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12786A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12786A1
WO2014112786A1 PCT/KR2014/000432 KR2014000432W WO2014112786A1 WO 2014112786 A1 WO2014112786 A1 WO 2014112786A1 KR 2014000432 W KR2014000432 W KR 2014000432W WO 2014112786 A1 WO2014112786 A1 WO 20141127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mber
opening
port
suc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04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라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0557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7251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324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6850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0429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3308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라카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라카나
Publication of WO20141127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127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for cleaning a room by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and more specifically, to clean up the garbage such as dust collected temporarily by positive pressure while temporarily collecting garbage in the cleaner body by negative pressure. It relates to a cleaner for discharging out of the cleaner body.
  • a blower chamber incorporating a blower is disposed in a downstream part of a main body, and a dust collecting chamber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solid matter such as dust is disposed in an upstream part.
  • a suction port which is arranged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pip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se with a detachable material, is provided at an upstream end of the main body.
  • the other end of the hose is provided with a tip pipe having a gripping portion for cleaning, one end of the extension tube is connected to the end pipe with a detachable material,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tube for sucking solid matter such as dust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 a suction duct opening is provided as a removable material.
  • the solid matter is attached to the filter disposed between the blower chamber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nd the sound pressure is not properly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so tha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lowered.
  • the user manually shakes off the solids attached to the filter and reloads or replaces the filter.
  • Such a filter cleaning operation or a filter replacement operation causes the user to touch the aversive object by hand, causing a problem that it is treated as a very inconvenient and cumbersome operation.
  • the vacuum cleaner when the vacuum cleaner is applied to a portable vacuum cleaner that can be worn on a shoulder to remove fallen leaves from the street, the volume of collected leaves becomes large,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s a problem of being unsuitable for portable use.
  •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s a problem of manually discharging out of the main body.
  • the dust collecting cha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is removed, and only the suction chamber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 fan provided in the suction chamber is operated to suck the solids outside the main body without filtration into the suction chamber without suction into the suction chamber through the fan blades.
  • the problem that the solid matter that causes the contamination is attached to the blade of the fan is difficult to form the negative pressure by the fan.
  • the built-in vacuum cleaner disclosed above is a generation-specific vacuum dust collector installed in an individual generation to collect and temporarily store cleaning waste and having a built-in dust collector motor;
  • a suction pipe that is piped from the vacuum cleaner for each generation to a unit cleaning zone in the individual household, a suction port formed at an end of the suction pipe, and a cleaning table coupled to the suction port 30 for cleaning;
  • a large-capacity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connected to the vacuum dust collector and the vacuum transfer pipe for each generation to collectively store the waste collected in the vacuum dust collector for each generation;
  • a vacuum pump providing a vacuum pressure to the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It includes an on-off valve installed in the generation-specific vacuum dust collector-side transfer pipe 50 to control the transfer of waste from the generation-specific vacuum dust collector to the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 the built-in clean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operates a dust collecting motor of a new unit vacuum collector and temporarily collects waste generated in an individual generation into a vacuum collector for each generation by sound pressure, and temporarily collects the waste in the vacuum collector for each generation.
  • the vacuum pump of the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is operated to collect the garbage collected temporarily in the vacuum collector for each generation.
  • the above-described built-in cleaner is a method of collecting garbage from the vacuum collector for each generation by the negative pressure source to the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so that all households simultaneously discard the garbage from the household vacuum cleaner to the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Since a pump is required, when a waste is disposed in a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in one generation or when waste is simultaneously discarded in a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in several generations, a large capacity vacuum pump is operated to increase operating and installation costs.
  • the above-described built-in cleaner has a problem that the high-cost vacuum pump is likely to be stolen because the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is disposed in the alleys outside the house in order to provide the waste collection facility to the waste collector when applied to a private house. .
  • the above-described built-in cleaner includes a dust collection motor which is a sound pressure source for collecting generational garbage in a generation vacuum cleaner and a vacuum pump that is a sound pressure source for collecting garbage collected temporarily in a generation vacuum cleaner in a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 a dust collection motor which is a sound pressure source for collecting generational garbage in a generation vacuum cleaner
  • a vacuum pump that is a sound pressure source for collecting garbage collected temporarily in a generation vacuum cleaner in a central vacuum dust collector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solving the above problem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chamber, a suction chamber and a discharge chamber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and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enable the cleaner main body to run or to be built-in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chamber and a suction chamber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portion in a main body, a filter is provided in a distribution port through whic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are distributed to each other, and a blower is provided in the suction chamb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between the entrance and the exit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istribution port for distributing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solid discharge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art.
  • the cleaner main body when the cleaner main body can run, the solid matter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is allowed to be accommodated in a collec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by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user loses the aversive object.
  • a vacuum cleaner which reduces the siz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nd makes it easy to carry, and when the vacuum cleaner body is built-in, the negative pressure and the positive pressure by one driving source are excluded.
  • the solids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on room can be accommodated in the collec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building by using the vacuum cleaner,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touch the aversive object with the low cost of installation and operating cost and to clean the room.
  • the cleaner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 FIG. 1 is an overall conceptual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of the cleaner of FIG. 1;
  • FIG. 3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cutter provided in a suction duct opening
  • FIG. 4 is an overall conceptual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of the cleaner of FIG. 4;
  • FIG.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provided in the cleaner of FIG.
  • FIG. 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craper means provi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FIG.
  •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leane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5;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uilt-in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 individual household;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uilt-in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generations, and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of the built-in cleaner of FIG. 9.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of the built-in cleaner of FIG. 9.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provided at an upstream end of a main body provided to be runable or built-in indoors or outdoors, wherein a suction duct por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circulated from each other.
  • a suction duct por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circulated from each other.
  • a sphere is provided with a filter, the suction chamber is provided with a blower, and a distribution port for distributing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with each other is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during opening and closing.
  • the discharge chamber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is positively pressured to the solid contained in the discharge chamber.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out of the main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operated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blower to repeat opening and closing.
  •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0.
  • a suction port 1 is provided at an upstream end of the main body 10 of the cleaner 100, and the connection pipe 3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se 2 is provided at the suction port 1 as a removable material.
  • the other end of the hose 2 is provided with a tip pipe 4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for cleaning, and one end of the extension pipe 5 is connected to the tip pipe 4 with a removable material, and the extension pipe 5 At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inlet duct opening 6 for sucking the solids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is provided as a removable material.
