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615B1 -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615B1
KR101077615B1 KR1020090047540A KR20090047540A KR101077615B1 KR 101077615 B1 KR101077615 B1 KR 101077615B1 KR 1020090047540 A KR1020090047540 A KR 1020090047540A KR 20090047540 A KR20090047540 A KR 20090047540A KR 101077615 B1 KR101077615 B1 KR 101077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area
relay
signal
rfid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880A (ko
Inventor
장경희
홍성현
송인찬
장홍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7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61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은, 소정의 인식 대상에 부착되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태그, 태그 인식을 위해 필요한 RF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리더 및 RFID 리더가 인식할 수 있는 제1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며, RFID 리더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태그 중 제1 인식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2 영역 태그에 RF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영역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RFID 리더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영역 중계 태그를 포함한다.
RFID, 다중 홉, 중계 태그, 능동형 태그, 태그 인식

Description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 {Act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ulti hop relay system and tags recognition method}
본 발명은 능동형 RFID 다중 홉(hop) 중계 시스템 및 그의 태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FID 리더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능동형 RFID 다중 홉(hop)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RFID 시스템은 각종 물품에 소형 태그(tag)를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시스템이다. RFID 리더가 태그를 인식하는 과정은, RFID 리더가 안테나를 통하여 전파신호를 출력하면 이 신호를 받은 태그(tag)가 응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ID 시스템(10)은 RFID 리더(11), 제1 내지 제4 태그(12, 13, 14, 15)를 포함한다.
RFID 리더(11)가 태그 정보를 요청하는 RF 신호를 전송하면, RFID 리더(11)의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하는 태그는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RFID 리더(11)에 전송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RFID 리더(11)에서 생성된 RF 신호는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하는 제1 태그(12) 및 제2 태그(13)에만 전송된다. 그 결과 RFID 리더(11)는 제1 태그(12) 및 제2 태그(13)의 태그 데이터만을 수신하고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하지 않는 제3 태그(14) 및 제4 태그(15)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이 같이 RFID 리더(11)의 인식 거리 한계에 따라 태그 인식률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RFID 리더(11)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켜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리더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한 RF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 태그를 구비함으로써, RFID 리더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켜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ID 시스템은, 소정의 인식 대상에 부착되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태그, 상기 태그 인식을 위해 필요한 RF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리더 및 상기 RFID 리더가 인식할 수 있는 제1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며,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상기 RF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태그 중 상기 제1 인식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2 영역 태그에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영역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RFID 리더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영역 중계 태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태그 중 상기 제1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1 영역 태그는,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RFID 리더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은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가 인식할 수 있는 제2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 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영역 중계 태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영역 중계 태그는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로부터 상기 RF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태그 중 상기 제2 인식 거리 밖에 위치하는 태그에 전송하고, 상기 제3 영역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계 태그는 상기 RFID 리더와 신호 송수신하는 리더 송수신부, 타 영역 중계 태그와 신호 송수신하는 중계 태그 송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와 신호 송수신하는 태그 송수신부, 상기 태그 송수신부를 통해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리더는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 또는 제1 영역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RF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태그를 슬립(sleep)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wake-up), 상기 복수 개의 태그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요청하는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 및 상기 복수 개의 태그를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슬립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 방법은, 태그 인식을 위해 RFID 리더에서 생성된 RF 신호를, 상기 RFID 리더가 인식할 수 있는 제1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1 영역 