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911B1 -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911B1
KR102089911B1 KR1020190140670A KR20190140670A KR102089911B1 KR 102089911 B1 KR102089911 B1 KR 102089911B1 KR 1020190140670 A KR1020190140670 A KR 1020190140670A KR 20190140670 A KR20190140670 A KR 20190140670A KR 102089911 B1 KR102089911 B1 KR 10208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owder
compression
brackets
pipes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9014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a fixed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지지되는 테이블(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2압착공간(21)(21') 및 제1,2압착공간(21)(2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2전방 및 후방 노즐구멍(23,23')(24,24')을 가지는 제1,2성형블럭(20)(20')과; 제1,2성형블럭(20)(20')의 상부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제1,2압착공간(21)(21')과 연통되는 제1,2워크공간(31)(31')이 형성된 제1,2정량배럴(30)(30')과; 제1,2정량배럴(30)(30')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폐분말을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1,2폐분말투입부(40)(40')와; 제1,2폐분말투입부(40)(40')로 폐분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2폐분말공급부(50)(50')와;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된 폐분말을 제1,2성형블럭(20)(20')의 제1,2압착공간(21)(21')에서 압착시키기 위한 제1,2압착피스톤(61)(61')을 승강시키는 제1,2수직작동실린더(60)(60')와; 제1,2압착피스톤(61)(61')과 제1,2압착공간(21)(2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다수의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2배출로드(71)(71')를 가지는 제1,2수평작동실린더(70)(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Waste powder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분말을 압착 성형하여 용이한 폐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를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 예를 들면 가죽을 가공하는 공장에서는 가죽을 화학처리하거나 연마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분말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한 후 폐기처리 하여야 한다. 이러한 폐분말은 통상 집진기에서 집진한 후 소각 처리하였다.
그런데 폐분말에는 유해한 화학약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소각과정에서 다이옥신과 같은 맹독성 오염물질이 다량 발생되었고, 또한 폐분말은 응집력이 없기 때문에 소각로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미세분말이 다량 발생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함과 동시에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폐분말을 압착 성형하여 고형화함으로써 보관 및 소각등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처리 과정에서 유해한 분말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폐분말을 고형물로 압착 성형하여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보관 및 소각등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분말을 안정적으로 압착 성형함으로써, 보관 및 유통 과정은 물론, 소각 과정에서도 먼지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테이블(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2압착공간(21)(21') 및 상기 제1,2압착공간(21)(2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2전방 및 후방 노즐구멍(23,23')(24,24')을 가지는 제1,2성형블럭(20)(20'); 상기 제1,2성형블럭(20)(20')의 상부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상기 제1,2압착공간(21)(21')과 연통되는 제1,2워크공간(31)(31')이 형성된 제1,2정량배럴(30)(30'); 상기 제1,2정량배럴(30)(30')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폐분말을 상기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1,2폐분말투입부(40)(40'); 상기 제1,2폐분말투입부(40)(40')로 폐분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2폐분말공급부(50)(50'); 상기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된 폐분말을 상기 제1,2성형블럭(20)(20')의 제1,2압착공간(21)(21')에서 압착시키기 위한 제1,2압착피스톤(61)(61')을 승강시키는 제1,2수직작동실린더(60)(60'); 및 상기 제1,2압착피스톤(61)(61')과 제1,2압착공간(21)(2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상기 다수의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2배출로드(71)(71')를 가지는 제1,2수평작동실린더(70)(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성형블럭(20)(20')은, 상기 제1,2압착공간(21)(21')이 형성된 박스형태의 제1,2블럭몸체(22)(22')과, 상기 제1,2블럭몸체(22)(22')의 