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221B1 - 미세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221B1
KR102089221B1 KR1020190111242A KR20190111242A KR102089221B1 KR 102089221 B1 KR102089221 B1 KR 102089221B1 KR 1020190111242 A KR1020190111242 A KR 1020190111242A KR 20190111242 A KR20190111242 A KR 20190111242A KR 102089221 B1 KR102089221 B1 KR 10208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ne dust
user
ai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서영
Original Assignee
한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영 filed Critical 한서영
Priority to KR102019011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7Clean rooms, i.e. enclosed spaces in which a uniform flow of filtered air is distributed
    • F24F3/16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이 제1 에어를 분사하여 실내와 현관을 구획하고, 제2 유닛이 현관에 진입한 사용자의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분리시키되, 제3 유닛은 분리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고, 제5 유닛은 제1 내지 제3 유닛의 가동에 따라 덮여있던 커버를 개방하며, 제4 유닛은 현관에 진입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연계하거나 현관에 사용자가 진입한 것을 감지하여 제1 내지 제3 유닛 및 제5 유닛을 가동시키도록 한 실시예로부터, 실외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러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장치{FINE PARTICULATE REMOVAL APPAPRATUS}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먼지 제거를 위하여 현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올해의 한반도의 대기오염, 특히 미세먼지 오염은 다른 어느때보다 심각하다.
대한민국정부는 2016년 미세먼지관리 특별대책을 발표하였지만 큰 성과를 보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도의 변화를 설명하는 요인은 크게 두 가지 인데, 첫째는 오염배출량의 변화이고 둘째는 기상조건의 변화이다.
결국 기상 조건의 악화에 따라 고농도 상황이 벌어진 것이고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도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기상청 관측자료에 따르면 2018년 서울 평균 풍속은 초속 1.7M로 관측을 시작한 1908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평년(초속 2.3m)보다 26% 느린 수치로 그만큼 대기정체가 심해졌다는 뜻이다.
대기정체가 심해지면서 바람이 미세먼지를 걷어내지 못하고 결국 미세먼지가 계속 쌓이면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한반도를 뒤덮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중국에서 초미세먼지를 만드는 주범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증가하고 있는 점도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중국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줄고 있지만 VOCs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동오염원에서 주로 발생하는 VOCs는 대기 중에서 햇빛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국내 초미세먼지의 40% 이상을 구성하는 유기물질이 된다.
현재 정부는 각 부처의 합동으로 종합대책을 논의하고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을 연구중이지만 장기적인 대책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그 전까지는 개인 스스로 미세먼지에 대해 일시적 처방을 찾는 해법을 강구해야 한다.
실외 미세먼지는 외출을 자제하고 마스크를 끼는 등 주의를 기울여 피해를 최소화 하는게 가능하다.
그러나 실내를 미세먼지 없는 청정구역으로 만들기 위해 자연 환기가 가장 중요하지만 외부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환기가 불가하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의류 또는 침구류에 달라붙은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등록특허 제10-1994040호의 "거치 및 휴대가 용이한 미세먼지 제거기"(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이 많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실내의 미세먼지 제거에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실외로부터 사용자에 붙어 따라 들어오는 미세먼지나 이물질은 제거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과 같은 장치를 매번 현관에 비치해 둘 수는 없으므로, 사정상 현관에 선행기술과 같은 장치가 비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묻힌채 실내로 진입할 수 밖에 없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9940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실외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러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에어를 분사하고, 상기 제1 에어에 의하여 주택의 내부 공간을 실내와 상기 현관으로 구획하는 제1 배출팬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에어를 분사하고, 실외로부터 상기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상기 제2 에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털어내어 제거하는 제2 배출팬을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출팬에 의하여 제거된 상기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과 연결되며 상기 부압에 의한 상기 현관의 공기를 이동시키고 상기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를 포함하는 제3 유닛; 평소에는 상기 제1 유닛 내지 상기 제3 유닛의 절전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상기 현관 진입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진입시 상기 제1 유닛 내지 제3 유닛을 가동시키는 제4 유닛; 및 상기 제1 배출팬과 상기 제2 배출팬 및 상기 흡입팬의 흡입구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4 유닛과 