로부터 중계기(R5)를 통하여 모 기기(Z9)까지, 데이터 신호(DS)를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 데이터 신호(DS)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유선으로 접속된 외부 기기에 송신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에 있어서의, 효과에 대해, 이하에 정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은, 자 기기(A1)가 데이터 신호(DS)를 취득하여 송신할 뿐이므로, 데이터의 취득이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자 기기(A1)가 소비하는 환경 발전의 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중계기(R5)는, 자 기기(A1)가 송신한 데이터 신호(DS)를 기억부(95)에서 기억하고, 모 기기(Z9)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RS)에 의거하여, 기억된 데이터 신호(DS)를 미리 결정된 송신 경로(TP)를 따라 송신하므로, 자 기기(A1)로부터 중계기(R5)를 통하여 모 기기(Z9)까지, 데이터 신호(DS)를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적은 자 기기(A1)여도, “자 기기(A1)로부터 모 기기(Z9)로의 송신”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가 모 기기(Z9)로부터의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판단함으로써, 이어서 제 1 정보 신호(ID1)를 송신하도록 하여 순서 이력을 남기고, 모 기기(Z9)의 모 기기 제어부(59)가 소정의 자 기기(A1)로부터 직접 송신된 데이터 신호(DS)를 기억하고 있는 말단 중계기를 특정하여, 모 기기(Z9)로부터 말단 중계기까지의 순서 이력의 반대 경로를 송신 경로(TP)로서 확정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이 송신 경로(TP)를 따라, 자 기기(A1)로부터 모 기기(Z9)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송신 경로(TP)를 확정할 때에,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의 경우에만 순서 이력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각 중계기(R5)끼리의 사이 및 중계기(R5)와 모 기기(Z9)의 사이의 통신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이에 따라, 말단 중계기(중계기(R5))로부터 모 기기(Z9)로의 통신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R5)가 제 1 식별 임계값을 상이한 값으로 복수 가지고 있으므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이 선택되는 환경에 따라, 제 1 식별 임계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에 따른 최적의 송신 경로(TP)를 확정할 수 있어, 자 기기(A1)로부터 중계기(R5)를 통하여 모 기기(Z9)로의 통신을 보다 한층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의 제 2 정보 신호(ID2)를 수신했을 때에, 수신한 제 2 정보 신호(ID2)를 기억부(95)에 기억하므로, 제 2 정보 신호(ID2)가 수신 신호 강도(RSSI)의 보다 강한 조합으로 중계기(R5)를 통하여 전파되어 간다. 이 때문에, 자 기기(A1)로부터 중계기(R5)로의 통신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중계기(R5)로부터 모 기기(Z9)에 데이터 신호(DS)를 송신하는 송신 경로(TP)를 축소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트래픽(통행량)을 억제하면서, 자 기기(A1)로부터 모 기기(Z9)로의 통신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R5)가 제 2 식별 임계값을 상이한 값으로 복수 가지고 있으므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101)이 선택되는 환경에 따라, 제 2 식별 임계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에 따른 최적의 송신 경로(TP)를 확정할 수 있고, 자 기기(A1)로부터 중계기(R5)를 통하여 모 기기(Z9)로의 통신을 보다 한층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자 기기(A1)로부터의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가장 높은 말단 중계기를, 소정의 자 기기(A1)에 있어서의 지정 말단 중계기로 했으므로, 자 기기(A1)로부터 지정 말단 중계기(중계기(R5))로의 송신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고, 이 지정 말단 중계기(중계기(R5))를 포함한 송신 경로(TP)(송신 경로(TP1))에서, 자 기기(A1)로부터 모 기기(Z9)로의 통신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자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S)의 송신 경로(TP)를 1개로 축소하였으므로, 트래픽(통행량)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모 기기(Z9)가 소정의 타이밍(상기 서술한 시간이나 횟수 등)에서 제 1 정보 신호(ID1)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최신의 제 1 정보 신호(ID1)를 수신한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는, 최근의 이 제 1 정보 신호(ID1)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판단하여, 이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서술한 순서에 따라, 최근의 송신 경로(TP)를 확정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통신 경로의 사이에서 어떠한 외적 요인이 발생하여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약화된 상태가 계속되었다고 해도, 소정의 타이밍에서,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최근에서 가장 강한 송신 경로(TP)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의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변형예 1>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정보 신호(ID1)를 이용하여, 모 기기(Z9)로부터 말단 중계기(중계기(R5))까지의 순서 이력을 취득하고, 이 순서 이력의 반대 경로를 소정의 자 기기(A1)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DS)의 송신 경로(TP)로서 확정하도록 적합하게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정보 신호(ID2)를 이용하여, 중계기(R5)의 중계 제어부(55)가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가지는 제 2 정보 신호(ID2)와 구별한 경로를 송신 경로(TP3)로 해도 된다.
