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503B1 - 시료 혼합 장치 - Google Patents

시료 혼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503B1
KR102090503B1 KR1020180028658A KR20180028658A KR102090503B1 KR 102090503 B1 KR102090503 B1 KR 102090503B1 KR 1020180028658 A KR1020180028658 A KR 1020180028658A KR 20180028658 A KR20180028658 A KR 20180028658A KR 102090503 B1 KR102090503 B1 KR 102090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agent
contact
containers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421A (ko
Inventor
허윤석
김윤년
김민영
조윤경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503B1/ko
Priority to PCT/KR2019/002834 priority patent/WO2019177333A1/ko
Publication of KR2019010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8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 B01F15/0441
    • B01F15/00896
    • B01F15/0203
    • B01F15/023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3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 B01F35/531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with baffles, plates or bars on the wall or the bottom
    • B01F35/5312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with baffles, plates or bars on the wall or the bottom with vertical baffles mounted on th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4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istons, plungers or syrin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시료가 보관되며 보관된 시료에 정량씩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혼합되는 혼합 용기; 상기 혼합 용기에 공급되는 복수의 검출시약이 보관되고, 상기 혼합 용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혼합 용기로 정량의 검출시약을 공급하기 위한 단속돌기가 내측면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검출시약을 상기 혼합 용기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시약 용기; 상기 혼합 용기와 복수개의 상기 시약 용기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서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상기 혼합 용기로 유동하는 복수개의 채널; 상기 혼합 용기로 정량의 검출시약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각각 삽입되어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용기와, 상기 각 밀착용기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밀착용기의 둘레면과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을 밀폐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밀착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 밀착용기에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제공부는 상기 복수개의 밀착용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밀착용기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밀착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착용기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밀착용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시료 혼합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혼합 용기에 보관된 시료에 혼합되는 복수의 검출시약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가 각 시약 용기에 동일한 깊이로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간편하게 정량의 검출시약을 혼합 용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혼합할 수 있어 검출시약을 정량으로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료 혼합 장치{Sample mixing equipment}
본 발명은 시료 혼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혼합 용기로 공급된 시료와 반응시키는 복수의 검출시약을 혼합 용기에 순차적으로 정량씩 공급하여 혼합하는 시료 혼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88507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바이오칩을 이용한 진단 센서의 경우, 전기화학측정 방법(Electrochemical detection), 전위차 측정 방법(Potentiometeric detection), 화학 발광 방법(Chemiluminescent detection) 등 여러가지 측정 방법들이 있다. 최근 들어 미세 유동 제어 장치(Microfluidic device)를 이용하여 미세 유동 채널 내로 시료와 반응 물질 등을 주입하여 혼합 반응을 일으켜, 이 때 발생하는 신호(광반응 등)의 강도를 측정하여 원하는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시료나 시약의 정확한 정량을 하기 위하여서는 유체를 주입하거나 혼합할 때 복잡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특히, 화학 발광 바이오 센서의 경우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정량의 시료, 반응 매개 물질, 발광체 등의 정량 혼합 비율을 유지해야 한다.
