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227B1 -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227B1
KR102092227B1 KR1020180106614A KR20180106614A KR102092227B1 KR 102092227 B1 KR102092227 B1 KR 102092227B1 KR 1020180106614 A KR1020180106614 A KR 1020180106614A KR 20180106614 A KR20180106614 A KR 20180106614A KR 102092227 B1 KR102092227 B1 KR 102092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represented
tyrosinase
skin whit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559A (ko
Inventor
김우근
이상우
윤석주
박철민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0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227B1/ko
Priority to US16/562,298 priority patent/US11166891B2/en
Publication of KR20200028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15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05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aromatic ring being a non-condens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18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 C07C41/30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e.g. by olig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57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carbon atoms both belonging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43/285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carbon atoms both belonging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the ring being unsatu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도체는 멜라닌 생성시 필요한 전구체를 생산하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또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궁극적으로는 멜라닌의 생합성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낮아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으며, 부작용이 적고,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므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Bis phenyl hexa trien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 식품을 포함한다.
사람의 피부색은 크게 멜라닌, 헤모글로빈, 카로틴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중에서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melanin)은 동물, 식물, 미생물 등에서 발견되는 검은 색소로 생육이나 발달에 필수적이진 않지만, 환경에 대한 생존력과 경쟁력을 높여주는 물질이다. 멜라닌은 생물체에서 발견되는 색소 중에서도 안정성이 있는 색소이고, 거의 모든 용매에 용해되지 않으며, 멜라닌 색소 합성(melanogenesis) 과정은 특별히 분화된 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s)의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피부색은 멜라닌의 함량, 분포 등에 따라 결정되며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에서 생성된 후 세포 외부로 방출되는 멜라노좀의 수와 분포에 연관되어 있으며, 멜라닌은 자외선 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순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과다 생성되는 경우 기미, 주근깨 등 피부색 침착(hyperpigmentation) 및 흑색종(melanomas) 등을 유발의 중요 요인으로 알려져있다(J. Drugs Dermatol., 2004, 3, 668-678).
멜라닌의 생체내 합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멜라닌을 합성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내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및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에 의해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자동산화 반응을 거쳐 공중합체인 멜라닌(Eumelanin 또는 Pheomelanin)이 생성된다(도 1 참조). 이때, 상기 타이로시네이즈, TRP 1 및 TRP 2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에 의해 발현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주머니를 통해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지게 되고 케라티노사이트에서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표면으로 올라오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에 의해서 멜라닌이 과량 생성되고 각질화 과정의 주기가 생리적으로 길어지면서 각질과 함께 멜라닌이 피부에서 소실되지 않고 색소침착(Pigmentation)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색소 침착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과정에서의 일부 과정을 조절해 줌으로서 억제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EC 1.14.18.1)는 식물, 미생물, 포유동물 세포에서 일어나는 멜라닌 생합성의 가장 중요한 효소로서 타이로신을 멜라닌 생합성의 핵심 전구체인 도파퀴논(DOPA Quinone)로 전환시킨다. 이 효소는 L-타이로신(L-tyrosine)을 L-도파(DOPA, 3,4-dihydroxyphenylalanin)로 전환시키는 모노페놀레이즈(monophenolase) 기능과 L-도파를 L-도파퀴논으로 전환시키는 디페놀레이즈 (diphenolase)기능을 수행한다(J. Appl. Microbiol., 2006, 100, 219-232; Int. J. Biochem. Cell Biol., 2004, 36, 235-246). 여기서 만들어진 도파퀴논은 효소작용의 도움없이 자동적으로 멜라닌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기작은 여러가지 존재한다. 대표적인 멜라닌 생성 저해과정은 멜라닌 생성의 중요한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며, 상업화되어 있는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구리이온을 활성 부위로 갖고 있는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코직산(Kojic acid)과 같은 킬레이트(chelator)나, 알부틴(Arbutin)과 같이 타이로시네이즈의 기질인 티로신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타이로시네이즈에 티로신과 더불어 경쟁적으로 반응하게 함으로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들도 색소침착 억제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미백 원료들은 안정성이 낮아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제품에 적용하는데 있어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를 융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를 융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를 융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를 융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 식품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멜라닌 생성시 필요한 전구체를 생산하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또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궁극적으로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포 생존율이 사용 농도가 증가하여도 약 80%를 유지하여, 세포독성이 현저하게 낮아 안전성이 확보되고, 부작용이 적으며,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므로, 이를 피부 미백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항산화 조성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생체내에서 멜라닌이 생합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식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유전자 발현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Relative expression level: 상대 발현 수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2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MITF 유전자 발현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Relative expression level: 상대 발현 수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3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TRP 1 및 TRP 2 유전자 발현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Relative expression level: 상대 발현 수준).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4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라디칼 소거활성, 가로축: concentration: 농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5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Cell viabililty: 세포 생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6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Melanin content(compared to control): 멜라닌 함량(대조군 비교), Media: 세포 배양액, cell: 세포, α-MSH: 멜라닌 색소 합성 증가 유도 물질(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10 nM), RES: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 물질(Resveratrol, 10 μM)).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7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Tyrosinase activity(% of control): 타이로시네이즈 활성(대조군에 대한 % 활성), 가로축: concentration: 농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88806036-pat00008