태그와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가 상기 제1 인식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2 영역 태그에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영역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 데이터를 상기 RFID 리더에 전송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영역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태그 데이터를 수신한 제1 영역 중계 태그가 상기 태그 데이터를 상기 RFID 리더에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가 상기 제1 인식 거리 밖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가 인식할 수 있는 제2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2 영역 중계 태그에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그 인식 방법은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영역 중계 태그가 상기 제2 인식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3 영역 태그에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6 단계, 상기 제3 영역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영역 중계 태그가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태그에서 전송한 태그 데이터가 상기 RFID 리더에 수신되면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로부터 전송한 태그 데이터가 상기 RFID 리더에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태그를 슬립(sleep)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wake-up), 상기 복수 개의 태그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요청하는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 및 상기 복수 개의 태그를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슬립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 태그를 이용하여 RFID 리더와 복수 개의 태그들 간의 RF 신호 송수신을 중계함으로써 RFID 리더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중계 태그를 통해 RFID 리더의 인식 거리 밖에 있는 태그에 RF 신호를 전달하고, 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RFID 리더에 전달함으로써 RFID 리더의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능동형 RFID 다중 홉(hop) 중계 시스템(100)은 RFID 리더(110), 제1 내지 제7 태그(121, 122, 123, 124, 125, 126, 127) 및 제1 내지 제4 중계 태그(131, 132, 133, 13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100)에서, 제1 내지 제7 태그(121~127)와, 전원을 공급하여 RF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할 수 있다. 이 같은 성격의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100)은 ISO/IEC 18000-7의 무선 인 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RFID 리더(110)와 제1 내지 제7 태그(121~127), 그리고 제1 내지 제4 중계 태그(131~134)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RFID 리더(110)는 소정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이하에서는, "태그"라 함)에 RF 신호를 전송하고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주변에 위치한 태그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태그 데이터란, 태그 자체 ID와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에 대한 정보(물품명, 물품 식별 번호, 물품 위치) 등을 일컫는 것으로, 물품 및 태그에 대한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100)에서, RFID 리더(110)는 RF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 경우, RF 신호는 제1 내지 제7 태그(121~127)를 슬립(sleep) 모드에서 웨이크업(wake-up)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 제1 내지 제7 태그(121~127)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요청하는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 및 제1 내지 제7 태그(121~127)를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슬립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RFID 리더(110)는 RF 신호를 생성하여 RFID 리더(110)가 인식할 수 있는 제1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하는 제1 영역 태그 및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한다. 이 경우, 제1 인식 거리(A)는 RFID 리더(110)가 주변에 위치한 태그(또는 중계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 즉, RF 신호가 태그(또는 중계 태그)에 전달되어 태그로 부터 응답 신호를 받을 수 있는 거리를 말한다.
또한, 제1 영역 태그는 제1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하는 모든 태그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2에서는 제1 태그(121)가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 중계 태그 역시 제1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하는 모든 중계 태그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중계 태그(131), 제2 중계 태그(132) 및 제3 중계 태그(133)가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 태그에 해당하는 제1 태그(121)는 RF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RF 신호가 웨이크업 신호인 경우에 제1 태그(121)는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고, RF 신호가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인 경우에는 제1 태그(121)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RFID 리더(110)에 전송한다. 또한, RF 신호가 슬립 신호인 경우에 제1 태그(121)는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이 같이 RFID 리더(110)와 제1 태그(121)는 별도의 중계 태그 없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1-홉 통신을 한다.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중계 태그(131~133)는 RF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인식 거리(A) 밖에 위치하며 제2 인식 거리(B, C, D) 내에 위치하는 제2 영역 태그에 전송한다. 즉, 제1 인식 거리(A)와 제2 인식 거리(B, C, D) 사이 영역에 위치하는 태그들에 전송한다.
이 경우, 중계 태그에 따라 제2 인식 거리 및 제2 영역 태그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중계 태그(131)의 제2 인식 거리는 B 영역이며, 제1 중계 태 그(131)의 제2 영역 태그는 제2 인식 거리(B) 내에 위치하는 제2 태그(122)이다. 또한, 제2 중계 태그(131)의 제2 인식 거리는 C 영역이며, 제2 중계 태그의 제2 영역 태그는 제2 인식 거리(C) 내에 위치하는 제3 및 제4 태그(123, 124)이다. 그리고, 제3 중계 태그(131)의 제2 인식 거리는 D 영역이며, 제2 중계 태그의 제2 영역 태그는 제2 인식 거리(D) 내에 위치하는 제5 태그(125)이다.
