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909B1 -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909B1
KR102089909B1 KR1020190121256A KR20190121256A KR102089909B1 KR 102089909 B1 KR102089909 B1 KR 102089909B1 KR 1020190121256 A KR1020190121256 A KR 1020190121256A KR 20190121256 A KR20190121256 A KR 20190121256A KR 102089909 B1 KR102089909 B1 KR 10208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frame
experience
experien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택
Original Assignee
임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택 filed Critical 임성택
Priority to KR102019012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4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providing simulation in a real vehi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언덕 등판 능력이나 경사로 저속 주행장치 확인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주행성능을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직접 운전하면서 체험할 수 있는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의 경사로 등판 주행 및 경사로 하강 주행이 가능하고, 이러한 경사로 등판 주행과 경사로 하강 주행을 연속 주행으로 연계시킬 수 있으며, 또 다양한 각도로 경사로 등판 주행 및 경사로 하강 주행의 여건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프로드 구조물을 구현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언덕등판능력, 경사로 저속주행능력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기능들을 직접 체험하여 실제 운전 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량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단순한 구조의 단일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소에 대한 제약없이 어느 곳에서도 설치 운용이 가능한 동시에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Apparatus for vehicle driving experience}
본 발명은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언덕 등판 능력이나 경사로 저속 주행장치 확인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주행성능을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직접 운전하면서 체험할 수 있는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주행과 관련한 개인적인 기술향상과 연습을 위한 드라이빙 스쿨이나 차량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드라이빙 센터 등을 찾는 이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드라이빙 센터는 차량을 살펴볼 수 있는 쇼룸, 자신의 차량을 수리받을 수 있는 서비스센터, 그리고 어떤 차량이든 마음대로 탈 수 있는 트랙 체험 서킷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 밖에 차량의 구조와 과학적 원리를 배울 수 있거나 교통안전교육 및 교통법규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곳으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8739호에는『4륜구동차량의 훈련용 장애물 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4륜구동차량의 훈련용 장애물 시설』에는 다양한 주행 코스, 예를 들면 슬라덤, 완경사, 옆경사, 1단언덕, 2단언덕, S자언덕, 옆경사, 통나무코드, 타이어, 시소, 바위언덕, 모글, 모래밭, 웅덩이 및 V코스 등과 같은 다양한 주행 코스가 갖추어져 있으며, 따라서 이용자들이 직접 차량을 운전하면서 장애물의 각기 다른 난이도에 따라 자신의 드라이빙 테크닉을 체험함으로써, 운전의 즐거움을 느끼면서 자신의 운전실력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또한 이용자들은 장애물을 하나 하나 통과할 때마다 재미와 스릴을 느끼면서 새로운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4륜구동차량의 훈련용 장애물 시설』등과 같은 드라이빙 체험 시설은 넓은 부지(敷地)가 필요하고, 또 위치에 따른 접근성 제약 문제가 있는 등 시설의 운용적인 측면이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한편, 시대에 발맞춰 발전하는 차량에는 한 해 마다 첨단 기능, 예를 들면 MDPS(모터 힘으로 핸들 조향력을 보조해주는 기능), ATCC(곡선 도로에서 구동력과 제동력을 조절해주는 기능), H-TRAC(일반 주행, 가속 주행, 험로 주행, 등판 주행 등 상황에 맞게 앞뒤 구동력 비율을 변경해주는 기능), HDC(경사로 저속 주행 기능) 등과 같은 첨단 기능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렇게 차량에 다양한 첨단 기능이 적용되고 있지만 용어들이 다양한 만큼 이해하지 못하거나 기능을 체험할 수 있는 여건이 마땅치 않아 유용한 첨단 기능들을 숙지 및 활용하지 못하는 운전자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8739호 한국 공개특허 제10-1999-003529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의 경사로 등판 주행 및 경사로 하강 주행이 가능하고, 이러한 경사로 등판 주행과 경사로 하강 주행을 연속 주행으로 연계시킬 수 있으며, 또 다양한 각도로 경사로 등판 주행 및 경사로 하강 주행의 여건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프로드 구조물을 구현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언덕등판능력, 경사로 저속주행능력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기능들을 직접 체험하여 실제 운전 