상기 시료와 반응 물질의 혼합반응을 정확하기 측정하기 위해서는 정량의 시료를 반응부에 주입한 후, 시료와 반응하는 반응 물질 또는 시약을 반응부에 정량으로 주입하여야 하나, 상기 반응 물질 또는 시약을 반응부에 정량으로 주입하는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그로 인해 반응 물질 또는 시약을 반응부에 정량씩 순차적으로 주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혼합 용기에 보관된 시료에 혼합되는 복수의 검출시약이 보관된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가압부재가 동일한 깊이로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순차적으로 동일한 압력이 가해져 복수의 검출시약을 정량씩 간편하게 혼합 용기에 공급하여 시료와 정량의 검출시약을 혼합할 수 있는 시료 혼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시료가 보관되며 보관된 시료에 정량씩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혼합되는 혼합 용기; 상기 혼합 용기에 공급되는 복수의 검출시약이 보관되고, 상기 혼합 용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혼합 용기로 정량의 검출시약을 공급하기 위한 단속돌기가 내측면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검출시약을 상기 혼합 용기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시약 용기; 상기 혼합 용기와 복수개의 상기 시약 용기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서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상기 혼합 용기로 유동하는 복수개의 채널; 상기 혼합 용기로 정량의 검출시약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각각 삽입되어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용기와, 상기 각 밀착용기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밀착용기의 둘레면과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을 밀폐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밀착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 밀착용기에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제공부는 상기 복수개의 밀착용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밀착용기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밀착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착용기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밀착용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시료 혼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혼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혼합 용기의 높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공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채널의 일단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공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공과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를 연결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상기 혼합 용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의 개구된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는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단속돌기에 의해 삽입되는 깊이가 단속될 수 있으며, 상기 단속돌기는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단속돌기의 사이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상기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밀착용기의 둘레면에는 상기 밀착용기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밀착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돌기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재에는 상기 파지돌기가 이동하는 이동장홈과 상기 돌기부재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혼합 장치는 혼합 용기에 보관된 시료에 혼합되는 복수의 검출시약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가 각 시약 용기에 동일한 깊이로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간편하게 정량의 검출시약을 혼합 용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혼합할 수 있어 검출시약을 정량으로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혼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혼합 용기에 외부에서 시료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혼합 용기의 내부로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보관된 복수의 검출시약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삽입되는 가압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시약 용기에 삽입되는 가압부재가 단속돌기에 의해 삽입되는 깊이가 단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가압부재가 압력 제공부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시약 용기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혼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혼합 용기에 외부에서 시료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혼합 용기의 내부로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보관된 복수의 검출시약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삽입되는 가압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시약 용기에 삽입되는 가압부재가 단속돌기에 의해 삽입되는 깊이가 단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가압부재가 압력 제공부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시약 용기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혼합 장치(100)는 외부에서 공급된 시료에 복수의 검출시약을 순차적으로 정량씩 공급하여 혼합하기 위한 것으로, 혼합 용기(110)와,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와, 복수개의 채널(130)과, 가압부재(1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혼합 용기(110)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시료가 보관되며, 상기 혼합 용기(110)로 공급되는 시료는 주사기 또는 시험관을 통해 일정량이 상기 혼합 용기(110)의 개구된 상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용기(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에는 상기 혼합 용기(110)에 보관된 시료에 혼합되는 다수의 검출시약이 보관된다. 도면에는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가 상기 혼합 용기(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측에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상기 시약 용기(120)에는 각 시약 용기(120)에 보관된 검출시약을 정량으로 상기 혼합 용기(110)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단속돌기(120)와, 각 시약 용기(120)의 개구된 상부로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각 시약 용기(120)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로 유동시키는 유동부(1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단속돌기(122)는 각 시약 용기(120)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는 후술되는 가압부재(140)가 각 시약 용기(120)로 삽입되는 깊이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속돌기(122)에 의해 각 시약 용기(120)로 삽입되는 가압부재(140)의 삽입되는 깊이가 단속됨으로써 가압부재(140)가 삽입됨으로써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각 시약 용기(120)에 보관된 정량의 검출시약이 상기 혼합 용기(11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단속돌기(122)는 각 시약 용기(120)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단속돌기(122)의 사이에는 각 시약 용기(120)로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각 시약 용기(12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부(1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시약이 보관되는 상기 혼합 용기(110)와 상기 혼합 용기(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시약 용기(120)는 복수개의 채널(1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채널(13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에서 정량씩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상기 혼합 용기(110)로 용이하게 유동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채널(130)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기 혼합 용기(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복수개의 연결공(112)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공(112)은 상기 혼합 용기(110)의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112)에 상기 채널(130)의 일단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채널(130)로 유동하는 검출시약이 상기 혼합 용기(11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공(112)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채널(130)은 상기 혼합 용기(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가 상기 복수개의 연결공(112)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혼합 용기(110)와 상기 시약 용기(12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채널(130)이 