제1,2전방측벽(22a)(22a')에 위치된 다수의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과, 상기 제1,2전방측벽(22a)(22a')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2착탈공(25)(25')과, 상기 제1,2착탈공(25)(25')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이 형성된 제1,2성형링(26)(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폐분말투입부(40)(40')는, 상부측이 상기 제1,2폐분말공급부(50)(50')와 결합되고 배출구가 상기 제1,2정량배럴(30)(30')과 결합되는 제1,2투입관체(41)(41')와, 상기 제1,2투입관체(41)(41')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2구동모터(42)(42')와, 상기 제1,2투입관체(41)(41')에 내장되어 상기 제1,2구동모터(42)(42')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폐분말공급부(50)(50')에서 공급되는 폐분말을 상기 제1,2워크공간(31)(31')으로 압송하는 제1,2스크류(43)(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성형블럭(20)(20')의 전방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을 재압착하기 위한 제1,2재압착부(80)(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재압착부(80)(80')는,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2하부브라켓(81)(81')과, 상기 제1,2하부브라켓(81)(81')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제1,2상부브라켓(82)(82')과, 상기 제1,2하부브라켓(81)(81')의 상부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반원단면을 가지는 제1,2하부몰드관(83)(83')과, 상기 제1,2상부브라켓(82)(82')의 하부에 결합된 것으로서 하부측으로 개구된 반원단면을 가지는 제1,2상부몰드관(84)(84')과, 상기 제1,2상부브라켓(82)(82')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하부몰드관(83)(83')과 제1,2상부몰드관(84)(84') 사이가 좁아지도록 상기 제1,2상부브라켓(82)(82')을 제1,2하부브라켓(81)(81') 측으로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2서브실린더(85)(85')와, 상기 제1,2하부몰드관(83)(83')와 제1,2상부몰드관(84)(84')이 정확히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하부브라켓(81)(81')과 제1,2상부브라켓(82)(82')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1,2가이드로드(86)(8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재압착부(80)(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재압착된 상기 압착성형물(P)의 압착 상태를 안정화시기 위한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90)(9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90)(90')는, 상기 제1,2재압착부(80)(80')의 제1,2하부몰드관(83)(83')의 전방에 길게 배치되는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2)과, 상기 제1,2재압착부(80)(80')의 제1,2상부몰드관(84)(84')의 전방에 길게 배치되는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과, 상기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의 바닥을 감싸는 제1,2U 볼트(93)(93')와, 상기 제1,2U 볼트(93)(93')에 끼어져 상기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의 상부측에 밀착되는 제1,2가압플레이트(94)(94')와, 상기 제1,2U 볼트(93)(93')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2너트(95)(95')와, 상기 제1,2너트(95)(95')와 제1,2가압플레이트(94)(9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이 상기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2가압플레이트(94)(94')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2스프링(96)(9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수직작동실린더(60)(60')의 하강 및 상승 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제1,2승강높이설정부(100)(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승강높이설정부(100)(100')는, 상기 제1,2정량배럴(30)(3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2센싱브라켓(101)(101')과, 상기 제1,2센싱브라켓(101)(10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2상부센서(102)(102')와, 상기 제1,2센싱브라켓(101)(101')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1,2하부센서(103)(103')와, 상기 제1,2압착피스톤(61)(61')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압착피스톤(61)(61')에 의하여 상기 제1,2정량배럴(30)(30')의 상부측을 관통하여 승강되는 제1,2센싱로드(104)(104')와, 제1,2센싱로드(104)(104')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상부센서(102)(102') 또는 제1,2하부센서(103)(103')에 근접되는 제1,2검지단(105)(10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폐분말공급부 및 제1,2폐분말투입부를 통하여 제1,2정량배럴로 투입되는 폐분말을 고형화된 압착성형물(P)로 대량 압착 성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폐분말 전체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여 보관, 유통 및 소각등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착성형물(P)을 