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59B1 -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59B1
KR102091659B1 KR1020170122262A KR20170122262A KR102091659B1 KR 102091659 B1 KR102091659 B1 KR 102091659B1 KR 1020170122262 A KR1020170122262 A KR 1020170122262A KR 20170122262 A KR20170122262 A KR 20170122262A KR 102091659 B1 KR102091659 B1 KR 102091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coating composition
weight
acrylate
curabl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739A (ko
Inventor
김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7012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59B1/ko
Priority to CN201811055344.7A priority patent/CN109535997B/zh
Priority to US16/130,400 priority patent/US10858534B2/en
Priority to EP18194419.0A priority patent/EP3460007A1/en
Publication of KR2019003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1Polyesters;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C09D167/07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wrinkle, crackle, orange-peel, or similar decorative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7Level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6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ULTRAVIOLET CURABLE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ise Control, SCC)은 자동차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정속 주행 장치 혹은 자동 속도 조절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이용하게 되면 속도계를 보지 않고도 제한 속도나 경제 속도에 맞춘 자동차 운전이 가능하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일반도로 또는 신호제어가 많은 국도 등에서 보다는 고속도로를 이용한 장거리 이동시 많이 사용된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레이저를 이용한 전자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 장애물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제어한다. 차량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라디에이터 그릴은 알루미늄(Al), 크롬(Cr) 등의 금속으로 도금된 부품이고, 이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를 차단하여,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차량의 라디에이터 그릴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라디에이터 그릴의 외부에 장착하고, 상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보호하는 자동차 외장재로서 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나 아크릴 수지로 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커버를 씌우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투명 수지로 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커버는 차량의 미감을 해치고, 이로 인해 차량의 디자인시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4368호
본 발명은 금속 질감을 갖고, 레이더 전파의 투과성이 높으며, 부착성, 내수성, 내열성, 내습성, 내냉열 cycle성이 우수한 도막을 친환경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 내지 15 중량%,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5 중량%,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상기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금속 질감을 가지면서, 레이저 전파의 투과성이 높으며, 부착성, 내수성, 내열성, 내습성, 내냉열 cycle성이 우수한 도막을 친환경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내고,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나타내며, "(메타)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단량체" 와 "모노머"는 동일한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단량체는 올리고머 및 폴리머와 구별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하인 화합물을 말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중합성 관능기"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 예컨대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말한다.
<자동차 부품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6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 내지 15 중량%,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5 중량%,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새깅조절제(sagging control agent), 부착증진제, 습윤/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자동차 부품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조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6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1 우레탄 ( 메타 )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6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합 가능한 불포화 그룹인 중합성 관능기를 6개 이상(예컨대 6개 내지 10개, 다른 예로 6개 내지 8개, 또 다른 예로 6개 또는 7개) 가지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이다. 이러한 올리고머는 도료 조성물의 경화성을 향상시키면서, 다른 반응성 올리고머나 광반응성 모노머와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도막의 물성, 예컨대 경도, 인성(toughness), 내습성, 내냉열 Cycle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예컨대 약 500 내지 2,000 g/mol 범위이며, 다른 예로 약 800 내지 1,500 g/mol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전술한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경우, 도막의 경도, 인성, 내습성, 내냉열 Cycle성,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상기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2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경화성, 내습성, 내냉열 Cycle성,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막의 경화성, 내습성, 내냉열 Cycle성, 내열성을 향상시키면서, 조성물의 레벨링성 및 작업성과 도막의 부착성, 유연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응성 올리고머로 상기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함께, 후술하는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혼용한다.
(b)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2 우레탄 ( 메타 )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합 가능한 불포화 그룹인 중합성 관능기를 3개 이상(예컨대 3개 내지 5개, 다른 예로 3개 또는 4개) 가지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이다. 이러한 올리고머는 도막의 부착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예컨대 약 500 내지 2,500 g/mol 범위이며, 다른 예로 약 1,000 내지 2,000 g/mol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전술한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경우, 도막의 부착성과 유연성이 우수하다. 상기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2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부착성과 유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c) 폴리에스터 ( 메타 )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조성물의 레벨링성, 작업성 및 도막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다양한 원료로 합성된 폴리에스테르 디올의 양 말단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 변환한 폴리머나 올리고머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예컨대 약 500 내지 2,000 g/mol 범위이며, 다른 예로 약 800 내지 1800 g/mol 범위일 수 있다. 전술한 분자량 범위를 가질 경우, 경화물 제조시 가공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내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3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조성물의 레벨링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면서, 경화밀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도막의 부착성이 향상되고, 내열성, 내습성 등의 물성이 개선될 수 있다.