.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테이트,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광학 이성질체,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09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하, 상기 반응식 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반응식 1의 제조방법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 화학식 1의 다양한 합성방법 중 일례일 뿐, 화학식 1의 제조가 상기 반응식 1의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E)-테트라에틸 부트-2-엔-1,4-디일디포스포네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벤즈알데하이드 화합물이 반응하여 트리엔을 형성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의 구체적인 예를 하기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으며, 실시예는 상기 제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례일 뿐, 반응 조건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피부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또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멜라닌 생합성의 전구체를 생산하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또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실험예 1-3 및 도 2-4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4 및 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독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5 및 도 6 참조).
또한, 본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정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6 및 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정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7 및 도 8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 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효과를 위한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특히 바람직하게 비경구용 제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부외용제는 바세린, 스테아릴알콜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기제; 폴리소르베이트, 솔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보습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용제; 및 착향제, 착색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균질하게 혼합하는 통상의 피부외용제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피부 미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피부 미백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미백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미백 성분으로서, 코즈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타이로시네이즈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트로키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 등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 등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피부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또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멜라닌 생합성의 전구체를 생산하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또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실험예 1-3 및 도 2-4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4 및 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독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5 및 도 6 참조).
또한, 본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정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6 및 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정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7 및 도 8 참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3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또는 20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4 및 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독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5 및 도 6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피부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제조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나아가,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제조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멜라닌 생성시 필요한 전구체를 생산하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또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궁극적으로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포 생존율이 사용 농도가 증가하여도 약 80%를 유지하여, 세포독성이 현저하게 낮아 안전성이 확보되고, 부작용이 적으며,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므로, 이를 피부 미백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항산화 조성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E,3E,5E)-1,6-비스(2,3-디메톡시페닐)헥사-1,3,5-트리엔의 제조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4
단계 1: (E)-테트라에틸 부트-2-엔-1,4-디일디포스포네이트의 제조
trans-1,4-디브로모부텐(2.0 g, 9.35 mmol)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triethylphosphite,4 mL)의 용액을 5시간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헥산/에틸 아세테이트=1/3)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E)-테트라에틸 부트-2-엔-1,4-디일디포스포네이트(3.12 g, 99%)를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 δ 5.58 - 5.46 (m, 2H), 4.08 - 3.91 (m, 8H), 2.65 (ddd, J = 17.5, 10.0, 7.2 Hz, 4H), 1.21 (q, J = 7.1 Hz, 12H).
단계 2: (1E,3E,5E)-1,6-비스(2,3-디메톡시페닐)헥사-1,3,5-트리엔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E)-테트라에틸 부트-2-엔-1,4-디일디포스포네이트(0.5 g, 1.52 mmol, 0.6 eq) 및 2,3-디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1 eq)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용액을 NaH(1.5 eq)를 THF에 현탁시킨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 내지 5시간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NH4Cl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건조, 필터 및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헥산/에틸 아세테이트=2/1)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0.30 g, 수율 56%)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 δ 7.21-7.17 (m, 2H), 7.11-6.97 (m, 3H), 7.04-6.81 (m, 5H), 6.64-6.57 (m, 2H), 3.93 (s, 6H), 3.89 (s, 6H).