연동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상기 제1 배출팬과 상기 제2 배출팬 및 상기 흡입팬의 흡입구를 닫아두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진입시 상기 흡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흡입구를 차단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제5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2 유닛보다 상기 실내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현관의 좌우 양측면과 바닥면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배출팬의 커버와 상기 제2 배출팬의 커버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팬의 커버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흡입팬의 커버가 개방되며, 상기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상기 현관에서 제거되면 모든 커버는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에어를 분사하고, 제1 에어에 의하여 주택의 내부 공간을 실내와 현관으로 구획하는 제1 배출팬을 포함하는 제1 유닛;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에어를 분사하고, 실외로부터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제2 에어에 의하여 사용자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털어내어 제거하는 제2 배출팬을 포함하는 제2 유닛;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배출팬에 의하여 제거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흡입팬과, 흡입팬과 연결되며 부압에 의한 현관의 공기를 이동시키고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를 포함하는 제3 유닛; 평소에는 제1 유닛 내지 제3 유닛의 절전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거나, 사용자의 현관 진입을 감지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진입시 제1 유닛 내지 제3 유닛을 가동시키는 제4 유닛; 및 제1 배출팬과 제2 배출팬 및 흡입팬의 흡입구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4 유닛과 연동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제1 배출팬과 제2 배출팬 및 흡입팬의 흡입구를 닫아두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진입시 흡입구를 개방하고,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되면 흡입구를 차단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제5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실외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러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원천적으로 차단시켜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더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제2 유닛보다 실내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제3 유닛은 현관의 좌우 양측면과 바닥면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현관을 기준으로 하여 실외와 실내 공간을 확실하게 구분짓고 실외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유입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진입이 감지되면, 제1 배출팬의 커버와 제2 배출팬의 커버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흡입팬의 커버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사용자로부터 분리되면 흡입팬의 커버가 개방되며,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현관에서 제거되면 모든 커버는 닫히도록 함으로써, 실외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러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면 실외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에 부착되는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고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제2 유닛에 의하여 분사되는 제2 에어로써 제거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5 유닛이 탈부착 가능한 모듈 형태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와 시공상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수와 점검 및 유지 관리의 편의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현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주요부인 제5 유닛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커버가 열리기 전 설치 슬롯이 닫힌 상태를, 도 4는 커버가 열려 설치 슬롯이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현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주요부인 제5 유닛(50)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커버(50c)가 열리기 전 설치 슬롯(61)이 닫힌 상태를, 도 4는 커버(50c)가 열려 설치 슬롯(61)이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본 명세서를 바라보는 독자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구성을 나타내며, 도면 이해의 편의상 점선으로 표시된 후술할 설치 슬롯(61)은 본 명세서를 바라보는 독자에게 가장 가깝게 배치된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현관(6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초기 시공 단계에서 매립 시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유닛(10)과 제2 유닛(20)과 제3 유닛(30)과 제4 유닛(40) 및 제5 유닛(5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은 현관(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에어(12)를 분사하고, 제1 에어(12)에 의하여 주택의 내부 공간을 실내(70)와 현관(60)으로 구획하는 제1 배출팬(11)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유닛(20)은 현관(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에어(22)를 분사하고, 실외(80)로부터 현관(60)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제2 에어(22)에 의하여 