반복적으로 재압착함과 동시에 압착된 상태를 오랜시간동안 유지함으로서, 완성된 압착성형물의 보관, 유통 및 처리 과정에서 유해한 분말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비산 먼지에 노출되어 건강을 위협받거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압착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압착성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압착성형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제1,2성형블럭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른 성형블럭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성형블럭에서 제1,2성형링이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의 VIII-VIII' 선을 따른 제1,2재압착부의 단면도,
도 9는 도 3의 IX-IX' 선을 따른 제1,2압착안정화노즐관의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제1,2승강높이설정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제1,2승강높이설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도 4의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착성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압착성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압착성형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테이블(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2압착공간(21)(21') 및 제1,2압착공간(21)(2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2전방 및 후방 노즐구멍(23,23')(24,24')을 가지는 제1,2성형블럭(20)(20')과; 제1,2성형블럭(20)(20')의 상부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제1,2압착공간(21)(21')과 연통되는 제1,2워크공간(31)(31')이 형성된 제1,2정량배럴(30)(30')과; 제1,2정량배럴(30)(30')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폐분말을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1,2폐분말투입부(40)(40')와; 제1,2폐분말투입부(40)(40')로 폐분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2폐분말공급부(50)(50')와;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된 폐분말을 제1,2성형블럭(20)(20')의 제1,2압착공간(21)(21')에서 압착시키기 위한 제1,2압착피스톤(61)(61')을 승강시키는 제1,2수직작동실린더(60)(60')와; 상기 제1,2압착피스톤(61)(61')과 제1,2압착공간(21)(2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상기 다수의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2배출로드(71)(71')를 가지는 제1,2수평작동실린더(70)(70')와; 제1,2성형블럭(20)(20')의 전방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을 재압착하기 위한 제1,2재압착부(80)(80')와; 제1,2재압착부(80)(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재압착된 상기 압착성형물(P)의 압착 상태를 안정화시기 위한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90)(90')과; 상기 제1,2수직작동실린더(60)(60')의 하강 및 상승 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제1,2승강높이설정부(100)(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성형블럭(20)과 제2성형블럭(20'), 제1정량배럴(30)과 제2정량배럴(30'), 제1폐분말투입부(40)와 제2폐분말투입부(40'), 제1폐분말공급부(50)와 제2폐분말공급부(50'), 제1수직작동실린더(60)와 제2수직작동실린더(60'), 제1수평작동실린더(70)와 제2수평작동실린더(70'), 제1재압착부(80)와 제2재압착부(80'), 제1압착안정화유지부(90) 및 제2압착안정화유지부(90'), 제1승강높이설정부(100) 및 제2승강높이설정부(100')는 동일 구성으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제1,2 참조부호를 하나로 하여 설명한다.
제1,2정량배럴(30)(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성형블럭(20)(20')의 상부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며, 내측에 제1,2압착공간(21)(21')과 연통되는 제1,2워크공간(31)(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2워크공간(31)(31')에는 후술할 제1,2압착피스톤(61)(61')이 내장되어 왕복이송된다.
제1,2폐분말투입부(40)(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정량배럴(30)(30')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2폐분말공급부(50)(50')에서 공급되는 폐분말을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시킨다. 이러한 제1,2폐분말투입부(40)(40')는, 상부측이 제1,2폐분말공급부(50)(50')와 결합되고 배출구가 제1,2정량배럴(30)(30')과 결합되는 제1,2투입관체(41)(41')와, 제1,2투입관체(41)(41')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2구동모터(42)(42')와, 제1,2투입관체(41)(41')에 내장되어 제1,2구동모터(42)(42')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으로서 제1,2폐분말공급부(50)(50')에서 공급되는 폐분말을 제1,2워크공간(31)(31')으로 압송하는 제1,2스크류(43)(43')를 포함한다.
제1,2폐분말공급부(50)(50')는, 외부와 연결되는 폐분말공급덕트(미도시)와 연결되어 폐기처분하기 위한 폐분말이 제1,2폐분말투입부(40)(40')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한다.