(d)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히드록시 ( 메타 )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분자 내 히드록실기(hydroxyl group)를 함유하면서, 중합 가능한 불포화 그룹인 중합성 관능기를 3개 이상(예컨대 3개 내지 6개, 다른 예로 3개 또는 4개)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다. 이러한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의 경화성, 살오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도막의 가교밀도, 경도, 내수성 및 티커버력이 향상되어 소재의 데미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예컨대 약 200 내지 400 g/mol 범위, 다른 예로 약 270 내지 330 g/mol 범위일 수 있다. 전술한 분자량 범위에서 조성물의 경화성, 살오름성, 점도, 도막의 가교밀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는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핀홀 등의 외관 불량 없이 도막의 가교밀도, 경도, 내수성, 살오름성, 티커버력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료 조성물의 점도, 레벨링성, 작업성이나 도막의 부착성, 경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응성 모노머로 상기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함께, 후술하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혼용된다.
(e)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 메타 )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중합 가능한 불포화 그룹인 중합성 관능기를 3개 이상(예컨대 3개 내지 6개, 다른 예로 3개 또는 4개)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전술한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제외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즉,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히드록시기-비(非)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다. 이러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조성물의 흐름성, 레벨링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도막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예컨대 약 200 내지 400 g/mol 범위, 다른 예로 약 270 내지 330 g/mol 범위일 수 있다. 전술한 분자량 범위에서 조성물의 흐름성, 레벨링성, 작업성, 점도와 도막의 가교밀도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는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조성물의 흐름성, 레벨링성, 작업성, 점도와 도막의 가교밀도, 부착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f)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광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광중합을 개시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당 분야의 통상적인 광중합 광개시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광중합 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Irgacure 184, Irgacure 369, Irgacure 651, Irgacure 819, Irgacure 907, 벤지온알킬에테르(Benzionalkylether), 벤조페논(Benzophenone), 벤질디메틸카탈(Benzyl dimethyl katal), 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아세톤(Hydroxycyclohexyl phenylacetone), 클로로아세토페논(Chloroacetophenone),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1,1-Dichloro acetophenone), 디에톡시아세토페논(Diethoxy acetophenon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 Acetophenone), 2-클로로티옥산톤(2-Choro thioxanthone), 2-ETAQ(2-EthylAnthraquinone),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파논(2-Hydroxy-2-methyl-1-phenyl-1-propanone),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파논(2-Hydroxy-1-[4-(2-hydroxyethoxy)phenyl]-2-methyl-1-propanone), 메틸벤조일포메이트(methylbenzoylformate) 등이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흡수파장은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약 240 내지 340 ㎚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약 1 중량% 미만이면 경화성 저하나 미경화로 인해 도막 강도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또한 도막의 미경화에 의한 주름(wrinkle)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약 10 중량% 초과이면, 미반응된 광중합 개시제로 인한 오염이나 저중합도에 의한 부착성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g) 용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성분들을 쉽게 용해시킬 수 있으면서, 점도를 낮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제의 예로는 케톤(ketone)계 용제, 에스테르(ester)계 용제, 에테르(ether)계 용제, 알코올(alcohol)계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용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에틸프로필케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노말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카비톨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노르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르말부탄올, 이소부탄올, 터셔리부탄올, 벤젠,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 퓨란, 디메틸포름알데히드, 시클로헥사논 등이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는 잔량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용제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내지 5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h)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첨가제를 당해 조성물의 사용 목적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새깅조절제(sagging control agent), 부착증진제, 습윤/레벨링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새깅조절제는 도료의 흐름성을 조절하는 성분으로, 본 조성물이 다양한 형상의 플라스틱 소재에 적용되었을 때, 도료의 외관에 발생하는 주름 또는 도막의 고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새깅조절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도료의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당해 고분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부티릴기의 함량이 약 40 내지 60 중량%이고, 아세틸기의 함량이 약 0.5 내지 5 중량%인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의 융점(melting point)은 약 130 내지 140 ℃ 범위일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Tg)는 약 90 내지 110 ℃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서 새깅조절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새깅조절제의 기능이 용이하게 발현하여 도료 조성물의 흐름이 향상되고, 또한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도 우수하여 도막의 백탁이 발생되지 않고, 레벨링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부착 증진제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의 부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부착증진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에테르계 부착증진제가 있다. 