  • a dust collecting chamber 12 As shown in FIG. 2, in the main body 10, a dust collecting chamber 12, a suction chamber 13, and a discharge chamber 3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part 11 are provided,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is provided. It is arrange
  • the suction chamber 13 is provided with a blower 20.
  •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is a cyclone-shaped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nd the distribution port 15 for circulating the discharge chamber 30 to each other when opening and closing, for example, such as a rotary valve Opening / closing means 40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between the entrance and exit ports is interposed,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tube 3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3a of the suction chamber 13,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chamber 30. .
  • the internal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is described as a cyclone por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nal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is a cylindrical shape elongated in the hopper shap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like.
  • the bottom surface of the said polyhedron shape and the said hopper shape, elongate cylindrical shape, or a polyhedron shape may have the same area as the inlet of the said opening-closing means 40.
  • FIG.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is increased.
  • a filter 50 must be interposed in the distribution port 14 through whic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nd the suction chamber 13 pass through each other.
  • the discharge chamber 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32 for discharging the solid matter contained in the discharge chamber 30 out of the main body 10,
  • the discharge port 32 is a collecting bag having a variable internal volume The other end of the solid matter discharge tube 71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part 70 like this is connected.
  • the collecting unit 70 is provided with a filter 72 on a portion of the wall surface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solids through the solid discharge pipe 71 from the collecting unit 70 to the outside.
  • an internal volume may be replaced with a non-variable temporary storage unit (not shown), wherein a filter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 intervening vent (not shown) is provided.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is a rotary valve, the first gear 42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41, and the second gear 22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21 of the blower 20.
  • the gear group 43 for decelera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ears 42 and 22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is always operated when the blower 20 is engaged with the gear group 43.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may be driven by a separate drive motor without being link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blower 20.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ively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when necessary, and the solid matter is temporarily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by a sound pressure source without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at normal times. When the temporarily collected solids are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may be operated to collect the solids in the collecting unit 70 by a positive pressure source.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may be a known rotary valve capable of transferring the solids on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while hermetically blocking the inlet and outlet sides.
  • an inlet 1 is disposed at an upper end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nd the outlet 14 is disposed in the house. If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truth 12, the solid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1 falls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owar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by the weight and centrifugal force of the filter 50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load, and in this case, the filter 50 interposed in the distribution port 14 may be excluded.
  • a cutting means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inlet side of the rotary valve, which i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a long solid material such as hair is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 a cutting means not shown
  • the inlet side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cutting the long solids such as the hair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hamber (30).
  • the suction duct opening 6 may be provided with a cutter 80, and the main body 4 may be The suspenders 9 are mounted so that the user can stick on his shoulder, so that the cleaner 100 can easily clean fallen leaves, etc., which are carried away by the user and are separated from the road, sidewalk, and the like.
  • the cutter 80 includes, for example, two rotary shafts 81 and 82 rotatably mounted in the suction dust sphere 6, as shown in Figs.
  • a plurality of blades 83 and 84 of two groups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two rotational shafts 81 and 82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blades 83 of the first group.
  • the blower 20 may b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operated using electricity or a battery, or driven by a prime mover operated using fuel.
  • the cleane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repeatedly opens and closes, and the suction chamber 13 is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and the air outside the suction duct opening 6 and solid matter (for example, dust, fallen leaves, etc.) ) Is introduced into the extension pipe (5) via the suction duct opening (6), and when the cutter (80) is provided in the suction duct opening (6), the solids are cut into the extension pipe (5).
  • the front pipe 4, the hose 2, the connection pipe 3, and the suction port 1 ar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nd the solid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re filtered through the filter ( 50 does not penetrate and accumulates towar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or whe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has a cyclone shap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by gravity and centrifugal force.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50 or the outlet 14 is discharged to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discharge.
  • the solid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chamber 30 from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is the discharge chamber 30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unit 70 through the filter 72 Emitted to the outside i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unit 70 through the filter 72 Emitted to the outside.
  •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0 '.
  • the cleaner 100 ′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irtight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when opening and closing, such as a rotary valve, in a distribution port 15 for distributing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o each other.
  • maintains this is provided,
  • the suction chamber 13 is provided with the discharge port 13a which distribute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is a rotary valve
  • the suction chamber (not shown) as a driving motor not shown separately from the driving motor of the blower 20 It is driven by the drive motor provided in 13, and only the point that the opening / closing means 40 which is the rotary valve is provided with the scraper means 150 as described below is different, and the vacuum cleaner of the second embodiment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has an upper side opening 111 and the flow passage connected to an upstream end of the distribution port 15 that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 a housing (110) having a lower opening (112) connect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sphere (15), and both ends of the housing (110) being rotatably mounted to travers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 the rotating transverse shaft 141, the rotor 130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transverse rotation shaft 141 and whose outer surface is in airtight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re radially inwardly blocked and radiated. It includes a chamber 14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or 130 to open in the outward direction.
  • the rotary valve 40 which is the rotary valve, blows solids contained in the chamber 140 out of the chamber 140 by compressed air when the chamber 140 faces the lower opening 112.
  • the inner scraper means 150 is provided.
  • FIG. 6 One embodiment of the scraper means 150 is shown in FIG. 6.
  • the scraper means 150 has a downstream end exposed to a radially inner wall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40 so as to be distributed with the inner space, and an upstream end of the scraper 150 has a lower opening 112.
  • a pneumatic jet flow path is formed in the rotor 130 to be selectively circulated in the through hole 151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housing 110 adjacent to the lower opening 112 (15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51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compressed air supply passage 154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source 153.
  • the compressed air supply source 153 may be provided in the suction chamber 13.
  • the pneumatic ejection flow path 152 is formed in the chamber 140 to have a shape of an A-shape when the chamber 140 faces the lower opening 112, so that the chamber 140 is an upper opening.
  • the pneumatic jet flow passage 152 is in the shape of the B-shaped posture when facing the 111 and the solid particles are filled in the chamber 140 to the upstream end via the downstream end of the pneumatic jet flow passage 152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intrusion.
  • the pneumatic ejection flow passage 152 is shown as having only one downstream end in FIG. 6,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illustrated in FIG. 7,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branched at the downstream end so that the chamber ( It may be provided evenly distributed in the radially inner wall portion of the chamber 140 so that the compressed air is ejected toward the opening of the 140.
  • the compressed air supply passage 154 may be opened when the chamber 140 faces the lower opening 112 and closes when the chamber 140 does not face the lower opening 112. May be interposed.