제2 내지 제5 태그(122~125)는 각각의 제1 영역 중계 태그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진행한다. 만약, RF 신호가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인 경우에는 제2 내지 제5 태그(122~125)는 각각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영역 중계 태그를 이용하여 RFID 리더(110)와 제1 인식 거리(A) 밖에 위치하는 제2 내지 제5 태그(122~125)들 간의 RF 신호를 2-홉(hop) 통신함으로써, RFID 리더(110)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중계 태그(131~133)는 RF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인식 거리(A) 밖에 위치하며 제2 인식 거리(B, C, D) 내에 위치하는 제2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한다. 도 2에서 제2 영역 중계 태그로는 제4 중계 태그(134)가 해당할 수 있다.
제4 중계 태그(134)는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해당하는 제3 중계 태그(133)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면, 제4 중계 태그(134)가 인식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하 는 제3 영역 태그에 전송한다. 즉, 제2 인식 거리(D) 밖에 위치하며, 제3 인식 거리(E) 내에 위치하는 태그들에 전송한다.
제3 영역 태그에는 제6 태그(126) 및 제7 태그(127)가 해당할 수 있다. 이 같이, 제3 및 제4 중계 태그(133, 134)를 이용하여 RFID 리더(110)와 제6 및 제7 태그(126, 127)들 간의 RF 신호를 3-홉 통신으로 중계함으로써, RFID 리더(110)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1-홉 통신, 2-홉 통신 및 3-홉 통신을 하는 RFID 리더(110), 제2 내지 제7 태그(122~127) 및 제1 내지 제4 중계 태그(131~134)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중계 태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중계 태그(131)는 리더 송수신부(131a), 중계 태그 송수신부(131b), 태그 송수신부(131c), 저장부(131d) 및 전원부(131e)를 포함한다.
리더 송수신부(131a)는 RFID 리더(11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거나, RFID 리더(110)로 태그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중계 태그 송수신부(131b)는 인식할 수 있는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는 타 중계 태그와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태그 송수신부(131c)는 제1 중계 태그(131)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와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저장부(131d)는 RFID 리더(110)와 태그들 간의 RF 신호를 중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1d)는 중계 태그 송수신부(131b)로부터 수신된 태그 데이터나, 태그 송수신부(131)로부터 수신된 태그 데이터를 RFID 리더(110)에 전송하기 전에 저장할 수 있다.
전원부(131e)는 리더 송수신부(131a), 중계 태그 송수신부(131b), 태그 송수신부(131c) 및 저장부(131d)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 중계 태그(131)가 RF 신호를 송수신 및 저장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1 중계 태그(131)에 대한 구성만을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제2 내지 제4 중계 태그(132~134)의 구성 역시 제1 중계 태그(131)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1-홉 및 2-홉 통신에 따른 태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1-홉 통신이란, 별도의 중계 태그 없이 RFID 리더(110)와 제1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하는 제1 영역 태그 간의 통신 구조를 말한다. 도 2에서 1-홉 통신이 적용되는 구성은, RFID 리더(110)-제1 태그(121) 조합이 있을 수 있다.
2-홉 통신이란, 제1 영역 중계 태그를 이용하여 RFID 리더(110)와 제1 인식 거리(A) 밖에 위치하는 제2 영역 태그 간의 RF 신호를 중계하는 통신 구조를 말한다. 도 2에서 2-홉 통신이 적용되는 구성은, RFID 리더(110)-제1 중계 태그(131)-제2 태그(122) 조합, RFID 리더(110)-제2 중계 태그(132)-제3 태그(123) 조합, RFIF 리더(110)-제2 중계 태그(132)-제4 태그(124) 조합 및 RFID 리더(110)-제3 중계 태그(133)-제5 태그(125) 조합이 있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RFID 리더(110)-제1 중계 태그(131)-제2 태그(122) 조합의 2-홉 통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은 다른 조합의 2-홉 통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RFID 리더(11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는 제1 영역 태그와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전달되고,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전달된 RF 신호는 다시 제2 영역 태그에 전달된다. 이에 대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FID 리더(110)는 주변 태그들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요청하여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의해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RFID 리더(110)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인식 가능한 제1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하는 제1 태그(121) 및 제1 중계 태그(131)에 전송한다.
