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819B1 -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819B1
KR102088819B1 KR1020180165130A KR20180165130A KR102088819B1 KR 102088819 B1 KR102088819 B1 KR 102088819B1 KR 1020180165130 A KR1020180165130 A KR 1020180165130A KR 20180165130 A KR20180165130 A KR 20180165130A KR 102088819 B1 KR102088819 B1 KR 10208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dge
bridge
longitudinal direc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욱
정길제
이준경
이장석
김종현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6Spherical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은, (a) 상기 받침유닛이 접촉되는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상기 받침유닛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면이 형성된 상기 교량받침을 상기 하부구조물과 상기 상부구조물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상부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받침유닛이 상대적으로 종 방향 일측의 목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구조물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하부판의 상면의 종 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1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제1 쐐기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판 상면의 종 방향 타측에 형성된 제2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제2 쐐기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받침유닛이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드면에 대한 상기 받침유닛의 종 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받침유닛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PRESETTING METHOD FOR BEARING AND PRESETTING BEARING}
본원은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교각, 교대 등의 하부구조물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자중에 저항하고 상시 및 지진시 수평력과 이동량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교량받침이 교각과 같은 하부구조물에 설치될 때, 교량받침은 향후의 온도, 콘크리트 부재의 건조수축, 크리프, 시공 오차 등을 고려하여 시공 상황에 맞게 프리세팅(사전변형)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유압잭을 활용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이를테면, 교량 상판(Deck)) 전체를 이동시키고 다수의 교각별 받침을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방식으로 프리세팅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장대교량의 경우, 프리세팅시 사용되는 유압잭의 용량이 과다하여, 대형 유압잭 및 여러대의 유압잭이 활용되어야 하므로, 공사비가 과다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교량 데크(상부구조물)와 교량 받침의 변형이 유발될 가능성이 존재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90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리세팅이 용이한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은, (a) 상기 받침유닛이 접촉되는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상기 받침유닛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면이 형성된 상기 교량받침을 상기 하부구조물과 상기 상부구조물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상부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받침유닛이 상대적으로 종 방향 일측의 목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구조물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하부판의 상면의 종 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1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제1 쐐기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판 상면의 종 방향 타측에 형성된 제2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제2 쐐기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받침유닛이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드면에 대한 상기 받침유닛의 종 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받침유닛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은,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면에 슬라이드면이 형성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면의 종 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1 제한턱 및 상기 하부판의 상면의 종 방향 타측에 형성된 제2 제한턱을 포함하는 하부판부;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대하여 고정되는 상부판을 포함하는 상부판부; 및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유닛; 상기 제1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쐐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상부판과 하부판의 슬라이드면 사이에 교량받침이 배치되며, 제1 및 제2 쐐기유닛의 배치에 의해 교량받침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이 조절될 수 있고, 교량받침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계획된 프리세팅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잭을 사용하지 않고도 프리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고, 유압잭 활용시 특정부위에 집중되는 하중을 배제할 수 있어 변형 유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교각(Pier)별 순차적 설치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 순서에 제약 없으며, 순간적인 하중이 걸리지 않기에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일일 온도변화에 의한 길이 변화를 이용해 교량받침을 용이하게 프리세팅하는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 가능한 교량받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이 적용되는 교량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의 제1 및 제2 쐐기유닛의 종 방향 길이(폭)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 쐐기유닛 각각이 받침유닛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배치된 것을 상측에서 내려다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의 제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온도 상승시 상부구조물이 종방향 타측으로 신장되는타측 신장 상태인 경우에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에 의해 받침유닛을 종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프리세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온도 상승시 상부구조물이 종방향 일측으로 신장되는일측 신장 상태인 경우에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에 의해 받침유닛을 종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프리세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종 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3을 보았을 때, 12시 방향이 상측, 6시 방향이 하측, 3시-9시 방향이 종 방향(3시 방향이 종방향 일측, 9시 방향이 종방향 타측) 등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기준으로 12시-6시 방향이 횡 방향일 수 있다. 참고로, 종 방향 일측 방향은 교량 시점 방향 또는 교량 종점 방향일 수 있다.