  • the scraper means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 the pneumatic jet flow passage 152 and the compressed air supply flow passage 154 may be accommodated into the chamber 140 via the upper opening 11. It is distribu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olid particles contained in the chamber 140 enter the collecting part 70 via the lower opening 112 by the compressed air.
  • the opening / closing means 40 which is a rotary valv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cibly moved radially outward of the chamber by compressed air even when the solid matter contained in the rotating chamber is light, such as dust or hair, or the speed of the rotor is high.
  • the solids contained therein can be entered into the collecting portion,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supplying the desired amount of the solids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into the collecting portion.
  • the vacuum cleaner of the second embodiment allows the solids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to be housed in a collecting bag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thereby eliminating the user from touching the aversive substance by hand and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volum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o reduce the size of the main body to facilitate portability.
  • the collecting portion 70 is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distribution port 1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 an upstream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3a for discharging air out of the main body 10 to the suction chamber 13, and a downstream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 It may also include a solid discharge pipe (71)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portion (70) that is separated from the middle and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ort (15).
  • the collecting unit 7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a vehicle, and includes an air vent 73 through a filter at an upper end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solid to the outside.
  • the solids discharge pipe 71 having an upstream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ng unit 7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a user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3 and the distribution port 15 of the cleaner 100. desirable.
  • the solid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is introduced into the solids discharge pipe 71 through a predetermined amount through the outlet 15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to the cleaner 100 by positive pressure.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the collecting unit 70 disposed far from, this also eliminates the user to touch the aversive hand, while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volum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to reduce the size of the cleaner body for easy portability A vacuum cleaner can be provided.
  • the cleaner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 cleaning vehicle traveling.
  • the built-in clea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0 ".
  • the built-in cleaner 100 ′′ includes a main body 10 installed in a built-in veranda of an indoor or outdoor unit for each generation, and an inlet 1 provided at an upstream end of the main body 1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is piped to the unit cleaning zone in the household through the wall W, and the suction pipe 1-1 fixed to the wall W is fixed to the wall W and one end to the suction port 1.
  • the other end of the solid-state discharge tube 71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32 and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art 70 arranged outside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Air introduced into the 70 together with the solids through the solid discharge pipe 71 is discharged from the collecting unit 70. Except for the fact that the ceiling is provided with a vent 73 with a filter 7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outlet 75 with a rotary valve 74 interposed at the bottom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solids.
  • the other components of the built-in cleaner 100 "of the thir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cleane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 the collecting part 70 may be filled with water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solids through the solids discharge tube 71 is wetted with the water, and the dust contained in the solids. Etc.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in the collecting unit 70, in which case the filter 72 may be excluded from the vent (73).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may be driven by a separate drive motor without being link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blower 20.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ively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when necessary, and the solid matter is temporarily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by a sound pressure source without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at normal times. When the temporarily collected solids are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may be operated to collect the solids in the collecting unit 70 by a positive pressure source.
  • the built-in cleaner 100 of the thir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When the blower 20 is operate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repeatedly opens and closes, and the suction chamber 13 is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whereby air and solid matter (for example, dust, etc.) outside the suction duct opening 6 And, it is introduced into the extension pipe (5) via the suction duct opening (6), and then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by the negative pressure via the tip pipe (4), the hose (2) and the suction port (1)
  • the solid matte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does not penetrate the filter 50 and accumulates toward the opening / closing means 40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or whe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has a cyclone-shaped portion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50 or the distribution port 14 is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discharge pipe 31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hamber 30 via), and at this time, the dust chamber 12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hamber 30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 the built-in cleaner 100 ′′ of the third embodiment uses a negative pressure and a positive pressure by one driving source to allow the cleaner to be accommodated in a collec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building by itself, so that the cleaner is installed at a lower cost than the conventional one. Costs and operating costs allow for the cleaning of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effect that excludes the user from touching the aversive hand.
  • the built-in cleaner (100 ") of the third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collective housing, as shown in Figure 10, the solid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of the collective housing
  • these solids discharge pipes 71 are connected to one collecting unit 70 while the on / off valve 77 is interposed at the upstream end of the 71 units
  • several generations of users use different generations of built-in vacuum cleaners.
  • the solid waste generated from several generations was temporarily collected by the sound pressure source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in the main body 10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through the built-in cleaner 100 "of the third embodiment provided for each generation.
  • a separate positive pressure source can be discharged to a collecting unit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t the same time.
  •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part 11 in the main body 10 in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nd the suction chamber 13 are partitioned in the main body 10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e chamber 30 is removed, and suction is performed.
  • the upstream end of the solid matter discharge tube 7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3a of the chamber 13,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40 may be contacted in the middle of the solid matter discharge tube 71.
  •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77 should be interposed in a portion immediately adjacent to the downstream end from the portion of the solid discharge pipe 71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 the solid discharge tube 71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collecting unit 7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llecting unit 70 is removed.
  • the solid discharge pipe 71 may be connected to an indoor sewerage or an outdoor sewerage. In this case, when the solid discharged through the solid discharge pipe 71 is dust, the wastewater discharged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ogether with the domestic wastewater immediately. It is preferabl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operator can exclude the operation of drawing out the solid mat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unit 70.
  • the water discharge pipe (not shown) is also connected to the sewer portion to which the solid discharge pipe (71) is connected is provided with an open / close valve (not shown) that opens when the open / close means (40) is operated.
  • the solids discharged from) may be transported from the upstream end of the sewerage to the downstream end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y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 the nozzle portion having the porous nozzle hole is provid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easily wet the water supplied by the solid matter ejected from the solid discharge pipe (71).
  • the hose 2, the tip pipe 4, and the extension pipe 5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1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 provided at the upstream end of the main body 10.
  • the suction duct opening 6 is connected via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ction duct opening 6 is stretchable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duct opening 6 is robotized as a main body of a known robot cleaner.
  • the suction pipe 1-1 may be detachably connected via the hose 2.