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량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단순한 구조의 단일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소에 대한 제약없이 어느 곳에서도 설치 운용이 가능한 동시에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구동부와 복수 개의 지지대가 갖추어져 있는 수평 프레임 보디와 수직 포스트를 포함하는 체험장치 본체와, 차량이 진입하여 탑재된 후에 진출하는 곳으로서 체험장치 본체의 수직 포스트 상에 저면 중심부분이 힌지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시소 운동이 가능한 차량 탑재부와, 상기 체험장치 본체의 일측과 차량 탑재부의 일측 사이에 연결 설치됨과 더불어 구동부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면서 차량 탑재부의 시소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체험장치 본체의 좌우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차량 탑재부로 진입하는 차량이나 차량 탑재부에서 진출하는 차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차량 유도용 발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의 경사로 등판 주행 및 경사로 하강 주행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체험장치 본체에는 앞쪽과 뒷쪽에 각각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서 체험장치 본체를 차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체험장치 본체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차량 유도용 발판이 거치되는 곳으로서, 하단부의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단부에는 차량 유도용 발판의 거치를 위한 발판 거치용 봉이 형성되어 있는 조절부 프레임과, 체험장치 본체측에 설치되면서 로드를 통해 조절부 프레임측에 연결되어 조절부 프레임을 좌우로 젖혀서 세워주거나 눕혀주는 조절부 실린더로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조절부 프레임은 샤프트측에 지지되면서 조절부 실린더측에 연결되는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과, 발판 거치용 봉을 가지는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의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은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 상에 수납된 상태에서 핀과 홀 간의 선택적인 체결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조절부 실린더의 전진 동작 상태에서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의 높이에 따라 적어도 최상 단계와 중간 단계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차량 등판 또는 하강 시 각기 다른 두 단계의 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조절부 실린더의 후진 동작 상태 및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의 탈거 상태에서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의 눕힘 자세에 따라 최하 단계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차량 등판 또는 하강 시 한 단계의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다음과 같다.
1. 체험장치 본체측에서 시소(Seesaw) 운동이 가능한 차량 탑재부를 좌우로 작동시켜서 경사로 조건을 조성하고,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의 경사로 등판 주행 및 경사로 하강 주행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언덕등판능력, 경사로 저속주행능력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기능, 예를 들면 각도별(35°, 40°, 45°) 사면 제동 능력(성능) 등을 직접 체험하여 실제 운전 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2. 차량의 등판 각도 및 하강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를 이용하여 차량이 다양한 각도로 경사로를 등판 주행할 수 있거나 경사로를 하강 주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줌으로써, 다양한 환경과 여건에서 차량의 각종 기능들을 풍부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체험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체험장치 본체에 바퀴가 갖추어져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사이즈가 작고 단순한 구조의 단일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차량을 이용하여 장소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는 등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제약없이 어느 곳에서도 설치 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에서 각도 조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에서 각도 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차량이 언덕길을 오르거나 언덕길에서 내려오거나 하는 등의 주행 환경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행하면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성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수평 프레임 보디(12)와 수직 포스트(13)로 구성되는 체험장치 본체(14)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프레임 보디(12)는 빔과 튜브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제작한 평판형의 사각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서, 이곳에는 액추에이터(17), 조절부 실린더(23) 등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는 