<변형예 2>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자 기기(A1)의 데이터 신호(DS)를 기억하고 있는 말단 중계기 중, 제 2 정보 신호(ID2)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가장 높은 말단 중계기를, 소정의 자 기기(A1)에 있어서의 지정 말단 중계기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자 기기(A1)에 대하여 배치하여 설치되는 중계기(R5)의 위치 정보를 사전에 등록해 두고, 소정의 자 기기(A1)에 가장 가까운 중계기(R5)를 지정 말단 중계기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A1 자 기기
11 자 기기 송신부
51 자 기기 제어부
R5, R51, R52, R53, R54, R55, R56, R57, R58, R59 중계기
15 중계 송신부
35 중계 수신부
55 중계 제어부
95 기억부
Z9 모 기기
19 모 기기 송신부
39 모 기기 수신부
59 모 기기 제어부
DS 데이터 신호
ID1 제 1 정보 신호
ID2 제 2 정보 신호
RS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
TP, TP1, TP2, TP3 송신 경로
101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Claims (8)

  1. 자 기기, 중계기, 및 모 기기를 구비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 기기는,
    모 기기 식별 정보와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를 포함한 제 1 정보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모 기기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자 기기는,
    자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 2 정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자 기기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중계기는,
    상기 모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 1 정보 신호와, 상기 자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 2 정보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중계 수신부와,
    상기 중계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신호가 보존되는 기억부와,
    상기 중계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부에 보존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미리 결정된 송신 경로에 따라 외부로 송신하는 중계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모 기기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모 기기 수신부를 더 가지며,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 1 정보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중계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 1 정보 신호에 대하여, 중계기 식별 정보, 상기 모 기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모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의 순서 이력을 더하여, 상기 제 1 정보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중계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모 기기는, 상기 중계기 중, 소정의 상기 자 기기로부터 직접 송신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상기 중계기를 말단 중계기로 하고, 상기 모 기기로부터 당해 말단 중계기까지의 상기 순서 이력의 반대 경로를, 소정의 상기 자 기기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 경로로서 확정하는 모 기기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중계 제어부는, 수신 신호 강도가 제 1 식별 임계값 이상인 상기 제 1 정보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당해 상기 제 1 정보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값이 상이한 복수의 상기 제 1 식별 임계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3. 자 기기, 중계기, 및 모 기기를 구비한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 기기는,
    모 기기 식별 정보와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를 포함한 제 1 정보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모 기기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자 기기는,
    자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 2 정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자 기기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중계기는,
    상기 모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 1 정보 신호와, 상기 자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 2 정보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중계 수신부와,
    상기 중계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신호가 보존되는 기억부와,
    상기 중계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송신 요구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부에 보존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미리 결정된 송신 경로에 따라 외부로 송신하는 중계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모 기기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모 기기 수신부를 더 가지며,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 1 정보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중계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 1 정보 신호에 대하여, 중계기 식별 정보, 상기 모 기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모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의 순서 이력을 더하여, 상기 제 1 정보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중계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모 기기는, 상기 중계기 중, 소정의 상기 자 기기로부터 직접 송신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상기 중계기를 말단 중계기로 하고, 상기 모 기기로부터 당해 말단 중계기까지의 상기 순서 이력의 반대 경로를, 소정의 상기 자 기기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 경로로서 확정하는 모 기기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중계 제어부는, 수신 신호 강도가 제 2 식별 임계값 이상인 상기 제 2 정보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당해 제 2 정보 신호를 상기 기억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값이 상이한 복수의 상기 제 2 식별 임계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 기기 제어부는, 소정의 상기 자 기기의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상기 말단 중계기 중, 상기 제 2 정보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높은 상기 말단 중계기를, 소정의 상기 자 기기에 있어서의 지정 말단 중계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 기기 제어부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정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중계 제어부에 의한 최근의 상기 제 1 정보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의 판단에 의거하여, 최근의 상기 송신 경로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87000567A 2015-08-20 2016-06-17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92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2547 2015-08-20