<비교예 1> 4,4'-((1E,3E,5E)-헥사-1,3,5-트리엔-1,6-디일)비스(2-메톡시페놀)의 제조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5
단계 1: 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의 제조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1.0 eq) 및 이미다졸(2.5 eq)의 THF 용액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1.25 eq)를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교반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NH4Cl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건조, 필터 및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헥산/에틸 아세테이트=50/1)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 (1E,3E,5E)-1,6-비스(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3-메톡시페닐)헥사-1,3,5-트리엔의 제조
상기 실시예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되, 2-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대신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을 사용하여 (1E,3E,5E)-1,6-비스(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3-메톡시페닐)헥사-1,3,5-트리엔(수율 55%)을 얻었다.
단계 3: 4,4'-((1E,3E,5E)-헥사-1,3,5-트리엔-1,6-디일)비스(2-메톡시페놀)의 제조
(1E,3E,5E)-1,6-비스(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3-메톡시페닐)헥사-1,3,5-트리엔(0.050g, 0.0904mmol)의 THF 용액에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 2.05 eq)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상온에서 5시간 교반시키고, 진공하에 THF를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100mL)에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물(50ml*2)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소듐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컬럼크로마토그래피(10%EA/Hx)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수율 99%)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6.96 (d, J = 7.6 Hz, 4H), 6.90 (d, J = 8.2 Hz, 2H), 6.80 - 6.73 (m, 2H), 6.55 (s, 1H), 6.51 (s, 1H), 6.49 (dd, J = 7.0, 3.0 Hz, 2H), 5.66 (s, 2H), 3.96 (s, 6H).
<비교예 2> (E)-4-((4-메톡시페닐이미노)메틸)벤젠-1,3-디올의 제조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6
에틸 알콜 (4 mL) 용매에서 2, 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200 mg) 및 p-아니시딘(1.0 당량(eq.))의 혼합물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0℃로 유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정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0.18 (br s, 1H), 8.77 (s, 1H), 7.41 - 7.31 (m, 3H), 7.04 - 6.98 (m, 2H), 6.39 (dd, J = 9.0, 3.0 Hz, 1H), 6.29 (d, J = 3.0 Hz, 1H), 3.78 (s, 3H).
<비교예 3> 4,4'-((1E,3E,5E)-헥사-1,3,5-트리엔-1,6-디일)디페놀의 제조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7
THF(TetraHydroFuran)에 용해된 NaH (1.5 당량(eq.)) 현탁액에 THF 용매에 용해된 (E)-테트라에틸 부트-2-엔-1,4-디일디포스포네이트의 용액(0.6 당량(eq.)) 및 THF 용매에 용해된 TBS(tert-butyldimethylsil)로 보호된 4-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TBS-protected benzaldehyde) 용액 (1.0 당량(eq.))을 첨가하였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 - 5 시간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NH4Cl 수용액 사이에서 분배하였고, 유기층을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EtOAc) (2:1)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트리엔(triene)을 얻었다. THF 및 메탄올 (4:1) 용매에서 상기 트리엔의 용액에 12 N HCl를 첨가하였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EtOAc) 및 물 사이에서 분배하였고, 유기층을 NaHCO3 수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하였고,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6) δ 9.59 (br s, 2H), 7.31 (d, J = 9Hz, 4H), 6.83 - 6.72 (m, 6H), 6.54 - 6.44 (m, 4H) .
<비교예 4> 5,5'-((1E,3E,5E)-헥사-1,3,5-트리엔-1,6-디일)비스(2-메톡시페놀)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8
THF(TetraHydroFuran)에 용해된 NaH (1.5 당량(eq.)) 현탁액에 THF 용매에 용해된 (E)-테트라에틸 부트-2-엔-1,4-디일디포스포네이트의 용액(0.6 당량(eq.)) 및 THF 용매에 용해된 TBS(tert-butyldimethylsil)로 보호된 3-하이드록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TBS-protected benzaldehyde) 용액 (1.0 당량(eq.))을 첨가하였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5 시간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NH4Cl 수용액 사이에서 분배하였고, 유기층을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EtOAc) (2:1)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트리엔(triene)을 얻었다. THF 및 메탄올 (4:1) 용매에서 상기 트리엔의 용액에 12 N HCl를 첨가하였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EtOAc) 및 물 사이에서 분배하였고, 유기층을 NaHCO3 수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하였고,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6) δ 8.97 (br s, 2H), 7.42 - 7.32 (m, 1H), 7.12 - 6.78 (m, 7H), 6.55 - 6.47 (m, 2H), 6.26 - 6.12 (m, 2H), 3.85 (dd, J = 9.0, 3.0 Hz, 6H).