  • the suction duct opening 6 may be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hose 2 so that the flexible hose 2 may be released from the suction duct opening 6 having a different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압에 의해 청소기 본체 내에 실내의 먼지 등의 쓰레기를 임시 수거하면서, 양압에 의해 상기 임시 수거된 먼지 등의 쓰레기를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기
본 발명은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압에 의해 청소기 본체 내에 실내의 먼지 등의 쓰레기를 임시 수거하면서, 양압에 의해 상기 임시 수거된 먼지 등의 쓰레기를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진공 청소기에서는, 한국특허공개 제10-2012-01141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하류부에, 송풍기를 내장한 송풍기실이 배치되고, 상류부에 먼지 등의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집진실이 배치되고, 그리고 호스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가 탈착 자재로 접속된 흡입구가 상기 본체의 상류단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호스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에는 연장관의 일단이 탈착 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덕트구가 탈착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일정 시간 사용되면, 송풍기실과 집진실 사이에 배치된 필터에 고형물이 붙어 있게 되어, 집진실에 음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집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수동으로 털어내어 재장전하거나 필터를 교환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 청소작업이나 필터교환작업은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송풍기의 구동원에 의해 필터를 진동 또는 타격하여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집진실 내에 털어 내거나 송풍기실로 유입된 여과된 기류를 선택적으로 역류시켜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집진실 내에 털어 내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은 여전히 집진실 내에 일정 양의 고형물이 쌓이게 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고형물을 상기 집진실 내에서 배출시키는 수동작업을 요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먼지 등과 같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여전히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또한, 포집대상물이 길거리에 떨어져 있는 낙엽을 치우기 위해 상기 진공청소기가 어깨에 맬 수 있는 휴대용 청소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포집된 낙엽의 부피가 커서 집진실의 체적이 크게 되고, 이에 따라 청소기 본체의 크기가 커져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휴대용으로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집진실의 체적을 작게 하면, 그 만큼 포집하여 집진실에 저장할 수 있는 낙엽의 양이 줄게 되고, 또한 신속하게 집진실에 낙엽이 꽉차여져 빈번하게 집진실에 포집된 낙엽을 청소기 본체 밖으로 수동으로 배출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소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집진실을 배제하고 본체 내에 흡인실만을 마련하고 흡인실에 마련된 팬을 가동하여 본체 밖의 고형물에 흡인실 내로 여과없이 흡입하여 팬의 날개를 거쳐서 흡인실의 토출구를 통하여 포집포대에 수용하게 할 수 있지만, 오염의 원인이 되는 고형물이 팬의 날개에 붙게 되어 팬에 의한 음압을 형성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붙박이 청소기가 한국특허공개 제10-2003-003987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붙박이 청소기는 청소 쓰레기를 포집하여 일시 저장하도록 개별 세대에 설치되고 집진모터를 내장한 세대별 진공 집진기;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로부터 개별 세대내 단위 청소 구역으로 배관되는 흡입관 및 이 흡입관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 그리고 이 흡입구(30)에 결합시켜 청소하는 청소대; 상기 각 세대별 진공 집진기와 진공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각 세대별 진공 집진기에 포집된 쓰레기를 집합 저류하는 대용량의 중앙 진공 집진기; 상기 중앙 진공 집진기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로부터 중앙 진공 집진기로의 쓰레기 이송을 단속하도록 세대별 진공 집진기측 이송관(50)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상기 개시된 붙박이 청소기는 새대별 진공 집진기의 집진 모터를 가동하여 개별 세대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음압에 의해 세대별 진공 집진기 내로 임시 수거하고, 세대별 진공 집진기 내에 임시 수거된 쓰레기가 소정 레벨로 쌓이게 되면, 중앙 진공 집진기의 진공펌프를 가동하여 세대별 진공 집진기 내에 임시 수거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붙박이 청소기는 음압원에 의해 세대별 진공 집진기에서 중앙 진공 집진기로 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이어서, 모든 세대가 동시에 세대별 진공 집진기에서 중앙 진공 집진기로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를 감안하여 대용량의 진공펌프가 필요되어, 하나의 세대에서 중앙 진공 집진기에 쓰레기를 버릴 때나 여러 세대에서 중앙 진공 집진기에 쓰레기를 동시에 버릴 때나 모두 대용량의 진공펌프가 가동되어서 운용비용 및 설치 비용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개시된 붙박이 청소기는 개인주택에 적용될 경우에 쓰레기회수업자에게 쓰레기회수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중앙 진공 집진기가 주택 밖의 골목길에 배치되어 있어서, 고가인 진공펌프가 도난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개시된 붙박이 청소기는 세대별 쓰레기를 세대별 진공 집진기에 수거하기 위한 음압원인 집진모터와 세대별 진공 집진기에 임시 수거된 쓰레기를 중앙 진공 집진기에 수거하기 위한 음압원인 진공펌프를 구비하고 있어서, 운용비용 및 설치비용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일태양으로서, 청소기 본체를 주행가능하게 하거나 건축물 실내 또는 실외에 붙박이로서 마련하고, 칸막이 벽부에 의해 구획형성된 집진실, 흡인실 및 토출실을 본체 내에 마련하되 상기 토출실이 상기 집진실 밑에 배치되게 하고,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인실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에 필터를 마련하고, 상기 흡인실에 송풍기를 마련하고, 상기 집진실의 하부와 상기 토출실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에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흡인실의 토출구에 일단이 접속된 토출관의 타단을 상기 토출실에 접속시키고, 포집부에 일단이 접속된 고형물방출관의 타단을 상기 토출실에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일태양으로서, 칸막이 벽부에 의해 구획형성된 집진실, 흡인실을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인실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에 필터를 마련하고, 상기 흡인실에 송풍기를 마련하고, 상기 집진실의 하부와 본체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에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을 마련하고, 포집부에 일단이 접속된 고형물방출관의 타단을 상기 유통구의 토출측에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가 주행가능한 경우에, 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진공 청소기가 자체적으로 본체 밖에 배치된 포집부에 수용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킴과 동시에 집진실의 체적을 감소시켜서 청소기 본체의 크기를 축소시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청소기 본체가 붙박이인 경우에, 하나의 구동원에 의한 음압과 양압을 이용하여 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청소기가 자체적으로 건축물 밖에 배치된 포집부에 수용되게 하여서, 저렴한 설치비용 및 운용비용으로 실내의 청소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키는 청소기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전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청소기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흡인 덕트구에 마련된 절단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전체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청소기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청소기에 마련된 개폐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개폐수단에 마련된 스크레이퍼수단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의 제2실시예의 청소기에 대한 별도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붙박이 청소기가 개별세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붙박이 청소기가 복수의 세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1은 도 9의 붙박이 청소기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주행가능하게 또는 실내 또는 실외에 붙박이로서 마련된 본체의 상류단에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에 흡입 덕트구가 탈착가능하게 그리고 서로 유통가능게 접속된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 내에는 칸막이 벽부에 의해 구획형성된 집진실, 흡인실 및 토출실이 마련되되, 고형물이 음압에 의해 모이게 되는 상기 집진실 밑에 상기 토출실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인실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에는 필터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에는 송풍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의 하부와 상기 토출실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에는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의 토출구에는 상기 토출실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에는 토출실에 수용된 고형물을 양압에 의해 본체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송풍기의 가동시에 가동되어 개폐를 반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청소기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청소기(100)의 상기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는 호스(2)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3)가 탈착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호스(2)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파이프(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4)에는 연장관(5)의 일단이 탈착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5)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덕트구(6)가 탈착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10) 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집진실(12), 흡인실(13) 및 토출실(30)을 마련되되 상기 토출실(30)이 상기 집진실(12) 밑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집진실(12)의 내부는 사이클론형상부로 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의 하부와 상기 토출실(30)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5)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밸브 등과 같이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에 일단이 접속된 토출관(31)의 타단이 상기 토출실(30)에 접속되어 있다.
