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194B1 -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194B1
KR101844194B1 KR1020170150574A KR20170150574A KR101844194B1 KR 101844194 B1 KR101844194 B1 KR 101844194B1 KR 1020170150574 A KR1020170150574 A KR 1020170150574A KR 20170150574 A KR20170150574 A KR 20170150574A KR 101844194 B1 KR101844194 B1 KR 10184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space
spaces
quantitative
barr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7015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25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whereby the material is transferred into the press chamber by relative movement between a ram and the press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a fixed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되는 폐분말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1)가 내장되고, 바닥에 제1,2배출구(12)(13)가 형성된 탱크(10)와; 제1,2배출구(12)(13)에서 배출되는 폐분말이 유입되는 제1,2정량공간(21)(21')이 형성된 제1,2정량배럴(20)(20')과; 제1,2정량배럴(20)(20') 전방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제1,2정량공간(21)(21')과 연통된 제1,2압착공간(31)(31') 및 그 제1,2압착공간(31)(31')과 연통된 다수의 제1,2노즐공(33)(33')이 형성된 제1,2압착배럴(30)(30')과; 제1,2정량배럴(20)(20') 후방에 설치되는 제1,2압착구동부(C1)(C1')에 의하여 제1,2정량공간(21)(21') 내에서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제1,2정량공간(21)(21')으로 유입된 폐분말을 제1,2압착공간(31)(31')으로 이송 및 압착하는 제1,2압착피스톤(40)(40')과; 제1,2압착피스톤(40)(40')과 제1,2압착공간(31)(3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상기 다수의 제1,2노즐공(33)(33')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제1,2배출로드(60)(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분말 압착성형장치{Waste powder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분말을 압착 성형하여 용이한 폐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를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 예를 들면 가죽을 가공하는 공장에서는 가죽을 화학처리하거나 연마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분말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한 후 폐기처리 하여야 한다. 이러한 폐분말은 통상 집진기에서 집진한 후 소각 처리하였다.
그런데 폐분말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해한 화학약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소각과정에서 다이옥신과 같은 맹독성 오염물질이 다량 발생되었고, 또한 폐분말은 응집력이 없기 때문에 소각로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미세분말이 다량 발생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함과 동시에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비산되는 폐분말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압착 성형하여 용이한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1993-0017652호에 분말재료의 압축 성형방법 및 그 장치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폐분말을 압착 성형하여 분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체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이송을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폐문말 압착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는, 투입되는 폐분말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1)가 내장되고, 바닥에 제1,2배출구(12)(13)가 형성된 탱크(10); 상기 제1,2배출구(12)(13)에서 배출되는 폐분말이 유입되는 제1,2정량공간(21)(21')이 형성된 제1,2정량배럴(20)(20'); 상기 제1,2정량배럴(20)(20') 전방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정량공간(21)(21')과 연통된 제1,2압착공간(31)(31') 및 그 제1,2압착공간(31)(31')과 연통된 다수의 제1,2노즐공(33)(33')이 형성된 제1,2압착배럴(30)(30'); 상기 제1,2정량배럴(20)(20') 후방에 설치되는 제1,2압착구동부(C1)(C1')에 의하여 상기 제1,2정량공간(21)(21') 내에서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정량공간(21)(21')으로 유입된 폐분말을 제1,2압착공간(31)(31')으로 이송 및 압착하는 제1,2압착피스톤(40)(40'); 및 상기 제1,2압착피스톤(40)(40')과 제1,2압착공간(31)(3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상기 다수의 제1,2노즐공(33)(33')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제1,2배출로드(60)(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압착배럴(30)(30')의 전방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제1,2노즐공(33)(33')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2노즐관(70)(7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압착배럴(30)(30') 후방에 설치되는 제1,2배출구동부(C2)(C2')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제1,2로드연결블럭(50)(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로드연결블럭(50)(50')에는 상기 다수의 제1,2배출로드(60)(60')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배럴(30)은, 일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1정량공간(21)과 연통되는 상기 제1압착공간(31)을 가지는 박스형태의 제1압착배럴블럭(32)과; 상기 제1압착배럴블럭(32)의 전후방 측벽(32a)(32b) 각각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압착공간(3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노즐공(33)과; 상기 제1압착공간(31)에 형성된 것으로서 마주보는 상기 제1노즐공(33) 사이 공간을 부분 구획하는 다수의 제1구획벽(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압착배럴(30')은, 