<실험예 1>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유전자 발현 저해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유전자 발현 저해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B16F10 멜라노마(melanoma) 세포를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α-MSH(10 nM)(멜라닌 색소 합성 증가 유도물질,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화합물을 각각 2 μM씩 처리하여 72시간 노출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수거하고, RNeasy Mini Kit (Qiagen)를 이용하여 세포의 전체 RNA(total RNA)를 추출하였다. M-MLV 역전사 효소(Reverse Transcriptase), 5X First-strand Buffer, dNTP mix, 올리고(dT)(oligo(dT)) 프라이머(primer) (Thermo Fisher Scientific)를 이용하여 cDNA 합성하였으며, cDNA 생성물와 각 유전자의 프라이머, LightCycler® MultiplexMasters (Roche)를 혼합한 후, LightCycler® NanoInstrument (Roche)를 이용하여 SYBR Green-based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의 mRNA 발현수준을 상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β-actin의 mRNA 발현수준을 기준으로 보정하였다. 유전자 증폭을 위한 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Denaturation: 95℃, 10 초
Annealing: 각 primer melting 온도, 10 초
Extention/Detection: 72℃, 20 초
총 cycle 수: 45 cycles
타이로시네이즈의 유전자 발현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primer)의 정보와 보정 유전자로 사용되는 β-actin의 프라이머 정보는 다음과 같다.
bACT-F: ACTATTGGCAACGAGCGGTT
bACT-R: ATGGATGCCACAGGATTCCA
TYR-F: CCTCCTGGCAGATCATTTGT
TYR-R: GGCAAATCCTTCCAGTGTG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유전자 발현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Relative expression level: 상대 발현 수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은 타이로시네이즈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가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화합물은 무처리군과 유사한 유전자 발현정도를 나타내어 타이로시네이즈 유전자 발현 저해효과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고, 비교예 2 내지 4의 화합물도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보다 낮은 저해효과를 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트 발현 감소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유전자 발현 저해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유전자 발현 저해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MITF 유전자 발현 평가는 실험예 1의 타이로시네이즈 유전자의 발현 평가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MITF 유전자 발현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primer) 정보는 다음과 같다.
TYR-F: AGGACCTTGAAAACCGACAG
TYR-R: GTGGATGGGATAAGGGAAA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2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MITF 유전자 발현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Relative expression level: 상대 발현 수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은 MITF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가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4 화합물은 실시예에 비하여 약 2-3배 이상의 MITF 유전자 발현을 나타냄으로써 MITF 유전자 발현 저해효과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및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유전자 발현 저해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및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유전자 발현 저해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TRP 1 및 TRP 2 유전자 발현 평가는 상기 타이로시네이즈 유전자의 발현 평가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TRP 1 및 TRP 2 유전자 발현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정보는 다음과 같다.
TRP1-F, CTTGGAGGTCCGTGTATTTG
TRP1-R, GACCGCATCAGTGAAAGTGT
TRP2-F, TACCATCTGTTGTGGCTGGA
TRP2-R, CAAGCTGTCGCACACAATC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3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TRP 1 및 TRP 2 유전자 발현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Relative expression level: 상대 발현 수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은 TRP 1 및 TRP 2의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가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4 화합물은 실시예 화합물에 비하여 약 1.2 내지 2배 이상의 TRP 1 및 TRP 2 유전자 발현을 나타내며 특히, TRP 2에 있어서, 비교예 1, 3 및 4는 무처리군과 동일한 정도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나타냄으로써 TRP 1 및 TRP 2 유전자 발현 저해효과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산화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2,2-디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질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제거 활성 시험을 통하여 평가되었다.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비타민 C,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 화합물을 각 농도별로 96 웰-플레이트(well-plate)에 넣어준 후, 200 μM의 DPPH 메타놀릭 솔루션(methanolic solution)을 200 μL 씩 각 웰에 넣어주었다. 부드럽게 흔들어 섞어준 후, 플레이트를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으며 이후,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MSO는 항산화 효과 측정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비타민 C는 항상화 효과의 양성 대조군으로 활용하였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4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라디칼 소거활성, 가로축: concentration: 농도).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은 약 25 μM의 농도로 사용하였을 때,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40 μM의 이상의 농도로 사용하였을 때, 비교예 1 내지 4 화합물과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세포독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B16F10 멜라노마(melanoma) 세포를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2x103 cells/웰의 농도로 분주하고, 10%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첨가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실시예와 비교예 1 내지 4 화합물을 설정된 농도별로 각각 48시간 동안 노출하고,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MTT assay는 세포에 MTT 솔루션(solution)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반응 시킨 후, DMSO를 첨가하여 포마잔 크리스탈(formazan crystals)을 용해하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5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Cell viabililty: 세포 생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은 5 μM 부터 15 μM까지 화합물의 사용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유지하였다.