물론, 액추에이터(17), 조절부 실린더(23) 등의 조작이나 제어를 위한 각종 컨트롤 박스(미도시), 각종 유압 배관(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0)는 엔진이나 모터 등으로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타입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컨트롤 박스에서 출력되는 조작이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체험장치 관리자가 컨트롤 박스를 조작함에 따라 구동부(10)가 작동하게 되고, 계속해서 이때의 구동부(10)에서 만들어진 동력(예컨대, 유압)이 액추에이터(17)측이나 조절부 실린더(23)측으로 제공되면서 액추에이터(17)나 조절부 실린더(23)가 작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 보디(12)의 앞쪽과 뒷쪽 단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11), 예를 들면 아웃트리거 타입의 지지대(11)가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지지대(11)를 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수평 프레임 보디(12)를 포함하는 체험장치 본체(14) 전체, 즉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지면 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1)는 전후측으로 길이를 확장 및 축소하거나 또 상하측으로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체험대상 차량의 무게에 따라 전후 지지폭을 조절할 수 있고, 또 이동 시에는 지면으로부터 떨어뜨려서 올려놓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체험장치 본체(14)의 수평 프레임 보디(12)에는 앞쪽과 뒷쪽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구조의 바퀴(19)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옮길 때,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공지의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에 연결한 후, 차량으로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체험장치 본체(14)에 바퀴(19)를 설치하여 차량으로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장소에 대한 제약없이 어느 곳에서도 설치 운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수직 포스트(13)는 수평 프레임 보디(12)의 상면부 중심 영역에서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대략 "∧"자형의 구조물 형태로서, 이러한 수직 포스트(13)는 일정 높이까지 상승되어 있는 차량 탑재부(16)를 밑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포스트(13)의 상단부에는 힌지 핀(15a)과 힌지 브라켓(15b,15c)으로 구성되는 힌지부(15)가 설치되며, 이때의 힌지부(15)를 매개로 하여 차량 탑재부(16)가 시소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두 쌍의 힌지 브라켓(15b,15c) 중에서 한 쌍의 힌지 브라켓(15b)는 수직 포스트(13)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다른 한 쌍의 힌지 브라켓(15c)은 차량 탑재부(16)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 핀(15a)이 두 쌍의 힌지 브라켓(15b,15c)에 관통 체결되므로서, 차량 탑재부(16)는 힌지부(15)를 매개로 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이때의 힌지부(15)를 중심축으로 하여 좌우로 시소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힌지부(15)는 앞쪽과 뒷쪽에 각각 한 세트씩 총 두 세트를 구비하여 차량 탑재부(16)가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차량이 탑재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차량 탑재부(16)를 포함한다.
상가 차량 탑재부(16)는 빔과 튜브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제작한 평판형의 사각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서, 전후 폭방향 양편에는 차량의 진행 궤적을 따라 나란한 차량 진행용 발판(27)이 설치되어 이곳을 따라 차량이 진행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전후 폭방향 양단부에는 일정 높이의 난간(28)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 탑재부(16)는 체험장치 본체(14)의 수직 포스트(13) 상에 저면 중심부분이 힌지부(15)에 의해 지지되면서 시소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 탑부재(16)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면, 이때의 차량 진행용 발판(27)의 단부는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과 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량 탑재부(16)의 저면 중심부, 즉 좌우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의 저면에는 전후 폭방향 양편으로 한 쌍씩의 힌지 브라켓(15c)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힌지 브라켓(15c)과 수직 포스트(13) 상의 힌지 브라켓(15b)에 힌지 핀(15a)이 체결되므로서, 차량 탑재부(16)는 힌지 핀(15a)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좌우측으로 시소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 탑재부(16)의 저면 일측, 예를 들면 힌지부(15)가 설치되는 위치보다 좌우 길이방향으로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한 쌍의 로드 브라켓(29)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로드 브라켓(29)에는 액추에이터(17)의 로드, 예를 들면 실린더 로드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17)의 전진(상승) 작동 시 또는 후진(하강) 