제1,2폐분물공급부(50)(50')의 내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폐분말이 덩어리 형태로 굳지 않도록 교반하는 제1,2교반날개(51)(51')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2교반날개(51)(51')는, 상기 제1,2폐분말공급부(40)(40')의 제1,2구동모터(42)(42')와 벨트나 체인에 의하여 회전축이 연결됨으로서, 제1,2구동모터(42)(4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구둥된다.
제1,2수직작동실린더(60)(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정량배럴(30)(3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제1,2워크공간(31)(31') 내에서 제1,2압착피스톤(61)(61')을 승강시키며, 제1,2압착피스톤(61)(61')을 하강시킴으로써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된 폐분말을 제1,2압착공간(21)(21') 측으로 압착시킨다.
상기 제1,2압착피스톤(61)(61')은 제1,2압착공간(21)(21')에 치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제1,2압착피스톤(61)(61')의 단부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압착공간(21)(21')에 형성된 후술할 제1,2구획벽(25)(25') 사이 공간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1,2반호치합부(62)(62')가 형성되며, 제1,2반호치합부(62)(62')는 제1,2구획벽(25)(25') 사이 공간에 밀착되어 상기 제1,2배출로드(71)(71')가 진입되는 원형단면의 압착배출공간을 형성한다.
제1,2수평작동실린더(70)(70')는 제1,2압착피스톤(61)(61')과 제1,2압착공간(21)(2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상기 다수의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제1,2배출로드(71)(71')를 가진다.
도 5는 도 4의 제1,2성형블럭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른 성형블럭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성형블럭에서 제1,2성형링이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2성형블럭(20)(20')은, 테이블(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압착공간(21)(21')이 형성된 박스형태의 제1,2블럭몸체(22)(22')와, 제1,2블럭몸체(22)(22')의 제1,2전방측벽(22a)(22a')에 위치된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3 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과, 제1,2블럭몸체(22)(22')의 제1,2후방측벽(22b)(22b')에 형성된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3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2후방노즐구멍(24)(24')과, 제1,2압착공간(21)(21')에 형성된 것으로서 마주보는 제1,2전방노즐구멍(23)(23')과 제1,2후방노즐구멍(24)(24') 사이 공간을 부분 구획하는 다수의 제2구획벽(25)(25')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의 내주면은, 반복적인 압착 성형과정에서 폐분말에 의하여 인가되는 고압에 의하여 서서히 손상되는데, 이 경우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의 표면은 거칠어진 상태가 되어 분말이 비산되는등 압성성형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폐분말 압착 성형과정이 어느 정도 수행되면, 내주면이 손상된 제1,2전방노즐구멍(23)(23')을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2성형블럭(20)(20')은, 제1,2전방측벽(22a)(22a')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2착탈공(25)(25')과, 제1,2착탈공(25)(25')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이 형성된 제1,2성형링(26)(2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2성형링(26)(26')을 전방 측벽(22a)(22a')의 전방측에서 제1,2착탈공(25)(25')으로부터 교체함으로서, 제1,2성형블럭(20)(20')을 분해하지 않고도 제1,2전방노즐구멍(23)(23')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VIII-VIII' 선을 따른 제1,2재압착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재압착부(80)(80')는, 제1,2성형블럭(20)(20')의 전방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을 재압착한다. 이러한 제1,2재압착부(80)(80')는, 제,1,2전방노즐구멍(23)(23')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2하부브라켓(81)(81')과, 제1,2하부브라켓(81)(81')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제1,2상부브라켓(82)(82')과, 제1,2하부브라켓(81)(81')의 상부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반원단면을 가지는 제1,2하부몰드관(83)(83')과, 제1,2상부브라켓(82)(82')의 하부에 결합된 것으로서 하부측으로 개구된 반원단면을 가지는 제1,2상부몰드관(84)(84')과, 제1,2상부브라켓(82)(82')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제1,2하부몰드관(83)(83')과 제1,2상부몰드관(84)(84') 사이가 좁아지도록 상기 제1,2상부브라켓(82)(82')을 제1,2하부브라켓(81)(81') 측으로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2서브실린더(85)(85')와, 제1,2하부몰드관(83)(83')와 제1,2상부몰드관(84)(84')이 정확히 치합될 수 있도록 제1,2하부브라켓(81)(81')과 제1,2상부브라켓(82)(82')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1,2가이드로드(86)(86')를 포함한다.