즉,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세포 독성이 없는 바, 약리효과 및 안전성을 모두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4의 화합물은 피부 미백 효과도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보다 낮을 뿐만 아니라, 비교예 1, 3 및 4의 화합물은 10 μM 이상 사용시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안전성이 떨어지고, 부작용이 많이 발생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멜라닌 생성 저해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B16F10 melanoma 세포를 6-well plate에 3x105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10% FBSw가 첨가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α-MSH (10 nM), 실시예1 및 비교예1 내지 4 화합물을 각각 2 μM로 처리하여 각각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수거하여, 1N NaOH를 넣어준 후, 80℃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용해하였으며, 이후 49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Melanin inhibition rate (%) = [(C-S)/C] x 100
C: α-MSH만 처리 시 흡광도 값
S: 시료 첨가 시 흡광도 값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6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Melanin content(compared to control): 멜라닌 함량(대조군 비교), Media: 세포 배양액, cell: 세포, α-MSH: 멜라닌 색소 합성 증가 유도 물질(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10 nM), RES: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 물질(Resveratrol, 10 μM)).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화합물 1 μM을 처리했을 때, 세포 배양액(Media) 및 세포(Cells) 모두에서 멜라닌 함량이 비교예 1 내지 4보다 낮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세포에서 비교예보다 현저하게 낮은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어,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시료를 에탄올 등의 유기 용매에 녹이고 100 mM 인산염완충액(pH 7.0) 등 적당한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DOPA 산화반응에 대한 활성을 억제하기 위한 적당한 농도범위로 희석한 것을 시료액으로 한다. 시험관에 100 mM 인산염완충액(pH 7.0) 850 μL와 시료액 50 μL 그리고 머쉬룸 타이로시네이즈(2000 U/ml) 50 μL를 순서대로 넣고 37℃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다. 이 용액에 0.06 mM L-DOPA(L-3,4-dihydroxyphenylalanine)액 50 μL를 넣은 다음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37℃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동일하게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대조군은 DMSO을 이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Kojic acid를 이용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율(%) = [(A-B)/A] x 100
A: 대조군에서의 흡광도의 차(반응 후-반응 전)
B: 시험군에서의 흡광도의 차(반응 후-반응 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7에서 수행한 실시예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 저해를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세로축: Tyrosinase activity(% of control): 타이로시네이즈 활성(대조군에 대한 % 활성), 가로축: concentration: 농도).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화합물을 6.25 μM을 처리했을 때, 약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이 약 20%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동량을 처리한 비교예 2 내지 3이 저해 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우수한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멜라닌 생성시 필요한 전구체를 생산하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또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궁극적으로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포 생존율이 사용 농도가 증가하여도 약 80%를 유지하여, 세포독성이 현저하게 낮아 안전성이 확보되고, 부작용이 적으며,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므로, 이를 피부 미백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항산화 조성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
만니톨 180 ㎎
Na2HPO4ㆍ2H2O 26 ㎎
증류수 2974 ㎎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연고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 g
세틸팔미테이트 20 g
세탄올 40 g
스테아릴알콜 40 g
미리스탄이소프로필 80 g
폴리솔베이트 60 g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1 g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1 g
인산 및 정제수 적당량
통상적인 연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00n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mg
비타민 E 1.0mg
비타민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m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m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mg
판토텐산 칼슘 0.5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기능음료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00n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g
매실농축액 2g
타우린 1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ml
통상의 건강 기능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기능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8-1> 크림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4.6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8 중량부
밀납 2.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1.4 중량부
호호바오일 4 중량부
스쿠알란 3.8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1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2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4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Euxyl K-400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7 중량부
메칠파라벤 0.05 중량부
글리세린 6 중량부
d-판데놀 0.2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
pt 41891 0.2 중량부
p-H2O 46.05 중량부
<8-2> 로션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3.5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6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중량부
스쿠알렌 4.8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호호바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4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2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산탄검 0.1 중량부
글리세린 4 중량부
d-판데놀 0.15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카르보내(2% aq. Sol) 4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부
에탄올 3 중량부
pt 41891 0.1 중량부