이 후, RFID 리더(110)는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제1 태그(121) 및 제1 중계 태그(131)에 전송한다. 이 경우, 제1 태그(121)는 제1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한 것으로, RFID 리더(110)와 1-홉 통신을 한다. 따라서, 제1 태그(121)는 RFID 리 더(11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 및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제1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1 영역 태그 데이터로써 RFID 리더(110)에 전송한다. 이 경우, RFID 리더(110)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및 제2 영역 태그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RFID 리더(110)는 제1 영역 태그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제1 태그(121)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중계 태그(131)는 제1 인식 거리(A) 밖에 위치하는 제2 태그(122)와, RFID 리더(110) 간의 RF 신호를 중계하는 2-홉 통신을 한다. 따라서, 제1 중계 태그(131)는 RFID 리더(110)로부터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 및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2 태그(122)에 전송한다.
제2 태그(122)는 제1 중계 태그(131)가 인식할 수 있는 제2 인식 거리(B)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 중계 태그(131)로부터 웨이크업 신호 및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제2 태그(122)는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되고,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2 태그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 경우, 제2 태그(122)로부터 제2 태그 데이터가 독출되는 동안 제1 중계 태그(131)는 제2 영역 태그의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모드로 동작한다.
이 후, 제2 태그(122)는 독출된 제2 태그 데이터를 제1 중계 태그(131)에 전송한다. 이 같은 과정에 의해 제2 태그(122)의 제2 태그 데이터가 제1 중계 태그(131)에 수신되면, 제1 중계 태그(131)는 수신된 제2 태그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제2 영역 태그 데이터로써 RFID 리더(110)에 전송한다. 따라서, RFID 리더(110)는 제2 영역 태그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제2 태그(122)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RFID 리더(110)는 인식된 제1 및 제2 태그(121, 122)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제1 태그(121) 및 제1 중계 태그(131)에 슬립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태그(121)는 슬립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제1 중계 태그(131)는 수신된 슬립 신호를 제2 태그(122)에 전송하여 제2 태그(122)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이 태그 인식을 위해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하나의 수집 라운드가 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태그(121), 제1 중계 태그(131) 및 제2 태그(122)는 RF 신호에 대한 송수신 또는 태그 데이터 독출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중계 태그와 하나의 태그에 대한 2-홉 통신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중계 태그와 복수의 태그에 대한 2-홉 통신 역시 동일한 과정으로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수집 라운드에서 복수의 태그들로부터 수집된 태그 데이터들 중 여러 간섭 요인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는 태그가 존 재하는 경우에는, 인식된 태그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인식되지 않은 태그에 대해서는 수집 라운드를 다시 진행하여 태그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는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1-홉, 2-홉 및 3-홉 통신에 따른 태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홉 통신이란, 별도의 중계 태그 없이 RFID 리더(110)와 제1 영역 태그 간에 RF 신호가 송수신되는 통신 구조를 말한다. 또한, 2-홉 통신이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의해 RF 신호가 중계되는 통신 구조를 말한다.
그리고, 3-홉 통신이란, 제1 영역 중계 태그 및 제2 영역 중계 태그를 이용하여, RFID 리더(110)와 제3 인식 거리(E) 내에 위치하는 제3 영역 태그 간의 RF 신호를 중계하는 통신 구조를 말한다. 도 2에서 3-홉 통신이 적용되는 구성은, RFID 리더(110)-제3 중계 태그(133)-제4 중계 태그(134)-제6 태그(126) 조합, RFID 리더(110)-제3 중계 태그(133)-제4 중계 태그(134)-제7 태그(127) 조합이 있을 수 있다.