제1,2가이드로드(86)(86')는, 제1,2하부브라켓(81)(81')과 제1,2상부브라켓(8)(82')를 수직 방향으로 정확히 가이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2서브실린더(85)(85')가 제1,2상부몰드관(84)(84')를 제1,2하부몰드(83)(83')으로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동안에, 제1,2전방노출구멍(23)(23')으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이 제1,2하부몰드관(83)(83')와 제1,2상부몰드관(84)(84')를 경유하고, 이에 따라 제1,2상부몰드관(84)(84')과 제1,2하부몰드관(83)(83')이 상호 반복적으로 밀착되면서 제1,2하부몰드관(83)(83')와 제1,2상부몰드관(84)(84') 사이를 경유하는 압착성형물(P)을 재압착시킨다. 이에 따라 압착성형물(P)은 구성하는 폐분말은 배출 도중에 다시 압착되므로, 단단한 압착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IX-IX' 선을 따른 제1,2압착안정화노즐관의 단면도이다.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90)(90')는, 제1,2재압착부(80)(80')를 통하여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이 안정되게 압착된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90)(90')는, 제1,2재압착부(80)(80')의 제1,2하부몰드관(83)(83')의 전방에 길게 배치되는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2)과, 제1,2재압착부(80)(80')의 제1,2상부몰드관(84)(84')의 전방에 길게 배치되는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과,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의 바닥을 감싸는 제1,2U 볼트(93)(93')와, 제1,2U 볼트(93)(93')에 끼어져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의 상부측에 밀착되는 제1,2가압플레이트(94)(94')와, 제1,2U 볼트(93)(93')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2너트(95)(95')와, 제1,2너트(95)(95')와 제1,2가압플레이트(94)(94') 사이에 설치되어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이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을 가압하도록 제1,2가압플레이트(94)(94')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2스프링(96)(96')을 포함한다.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은 상부측으로 개구된 반원단면을 가지고,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은 하부측으로 개구된 반원단면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과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구형의 단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2압착부(80)(80')에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은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 및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 사이를 경유하며, 이때 제1,2하부몰드관(91)(91') 및 제1,2상부몰드관(92)(92')는 경유하는 압착성형물(P)은 폐분말이 안정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충분히 긴 길이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5m 이상의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90)(90')에 의하여, 제1,2재압착부(80)(80')에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은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과 제1,2하부연장몰드관(93)(93') 사이를 경유하면서 제1,2스프링(96)(96')에 의하여 가압되고, 이에 따라 압착성형물(P)을 이루는 폐분말은 상호 견고한 결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90)(90')에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은 단단한 표면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보관 및 유통하는 과정에서 비산 먼지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제1,2승강높이설정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1,2승강높이설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승강높이설정부(100)(100')는, 제1,2정량배럴(30)(3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2센싱브라켓(101)(101')과, 제1,2센싱브라켓(101)(10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2상부센서(102)(102')와, 제1,2센싱브라켓(101)(101')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1,2하부센서(103)(103')와, 제1,2압착피스톤(61)(61')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압착피스톤(61)(61')에 의하여 제1,2정량배럴(30)(30')의 상부측을 관통하여 승강되는 제1,2센싱로드(104)(104')와, 제1,2센싱로드(104)(104')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상부센서(102)(102') 또는 제1,2하부센서(103)(103')에 근접되는 제1,2검지단(105)(105')을 포함한다.