상기 에테르계 부착증진제의 예로는 실리콘-프리 변성 폴리에테르(silicone-free modified polyether) 등이 있다. 일례로, 상기 실리콘-프리 변성 폴리에테르는 밀도(20℃)가 약 0.9 내지 0.99 g/ml이고, 비휘발분(non-volatile matter)(10 min, 150℃)이 약 45 내지 60 %일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제의 함량은 공지된 함량 범위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헤이즈(haze) 발생 없이 원하는 부착성 향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습윤/레벨링제는 도막의 평활성, 부착성, 재도장성 및 내열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습윤/레벨링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에테르계 실리콘 화합물이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실리콘 화합물의 예로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이 있다. 일례로,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밀도(20℃)가 약 0.9 내지 0.99 g/ml이고, 비휘발분(non-volatile matter)(30 min, 150℃)이 약 5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습윤/레벨링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외관, 부착성, 재도장성 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새깅조절제, 부착증진제 및 습윤/레벨링제 이외의 기타 첨가제로 도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 예컨대 자외선 안정제(예컨대, HALS), 산화방지제(예컨대, 페놀계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각각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전술한 성분 (a) 내지 (f)를, 필요에 따라 첨가제 등과 함께, 디졸버, 교반기 등과 같은 혼합용 장비에 투입한 후, 적절한 온도(예컨대 상온)에서 혼합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1 내지 13초(ASTM D1200/Ford cup #4, 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다양한 기재에 적용 가능하며, 예컨대 플라스틱 기재에 유용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기재의 표면에 도포, 건조된 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도막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자동차용 부품(예컨대 자동차용 외장재, 자동차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커버 등)에 적용되어 친환경적으로 금속 질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저점도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레벨링성도 우수하다.
<자동차 부품>
본 발명은 전술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부품은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상기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층을 포함한다. 상기 도막층 위에 금속 증착막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증착 방법(일례로, 스퍼터 증착)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금속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인듐, 크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본체는 예컨대 투명 수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사출하여 형성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투명 수지로는 광학적, 전자기적 투과성, 특히 레이저 투과성이 높은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투명 수지의 예로는 ASA 수지(acrylic-styrene-acrylonitrile resi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막층은 본체에 금속 질감을 부여하여 우수한 광택성을 발휘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뿐만 아니라, 인듐, 크롬, 알루미늄 등의 증착막이나 UV층, 우레탄 상도층과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레이저 투과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도막은 경도, 내수성, 내열성, 내냉열 Cycle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핀홀, 크랙 등이 없이 외관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막은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퇴색이나 변색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고온 및/또는 다습한 조건하에서도 변색, 퇴색, 팽윤, 크랙(crack)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도막층의 건조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약 20 내지 25 ㎛ 범위일 수 있다.
도막층의 형성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플라스틱 소재를 코팅하는 코팅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스프레이 코팅, 딥코팅 등이 있다.
전술한 자동차 부품의 예로는 자동차 외장재(예컨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커버)가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금속 질감의 도막층이 필요한 자동차 부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6]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물질의 사양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17092577013-pat00001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첨가제, 용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6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서 각 조성물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17092577013-pat00002
[ 비교예 1-9]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첨가제, 용제를 사용하여 비교예 1-9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서 각 조성물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17092577013-pat00003
[ 실험예 ] 물성 평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9에서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 물성 측정방법에 따라 물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5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각 시편은 도료 조성물을 폴리카보네이트 기재 상에 도포(두께: 20 ㎛)하고 광경화(경화전 IR: 50℃ X 3분, 광량: 1,000 mJ/㎠, 광세기: 170 mW/㎠)시켜 도막을 형성하였다.