먼저, RFID 리더(110)는 RF 신호로써 웨이크업 신호 및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웨이크업 신호 및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는 제1 인식 거리(A)에 전송되는 것으로, 제1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하는 제1 영역 태그 및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된다. 도 2에서 제1 영역 태그로는 제1 태그(121)가 해당되며, 제1 영역 중계 태그로는 제1 내지 제3 중계 태그(131~133)가 해당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이들 중계 태그 중 제3 중계 태그(133)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태그(121)는 제1 영역 태그에 해당하는 것으로, RFID 리더(110)로부터 직접 RF 신호를 전송받는다. 제1 태그(121)는 웨이크업 신호 및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제1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1 영역 태그 데이터로써 RFID 리더(110)에 전송한다. 이 경우, RFID 리더(110)는 제1 영역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영역 태그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제1 영역 중계 태그에 해당하는 제3 중계 태그(133)는 RFID 리더(11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 및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웨이크업 신호와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제3 중계 태그(133)가 인식할 수 있는 제2 인식 거리(B) 내에 위치한 제2 영역 태그 및 제2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한다.
도 2에서 제2 영역 태그에는 제2 내지 제5 태그(125)가 해당되며, 제2 영역 중계 태그에는 제4 중계 태그(134)가 해당된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제2 영역 태그로 제5 태그(1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2 영역 태그에 해당하는 제5 태그(125)는 제3 중계 태그(133)로부터 웨이크업 신호와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제5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2 영역 태그 데이터로써 제3 중계 태그(133)에 전송한다. 이 후, 제3 중계 태그(133)는 수신된 제2 영역 태그 데이터를 저장한 후 RFID 리더(110)에 전송한다. 이 경우, RFID 리더(110)는 제2 영역과 제3 영역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및 제3 영역 태그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제4 중계 태그(134)는 제3 중계 태그(133)로부터 웨이크업 신호와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이들 신호를 제3 인식 거리(E) 내에 위치하는 제3 영역 태그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3 영역 태그로는 제6 태그(126) 및 제7 태그(127)가 해당한다. 따라서, 제6 태그(126) 및 제7 태그(127)는 제4 중계 태그(134)로부터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와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고 각각 제6 및 제7 태그 데이터를 독출한다. 그리고, 제6 태그(126)는 독출된 제6 태그 데이터를 제3 영역 태그 데이터로써 제4 중계 태그(134)에 전달하고, 제7 태그(127)는 제7 태그 데이터를 제3 영역 태그 데이터로써 제4 중계 태그(134)에 전송한다.
이 후, 제4 중계 태그(134)는 수신된 제6 및 제7 태그(126, 127)에 대한 제3 영역 태그 데이터를 제3 중계 태그(133)에 전송하고, 제3 중계 태그(133)는 이를 다시 RFID 리더(110)에 전송하게 된다. 이 같은 과정에 의해 RFID 리더(110)는 제1 인식 거리(A) 내에 위치한 제1 태그(121) 외에도, 제1 인식 거리(A) 밖에 위치한 제5 태그(125), 제6 태그(126) 및 제7 태그(127)에 대한 각 영역의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태그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제5 태그(125)와 제6 태그(126)의 데이터가 여러 간섭 요인에 의하여 RFID 리더(110)에 수집되지 않았다면, RFID 리더(110)는 제5 태그(125) 및 제6 태그(126)를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인식된 제1 태그(121) 및 제7 태그(127)에는 슬립 신호를 전송한다. 이 과정이 태그 인식을 위해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수집 라운드가 될 수 있다.
제1 수집 라운드가 종료되면, 도 5b에 도시된 제2 수집 라운드를 통해 제5 태그(125)와 제6 태그(126)의 태그 데이터 수집을 다시 시작한다.