제1,2압착피스톤(61)(61')이 상승하여 제1,2검지단(105)(105')이 제1,2상부센서(102)(102')에 대향되면 제1,2상부센서(102)(102')는 제1위치신호를 발생하고, 제1,2압착피스톤(61)(61')이 하강하여 제1,2검지단(105)(105')이 제1,2하부센서(103)(103')에 대향되면 제1,2상부센서(102)(102')는 제1위치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1,2위치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제1,2압착피스톤(61)(61')이 설정된 거리에서 승강되도록 제1,2수직작동실린더(60)(60')를 제어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4의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압착피스톤(61)(61')이 제1,2정량배럴(30)(30')의 제1,2워크공간(31)(31')의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2폐분말공급부(50)(50')를 통하여 제1,2폐분말투입부(40)(40')로 공급된 폐분말은 제1,2스크류(43)(43')에 의하여 교반되면서 제1,2워크공간(31)(31')으로 유입되고,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폐분말이 완전히 충진되면 제1,2스크류(43)(43')의 회전동작은 멈추게 된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압착피스톤(61)(61')이 하강하면, 폐분말은 제1,2성형블럭(20)(20')의 제1,2압착공간(21)(21')에서 서서히 압착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배출로드(71)(71')이 전방측으로 이송되면, 제1,2압착공간(21)(21') 내부에서 전진하면서 압착성형물(P)을 제1,2전방노즐공(23)(23')으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에 따르면, 제1,2폐분말공급부(50)(50') 및 제1,2폐분말투입부(40)(40')를 통하여 제1,2정량배럴(30)(30')로 투입되는 폐분말을 고형화된 압착성형물(P)로 대량 압착 성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폐분말 전체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여 보관, 유통 및 소각등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착성형물(P)을 반복적으로 재압착함과 동시에 압착된 상태를 오랜시간동안 유지함으로서, 완성된 압착성형물(P)의 보관, 유통 및 처리 과정에서 유해한 먼지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비산 먼지에 노출되어 건강을 위협받거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테이블 20, 20' ... 제1,2성형블럭
21, 21' ... 제1,2압착공간 22, 22' ... 제1,2블럭몸체
22a, 22a' ... 전방측벽 23, 23' ... 제1,2전방노즐구멍
24, 24' ... 제1,2후방노즐구멍 25, 25' ... 제1,2착탈공
26, 26' ... 제1,2성형링 30, 30' ... 제1,2정량배럴
31, 31' ... 제1,2워크공간 40, 40' ... 제1,2폐분말공급부
41, 41' ... 제1,2투입관체 42, 42' ... 제1,2구동모터
43, 43' ... 제1,2스크류 50, 50' ... 제1,2폐분말공급부
51, 51' ... 제1,2교반날개 60, 60' ... 제1,2수직작동실린더
61, 61' ... 제1,2압착피스톤 70, 70' ... 제1,2수평작동실린더
71, 71' ... 제1,2배출로드 80, 80' ... 제1,2재압착부
81, 81' ... 제1,2하부브라켓 82, 82' ... 제1,2상부브라켓
83, 83' ... 제1,2하부몰드관 84, 84' ... 제1,2상부몰드관
85, 85' ... 제1,2서브실린더 86, 86' ... 제1,2가이드로드
90, 90' ....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
91, 91' ... 제1,2하부연장몰드관 92, 92' ... 제1,2상부연장몰드관
93,93' ... 제1,2U 볼트 94, 94' ... 제1,2가압플레이트
95, 95' ... 제1,2너트 96, 96'... 제1,2스프링
100, 100' ... 제1,2승강높이설정부
101, 101' ... 제1,2센싱브라켓 102, 102' ... 제1,2상부센서
103, 103' ... 제1,2하부센서 104, 104' ... 제1,2센싱로드
105, 105' ... 제1,2검지단

Claims (8)

  1. 지면에 지지되는 테이블(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2압착공간(21)(21') 및 상기 제1,2압착공간(21)(2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2전방 및 후방 노즐구멍(23,23')(24,24')을 가지는 제1,2성형블럭(20)(20');
    상기 제1,2성형블럭(20)(20')의 상부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상기 제1,2압착공간(21)(21')과 연통되는 제1,2워크공간(31)(31')이 형성된 제1,2정량배럴(30)(30');
    상기 제1,2정량배럴(30)(30')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폐분말을 상기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1,2폐분말투입부(40)(40');
    상기 제1,2폐분말투입부(40)(40')로 폐분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2폐분말공급부(50)(50');
    상기 제1,2워크공간(31)(31')으로 투입된 폐분말을 상기 제1,2성형블럭(20)(20')의 제1,2압착공간(21)(21')에서 압착시키기 위한 제1,2압착피스톤(61)(61')을 승강시키는 제1,2수직작동실린더(60)(60');