(1) 외관
각 시편에 대해 변색, 광택 저하, 내처짐(Sagging)성, Orange Peel을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하기와 같이 외관을 평가하였다.
○: 양호, △: 미흡, ×: NG
(2) 소재 데미지
각 시편에 대해 UV 경화 후 데미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하기와 같이 외관을 평가하였다.
○: CLEAR, △: 부분적으로 미세 HAZE, ×: HAZE
(3) 부착성
ASTM D3359 시험법에 따라 크로스 컷 테이프 테스트(cross cut tape test)를 시행하였고, 하기와 같이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 M-1.0 ~ M-2.5, △: M-3.0 ~ M-3.5, ×: M-4.0 ~ M-6.0
(4) 내열성
시편을 시험 온도(120±2℃) 조건 하에서 240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도막의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 저하, 벗겨짐 등을 관찰하였고, 하기와 같이 내열성을 평가하였다.
○: 부착 M-1.0 ~ M-2.5, △: 부착 M-3.0 ~ M-3.5, ×: 부착 M-4.0 ~ M-6.0
(5) 내습성
시편을 시험온도(50±2℃) 및 상대습도(98±2%) 조건하에 240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1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도막의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벗겨짐 등을 관찰하였고, 하기와 같이 내습성을 평가하였다.
○: 부착 M-1.0 ~ M-2.5, △: 부착 M-3.0 ~ M-3.5, ×: 부착 M-4.0 ~ M-6.0
(6) 내냉열 Cycle성
시편을 80±2℃의 온도 및 95% RH의 습도 하에서 4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온도 및 습도를 각각 -40±2℃ 및 95% RH의 조건으로 변경한 다음 이 조건하에서 4 시간 동안 방치하는 일련의 과정을 5회 반복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도막의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벗겨짐 등을 관찰하였고, 하기와 같이 내냉열 Cycle성을 평가하였다.
○: 부착 M-1.0 ~ M-2.5, △: 부착 M-3.0 ~ M-3.5, ×: 부착 M-4.0 ~ M-6.0
Figure 112017092577013-pat00004
Figure 112017092577013-pat00005

Claims (9)

  1.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3 내지 5개의 관능기를 갖는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 내지 15 중량%,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25 중량%,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2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800 내지 1,500 g/mol이고,
    상기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2,000 g/mol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2,000 g/mol 범위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400 g/mol 범위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400 g/mol 범위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개시제는 240 내지 340 ㎚ 범위에서 흡수 파장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새깅조절제(sagging control agent), 부착증진제 및 습윤/레벨링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9.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KR1020170122262A 2017-09-22 2017-09-22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091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62A KR102091659B1 (ko) 2017-09-22 2017-09-22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CN201811055344.7A CN109535997B (zh) 2017-09-22 2018-09-11 紫外线固化型涂料组合物
US16/130,400 US10858534B2 (en) 2017-09-22 2018-09-13 Ultraviolet curable coating composition
EP18194419.0A EP3460007A1 (en) 2017-09-22 2018-09-14 Ultraviolet curable coating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62A KR102091659B1 (ko) 2017-09-22 2017-09-22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39A KR20190033739A (ko) 2019-04-01
KR102091659B1 true KR102091659B1 (ko) 2020-03-20

Family

ID=6378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62A KR102091659B1 (ko) 2017-09-22 2017-09-22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58534B2 (ko)
EP (1) EP3460007A1 (ko)
KR (1) KR102091659B1 (ko)
CN (1) CN1095359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9390A (zh) * 2020-05-06 2020-06-30 浙江银鹿新材料有限公司 一种uvled磨砂的配方
KR102491520B1 (ko) * 2021-05-14 2023-01-26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499B1 (ko) * 2014-04-07 2015-03-12 윤학중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1348A (en) * 1989-06-15 1995-03-28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Soft coat film
US6258441B1 (en) * 1989-06-16 2001-07-10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Soft coat film
BR9205853A (pt) * 1991-04-03 1994-09-27 Red Spot Paint & Varnish Composiçoes de revestimento rigido curavel por UV e processos.