본 제1실시예에서 상기 집진실(12)의 내부 형상이 사이클론 형상부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집진실(12)의 내부 형상이 호퍼 형상 수평방향으로 기다란 원통 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이고 상기 호퍼 형상, 수평방향으로 기다란 원통형상 또는 다면체형상의 밑면이 상기 개폐수단(40)의 입구와 같은 면적을 갖고 있어도 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상기 개폐수단(40)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4)에는 필터(50)가 개재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토출실(30)에는 토출실(30)에 수용된 고형물을 본체(10)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방출구(32)에는 내부부피가 가변되는 포집포대와 같은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된 고형물방출관(71)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포집부(70)는, 상기 고형물방출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부(70)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일부 벽면에 필터(72)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피가 가변되는 상기 포집부(70) 대신에 내부부피가 가변되지 않은 임시저장부(도시되지 않음)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임시저장부의 상단에는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개재된 통기구(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40)이 로터리밸브인 경우에는 출력축(41)에는 제1기어(42)가 고정 외접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출력축(21)에는 제2기어(22)가 고정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기어(42, 22)들 사이에는 감속을 위한 기어군(43)이 개재되어 이들과 맞물려서 송풍기(20)가 가동되면 항상 개폐수단(40)이 가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40)은 송풍기(20)의 동력원에 연동되지 않고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필요시에 상기 개폐수단(40)을 가동할 수가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개폐수단(40)을 가동하지 않고 음압원에 의해 고형물을 집진실(12)에 임시 수거하였다가 임시 수거된 고형물이 집진실(12)에 많이 쌓이게 되면, 상기 개폐수단(40)을 가동하여 양압원에 의해 고형물을 포집부(70)에 수거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수단(40)은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를 기밀적으로 차단하면서 입구측의 고형물을 출구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지된 로터리밸브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 사이클론형상부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실(12)의 상단일측에 흡입구(1)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통구(14)가 상기 집진실(12)의 상단 중앙에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흡입구(1)를 통하여 유입된 고형물이 상기 집진실(12) 내에서 자중 및 원심력에 의해 개폐수단(40) 쪽으로 낙하하게 되어 필터(5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유통구(14)에 개재된 필터(50)가 배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 개폐수단(40)인 로터리밸브의 입구측에 도시되지 않은 절단수단이 마련되면, 머리카락과 같은 긴 고형물이 상기 집진실(12)에서 상기 개폐수단(40)의 입구측으로 유입될 때 상기 머리카락과 같은 긴 고형물을 절단하여 용이하게 상기 개폐수단(40)의 출구측으로 이송되어 토출실(30)로 방출될 수 있다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실시예의 청소기(100)가 낙엽을 포집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덕트구(6)에는 절단기(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본체(4)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어께에 멜수 있도록 멜빵(9)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휴대하여 도로, 보도 등에 떨어져 있는 낙엽 등을 상기 청소기(100)에 의해 용이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절단기(80)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더트구(6)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작된 두개의 회전축(81, 82); 상기 두개의 회전축(81, 82) 각각의 둘레를 따라 그리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서 구비된 2개의 군의 복수개의 블레이드(83, 84)로서, 상기 제1군의 복수개의 블레이드(83)와 상기 제2군의 복수개의 블레이드(84)가 서로 마주하였을 때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83, 84); 상기 두개의 회전축(81, 82) 각각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서로 맞물린 피동기어(85, 86); 상기 피동기어(85, 86) 중 어느 하나의 피동기어와 맞물린 구동기어(87) 및 상기 구동기어(87)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출력축(88)을 가지고서 상기 흡입덕트구(6) 위에 탑재된 모터(8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 상기 송풍기(20)는 전기 또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거나 연료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원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송풍기(20)를 가동하면, 개폐수단(40)이 개폐를 반복하면서,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예를 들면, 먼지, 낙엽 등)이, 흡입 덕트구(6)을 경유하여 연장관(5) 내로 유입되게 되며, 상기 흡입 덕트구(6)에 절단기(80)가 구비된 경우에는 고형물이 절단되면서 연장관(5) 내로 유입되게 되고, 이어서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3)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집진실(12)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집진실(12) 내의 개폐수단(40) 쪽으로 쌓이게 되고, 또는 집진실(12) 내부가 사이클론형상부를 가진 경우에 중력 및 원심력에 의해 상기 집진실(12) 내의 개폐수단(40) 쪽으로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 또는 유통구(1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관(31)을 경유하여 토출실(30)에 토출되고, 이때, 상기 개폐수단(40)의 가동에 의해 상기 집진실(12)에서 토출실(30) 내로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토출실(30)로 토출된 공기와 함께 방출구(32) 및 상기 고형물방출관(71)을 경유하여 포집부(70)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포집부(70)에 유입된 공기는 필터(7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청소기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청소기(100')는 상기 집진실(12)의 하부와 상기 본체(10)의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5)에 예를 들면, 로터리밸브 등과 같이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 본체(10)의 외부와 유통시키는 토출구(13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유통구(15)에 포집포대인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된 고형물방출관(71)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단(40)이 로터리밸브인 경우에는 송풍기(20)의 구동모터와 별개인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로서 흡인실(13)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그리고 상기 로터리밸브인 개폐수단(40)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수단(150)을 구비하고 있는 점만이 상이하고, 상기 제2실시예의 청소기(100')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의 청소기(100)와 동일하다.