경사지게 상기 혼합 용기(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게 되고, 상기 채널(130)이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시약 용기(120)에서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상기 혼합 용기(110)로 용이하게 유동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채널(130)은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채널(130)이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레이놀즈수가 작아 검출시약의 관성력보다 점성력이 우세하여 경사진 채널(130)을 통해 검출시약이 자연적으로 상기 혼합 용기(110)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에 보관되는 검출시약은 주사기 또는 시험관을 통해 일정량이 각 시약 용기(120)의 개구된 상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에 보관된 검출시약은 각 시약 용기(120)의 상부로 삽입되는 가압부재(14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채널(130)를 거쳐 상기 혼합 용기(110)로 정량씩 공급되어 상기 혼합 용기(110)에 보관된 시약에 혼합되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재(140)는 각 시약 용기(120)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시약 용기(120)에 보관된 검출시약을 상기 혼합 용기(110)로 공급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가압부재(140)는 복수개의 밀착용기(142)와, 패킹부재(14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밀착용기(142)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시약 용기(120)의 내부에 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밀착용기(142)의 둘레면은 상기 시약 용기(1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용기(142)의 둘레면에는 패킹부재(14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킹부재(144)는 상기 밀착용기(142)의 둘레면과 상기 각 시약 용기(120)의 내측면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킹부재(144)는 상기 밀착용기(142)의 둘레면과 상기 각 시약 용기(120)의 내측면을 밀폐시켜 상기 밀착용기(142)가 상기 각 시약 용기(120)의 내부로 삽입 시 상기 시약 용기(12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밀착용기(142)의 둘레면과 상기 각 시약 용기(120)의 내측면 사이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밀착용기(142)가 상기 각 시약 용기(120)의 내부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착용기(142)가 상기 각 시약 용기(120)의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저감되게 되면 각 시약 용기(120)에서 상기 혼합 용기(110)로 정량의 검출시약이 공급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밀착용기(142)의 상부에는 상기 밀착용기(142)에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 제공부(150)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제공부(150)는 덮개부재(152)와, 탄성부재(154)와, 돌기부재(156)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재(152)는 상기 밀착용기(142)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덮개부재(152)는 일측은 개구되고 타측은 밀폐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덮개부재(152)와 상기 밀착용기(142)의 사이에는 상기 밀착용기(142)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54)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용기(142)의 내부에는 돌기부재(156)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재(156)는 상기 탄성부재(1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착용기(142)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밀착용기(142)의 이동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착용기(142)의 둘레면에는 파지돌기(14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파지돌기(142a)는 상기 밀착용기(142)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고, 상기 밀착용기(142)의 내부에는 상기 돌기부재(156)가 장착되는 장착부(142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재(152)에는 상기 파지돌기(142a)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장홈(15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기부재(156)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152b)이 상기 덮개부재(15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가 상기 파지돌기(142a)를 파지하여 상기 밀착용기(142)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밀착용기(142)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장착부(142b)의 일단이 상기 돌기부재(156)에 걸려 상기 탄성부재(154)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 단속되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돌기부재(156)을 눌러주면 상기 장착부(142b)의 일단이 상기 돌기부재(156)에 걸린 것을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착용기(142)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시약 용기(120)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혼합 용기(110)에 보관된 시료에 혼합되는 복수의 검출시약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시약 용기(12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140)가 각 시약 용기(120)에 동일한 깊이로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간편하게 정량의 검출시약을 혼합 용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혼합할 수 있어 검출시약을 정량으로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져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시료 혼합 장치 110 : 혼합 용기
112 : 연결공 120 : 시약 용기
122 : 단속돌기 124 : 유동부
130 : 채널 140 : 가압부재
142 : 밀착용기 144 : 패킹부재
150 : 압력 제공부 152 : 덮개부재
154 : 탄성부재 156 : 돌기부재

Claims (9)

  1. 외부에서 공급되는 시료가 보관되며 보관된 시료에 정량씩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혼합되는 혼합 용기;
    상기 혼합 용기에 공급되는 복수의 검출시약이 보관되고, 상기 혼합 용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혼합 용기로 정량의 검출시약을 공급하기 위한 단속돌기가 내측면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검출시약을 상기 혼합 용기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시약 용기;
    상기 혼합 용기와 복수개의 상기 시약 용기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서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상기 혼합 용기로 유동하는 복수개의 채널;
    상기 혼합 용기로 정량의 검출시약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에 각각 삽입되어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용기와, 상기 각 밀착용기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밀착용기의 둘레면과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을 밀폐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밀착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 밀착용기에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제공부는,
    상기 복수개의 밀착용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밀착용기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밀착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착용기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밀착용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시료 혼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혼합 용기의 높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공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채널의 일단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혼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공과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를 연결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상기 혼합 용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혼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시약 용기의 개구된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는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단속돌기에 의해 삽입되는 깊이가 단속되며,
    상기 단속돌기는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혼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단속돌기의 사이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검출시약이 상기 각 시약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혼합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용기의 둘레면에는 상기 밀착용기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돌기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재에는 상기 파지돌기가 이동하는 이동장홈과 상기 돌기부재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혼합 장치.