타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정량공간(21')과 연통되는 상기 제2압착공간(31')을 가지는 박스형태의 제2압착배럴블럭(32')과; 상기 제2압착배럴블럭(32')의 전후방 측벽(32a')(32b') 각각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2압착공간(3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2노즐공(33')과; 상기 제2압착공간(31')에 형성된 것으로서 마주보는 상기 제2노즐공(33') 사이 공간을 부분 구획하는 다수의 제2구획벽(3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피스톤(40)은, 그 단부에 상기 제1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1반호치합부(44)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반호치합부(44)가 상기 제1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1배출로드(60)가 진입되는 제1압착배출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제2압착피스톤(40')은, 그 단부에 상기 제2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2반호치합부(44')가 형성되어 상기 제2반호치합부(44')가 상기 제2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2배출로드(60')가 진입되는 제2압착배출공간(S2)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로 투입되는 폐분말을 단단한 형태의 압착성형물(P)로 대량 압착 성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폐분말 전체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폐분말 압착성형물(P)을 처리하기 전까지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보관 및 이송 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미세분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분말은 압착성형되어 압착성형물(P)로 되므로, 과거 소각처리에서 땅에 매립하는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이 과정에서 비산먼지가 발생되지 않아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거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 의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3 의 제1,2압착배럴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제1,2압착배럴과 제1,2압착피스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제1,2압착피스톤이 제1,2압착배럴과 결합함에 따라 제1,2압착배출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 3의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 의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3 의 제1,2압착배럴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2압착배럴과 제1,2압착피스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제1,2압착피스톤이 제1,2압착배럴과 결합함에 따라 제1,2압착배출구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분말 압착성형장치는, 투입되는 폐분말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1)가 내장되고, 바닥에 제1,2배출구(12)(13)가 형성된 탱크(10)와; 제1,2배출구(12)(13)에서 배출되는 폐분말이 유입되는 제1,2정량공간(21)(21')이 형성된 제1,2정량배럴(20)(20')과; 제1,2정량배럴(20)(20') 전방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제1,2정량공간(21)(21')과 연통된 제1,2압착공간(31)(31') 및 그 제1,2압착공간(31)(31')과 연통된 다수의 제1,2노즐공(33)(33')이 형성된 제1,2압착배럴(30)(30')과; 제1,2정량배럴(20)(20') 후방에 설치되는 제1,2압착구동부(C1)(C1')에 의하여 제1,2정량공간(21)(21') 내에서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제1,2정량공간(21)(21')으로 유입된 폐분말을 제1,2압착공간(31)(31')으로 이송 및 압착하는 제1,2압착피스톤(40)(40')과; 제1,2압착배럴(30)(30') 후방에 설치되는 제1,2배출구동부(C2)(C2')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제1,2로드연결블럭(50)(50')와; 제1,2로드연결블럭(50)(50')와 연결되어 제1,2압착공간(31)(31')에서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제1,2압착피스톤(40)(40')과 제1,2압착공간(31)(3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다수의 제1,2노즐공(33)(33')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제1,2배출로드(60)(60')과; 제1,2압착배럴(30)(30')의 전방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제1,2노즐공(33)(33')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2노즐관(70)(70');을 포함한다.
탱크(10)는 지면에 지지되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에 개폐되는 뚜껑(미도시)이 설치되어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폐기처분하기 위한 분말이 투입된다. 탱크(10)에 투입된 폐분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반기(11)에 의하여 교반되어 굳지 않고, 제1,2배출구(12)(13)를 통하여 제1,2정량공간(21)(21')으로 배출된다.
탱크(10)에는 윈도우(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윈도우(14)를 통하여 투입된 폐분말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제1정량배럴(20)과 제2정량배럴(20')은 탱크(10) 하부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배출구(12)(13)와 연통된 제1,2정량공간(2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2정량공간(21)(21')에는 후술할 제1,2압착피스톤(40)(40')이 내장되어 왕복이송된다.
제1압착배럴(30)은 제1정량배럴(20)의 전방에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개구되어 제1정량공간(21)과 연통되는 제1압착공간(31)을 가지는 박스형태의 제1압착배럴블럭(32)과; 제1압착배럴블럭(32)의 전후방 측벽(32a)(32b) 각각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압착공간(3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노즐공, 본 실시예에서는 3 쌍의 제1노즐공(33)과; 제1압착공간(31)에 형성된 것으로서 마주보는 제1노즐공(33) 사이 공간을 부분 구획하는 다수의 제1구획벽(34);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노즐공(33)은 3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1구획벽(34)은 2 개로 이루어지면서 3 개의 제1구획공간을 형성한다.