사용자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털어내어 제거하는 제2 배출팬(21)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유닛(30)은 현관(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배출팬(21)에 의하여 제거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흡입팬(31)과, 흡입팬(31)과 연결되며 부압에 의한 현관(60)의 공기를 이동시키고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실외(80)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32)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4 유닛(40)은, 평소에는 제1 유닛(10) 내지 제3 유닛(30)의 절전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거나, 사용자의 현관(60) 진입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이하 미도시)가 휴대용 단말기(이하 미도시)를 들고 현관(60)에 진입하거나 사용자가 현관(60)에 진입할 경우 제1 유닛 내지 제3 유닛(10, 20, 30)을 가동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제5 유닛(50)은 제1 배출팬(11)과 제2 배출팬(21) 및 흡입팬(31)의 흡입구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4 유닛(40)과 연동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제1 배출팬(11)과 제2 배출팬(21) 및 흡입팬(31)의 흡입구를 닫아두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진입시 흡입구를 개방하고,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되면 흡입구를 차단시키는 커버(50c)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유닛(10)과 제4 유닛(40) 등을 포함한 제2, 3 유닛(20, 30) 등을 모듈 형태로 제공하여 현관(6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은 제2 유닛(20)보다 실내(70)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제3 유닛(30)은 현관(60)의 좌우 양측면과 바닥면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되도록 하되, 흡입팬(31)과 연결된 에어덕트 말단의 흡입구가 현관 바닥면의 높이가 다른 제1 바닥면과 제2 바닥면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됨으로써, 현관(60)을 기준으로 하여 실외(80)와 실내(70) 공간을 확실하게 구분짓고 실외(80)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유입 자체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진입이 감지되면, 제1 배출팬(11)의 커버(50c)와 제2 배출팬(21)의 커버(50c)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흡입팬(31)의 커버(50c)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사용자로부터 분리되면 흡입팬(31)의 커버(50c)가 개방되며,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현관(60)에서 제거되면 모든 커버(50c)는 닫히게 될 것이다.
여기서, 제4 유닛(40)은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bluetooth) 기능과 연계하여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를 가지지 않은 사용자가 현관(60)에 진입할 경우에는 생체감지 또는 동작감지 센서와 연계하여 제1 내지 제3 유닛(10, 20, 30)들이 가동되게 하는 등의 응용 및 변형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5 유닛(5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배출팬(11)과 제2 배출팬(21) 및 흡입팬(31)이 수용되도록 흡입구측에 관통 형성된 설치 슬롯(61)의 일측 가장자리 내부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롤(51)과, 설치 슬롯(61)의 타측 가장자리 내부에 제1 롤(51)과 연동하여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롤(5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유닛(50)의 커버(50c)는 제1 롤(51)에 권취 또는 권취 해제 가능하게 일단부 가장자리가 장착되며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통과를 차단하는 필름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5 유닛(50)은, 커버(50c)의 타단부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제2 롤(52)에 권취 또는 권취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 와이어(53, 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유닛(50)은, 제1 롤(51) 및 제2 롤(52)에 장착되어 제1 롤(51) 및 제2 롤(52)이 동시에 정, 역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계(50d)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구동전달계(50d)는, 제1 롤(51)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제1 롤(5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54)와, 특별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제2 롤(52)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제2 롤(5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구동전달계(50d)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모터(54)와, 제1 롤(51) 또는 제2 롤(52)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제1 롤(51) 또는 제2 롤(5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54)의 구동축(54s)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동전달계(50d)는, 구동축(54s)에 장착되는 구동 스프라켓(56)과, 제2 롤(52) 또는 제1 롤(51)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구동축(54s)과 연동 회전하는 종동축(57)과, 종동축(57)에 장착되는 종동 스프라켓(58)과, 구동 스프라켓(56)과 종동 스프라켓(58)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59)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2 배출팬(11, 21)이 가동되거나 흡입팬(31)이 가동될 경우에는 제4 유닛(40)과 연계하여 구동전달계(50d) 또한 가동을 시작하고 제1 모터(5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3과 같이 설치 슬롯(61)을 차단하고 있던 커버(50c)가 도 4와 같이 제1 모터(54)와 연결된 제1 롤(51)에 권취됨에 따라 설치 슬롯(61)을 개방하게 된다.