상기 개폐수단(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실(12)과 유통하는 유통구(15)의 상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측부 개구(111)와 상기 유통구(15)의 하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하측부 개구(112)를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횡방향 회전축(141), 상기 횡방향 회전축(14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외면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회전자(130), 및 반경방향 안쪽으로 막혀있고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게 상기 회전자(130)의 외면에 형성된 챔버(1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터리밸브인 개폐수단(40)에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챔버(140)가 하측부 개구(112)와 마주할 때 상기 챔버(140) 내에 수용된 고형물을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챔버(140) 밖으로 불어 내는 스크레이퍼수단(1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수단(150)의 일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수단(150)은 상기 챔버(140)의 내부공간의 방사상 안쪽 벽부에 하류단이 노출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유통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류단이 상기 챔버(140)가 상기 하측부 개구(112)와 마주하게 될 때, 하측부 개구(112)와 인접한 상기 하우징(110)의 부위에 형성된 관통구멍(151)에 선택적으로 유통할 수 있게 위치결정되어 상기 회전자(130) 내에 형성된 공압분출유로(152); 상기 관통구멍(151)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압축공기공급원(153)에 접속되어 있는 압축공기공급유로(154)를 포함하고 있다.
압축공기공급원(153)은 상기 흡인실(13)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압분출유로(152)는 상기 챔버(140)가 하측부 개구(112)와 마주하게 될 때 ㄱ자 자세의 형상을 갖게 상기 챔버(140) 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챔버(140)가 상측부 개구(111)와 마주하게 될 때 상기 공압분출유로(152)가 ㄴ자 자세의 형상을 갖게 되어 고형입자가 상기 챔버(140)에 채워질 때에 상기 공압분출유로(152)의 하류단을 경유하여 상류단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공압분출유로(152)는 하류단이 도 6에서 하나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단에서 복수개의 토출구가 분기되어 상기 챔버(140)의 개구쪽으로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챔버(140)의 방사상 안쪽 벽부에 균등분포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공급유로(154)의 도중에는 상기 챔버(140)가 하측부 개구(112)와 마주하게 될 때 개방되고 상기 하측부 개구(112)와 마주하지 않을 때에는 닫히는 전자개폐밸브(155)가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크레이퍼수단(15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자(130)의 시계방향운동에 의한 상기 챔버(140)의 시계방향운동시에, 상기 챔버(140)가 12시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집진실(12)로부터 낙하하는 고형물이 상측부 개구(11)를 경유하여 챔버(140)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챔버(140)가 6시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공압분출유로(152)와 상기 압축공기공급유로(154)가 서로 유통하게 되어, 챔버(140) 내에 수용된 고형입자가 압축공기에 의해 하측부 개구(112)를 경유하여 포집부(70) 내에 진입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밸브인 개폐수단(40)은 회전하고 있는 챔버 내에 수용된 고형물이 먼지, 머리카락과 같이 경량이거나 회전자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압축공기에 의해 챔버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강제적으로 챔버 내에 수용된 고형물을 포집부 내로 진입하게 하여, 집진실 내에 저장된 고형물의 원하여지는 공급량을 포집부내로 공급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의 청소기는 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자체적으로 본체 밖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수용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킴과 동시에 집진실의 체적을 감소시켜서 청소기 본체의 크기를 축소시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및 제2실시예의 청소기가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구(15)의 출구측에 포집부(70)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단이 흡인실(13)에 본체(10) 밖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상기 토출구(13a)에 접속되어 있고 하류단이 상기 본체(10)와 떨어져 있는 포집부(70)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도중이 상기 유통구(15)에 접속되어 있는 고형물토출관(7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집부(70)는 예를 들면, 차량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형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단에 필터를 개재한 통기구(7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포집부(70)에 상류단이 접속된 상기 고형물토출관(71)은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100)의 토출구(13)와 유통구(15)에 용이하게 접속되기 위해 가요성 재질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별도 실시예에 의하면, 집진실(12)에 포집된 고형물이 상기 개폐수단(40)에 의해 일정량 유통구(15)를 통하여 고형물토출관(71)에 유입되어 양압에 의해 청소기(100)로 부터 멀리 배치된 포집부(70)에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서, 이 역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킴과 동시에 집진실의 체적을 감소시켜서 청소기 본체의 크기를 축소시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의 청소기는 주행하는 청소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붙박이 청소기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붙박이 청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붙박이 청소기(1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별 실내 또는 실외의 베란다에 붙박이로 설치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류단에 마련된 흡입구(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벽체(W)를 통하여 세대내 단위 청소구역으로 배관되어 상기 벽체(W)에 암형으로 소켓화되어 고정된 흡입관(1-1), 및 상기 흡입구(1)에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숫형 소켓화되어 있고 타단이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파이프(4)에 접속된 호스(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가 상기 토출실(30)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방출구(32)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밖에 배치된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된 고형물방출관(71)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포집부(70)에 상기 고형물방출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부(70)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천정부에 필터(72)가 개재된 통기구(73)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포집된 고형물을 방출시키기 위해 하부에 로터리 밸브(74)가 개재된 배출구(75)가 마련되어 있는 점만 제외하고는 상이하고, 상기 제3실시예의 붙박이 청소기(100")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의 청소기(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제3실시예에서의 상기 포집부(70)에는 물이 소정 레벨로 채워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고형물방출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물에 적시게 되어 고형물에 함유된 먼지 등이 상기 포집부(70)에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상기 통기구(73)에는 필터(72)가 배제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수단(40)은 송풍기(20)의 동력원에 연동되지 않고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필요시에 상기 개폐수단(40)을 가동할 수가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개폐수단(40)을 가동하지 않고 음압원에 의해 고형물을 집진실(12)에 임시 수거하였다가 임시 수거된 고형물이 집진실(12)에 많이 쌓이게 되면, 상기 개폐수단(40)을 가동하여 양압원에 의해 고형물을 포집부(70)에 수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붙박이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송풍기(20)를 가동하면, 개폐수단(40)이 개폐를 반복하면서,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예를 들면, 먼지 등)이, 흡입 덕트구(6)을 경유하여 연장관(5) 내로 유입되게 되며, 이어서 