작동 시 차량 탑재부(16)가 위로 밀려나거나 아래로 당겨지게 되므로서, 차량 탑재부(16)의 시소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기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차량 탑재부(16)의 시소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액추에이터(17)를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17)는 일종의 실린더,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로서, 실린더 작동을 이용하여 차량 탑재부(16)를 시소 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17)는 경사진 수직 자세를 취하면서 체험장치 본체(14)의 일측과 차량 탑재부(16)의 일측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17)의 보디 부분은 체험장치 본체(14)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디 브라켓(30)측에 핀 구조로 결합됨과 더불어 로드 부분은 차량 탑재부(16)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 브라켓(29)측에 핀 구조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17)는 구동부(10)측과 유압 배관(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부(10)의 가동 시에 제공되는 유압을 공급받아 전진 작동 또는 후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17)측과 구동부(10)측 간의 유압 배관 구조를 공지의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17)의 후진 작동 시, 차량 탑재부(16)는 도면의 우측이 당겨지면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는 동시에 진입측의 차량 유도용 발판(18a)과 접하게 되고, 차량 등판 완료 후(차량이 차량 탑재부 상에 완전이 올라탄 후), 액추에이터(17)의 전진 작동에 의해 차량이 탑재되어 있는 차량 탑재부(16)는 수평 자세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게 되며, 계속적인 액추에이터(17)의 전진 작동에 의해 차량 탑재부(16)는 도면의 좌측이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는 동시에 진출측의 차량 유도용 발판(18b)과 접하게 되므로서, 이 상태에서 차량의 진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차량이 차량 탑재부(16)측으로 올라가거나 차량 탑재부(16)측에서 차량이 내려올 때의 진입과 진출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은 지면에 있던 차량이 차량 탑재부(16)측으로 진입하거나 차량 탑재부(16)측에서 지면으로 진출할 때, 차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은 체험장치 본체(14)의 진입측과 진출측에 차량 바퀴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는 한 쌍씩이 구비되고, 이러한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은 체험장치 본체(14)의 좌우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각각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단부에는 훅(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훅(31)은 체험장치 본체(14) 상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24)측의 발판 거치용 봉(21)이나 샤프트(20)에 걸쳐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 시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훅(31)을 발판 거치용 봉(21)이나 샤프트(20)에 걸쳐놓게 되면,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을 체험장치 본체(14)측에 경사진 자세로 설치할 수 있게 되고, 미사용 시(이동 시나 보관 시)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훅(31)을 발판 거치용 봉(21)이나 샤프트(20)에서 떼어내게 되면,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을 체험장치 본체(14)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차량의 진입 및 진출 각도를 여러 단계로 조절하는 수단으로 각도 조절부(24)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24)는 체험장치 본체(14)의 양쪽 단부, 즉 진입측과 진출측에 각각 설치되고, 이곳에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이 거치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각도 조절부(24)의 각도 조절 단계에 따라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경사 각도가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부(24)는 상단부에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거치를 위한 발판 거치용 봉(21)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단부에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샤프트(20)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부 프레임(22)과, 상기 조절부 프레임(22)을 좌우측으로 젖혀주면서 조절부 프레임을 세워주거나 눕혀주는 조절부 실린더(23)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부 프레임(22)은 샤프트(20)를 이용하여 체험장치 본체(14)의 양쪽 단부 상면에 본체 전후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다수 개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조절부 프레임(22)의 상단부 양편에는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훅(31)을 걸 수 있는 발판 거치용 봉(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 실린더(23)의 보디 부분은 체험장치 본체(14)측에 핀 구조로 결합됨과 더불어 로드 부분은 조절부 프레임(22)측에 핀 구조로 결합된다.