도 5b에 도시된 제2 수집 라운드에서, RFID 리더(110)로부터 생성된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는 제3 중계 태그(133)에 전송된다. 그리고, 제3 중계 태그(133)는 제5 태그(125) 및 제4 중계 태그(134)에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5 태그(125)는 제5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3 중계 태그(133)에 전송하며, 제3 중계 태그(133)는 수신된 제5 태그 데이터를 제2 영역 태그 데이터로써 RFID 리더(110)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4 중계 태그(134)는 수신된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제6 태그(126) 에 전송한다. 제6 태그(126)는 수신된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제6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3 영역 태그 데이터로써 제4 중계 태그(134)에 전송한다. 이 후, 제4 중계 태그(134)는 제3 중계 태그(133)를 통해 RFID 리더(110)에 제3 영역 태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과정에 따라 제2 수집 라운드가 진행되어 제1 수집 라운드에서 인식되지 않은 태그들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제1 태그(121), 제3 중계 태그(131), 제5 태그(125), 제4 중계 태그(134), 제6 태그(126) 및 제7 태그(127)는 RF 신호에 대한 송수신 또는 태그 데이터 독출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리더(110)는 제3 중계 태그(133) 및 제4 중계 태그(134)를 이용하여 제1 인식 거리(A) 밖에 위치하는 제5 태그(125), 제6 태그(126) 및 제7 태그(127)를 인식함으로써, RFID 리더(110)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켜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표 1 및 표 2는 리더 감도(sensitivity)가 -80dBm이고, 태그 감도가 -75dBm인 경우에 있어서 Free space path loss 채널 하에서 도 5a 도 5b에서와 같이, 1-홉 통신, 2-홉 통신 및 3-홉 통신을 하는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인식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이 경우, 표 1은 순방향 링크의 인식 거리이며, 표 2는 역방향 링크의 인식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순방향 링크란 RFID 리더에서 태그로 RF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을 의미하며, 역방향 링크란 태그에서 RFID 리더로 RF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을 의미한다.
구분 인식 거리[m]
1-홉 131.550
2-홉 157.746
3-홉 183.942
중계 태그-태그 거리 26.196
구분 인식 거리[m]
1-홉 198.491
2-홉 224.687
3-홉 250.883
중계 태그-태그 거리 26.196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중계 태그 없이 RFID 리더와 태그가 직접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종래의 1-홉 통신의 RFID 시스템에서는 인식 거리가 2-홉 및 3홉 통신을 하는 경우보다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1 및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RFID 리더와 태그 간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방향 링크에서의 태그의 감도(sensitivity) 변화에 따른 인식 거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1-홉 통신, 2-홉 통신 및 3-홉 통신에 있어서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 대한 각 태그의 신호 수신 감도를 -80dBm에서 -60dBm로 변화시켜 그에 따른 인식 거리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중계 태그 없이 RFID 리더와 태그가 직접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1-홉 통신은 -60dBm 내지 -80dBm의 신호 수신 감도에서 약 20~200m의 인식 거리를 갖는다.
그리고,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RFID 리더가 제1 영역 중계 태그를 통해 RFID 리더가 인식하지 못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제2 영역 태그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2-홉 통신은 -60dBm 내지 -80dBm의 신호 수신 감도에서 약 23~240m의 인식 거리를 갖는다.
또한,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RFID 리더가 제1 및 제2 영역 중계 태그를 통해, RFID 리더 및 제1 영역 중계 태그가 인식하지 못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제3 영역 태그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3-홉 통신은 -60dBm 내지 -80dBm의 신호 수신 감도에서 약 27~280m의 인식 거리를 갖는다.