선단파이프(4), 호스(2)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음압에 의해 집진실(12)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집진실(12) 내의 개폐수단(40) 쪽으로 쌓이게 되고, 또는 집진실(12) 내부가 사이클론형상부를 가진 경우에 중력 및 원심력에 의해 상기 집진실(12) 내의 개폐수단(40) 쪽으로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 또는 유통구(1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관(31)을 경유하여 토출실(30)에 토출되고, 이때, 상기 개폐수단(40)의 가동에 의해 상기 집진실(12)에서 토출실(30) 내로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토출실(30)로 토출된 공기와 함께 양압에 의해 방출구(32) 및 상기 고형물방출관(71)을 경유하여 포집부(70)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포집부(70)에 유입된 공기는 필터(7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3실시예의 붙박이 청소기(100")는 하나의 구동원에 의한 음압과 양압을 이용하여 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청소기가 자체적으로 건축물 밖에 배치된 포집부에 수용되게 하여서, 종래보다 저렴한 설치비용 및 운용비용으로 실내의 청소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키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의 붙박이 청소기(100")가 집합주택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주택의 각 세대별로 구비된 본체(10) 마다에 접속된 상기 고형물방출관(71)들의 상류단에 개폐밸브(77)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이들 고형물방출관(71)을 하나의 포집부(70)에 접속시키면, 여러 세대의 사용자들이 다른 세대의 붙박이 청소기를 사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여러 세대에서 발생되는 고형물 쓰레기를 세대별로 마련된 상기 제3실시예의 붙박이 청소기(100")를 통하여 세대별로 마련된 본체(10)에 세대별로 마련된 음압원에 의해 임시 수거하였다가 세대별로 마련된 양압원에 의해 동시에 건축물 밖에 배치된 포집부에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음압원 만을 채용하고 있어서 항상 대용량의 중앙 집중식 음압원 장치를 가동하여야 하는 종래의 붙박이 청소기와 달리, 종래보다 저렴한 설치비용 및 운용비용으로 집합주택의 실내의 청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3실시예의 설명에서 본체(10) 내에 칸막이벽부(11)에 의해, 집진실(12), 흡인실(13) 및 토출실(30)이 구획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실(30)을 배제한 상태에서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본체(10) 내에 구획형성되게 하고, 흡인실(13)의 토출구(13a)에 바로 고형물방출관(71)의 상류단을 접속시키고, 상기 고형물방출관(71)의 도중에 상기 개폐수단(40)의 토출측을 접촉시켜도 된다. 이때에는 개폐밸브(77)는 상기 개폐수단(40)의 토출측과 접속된 상기 고형물방출관(71)의 부위에서 하류단 측으로 바로 인접한 부위에 개재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고형물방출관(71)이 포집부(70)에 접속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포집부(70)를 배제한 상태에서, 고형물방출관(71)이 실내의 하수도, 또는 실외의 하수도에 접속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고형물방출관(71)을 통하여 방출되는 고형물이 먼지 등인 경우에 바로 하수도를 통하여 생활폐수과 함께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포집부(70)에 포집된 고형물을 끄집어내는 작업을 배제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고형물방출관(71)이 접속된 상기 하수도 부위에는 상기 개폐수단(40)이 작동될 때 열림되는 도시되지 않은 개폐밸브가 개재된 도시되지 않은 급수관도 접속되어 상기 고형물방출관(71)으로부터 방출된 고형물이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급수와 함께 상기 하수도의 상류단에서 하류단으로 이송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에 상기 급수관의 하류단에 다공 노즐구멍이 형성된 노즐부가 개재되어 있으면, 상기 고형물방출관(71)에서 분출되는 고형물이 분사되는 급수에 용이하게 적시어 질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의 상류단에 마련된 흡입구(1)에 접속된 상기 흡입관(1-1)에 호스(2), 선단파이프(4), 및 연장관(5)을 경유하여 흡입 덕트구(6)가 접속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흡입 덕트구(6)가 공지된 로봇 청소기의 본체와 같이 주행 로봇화된 상태에서, 신축가능한 호스(2)를 개재하여 상기 흡입관(1-1)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흡입 덕트구(6)에는 상기 신축가능한 호스(2)를 수납하여 상기 신축가능한 호스(2)가 상기 흡입 덕트구(6)에서 상이한 길이를 가지고서 출몰 될 수도 있다.

Claims (19)

  1. 주행가능하게 또는 실내 또는 실외에 붙박이로서 마련된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 흡입 덕트구(6)가 탈착가능하게 그리고 서로 유통가능게 접속된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에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집진실(12), 흡인실(13) 및 토출실(30)이 마련되되, 고형물이 음압에 의해 모이게 되는 상기 집진실(12) 밑에 상기 토출실(3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4)에는 필터(5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의 하부와 상기 토출실(30)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5)에는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에는 상기 토출실(30)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30)에는 토출실(30)에 수용된 고형물을 양압에 의해 본체(10)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송풍기(20)의 가동시에 가동되어 개폐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주행가능하게 또는 실내 또는 실외에 붙박이로서 마련된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 흡입 덕트구(6)가 탈착가능하게 그리고 서로 유통가능게 유통가능게 접속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에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사이클론형상의 집진실(12), 흡인실(13) 및 토출실(30)이 마련되되 고형물이 음압에 의해 모이게 되는 상기 집진실(12) 밑에 상기 토출실(3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은 유통구(14)에 의해 서로 유통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의 하부와 상기 토출실(30)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5)에는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에는 상기 토출실(30)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30)에는 토출실(30)에 수용된 고형물을 본체(10) 밖으로 양압에 의해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송풍기(20)의 가동시에 가동되어 개폐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주행가능하게 또는 실내 또는 실외에 붙박이로서 마련된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와 흡입 덕트구(6)가 탈착가능하게 그리고 서로 유통가능하게 접속되게 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에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집진실(12) 및 흡인실(13)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4)에는 필터(5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고,
    고형물이 음압에 의해 모이게 되는 상기 집진실(12)의 하부에는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양압원이 형성되게 상기 개폐수단(40)의 토출측이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송풍기(20)의 가동시에 가동되어 개폐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주행가능하게 또는 실내 또는 실외에 붙박이로서 마련된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와 흡입 덕트구(6)가 탈착가능하게 그리고 서로 유통가능하게 접속되게 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에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사이클론형상의 집진실(12) 및 흡인실(13)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은 유통구(14)에 의해 서로 유통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고,