이러한 조절부 실린더(23)는 구동부(10)측과 유압 배관(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부(10)의 가동 시에 제공되는 유압을 공급받아 전진 작동 또는 후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 실린더(23)측과 구동부(10)측 간의 유압 배관 구조를 공지의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 실린더(23)의 전진 작동 시 조절부 프레임(22)이 약간 경사진 수직자세로 세워질 수 있게 되고, 또 조절부 실린더(23)의 후진 작동 시 조절부 프레임(22)이 체험장치 본체(14)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눕혀질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조절부 실린더(23)의 작동에 의한 조절부 프레임(22)의 자세에 따라 이곳에 걸쳐지는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각도가 2단계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부(24)의 조절부 프레임(22)은 서로 간에 착탈은 물론 서로 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과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은 하단부의 샤프트(20)를 통해 체험장치 본체(14)측에 지지되는 부분이고, 상기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은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측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과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에는 서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사각의 관 부재(32a,32b)가 구비되며, 이렇게 구비되는 관 부재(32a,32b)에는 양쪽 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홀(26)이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에 있는 관 부재(32a)에는 상단 부분에 양쪽 측면을 관통하는 1개의 홀(26)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에는 관 부재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양쪽 측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2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의 관 부재(32a) 내에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관 부재(32b)를 삽입한 상태에서 각각의 관 부재(32a)에 형성되어 있는 홀(26)의 위치를 적당히 선택하여 맞춘 다음, 이때의 일치되는 홀(26)에 핀(25)을 체결하게 되면,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 상에서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핀(25)이 체결되는 홀(26)의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게 되면,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높이 조절은 조절부 프레임(22)의 전체 높이 조절을 의미하므로, 결국 이러한 각도 조절부(24)의 조작을 통해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절부(24)는 조절부 실린더(23)의 전진 동작 상태에서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높이에 따라 적어도 최상 단계와 중간 단계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차량 등판 또는 하강 시 각기 다른 두 단계의 각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조절부 실린더(23)의 후진 동작 상태 및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탈거 상태에서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눕힘 자세에 따라 최하 단계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차량 등판 또는 하강 시 한 단계의 각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각도 조절부(24)는 조절부 프레임(22)의 자세 변화 및 조절부 프레임(22)의 높이 조절을 이용하여 이곳에 거치되는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각도를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 프레임(22)을 눕힌 상태에서 샤프트(20)측에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을 거치한 단계, 조절부 프레임(22)을 세운 상태에서의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을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에 최대한 수납한 상태(착탈형 조절부 프레임의 관 부재의 가장 윗쪽의 홀에 핀을 체결한 상태)에서 발판 거치용 봉(22)에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을 거치한 단계, 조절부 프레임(22)을 세운 상태에서의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을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에 최대한 인출한 상태(착탈형 조절부 프레임의 관 부재의 가장 아래쪽의 홀에 핀을 체결한 상태)에서 발판 거치용 봉(22)에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을 거치한 단계 등과 같이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각도를 15∼45°정도의 각도, 예를 들면 35°, 40°, 45°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체험장치 본체(14)에 있는 지지대(11)의 높이, 조절부 프레임(22)에 있는 관 부재(32a,32b)의 길이 및 홀(26)의 간격이나 갯수 등을 조절하게 되면,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각도, 즉 차량의 등판 및 하강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자가 차량(110)를 직접 운전하면서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100)를 경유함으로써, 차량(110)의 각종 기능, 예를 들면 언덕 등판 능력(HTRAC), 경사로 저속주행장치(Down Brake Control;DBC) 확인, 서라운드 뷰 모니터 확인 등의 기능을 체험할 수 있다.
먼저, 인스트럭터에 의한 컨트롤 박스의 조작으로 구동부(1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은 액추에이터(17)가 후진 작동하게 되면, 차량 탑재부(16)가 도면의 우측으로 경사진 자세를 취함과 더불어 진입측의 차량 유도용 발판(18a)과 접하게 되므로서,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100)가 가파른 언덕을 조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약 3.5m 정도의 높이와 약 35°의 경사를 가지는 가파른 언덕이 조성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110)을 운전하여 차량 유도용 발판(18a)을 진입한 후, 계속해서 차량(110)을 몰고 차량 탑재부(16)까지 등판하게 된다.