JPJP-P-2015-162547 2015-08-20
PCT/JP2016/068149 WO2017029875A1 (ja) 2015-08-20 2016-06-17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526A KR20180016526A (ko) 2018-02-14
KR102092801B1 true KR102092801B1 (ko) 2020-03-24

Family

ID=5805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567A KR102092801B1 (ko) 2015-08-20 2016-06-17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43713B2 (ko)
KR (1) KR102092801B1 (ko)
WO (1) WO2017029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2758B (zh) * 2019-08-22 2021-02-26 浙江工业大学 一种基于多时隙无线能量收集的认知携能中继通信方法
CN111065142B (zh) * 2020-01-17 2020-10-30 哈尔滨工业大学(深圳)(哈尔滨工业大学深圳科技创新研究院) 用于能量收集无线网络的中继选择方法
JP7365622B1 (ja) 2023-05-08 2023-10-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親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440B1 (ko) * 2002-06-28 2006-08-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통신기기 및 무선통신방법
JP2010124112A (ja) * 2008-11-18 2010-06-03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無線中継装置、これを備えている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の通信制御方法
WO2014049975A1 (ja) 2012-09-28 2014-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4216993A (ja)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4981A (ja) * 2002-10-09 2004-04-30 Canon Inc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00128622A1 (en) * 2007-05-11 2010-05-27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1097340A (ja) * 2009-10-29 2011-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リレー局および無線リソース制御方法
WO2012093428A1 (ja) * 2011-01-05 2012-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ノード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干渉低減方法
JP2014072733A (ja) 2012-09-28 2014-04-21 Panasonic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440B1 (ko) * 2002-06-28 2006-08-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통신기기 및 무선통신방법
JP2010124112A (ja) * 2008-11-18 2010-06-03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無線中継装置、これを備えている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の通信制御方法
WO2014049975A1 (ja) 2012-09-28 2014-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4216993A (ja)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9875A1 (ja) 2017-02-23
JP6543713B2 (ja) 2019-07-10
KR20180016526A (ko) 2018-02-14
JPWO2017029875A1 (ja)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84963A1 (zh) 射频识别系统、组建中继网络的方法和阅读器、中继器
US10055570B2 (en) Mesh relay
CN111712727B (zh) 协作辅助位置估计技术
US914629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lave station device, master st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US201802548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a target reg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092801B1 (ko)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US2013015756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istributed Tag Tracking
US817988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359623A1 (en) Wireless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US9998201B2 (en) Battery powered wireless relay switching to routing state on the basis of signal intensity
TW200731692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KR101077615B1 (ko)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
US20170351886A1 (en) Rfid transponder querying system
KR101940205B1 (ko) 통신 신호체계 변경을 통한 iot 단말기의 전원(배터리) 성능제어관리 시스템
US80183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FID asset monitor
JP2018026684A (ja) 無線システム
JP6410922B2 (ja)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8182656A (ja) 中継装置、タグ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JP430258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計時機能を有する無線通信装置
US8831661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acting a target mobile station using a secondary connection
US20200358469A1 (e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11824370B2 (en) Retrodire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via backscattering
US2014014027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ting terminal
KR101967860B1 (ko) 통신 인프라스트럭쳐 환경에서의 배터리리스 태그 데이터 통신 시스템
JP3159614U (ja) 移動体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