한편, 제1, 2 배출팬(11, 21)과 흡입팬(31)에 의한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되었으면 제1 롤(51)과 제2 롤(52)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 와이어(53, 53)에 연결된 커버(50c)는 제1 롤(51)로부터 권취 해제되어 도 3과 같이 설치 슬롯(61)을 닫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현관(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에어(12)를 분사하고, 제1 에어(12)에 의하여 주택의 내부 공간을 실내(70)와 현관(60)으로 구획하는 제1 배출팬(11)을 포함하는 제1 유닛(10); 현관(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에어(22)를 분사하고, 실외(80)로부터 현관(60)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제2 에어(22)에 의하여 사용자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털어내어 제거하는 제2 배출팬(21)을 포함하는 제2 유닛(20); 현관(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배출팬(21)에 의하여 제거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흡입팬(31)과, 흡입팬(31)과 연결되며 부압에 의한 현관(60)의 공기를 이동시키고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실외(80)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32)를 포함하는 제3 유닛(30); 평소에는 제1 유닛(10) 내지 제3 유닛(30)의 절전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거나, 사용자의 현관(60) 진입을 감지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진입시 제1 유닛(10) 내지 제3 유닛(30)을 가동시키는 제4 유닛(40); 및 제1 배출팬(11)과 제2 배출팬(21) 및 흡입팬(31)의 흡입구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4 유닛(40)과 연동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제1 배출팬(11)과 제2 배출팬(21) 및 흡입팬(31)의 흡입구를 닫아두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진입시 흡입구를 개방하고,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되면 흡입구를 차단시키는 커버(50c)를 포함하는 제5 유닛(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실외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러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원천적으로 차단시켜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더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은 제2 유닛(20)보다 실내(70)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제3 유닛(30)은 현관(60)의 좌우 양측면과 바닥면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현관(60)을 기준으로 하여 실외(80)와 실내(70) 공간을 확실하게 구분짓고 실외(80)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유입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진입이 감지되면, 제1 배출팬(11)의 커버(50c)와 제2 배출팬(21)의 커버(50c)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흡입팬(31)의 커버(50c)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사용자로부터 분리되면 흡입팬(31)의 커버(50c)가 개방되며,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현관(60)에서 제거되면 모든 커버(50c)는 닫히도록 함으로써, 실외(80)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러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실내(70)로 유입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면 실외(8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에 부착되는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실내(70)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고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제2 유닛(20)에 의하여 분사되는 제2 에어(22)로써 제거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5 유닛(100~500)이 탈부착 가능한 모듈 형태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와 시공상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수와 점검 및 유지 관리의 편의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실외로부터 사용자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러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제1 유닛
11...제1 배출팬
12...제1 에어
20...제2 유닛
21...제2 배출팬
22...제2 에어
30...제3 유닛
31...흡입팬
32...에어덕트
40...제4 유닛
50...제5 유닛
50c...커버
50d...구동전달계
51...제1 롤
52...제2 롤
53, 53...연결 와이어
54...제1 모터
54s...구동축
56...구동 스프라켓
57...종동축
58...종동 스프라켓
59...체인
60...현관
61...설치 슬롯
70...실내
80...실외

Claims (3)

  1.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바닥면보다 낮은 제2 바닥면을 포함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현관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제1 에어에 의하여 주택의 내부 공간을 실내와 상기 현관으로 구획하는 제1 배출팬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보다 실내로부터 더 먼 위치로 제2 에어를 분사하도록 상기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실외로부터 상기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상기 제2 에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털어내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리하는 제2 배출팬을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제2 에어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리된 상기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과 연결되며 상기 부압에 의한 상기 현관의 공기를 이동시키고 상기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덕트 말단의 흡입구가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된 제3 유닛;