이때, 차량(110)은 무게 중심이 완전히 뒤로 쏠리는 상황에서도 HTRAC의 도움으로 구동력의 손실없이 안전하게 가파른 언덕을 등판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차량(110)이 차량 탑재부(16) 상에 완전히 위치된 상태에서, 인스트럭터에 의한 컨트롤 박스의 조작으로 액추에이터(17)가 전진 작동하게 되고, 그 결과 차량(110)이 탑재되어 있는 차량 탑재부(16)는 도면의 우측이 위로 밀려서 올라감과 더불어 수평 자세를 유지하게 되며, 이렇게 차량(110) 및 차량 탑재부(16)가 수평 자세를 취하게 되면, 이 상태로 잠시 대기하게 된다.
다음, 인스트럭터에 의한 컨트롤 박스의 조작으로 구동부(1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은 액추에이터(17)가 전진 작동하게 되면, 차량 탑재부(16)가 도면의 좌측으로 경사진 자세를 취함과 더불어 진출측의 차량 유도용 발판(18b)과 접하게 되므로서,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100)가 가파른 내리막을 조성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운전자가 경사로저속주행장치를 활성화시키게 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차량(110)이 가파른 내리막을 인지하여 브레이킹을 제어해주며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의 경사로 등판 주행 및 경사로 하강 주행이 가능한 새로운 오프로드 구조물, 즉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언덕등판능력, 경사로 저속주행능력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기능들을 직접 체험하여 실제 운전 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는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제약없이 언제 어느 곳에서도 설치 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10 : 구동부
11 : 지지대
12 : 수평 프레임 보디
13 : 수직 포스트
14 : 체험장치 본체
15 : 힌지부
16 : 차량 탑재부
17 : 액추에이터
18a,18b : 차량 유도용 발판
19 : 바퀴
20 : 샤프트
21 : 발판 거치용 봉
22 : 조절부 프레임
22a :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
22b :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
23 : 조절부 실린더
24 : 각도 조절부
25 : 핀
26 : 홀
27 : 차량 진행용 발판
28 : 난간
29 : 로드 브라켓
30 : 보디 브라켓
31 : 훅
32a,32b : 관 부재

Claims (5)

  1. 구동부(10)와 복수 개의 지지대(11)가 갖추어져 있는 수평 프레임 보디(12)와 수직 포스트(13)를 포함하는 체험장치 본체(14);
    차량이 진입하여 탑재된 후에 진출하는 곳으로서 체험장치 본체(14)의 수직 포스트(13) 상에 저면 중심부분이 힌지부(15)에 의해 지지되면서 시소 운동이 가능한 차량 탑재부(16);
    상기 체험장치 본체(14)의 일측과 차량 탑재부(16)의 일측 사이에 연결 설치됨과 더불어 구동부(10)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면서 차량 탑재부(16)의 시소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17);
    상기 체험장치 본체(14)의 좌우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차량 탑재부(16)로 진입하는 차량이나 차량 탑재부(16)에서 진출하는 차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
    을 포함하며,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의 경사로 등판 주행 및 경사로 하강 주행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체험장치 본체(14)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이 거치되는 곳으로서, 하단부의 샤프트(20)를 중심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단부에는 차량 유도용 발판(18a,18b)의 거치를 위한 발판 거치용 봉(21)이 형성되어 있는 조절부 프레임(22)과, 체험장치 본체(14)측에 설치되면서 로드를 통해 조절부 프레임(22)측에 연결되어 조절부 프레임(22)을 좌우로 젖혀서 세워주거나 눕혀주는 조절부 실린더(23)로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24)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험장치 본체(14)에는 앞쪽과 뒷쪽에 각각 바퀴(19)가 설치되어 있어서 체험장치 본체(14)를 차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24)의 조절부 프레임(22)은 샤프트(20)측에 지지되면서 조절부 실린더(23)측에 연결되는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과, 발판 거치용 봉(21)을 가지는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으로 구성되고, 상기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은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a) 