    상기 제1,2압착피스톤(61)(61')과 제1,2압착공간(21)(2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상기 다수의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2배출로드(71)(71')를 가지는 제1,2수평작동실린더(70)(70'); 및
    상기 제1,2성형블럭(20)(20')의 전방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으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을 재압착하기 위한 제1,2재압착부(80)(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성형블럭(20)(20')은,
    상기 제1,2압착공간(21)(21')이 형성된 박스형태의 제1,2블럭몸체(22)(22')과,
    상기 제1,2블럭몸체(22)(22')의 제1,2전방측벽(22a)(22a')에 위치된 다수의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과,
    상기 제1,2전방측벽(22a)(22a')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2착탈공(25)(25')과,
    상기 제1,2착탈공(25)(25')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이 형성된 제1,2성형링(26)(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폐분말투입부(40)(40')는,
    상부측이 상기 제1,2폐분말공급부(50)(50')와 결합되고 배출구가 상기 제1,2정량배럴(30)(30')과 결합되는 제1,2투입관체(41)(41')와,
    상기 제1,2투입관체(41)(41')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2구동모터(42)(42')와,
    상기 제1,2투입관체(41)(41')에 내장되어 상기 제1,2구동모터(42)(42')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폐분말공급부(50)(50')에서 공급되는 폐분말을 상기 제1,2워크공간(31)(31')으로 압송하는 제1,2스크류(4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재압착부(80)(80')는,
    상기 제1,2전방노즐구멍(23)(23')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2하부브라켓(81)(81')과,
    상기 제1,2하부브라켓(81)(81')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제1,2상부브라켓(82)(82')과,
    상기 제1,2하부브라켓(81)(81')의 상부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반원단면을 가지는 제1,2하부몰드관(83)(83')과,
    상기 제1,2상부브라켓(82)(82')의 하부에 결합된 것으로서 하부측으로 개구된 반원단면을 가지는 제1,2상부몰드관(84)(84')과,
    상기 제1,2상부브라켓(82)(82')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하부몰드관(83)(83')과 제1,2상부몰드관(84)(84') 사이가 좁아지도록 상기 제1,2상부브라켓(82)(82')을 제1,2하부브라켓(81)(81') 측으로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2서브실린더(85)(85')와,
    상기 제1,2하부몰드관(83)(83')와 제1,2상부몰드관(84)(84')이 정확히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하부브라켓(81)(81')과 제1,2상부브라켓(82)(82')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1,2가이드로드(86)(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재압착부(80)(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재압착된 상기 압착성형물(P)의 압착 상태를 안정화시기 위한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90)(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압착안정화유지부(90)(90')는,
    상기 제1,2재압착부(80)(80')의 제1,2하부몰드관(83)(83')의 전방에 길게 배치되는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과,
    상기 제1,2재압착부(80)(80')의 제1,2상부몰드관(84)(84')의 전방에 길게 배치되는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과,
    상기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의 바닥을 감싸는 제1,2U 볼트(93)(93')와,
    상기 제1,2U 볼트(93)(93')에 끼어져 상기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의 상부측에 밀착되는 제1,2가압플레이트(94)(94')와,
    상기 제1,2U 볼트(93)(93')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2너트(95)(95')와,