    평소에는 상기 제1 유닛 내지 상기 제3 유닛의 절전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상기 현관 진입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진입시 상기 제1 유닛 내지 제3 유닛을 가동시키는 제4 유닛; 및
    각각이 상기 제1 배출팬의 에어 배출 측, 상기 제2 배출팬의 에어 배출 측 및 상기 흡입팬의 흡입구 측에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 제4 유닛과 연동되는 커버들을 포함하는 제5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유닛은, 상기 제1 배출팬의 에어 배출 측, 상기 제2 배출팬의 에어 배출 측 및 상기 흡입팬의 흡입구가 모두 차단된 평소의 제1 상태와, 상기 제1 배출팬의 에어 배출 측 및 상기 제2 배출팬의 에어 배출 측이 개방되고 상기 흡입구가 차단된 제2 상태와, 상기 흡입구가 개방된 제3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유닛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진입시에,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배출팬 에어 배출 측 커버와 상기 제2 배출팬의 에어 배출 측 커버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의 커버를 차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리하고 나면,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3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흡입구를 개방하며, 상기 흡입팬이 상기 미세먼지와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는, 상기 제3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배출팬의 에어 배출 측 및 상기 제2 배출팬의 에어 배출 측 및 상기 흡입구를 모두 차단하며,
    상기 커버는 제1 롤에 권취 또는 권취 해제 가능하게 일단부 가장자리가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미세먼지와 이물질의 통과를 차단하는 필름이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커버의 타단부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제2 롤에 권취 또는 권취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전달계는 상기 제1 롤및 상기 제2 롤이 동시에 정, 역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111242A 2019-09-09 2019-09-09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89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42A KR102089221B1 (ko) 2019-09-09 2019-09-09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42A KR102089221B1 (ko) 2019-09-09 2019-09-09 미세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221B1 true KR102089221B1 (ko) 2020-03-13

Family

ID=6993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242A KR102089221B1 (ko) 2019-09-09 2019-09-09 미세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467B1 (ko) * 2021-05-18 2021-10-08 (주)유신텍 실외 공간의 대기질 관리 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489A (ko) * 2014-02-13 2015-08-21 (주)토텍 흡연부스용 공기순환시스템
KR20180052821A (ko) * 2016-11-10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시 장치
KR101994040B1 (ko) 2018-03-27 2019-06-2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거치 및 휴대가 용이한 미세먼지 제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489A (ko) * 2014-02-13 2015-08-21 (주)토텍 흡연부스용 공기순환시스템
KR20180052821A (ko) * 2016-11-10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시 장치
KR101994040B1 (ko) 2018-03-27 2019-06-2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거치 및 휴대가 용이한 미세먼지 제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467B1 (ko) * 2021-05-18 2021-10-08 (주)유신텍 실외 공간의 대기질 관리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23817B (zh) 空气净化设备
CN106793904B (zh) 机器人清洁器
KR102089221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CN205536366U (zh) 热交换换气装置
KR101039061B1 (ko) 방의 실내 공기질 관리 및 바닥의 먼지 청소를 도와주는 스마트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14017398U (zh) 尘盒以及清洁装置
CN211706201U (zh) 一种振荡式滤网除尘装置
CN107146526A (zh) 室外空气净化传媒智能一体机
CN112221263A (zh) 一种具备超低排放的布袋除尘器
KR20100116405A (ko) 상치형 환기유니트
JP2006286778A (ja) 電子装置の冷却装置
KR20170139425A (ko) 에어 분사식 미세먼지 집진 제거장치
CN102225280A (zh) 除尘设备及其除尘装置
CN210127866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矿井通风装置
CN206412646U (zh) 防尘电力柜
CN209317274U (zh) 一种等离子切割除尘系统
CN202217217U (zh) 电脑排风吸尘装置
JP4432661B2 (ja) 建物の花粉除去システム
JP2017140585A (ja) 塗装ミスト捕集装置
WO2014112786A1 (ko) 청소기
CN106667369B (zh) 适用于动力工具的吸尘器
KR20200009735A (ko) 포터블 공기 청정기
CN210645607U (zh) 一种层流罩进风口的防尘装置
CN209953459U (zh) 一种建筑施工用除尘装置
CN219387385U (zh) 一种高性能环保隔音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