제2압착배럴(30')은 제2정량배럴(20')의 전방에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으로 개구되어 제2정량공간(21')과 연통되는 제2압착공간(31')을 가지는 박스형태의 제2압착배럴블럭(32')과; 제2압착배럴블럭(32')의 전후방 측벽(32a')(32b') 각각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2압착공간(3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2노즐공, 본 실시예에서는 3 쌍의 제2노즐공(33')과; 제2압착공간(31')에 형성된 것으로서 마주보는 제2노즐공(33') 사이 공간을 부분 구획하는 다수의 제2구획벽(34');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2노즐공(33')은 3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2구획벽(34')은 2 개로 이루어지면서 3 개의 제2구획공간을 형성한다.
제1압착피스톤(40)은 제1정량배럴(20) 후방에 설치되는 제1압착구동부(C1),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의 로드(C1a)와 연결되어 제1정량공간(21) 내에서 왕복 이송되면서, 제1정량공간(21)으로 유입된 폐분말을 제1압착공간(31)으로 이송 및 압착한다. 이러한 제1압착피스톤(40)은 제1압착공간(31)에 치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제1압착피스톤(40)의 단부에는 제1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1반호치합부(44)가 형성되며, 제1반호치합부(44)는 제1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어 후술할 제1배출로드(60)가 진입되는 제1압착배출공간(S1)을 형성한다.
제2압착피스톤(40')은 제2정량배럴(20) 후방에 설치되는 제2압착구동부(C1'),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의 로드(C1a')와 연결되어 제2정량공간(21') 내에서 왕복 이송되면서, 제2정량공간(21)으로 유입된 폐분말을 제2압착공간(31')으로 이송 및 압착한다. 이러한 제2압착피스톤(40')는 제2압착공간(31')에 치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제2압착피스톤(40')의 단부에는 제1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1반호치합부(44')가 형성되며, 제2반호치합부(44')는 제2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어 후술할 제2배출로드(60')이 진입되는 제2압착배출공간(S2)을 형성한다.
상기 제1,2압착배출공간(S1)(S2)은 단면이 원형이며, 제1,2노즐공(33))(33')과 동일 내경을 가진다.
한편, 제1,2압착피스톤(40)(40')이 제1,2정량배럴(20)(20') 내부에서 왕복 이송될 때, 제1,2반호치합부(44)(44')가 제1,2구획벽(34)(34') 사이 공간에 정확히 밀착될 수 있도록 이송 범위를 제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6 및 도 7에는, 제1,2압착피스톤(40)(40')의 외측의 소정부에 피스톤센서(45)가 설치되고, 제1,2정렬배럴(20)(20') 외측에 피스톤센서(45)의 위치를 검지하여 대응되는 제1위치신호와 제2위치신호를 검지하는 제1위치검지센서(46)와 제2위치검지센서(47)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위치검지센서(45)가 피스톤센서(45)를 검지할 때 발생되는 제1위치신호는 제1,2압착피스톤(40)(40')이 초기 위치에 있다라는 것을 의미하고. 제2위치검지센서(47)가 피스톤센서(45)를 검지할 때 발생되는 제2위치신호는 제1,2압착피스톤(40)(40')은 제1,2정량배럴(20)(20')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1,2반호치합부(44)(44')가 제1,2구획벽(34)(34') 사이 공간에 정확히 밀착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제1,2위치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제1,2압착구동부(C1)(C2)가 제1,2압착피스톤(40)(40)의 이송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제1,2로드연결블럭(50)(50')은 제1,2압착배럴(30)(30') 후방에 설치되는 제1,2배출구동부(C2)(C2'),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의 로드(C2a)(C2a')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다수의 제1,2배출로드(60)(60')가 동시에 연결된다.
제1,2배출로드는 다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3 쌍의 제1,2배출로드(60)(60')가 제1,2로드연결블럭(50)(50')과 연결되어 제1,2압착공간(31)(31')에서 동시에 왕복 이송된다. 이러한 제1,2배출로드(60)(60')는 제1,2압착피스톤(40)(40')과 제1,2압착공간(31)(3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3 쌍의 제1,2노즐공(33)(33')으로 배출시킨다.