US5571571A (en) * 1993-06-16 1996-11-05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forming a thin film for a semiconductor device
US5493483A (en) * 1993-07-13 1996-02-20 Red Spot Paint & Varnish Co., Inc. Lamp reflectors and UV curable compositions useful as basecoats for same
KR0148852B1 (ko) * 1994-12-30 1998-10-01 김충세 자외선 경화형 도료조성물
US6114447A (en) * 1997-08-14 2000-09-05 Micron Technology, Inc. Radio frequency-transmissive compositions, methods of forming radio frequency-transmissive compositions
TW455720B (en) * 2000-12-22 2001-09-21 Ind Tech Res Inst Method of making an optical waveguide fiber grating substrate and an optical device thereof
US7211368B2 (en) * 2003-01-07 2007-05-01 3 Birds, Inc. Stereolithography resins and methods
DE102005011231A1 (de) * 2005-03-11 2006-09-14 Bayer Materialscience Ag Spezielle Allophanate enthaltende, modifizierte Polyurethane
KR20080003529A (ko) * 2006-07-03 2008-01-08 (주) 엔피온 자외선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이 형성된기재의 제조방법
JP5396028B2 (ja) * 2008-02-12 2014-01-22 藤倉化成株式会社 金属薄膜用塗料組成物、および金属薄膜用塗料組成物を用いた光輝性樹脂製品
US9109139B2 (en) * 2008-05-30 2015-08-18 Red Spot Paint & Varnish Co., Inc.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iphatic urethane acrylate resins
KR101206435B1 (ko) * 2009-12-31 2012-11-29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자외선 경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시트의 제조방법
CN103450793A (zh) * 2013-07-30 2013-12-18 惠州市至上化工有限公司 一种无溶剂环保型一次性uv有色喷涂涂料
KR20150021854A (ko) * 2013-08-21 2015-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팅 도료 조성물
US10471633B2 (en) * 2014-11-04 2019-11-12 Lamerti SPA Photocurable compositions
KR101777553B1 (ko) 2014-11-27 2017-09-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외선경화형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EP3374580B1 (en) * 2015-11-16 2022-02-23 AFI Licensing LLC Surface covering having an improved wear layer
KR101919245B1 (ko) * 2017-08-10 2018-11-15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 부품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499B1 (ko) * 2014-04-07 2015-03-12 윤학중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8534B2 (en) 2020-12-08
KR20190033739A (ko) 2019-04-01
US20190092965A1 (en) 2019-03-28
CN109535997A (zh) 2019-03-29
CN109535997B (zh) 2021-10-22
EP3460007A1 (en)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0903B (zh) 紫外线固化型硬质涂层树脂组合物、使用该组合物的硬质涂层薄膜以及硬质涂层成形物
JP5731817B2 (ja) 吸水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KR101540657B1 (ko)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1592611B1 (ko)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가지는 실리카 함유 uv 가교성 경질코트 코팅
CN111094464B (zh) 紫外线固化性涂料组合物
KR102091659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US20170335114A1 (en)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hard coating film using the same
KR102566900B1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JP4189611B2 (ja) 熱成形性に優れた硬化性塗料
KR102203088B1 (ko) 하드코팅 조성물
JP2015000876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硬化被膜を有する合成樹脂成形品
KR102298360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015175B1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JP2016079363A (ja)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ハードコート材及びハードコート膜、並びに積層体
KR100373207B1 (ko) 광경화형 대전방지 및 내마모성 코팅 조성물
JP2002121307A (ja) 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芳香族ポリエステル樹脂成形体
KR101869203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20200009558A (ko) 디스플레이용 하드코팅 필름
KR102491520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384509B1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CN106947383A (zh) 紫外线固化型涂料组合物
US20240043696A1 (en) Radiation-curable (meth)acrylate-based paint system
JPH05255619A (ja) 被覆材組成物
CN116075368A (zh) 树脂组合物、固化物及其制造方法,以及层叠体
CN115232550A (zh) 一种低反射涂布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