p-H20 48.3 중량부
<8-3> 유연 화장수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0.2 중량%
에탄올 10.0 중량%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1,3-부틸글리콜 6.0 중량%
향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적량
총 100
<8-4> 영양 화장수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0.1 중량%
와셀린 2.0 중량%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5.0 중량%
에탄올 3.2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중량%
색소 적량
향 적량
정제수 적량
총 100
<8-5> 에센스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0 중량%
글리세린 10.0 중량%
히알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중량%
에탄올 3.2 중량%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중량%
향 적량
정제수 적량
총 100
<8-6> 팩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0.5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폴리비닐알코올 15.0 중량%
에탄올 8.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중량%
향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적량
총 100
상기 조성비는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성분 또는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19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2]
    Figure 112018088806036-pat00020
    .
  4.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2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및 R2는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2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또는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MITF(Melanogenesis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멜라닌(melan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1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2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TRP 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또는 TRP 2(Tyrosinase-related protein 2)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MITF(Melanogenesis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멜라닌(melan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6. 삭제
  1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 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8088806036-pat0002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다).
KR1020180106614A 2018-09-06 2018-09-06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2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14A KR102092227B1 (ko) 2018-09-06 2018-09-06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16/562,298 US11166891B2 (en) 2018-09-06 2019-09-05 Bis phenyl hexa trien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14A KR102092227B1 (ko) 2018-09-06 2018-09-06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559A KR20200028559A (ko) 2020-03-17
KR102092227B1 true KR102092227B1 (ko) 2020-05-25

Family

ID=6972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614A KR102092227B1 (ko) 2018-09-06 2018-09-06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66891B2 (ko)
KR (1) KR102092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294A1 (ko) * 2021-04-27 2022-11-0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79B1 (ko) * 2011-11-30 2013-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미백, 항산화 및 ppar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 Pharn. Bull., Vol.36(1), pp.55-65 (201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294A1 (ko) * 2021-04-27 2022-11-0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559A (ko) 2020-03-17
US20200078279A1 (en) 2020-03-12
US11166891B2 (en)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600B1 (ko) 레스베라트롤 유도체의 피부미백 용도
RU2434634C1 (ru) Отбеливающий агент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кожи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2092227B1 (ko) 비스 페닐 헥사 트리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4092166A1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美白剤
KR10089471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JP5275075B2 (ja) (2z,8z)―メトリカリア酸メチルエステ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KR102146509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75560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6373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63775B1 (ko) 7-벤질-4(4-페닐피페라진-1-일)-7H-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64589B1 (ko) 피리도[2,3-d]피리미딘-7(8H)-온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70017246A (ko)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70660B1 (ko) Hhdp 디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메틸 갈레이트 산화 반응물의 제조방법
KR101518273B1 (ko) 3-(1-아다만틸)-6-아미노-4-(4-브로모페닐)-2,4-디하이드로피라노[2,3-c]피라졸-5-카르보니트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023696B1 (ko) 신규 사이클릭 티오 유레아 유도체, 그의 제법 및 이를 함유한 미백용 조성물
KR102631500B1 (ko) 헴프씨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3781B1 (ko)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나트륨 또는 피탄트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130258A (ko) Hhdp 디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메틸 갈레이트 산화 반응물의 제조방법
KR102324182B1 (ko) 오르틱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66022B1 (ko) 타이로시네이즈 및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갖는 캠필로트로피스 히르텔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3928B1 (ko) 백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3989103B2 (ja) 新規フラバ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配合した化粧料
KR102228039B1 (ko) 아스트라갈로시드 i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518275B1 (ko) 6-아미노-4-(3-브로모-4-플루오로페닐)-3-(3,4-디메틸페닐)-2,4-디하이드로피라노[2,3-c]피라졸-5-카르보니트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