제1,2노즐관(70)(70')은 제1,2압착배럴(30)(30')의 전방에 설치되어 다수를 이루는 3 쌍의 제1,2노즐공(33)(33')과 연통되며, 제1,2노즐공(33)(33')으로 배출되는 압착성형물(P)을 전방측으로 토출시킨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3의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압착피스톤(40)(40')이 제1,2정량배럴(20)(20')의 제1,2정량공간(21)(21')의 후방에 위치되고, 제1,2배출로드(60)(60')가 제1,2압착배럴(30)(30')의 제1,2압착공간(31)(31')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탱크(10)에 투입된 폐분말은 교반기(11)에 의하여 교반되면서 제1,2배출구(12)(13)를 통하여 제1,2정량공간(21)(21')으로 유입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압착피스톤(40)(40')이 전방측으로 이송되면, 폐분말은 제1,2압착공간()()에서 서서히 압착된다. 이때 제1,2압착피스톤(40)(40')이 완전히 이송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반호치합부(44)(44')가 제1구획벽(34)(34') 사이 공간에 밀착되어 제1,2압착배출공간(S1)(S2)을 형성하고, 제1,2압착배출공간(S1)(S2) 내부에서 폐분말은 단단하게 압착 성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배출로드(60)(60')이 전방측으로 이송되면, 제1,2압착배출공간(S1)(S2) 내부에서 전진하면서 압착성형물(P)을 제1,2노즐공(33)(33')으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폐분말 압착성형장치에 따르면, 탱크(10)로 투입되는 폐분말을 단단한 형태의 압착성형물(P)로 대량 압착 성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분말 전체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폐분말 압착성형물(P)을 처리하기 전까지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보관 및 이송 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미세분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분말은 압착성형되어 압착성형물(P)로 되므로, 과거 소각처리에서 땅에 매립하는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이 과정에서 비산먼지가 발생되지 않아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거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탱크 11 ... 교반기
12, 13 ... 제1,2배출구 14 ... 윈도우
20, 20' ... 제1,2정렬배럴 21, 21' ... 제1,2정량공간
30, 30' ... 제1,2압착배럴 31, 31' ... 제1,2압착공간
32, 32' ... 제1,2압착배럴블럭 33, 33' ... 제1,2노즐공
34, 34' ... 제1,2구획벽 40, 40' ... 제1,2압착피스톤
45 ... 피스톤센서 46, 47 ... 제1,2위치검지센서
50, 50' ... 제1,2로드연결블럭 60, 60' ... 제1,2배출로드
70, 70' ... 제1,2노즐관 C1, C1' ... 제1,2압착구동부
C2, C2' ... 제1,2배출구동부 S1, S2 ... 제1,2압착배출공간
P ... 압착성형물

Claims (5)

  1. 투입되는 폐분말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1)가 내장되고, 바닥에 제1,2배출구(12)(13)가 형성된 탱크(10);
    상기 제1,2배출구(12)(13)에서 배출되는 폐분말이 유입되는 제1,2정량공간(21)(21')이 형성된 제1,2정량배럴(20)(20');
    상기 제1,2정량배럴(20)(20') 전방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정량공간(21)(21')과 연통된 제1,2압착공간(31)(31') 및 그 제1,2압착공간(31)(31')과 연통된 다수의 제1,2노즐공(33)(33')이 형성된 제1,2압착배럴(30)(30');
    상기 제1,2정량배럴(20)(20') 후방에 설치되는 제1,2압착구동부(C1)(C1')에 의하여 상기 제1,2정량공간(21)(21') 내에서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정량공간(21)(21')으로 유입된 폐분말을 제1,2압착공간(31)(31')으로 이송 및 압착하는 제1,2압착피스톤(40)(40'); 및
    상기 제1,2압착피스톤(40)(40')과 제1,2압착공간(31)(31') 사이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상기 다수의 제1,2노즐공(33)(33')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제1,2배출로드(60)(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압착배럴(30)(30')의 전방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제1,2노즐공(33)(33')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2노즐관(70)(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압착배럴(30)(30') 후방에 설치되는 제1,2배출구동부(C2)(C2')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제1,2로드연결블럭(50)(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로드연결블럭(50)(50')에는 상기 다수의 제1,2배출로드(60)(6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배럴(30)은, 일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1정량공간(21)과 연통되는 상기 제1압착공간(31)을 가지는 박스형태의 제1압착배럴블럭(32)과; 상기 제1압착배럴블럭(32)의 전후방 측벽(32a)(32b) 각각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압착공간(3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1노즐공(33)과; 상기 제1압착공간(31)에 형성된 것으로서 마주보는 상기 제1노즐공(33) 사이 공간을 부분 구획하는 다수의 제1구획벽(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압착배럴(30')은, 타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정량공간(21')과 연통되는 상기 제2압착공간(31')을 가지는 박스형태의 제2압착배럴블럭(32')과; 상기 제2압착배럴블럭(32')의 전후방 측벽(32a')(32b') 각각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2압착공간(31')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2노즐공(33')과; 