KR1020180028658A 2018-03-12 2018-03-12 시료 혼합 장치 KR10209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58A KR102090503B1 (ko) 2018-03-12 2018-03-12 시료 혼합 장치
PCT/KR2019/002834 WO2019177333A1 (ko) 2018-03-12 2019-03-12 시료 혼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58A KR102090503B1 (ko) 2018-03-12 2018-03-12 시료 혼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21A KR20190107421A (ko) 2019-09-20
KR102090503B1 true KR102090503B1 (ko) 2020-03-18

Family

ID=6806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658A KR102090503B1 (ko) 2018-03-12 2018-03-12 시료 혼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5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3064A1 (en) * 2010-03-30 2011-10-06 Clearbridge Bioloc Pte Ltd. Assay
KR101739371B1 (ko) * 2010-01-08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샘플분석 카트리지, 샘플분석 카트리지 리더, 및 샘플분석 카트리지 리더의 제어방법
KR101800552B1 (ko) * 2016-09-30 2017-11-2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료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371B1 (ko) * 2010-01-08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샘플분석 카트리지, 샘플분석 카트리지 리더, 및 샘플분석 카트리지 리더의 제어방법
WO2011123064A1 (en) * 2010-03-30 2011-10-06 Clearbridge Bioloc Pte Ltd. Assay
KR101800552B1 (ko) * 2016-09-30 2017-11-2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료 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21A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3560B2 (en) Passive microfluidic metering device
JP4992524B2 (ja) 反応容器プレート及び反応処理方法
JP5012817B2 (ja) 反応容器プレート及び反応処理方法
JP5361931B2 (ja) 外部動力無しで流体が移動する流体分析用チップ
CN101176001A (zh) 用于分析被检体中目标物质的检查芯片和微型综合分析系统
JP2007078490A (ja) 液体充填性を向上させた生化学反応カセット
US20200408752A1 (en) Fluidic system for performing assays
US20120003725A1 (en) Microfluidic chip for analysis for fluid sample
US7191917B2 (en) Meter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CN107533077B (zh) 液体密封盒体、样本分析装置以及样本分析方法
JP2009085817A (ja) マイクロチップおよびマイクロチップの使用方法
KR20100073241A (ko) 미세 유체 소자 및 미세 유체 분석 장치
JPWO2008132871A1 (ja) 反応容器プレート及び反応処理方法
KR102090503B1 (ko) 시료 혼합 장치
US20130280144A1 (en) Microchip
KR102086157B1 (ko) 순차적 시료 혼합 장치
KR102249318B1 (ko) 유체 시료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177533B2 (ja) マイクロチップ
JP2014211349A (ja) マイクロチップ
KR102038085B1 (ko) 자석 방식의 결합 구조를 갖는 시료측정 스트립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 센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시료 혼합장치
WO2009024916A1 (en) Vent design for biosensor cartridge
JP2009063474A (ja) マイクロチップ
WO2019177333A1 (ko) 시료 혼합 장치
CN112672826B (zh) 样品装载盒
JP4924516B2 (ja) 反応容器プレート及び反応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