이 같이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1-홉 통신보다 2-홉 통신이나 3-홉 통신이 순방향 링크에서의 인식 거리가 보다 긴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계 태그를 이용한 다중 홉 통신을 구현함으로써, RFID 리더와 태그 간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방향 링크에서의 리더의 감도(sensitivity) 변화에 따른 인식 거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1-홉 통신, 2-홉 통신 및 3-홉 통신에 있어서, 각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 대한 RFID 리더의 신호 수신 감도를 -85dBm에서 -70dBm로 변화시켜 그에 따른 인식 거리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중계 태그 없이 태그와 RFID 리더가 직접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1-홉 통신은 -70dBm 내지 -85dBm의 신호 수신 감도에서 약 50~300m의 인식 거리를 갖는다.
그리고,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제2 영역 태그가 제1 영역 중계 태그를 통해 RFID 리더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2-홉 통신은 -70dBm 내지 -85dBm의 신호 수신 감도에서 약 65~340m의 인식 거리를 갖는다.
또한,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제3 영역 태그가 제1 및 제2 영역 중계 태그를 통해 RFID 리더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3-홉 통신은 -70dBm 내지 -85dBm의 신호 수신 감도에서 약 80~370m의 인식 거리를 갖는다.
이 같이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역시 1-홉 통신보다는 2-홉 통신에서 RFID 리더와 태그 간의 인식 거리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2-홉 통신보다는 3-홉 통신에서 RFID 리더와 태그 간의 인식 거리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1 및 표 2와 도 6 및 도 7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RFID 리더-태그 간의 인식 거리는 역방향 링크보다는 순방향 링크에서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 인식 거리는 순방향 링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중계 태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방향 링크에서의 감도(sensitivity) 변화에 따른 인식 거리를 나타내는 그래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방향 링크에서의 감도(sensitivity) 변화에 따른 인식 거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능동형 RFID 다중 홉 시스템 110 : RFID 리더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태그
131, 132, 133, 134 : 중계 태그

Claims (13)

  1. RFID 리더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인식 대상에 부착되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태그와,
    상기 태그 인식을 위해 필요한 RF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리더와,
    상기 RFID 리더가 인식할 수 있는 제 1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며,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상기 RF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태그 중 상기 제 1 인식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 2 영역 태그에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영역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RFID 리더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가 인식할 수 있는 제 2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로부터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영역 중계 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영역 중계 태그는, 상기 복수 개의 태그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영역 중계 태그의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3 영역 태그에 수신된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는 상기 제 2 영역 태그 또는 상기 제 2 영역 중계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신된 상기 태그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리더에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계 태그는,
    상기 RFID 리더와 신호 송수신하는 리더 송수신부와,
    타 영역 중계 태그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계 태그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태그 송수신부와,
    상기 태그 송수신부를 통해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RF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태그를 슬립(sleep)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wake-up), 상기 복수 개의 태그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요청하는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 및 상기 복수 개의 태그를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슬립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리더는
    상기 복수 개의 태그 각각의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최초 상기 RF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수집 라운드에, 상기 복수 개의 태그 각각에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수집 라운드의 다음번 라운드에 해당하는 제2 수집 라운드에는, 상기 복수 개의 태그 중 상기 제1 수집 라운드에서 수집되지 않은 태그 데이터를 가지는 제1 태그들에게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태그들의 태그 데이터 수집을 하는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태그 중 상기 제1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1 영역 태그는,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RFID 리더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영역 중계 태그는,
    상기 제 3 영역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영역 중계 태그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 또는 제 1 영역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7. 삭제
  8. RFID 리더의 인식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방법에 있어서,
    태그 인식을 위해 상기 RFID 리더에서 생성된 RF 신호를, 상기 RFID 리더가 인식할 수 있는 제 1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1 영역 태그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가 상기 제 1 인식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 2 영역 태그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 중계 태그에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영역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 데이터를 상기 RFID 리더에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영역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태그 데이터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가 상기 태그 데이터를 상기 RFID 리더에 전송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 중계 태그가 상기 제 2 인식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 3 영역 태그에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3 영역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 중계 태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 중계 태그에 전송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계 태그는,
    상기 RFID 리더와 신호 송수신하는 리더 송수신부와,
    타 영역 중계 태그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계 태그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태그 송수신부와,
    상기 태그 송수신부를 통해 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계 태그는 각각의 상기 중계 태그 송수신부를 통해 서로 상기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RF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태그를 슬립(sleep)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wake-up), 상기 복수 개의 태그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요청하는 태그 데이터 요청 신호 및 상기 복수 개의 태그를 웨이크업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슬립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환시키기 위한 슬립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방법은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8 단계를 하나의 수집 라운드로 보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태그 각각의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최초 수집 라운드인 제1 수집 라운드의 다음번 라운드에 해당하는 제2 수집 라운드에는, 상기 복수 개의 태그 중 상기 제1 수집 라운드에서 수집되지 않은 태그 데이터를 가지는 제1 태그들에게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태그들의 태그 데이터 수집을 하는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태그에서 전송한 태그 데이터가 상기 RFID 리더에 수신되면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중계 태그로부터 전송한 태그 데이터가 상기 RFID 리더에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의 태그 인식 방법.