상기 제2압착공간(31')에 형성된 것으로서 마주보는 상기 제2노즐공(33') 사이 공간을 부분 구획하는 다수의 제2구획벽(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피스톤(40)은, 그 단부에 상기 제1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1반호치합부(44)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반호치합부(44)가 상기 제1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1배출로드(60)가 진입되는 제1압착배출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제2압착피스톤(40')은, 그 단부에 상기 제2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2반호치합부(44')가 형성되어 상기 제2반호치합부(44')가 상기 제2구획벽(34') 사이 공간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2배출로드(60')가 진입되는 제2압착배출공간(S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KR1020170150574A 2017-11-13 2017-11-13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KR101844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74A KR101844194B1 (ko) 2017-11-13 2017-11-13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74A KR101844194B1 (ko) 2017-11-13 2017-11-13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194B1 true KR101844194B1 (ko) 2018-03-30

Family

ID=6190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574A KR101844194B1 (ko) 2017-11-13 2017-11-13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911B1 (ko) * 2019-11-06 2020-05-26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73Y2 (ja) * 1986-05-12 1994-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粉末成型装置
JP3204650B2 (ja) * 1999-09-22 2001-09-04 鎌長製衡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容器梱包設備
KR20090118490A (ko) * 2008-05-14 2009-11-18 주식회사 디아이씨 칩 압축기
KR20110018242A (ko) * 2009-08-17 2011-02-23 김현배 가연성 쓰레기 칩(chip) 제조장치
KR101205148B1 (ko) * 2010-10-27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크랩 압축체 제조장치
KR20170109754A (ko) * 2016-03-22 2017-10-10 이유기 알루미늄 분철을 이용한 탈산제 압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73Y2 (ja) * 1986-05-12 1994-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粉末成型装置
JP3204650B2 (ja) * 1999-09-22 2001-09-04 鎌長製衡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容器梱包設備
KR20090118490A (ko) * 2008-05-14 2009-11-18 주식회사 디아이씨 칩 압축기
KR20110018242A (ko) * 2009-08-17 2011-02-23 김현배 가연성 쓰레기 칩(chip) 제조장치
KR101205148B1 (ko) * 2010-10-27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크랩 압축체 제조장치
KR20170109754A (ko) * 2016-03-22 2017-10-10 이유기 알루미늄 분철을 이용한 탈산제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911B1 (ko) * 2019-11-06 2020-05-26 주식회사 금강테크놀러지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035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ssing organic material out of waste
KR101844194B1 (ko)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WO1999052705A1 (fr) Dispositif et procede pour traiter une substance pulverulente ou granulaire
US3848392A (en) Method for disposal of industrial wastes
CN111939814A (zh) 一种工业污水处理用絮凝剂制备装置
DE69529291T2 (de) Mischermodul
KR102089911B1 (ko) 고효율 폐분말 압착성형장치
CN107746131A (zh) 一种工业污水处理设备
DE60306926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pulverförmigen, körnigen oder kräuterprodukten
EP0013587B1 (en) Apparatus for compacting waste
CN211109502U (zh) 一种干湿物料密闭输送设备
CN102730391B (zh) 挤压式污泥输送装置及生物干化系统
CN109013667A (zh) 一种废物回收用环保机械
EP0054005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dichten von organischen Stoffen
WO2019030001A1 (de) Pumpen-einheit, damit ausgestattete lage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 lagervorrichtung
CN107664117A (zh) 具有改进的软管泵的灌装设备
EP3249619A1 (de) Leergut-transportsystem und leergut-rücknahmesystem zur absaugung von gebinden
CN112607974A (zh) 一种废水处理系统
KR200476600Y1 (ko) 화장품 성형품 이물질 제거 장치
CN106824988A (zh) 一种小压实体积固体废物处理设备
US20070241064A1 (en) Method Of Compacting A Slurry By Pressure Filtration
KR101146792B1 (ko) 하천수에 함유된 슬러지 압착 탈수 시스템
CN218945223U (zh) 一种多功能小型颗粒机
CN218139000U (zh) 一种混凝土配料机的除尘装置
DE102005010574A1 (de) Vakuum-Saugförder-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