    상기 제1,2너트(95)(95')와 제1,2가압플레이트(94)(9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상부연장몰드관(92)(92')이 상기 제1,2하부연장몰드관(91)(91')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2가압플레이트(94)(94')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2스프링(96)(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수직작동실린더(60)(60')의 하강 및 상승 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제1,2승강높이설정부(100)(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승강높이설정부(100)(100')는, 상기 제1,2정량배럴(30)(3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2센싱브라켓(101)(101')과, 상기 제1,2센싱브라켓(101)(10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2상부센서(102)(102')와, 상기 제1,2센싱브라켓(101)(101')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1,2하부센서(103)(103')와, 상기 제1,2압착피스톤(61)(61')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압착피스톤(61)(61')에 의하여 상기 제1,2정량배럴(30)(30')의 상부측을 관통하여 승강되는 제1,2센싱로드(104)(104')와, 제1,2센싱로드(104)(104')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상부센서(102)(102') 또는 제1,2하부센서(103)(103')에 근접되는 제1,2검지단(105)(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KR1020190140670A 2019-11-06 2019-11-06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KR10208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70A KR102089911B1 (ko) 2019-11-06 2019-11-06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70A KR102089911B1 (ko) 2019-11-06 2019-11-06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911B1 true KR102089911B1 (ko) 2020-05-26

Family

ID=7091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670A KR102089911B1 (ko) 2019-11-06 2019-11-06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896B1 (ko) * 2022-11-04 2023-03-08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물 제조장치
KR102507897B1 (ko) * 2022-11-04 2023-03-08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폐분말 열경화 압착성형물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340U (ko) * 1997-04-01 1998-11-16 김일 칩 재활용 성형기
KR101844194B1 (ko) * 2017-11-13 2018-03-30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340U (ko) * 1997-04-01 1998-11-16 김일 칩 재활용 성형기
KR101844194B1 (ko) * 2017-11-13 2018-03-30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896B1 (ko) * 2022-11-04 2023-03-08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물 제조장치
KR102507897B1 (ko) * 2022-11-04 2023-03-08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폐분말 열경화 압착성형물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911B1 (ko)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KR100732251B1 (ko) 재생골재에 포함된 굵은자갈의 분리장치
WO1999052705A1 (fr) Dispositif et procede pour traiter une substance pulverulente ou granulaire
CN107932971B (zh) 挤压成型产品的压制生产系统
WO1989006597A1 (en) Electric powder molding machine
WO2016199889A1 (ja) 金属切削屑圧縮機
KR101302069B1 (ko) 벽돌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벽돌 제조설비
CN210821059U (zh) 一种垃圾处理用垃圾分类压缩装置
KR101386598B1 (ko) 칩 압축기
CN110142080A (zh) 一种间断式化工原料细研装置
US20220415532A1 (en) Mobile compression and melting composite volum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non-combustible waste of dismantled nuclear power plant
KR101807626B1 (ko) 락킹을 이용한 고철 압축장치
JP7342653B2 (ja) 固形化物排出機構およびダスト固形化装置
CN104014409B (zh) 一种组合式碎矿机
CN219744897U (zh) 一种水利工程用废料破碎装置
KR101844194B1 (ko)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JP2009006352A (ja) 各種粉末成型装置及び各種粉末圧縮成型方法
CN2243976Y (zh) 双面液压成型机
KR102507896B1 (ko)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물 제조장치
JP4392589B2 (ja) ブロック圧縮成型装置
JP2009189922A (ja) 減容機、該減容機を用いた産業廃棄物のセメントリサイクル方法
CN209813156U (zh) 危险废弃物液压压块机
JP2001087896A (ja) 粉粒体処理装置
CN107073745B (zh) 用于大尺寸产品的压制设备
US20100043916A1 (en) Filling shoe and method for powder filling and comp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