  13. 삭제
KR1020090047540A 2009-05-29 2009-05-29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 KR101077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540A KR101077615B1 (ko) 2009-05-29 2009-05-29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540A KR101077615B1 (ko) 2009-05-29 2009-05-29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880A KR20100128880A (ko) 2010-12-08
KR101077615B1 true KR101077615B1 (ko) 2011-10-27

Family

ID=4350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540A KR101077615B1 (ko) 2009-05-29 2009-05-29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899B1 (ko) * 2012-02-28 2013-08-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33608B1 (ko) * 2013-02-27 2014-08-26 쓰리에이로직스(주) Nfc 브릿지 장치
KR102140614B1 (ko) * 2014-03-20 2020-08-04 엘에스일렉트릭(주)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KR102140570B1 (ko) * 2014-04-01 2020-08-04 엘에스일렉트릭(주)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KR102452353B1 (ko) * 2020-04-28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CN115664469B (zh) * 2022-10-18 2024-04-12 北京计算机技术及应用研究所 一种超高频rfid系统间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880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615B1 (ko) 능동형 rfid 다중 홉 중계 시스템 및 태그 인식 방법
US7532120B2 (en) RFID power from handset transmissions
US201601889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harvest from a proximity coupling device
JP4406435B2 (ja) マルチホップ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電波障害回避方法、マルチホップ無線システム、中継局、中継局の電波障害回避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911092A (zh) Rfid通信单元的询问
CN102870004B (zh) 用于无线传感器网络的网络节点
JP2012512463A (ja) 両立的または排他的なrfidタグの交信およびクエリラウンド
KR102090760B1 (ko) 백스캐터 릴레이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300097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sence recognition of a second portable data carrier by a first portable data carrier
US20210271833A1 (en) Tag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DE602004015776D1 (de) Frequenzsprung-spreizspektrumsschema für einen rfid-leser
US9959434B1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for logistic tracking
KR101254031B1 (ko) 물체 근접인식 센서기능이 있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태그 리더기
CN106412804B (zh) 用于物流追踪的双向通信系统
Liu et al. On the design of multi-hop tag-to-tag routing protocol for large-scale networks of passive tags
US20180082089A1 (en) System for querying rfid transponders via frequency transposition
KR102092801B1 (ko)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CN10186738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传感网节点及其传输方法
CN105117744B (zh) 一种采用超高频rfid读写器进行自组网通信的方法
WO2015143731A1 (en) Mobile reader
CN108596322B (zh) 一种标签独立供能的超高频rfid装置和方法
KR101584953B1 (ko) 알에프아이디 유에치에프 알에프 인터럽트 로직회로
Butt et al. Ambient IoT: A missing link in 3GPP IoT devices landscape
JP5689372B2 (ja) Rfid無線通信機器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US8791796B2 (en) Wireless tag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for wireless ta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wireless ta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