    고형물이 음압에 의해 모이게 되는 상기 집진실(12)의 하부에는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양압원이 형성되게 상기 개폐수단(40)의 토출측이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송풍기(20)의 가동시에 가동되어 개폐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0)은 로터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32) 또는 상기 개폐수단(40)의 토출측에는, 부피 가변형이고 통기구가 마련된 포집부(70), 부피 비가변형이고 통기구가 마련된 포집부(70) 또는 하수도가, 고형물방출관(71)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와 흡입 덕트구(6) 사이에는 실내에 배관된 흡입관(1-1)이 개재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방출구(32) 또는 상기 개폐수단(40)의 토출측에는 건축물 밖에 배치되어 통기구가 마련된 포집부(70) 또는 하수도에 일단이 접속된 고형물방출관(71)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0)의 출력축(41)에는 제1기어(42)가 고정외접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출력축(21)에는 제2기어(22)가 고정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기어(42, 22)들 사이에는 감속을 위한 기어군(43)이 개재되어 이들과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구(6)에는 절단기(8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어께에 멜수 있도록 멜빵(9)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구(6)는 주행 로봇화된 상태에서, 신축가능한 호스(2)를 개재하여 상기 흡입관(1-1)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방출관(71)이 접속된 상기 하수도 부위에는 상기 개폐수단(40)이 작동될 때 열림되는 개폐밸브가 개재된 급수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 흡입 덕트구(6)가 유통가능게 접속된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에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마련되고,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4)에는 필터(5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고,
    고형물이 음압에 의해 모이게 되는 상기 집진실(12)의 하부와 상기 본체(10)의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5)에는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본체(10)의 외부와 유통시키는 토출구(13a)가 마련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 흡입 덕트구(6)가 유통가능게 접속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에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사이클론형상의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마련되고,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은 유통구(14)에 의해 서로 유통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고,
    고형물이 음압에 의해 모이게 되는 상기 집진실(12)의 하부와 상기 본체(10)의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는 유통구(15)에는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본체(10)의 외부와 유통시키는 토출구(13a)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0)은 로터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6.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구(15)에는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된 고형물방출관(71)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구(6)에는 절단기(8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어께에 멜수 있도록 멜빵(9)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0)은
    상측부 개구(111)와 하측부 개구(112)를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횡방향 회전축(141),
    횡방향 회전축(14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외면이 하우징(110)의 내면과 미끄럼접촉하는 회전자(130), 및
    반경방향 안쪽으로 막혀있고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게 회전자(130)의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챔버(140) 및
    상기 챔버(140)가 하측부 개구(112)와 마주할 때 상기 챔버(140) 내에 수용된 고형 입자를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챔버(140) 밖으로 불어 내는 스크레이퍼수단(150)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크레이퍼수단(150)은
    상기 챔버(140)의 내부공간의 방사상 안쪽 벽부에 하류단이 노출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유통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류단이 상기 챔버(140)가 상기 하측부 개구(112)와 마주하게 될 때, 하측부 개구(112)와 인접한 상기 하우징(110)의 부위에 형성된 관통구멍(151)에 선택적으로 유통할 수 있게 위치결정되어 상기 회전자(130) 내에 형성된 공압분출유로(152); 및
    상기 관통구멍(151)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압축공기공급원(153)에 접속되어 있는 압축공기공급유로(15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PCT/KR2014/000432 2013-01-17 2014-01-15 청소기 WO201411278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71A KR101372513B1 (ko) 2013-01-17 2013-01-17 진공 청소기
KR10-2013-0005571 2013-01-17
KR1020130013241A KR101468509B1 (ko) 2013-02-06 2013-02-06 진공 청소기
KR10-2013-0013241 2013-02-06
KR1020140004293A KR101433087B1 (ko) 2014-01-14 2014-01-14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KR10-2014-0004293 2014-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2786A1 true WO2014112786A1 (ko) 2014-07-24

Family

ID=5120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0432 WO2014112786A1 (ko) 2013-01-17 2014-01-15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1127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6763A (zh) * 2019-04-13 2019-07-05 张训玉 一种海洋球收集处理装置
US11109726B2 (en) * 2016-07-19 2021-09-07 Shop Vac Corporation Modular vacuum clea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608A (ja) * 1998-07-03 2000-01-18 Maruyama Mfg Co Ltd 掃除機
KR20030039876A (ko) * 2001-11-16 2003-05-22 함용승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
KR100677982B1 (ko) * 2004-12-27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모터필터안착구조
JP2007068728A (ja) * 2005-09-06 2007-03-22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吸込口体
KR20100107344A (ko) * 2009-03-25 2010-10-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싸이클론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608A (ja) * 1998-07-03 2000-01-18 Maruyama Mfg Co Ltd 掃除機
KR20030039876A (ko) * 2001-11-16 2003-05-22 함용승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
KR100677982B1 (ko) * 2004-12-27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모터필터안착구조
JP2007068728A (ja) * 2005-09-06 2007-03-22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吸込口体
KR20100107344A (ko) * 2009-03-25 2010-10-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싸이클론 집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9726B2 (en) * 2016-07-19 2021-09-07 Shop Vac Corporation Modular vacuum cleaner
CN109966763A (zh) * 2019-04-13 2019-07-05 张训玉 一种海洋球收集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8572B (zh) 用于真空吸尘器的马达、风扇和过滤器装置
KR100587099B1 (ko) 사이클론 방식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CN201755193U (zh) 手持式清洁系统
WO2010110533A2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CN201482382U (zh) 混合式除尘器
WO2010131833A1 (ko) 제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WO2016028096A1 (ko) 로봇 청소기
TW201600059A (zh) 電動吸塵器
WO2022166030A1 (zh) 基站及清洁机器人系统
WO2007104238A1 (fr) Aspirateur portatif
CN110293108A (zh) 一种机电设备除尘装置
CN211633144U (zh) 用于扫地机器人的集尘站
CN106923748A (zh) 手持旋风式吸尘装置以及相应的除尘系统
WO2014112786A1 (ko) 청소기
WO2018066957A1 (ko) 공기청정기
KR20060128387A (ko) 진공청소기
CN206110054U (zh) 一种具有扬尘处理装置的电动地面清扫机
WO2017069473A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CN112221263A (zh) 一种具备超低排放的布袋除尘器
WO2019013379A1 (ko) 진공 청소기
KR101433087B1 (ko)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CN113545220B (zh) 一种联合收割机用干燥装置
KR20200101631A (ko) 진공청소기
CN205393102U (zh) 电脑除尘枪
KR102130787B1 (ko) 메가 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402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 (1) EPC, EPO FORM 1205A DATED 18.11.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402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