상에 수납된 상태에서 핀(25)과 홀(26) 간의 선택적인 체결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24)는 조절부 실린더(23)의 전진 동작 상태에서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높이에 따라 적어도 최상 단계와 중간 단계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차량 등판 또는 하강 시 각기 다른 두 단계의 각도를 제공할 수 있음과 더불어 조절부 실린더(23)의 후진 동작 상태 및 착탈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탈거 상태에서 고정형 조절부 프레임(22b)의 눕힘 자세에 따라 최하 단계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차량 등판 또는 하강 시 한 단계의 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KR1020190121256A 2019-10-01 2019-10-01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KR102089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256A KR102089909B1 (ko) 2019-10-01 2019-10-01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256A KR102089909B1 (ko) 2019-10-01 2019-10-01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909B1 true KR102089909B1 (ko) 2020-03-16

Family

ID=6994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256A KR102089909B1 (ko) 2019-10-01 2019-10-01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644B1 (ko) * 2020-12-16 2021-04-29 주식회사 디엠에이 차량 성능 체험장치
CN117928984A (zh) * 2024-03-25 2024-04-26 临沂美联重工有限公司 一种滑移装载机用基本数据测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291A (ko) 1997-10-31 1999-05-15 정몽규 차량시험용 등판각 조절장치
KR200278739Y1 (ko) 2002-03-14 2002-06-21 염동찬 4륜구동차량의 훈련용 장애물 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291A (ko) 1997-10-31 1999-05-15 정몽규 차량시험용 등판각 조절장치
KR200278739Y1 (ko) 2002-03-14 2002-06-21 염동찬 4륜구동차량의 훈련용 장애물 시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MA 2016 EXPERIENCE, Youtube.com, [online] 2017.03.06., [2019.12.04. 검색], [URL:https://www.youtube.com/watch?v=Lmps5M4UWEs]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644B1 (ko) * 2020-12-16 2021-04-29 주식회사 디엠에이 차량 성능 체험장치
CN117928984A (zh) * 2024-03-25 2024-04-26 临沂美联重工有限公司 一种滑移装载机用基本数据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909B1 (ko) 차량 주행성능 체험장치
KR101943180B1 (ko) 주행기구 및 그 주행기구가 장착되는 전기차와 장난감
KR101942017B1 (ko) 익사이팅 사이클
US3814021A (en) Spiral jump stunt apparatus
JPH09156500A (ja) ラック式軌道運搬装置とその装置を用いた軌道の敷設工法
DE202007015244U1 (de) Auf drei Punkten aufstehendes, mit Muskelkraft zu bewegendes Sport- und Transportgerät
EP0561902A1 (en) Mobile and adjustable scaffold system
KR20170132518A (ko) 트러스트 구조를 갖는 스카이라이더 시스템
KR102476109B1 (ko) 순환형 코스터
CN1183734A (zh) 人用娱乐乘坐装置
KR100237501B1 (ko) 자동차 주차 설비
JPH08173584A (ja) スキーシミュレータ
CN106476671B (zh) 一种警用攀登突击车
CN217925143U (zh) 一种汽车跷尾停车系统
EP1845005A2 (de) Schienenfahrzeug und Schienenverkehr
KR102245644B1 (ko) 차량 성능 체험장치
CN110080117A (zh) 移动式简易混凝土护栏模板车及其制作方法
JP4269077B2 (ja) レクリエーション装置
EP3176061B1 (de) Trainingsvorrichtung für motorradfahrer
KR102230853B1 (ko) 익사이팅 라이딩기구용 레일
KR102215531B1 (ko) 익사이팅 라이딩기구용 레일 및 익사이팅 라이딩기구
CN217015305U (zh) 游乐场攀登架
CN110864905A (zh) 一种组合模块式汽车路况模拟测试系统
DE19923235A1 (de) Belustigungsvorrichtung; Drachenflieger geführt an verschiedenen Aufhängungen
AT516087B1 (de) Trainingsvorrichtung für motorradfah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