본원은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변형을 대비하여 상부구조물의 예상 변형을 추정해 사전변형(프리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구조물은 온도 조건 등과 같은 여러 요소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데, 교량받침은, 현재의 온도 조건(이를 테면 15℃)와 다른 소정의 기간(이를테면, 15년) 후의 온도 조건(20℃)에 맞추어 소정의 기간 후의 온도 조건에서 상부구조물과 센터링될 수 있도록, 사전변형될 수 있다. 본원은 이러한 교량받침의 사전변형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전변형의 양(거리)은 교량 제원 및 교량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
먼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이하 '본 프리세팅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이 적용되는 교량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프리세팅 방법은, 교량의 하부구조물(91)에 대하여 고정되는 하부판(11), 교량의 상부구조물(92)에 대하여 고정되는 상부판(12) 및 하부판(11)과 상부판(12)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유닛(13)을 포함하는 교량받침(1)의 프리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교량받침(1)은 펜들럼(pendulum) 받침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교량받침(1)은 탄성받침, 포트받침 등일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교량받침(1)의 받침면(131)은 상부구조물(92)이 하부구조물(9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그 경계가 되는 면을 지칭한다. 다만, 교량받침(1)의 받침면(131)은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 점진적으로 변형이 진행되는 탄성 영역을 지칭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도 넓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프리세팅 방법은, 받침 유닛이 접촉되는 하부판(11)의 상면에 받침유닛(1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면(111)이 형성된 교량받침(1)을 하부구조물(91)과 상부구조물(92)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제1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단계는 하부구조물(91)을 시공하고, 하부구조물(91) 상에 하부판(11)을 무수축 몰탈로 고정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계는 하부판(11) 상에 받침유닛(13)과 상부판(12)을 배치할 수 있고, 상부판(12)에 대하여 상부구조물(9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량받침(1)의 시공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구조물(92)은 온도에 따라 종 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종 방향으로 수축됨으로써, 일일 온도변화에 따라 종 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밤 시간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낮 시간대(이하 '낮 시간대'라 함)에는 신장(확장, 팽창)될 수 있고, 낮 시간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밤 시간대(이하 '밤 시간대'라 함)에는 수축될 수 있음).
또한, 상부구조물(92)로부터 받침유닛(13)에 전달되는 외력은, 상부구조물(92)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시 받침유닛(13)에서 상부구조물(92)을 지지하는 받침면(131)에 형성되는 정지마찰력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면(111)은 받침유닛(13)에서 상부구조물(92)을 지지하는 받침면(131)에서 발생되는 마찰보다 작은 마찰이 발생하는 마찰계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92)의 확장(신장, 팽창)시, 상부구조물(92)은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받침유닛(13)에 확장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고, 또는, 상부구조물(92)의 수축시, 상부구조물(92)은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받침유닛(13)에 수축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받침면(131)에서 발생되는 마찰이 받침유닛(13)과 슬라이드면(111) 사이의 마찰보다 크므로, 쐐기유닛과 같이 받침유닛(13)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이 없는 이상, 받침유닛(13)은 상부구조물(92)의 이동에 따라 상부구조물(92)의 이동 방향으로의 외력을 작용 받아 슬라이드면(111) 상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상부구조물(9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면(111)은 하부판(11)의 상면에 슬라이드면(111)을 이루는 코팅액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액은 테프론과 같이 저마찰 특성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즉, 슬라이드면(111)은 슬라이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저마찰면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프리세팅 방법은 받침면(131)에서 발생되는 마찰보다 작은 마찰이 발생하는 슬라이드면(111)과 상부구조물(92)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으로의 길이 변화를 이용함으로써, 교량받침(1)을 프리세팅할 수 있다. 즉, 본 프리세팅 방법은, 낮과 밤 사이의 온도 차이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이를 테면, 교량 상판)(92))의 수축 및 팽창(신장, 확장)이 발생하는 것을 활용하여 프리세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프리세팅 방법은, 상부구조물(92)에 대하여 받침유닛(12)이 상대적으로 종 방향 일측의 목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부구조물(92)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하부판(11) 상면의 종 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1 제한턱(14)과 받침유닛(13) 사이에 제1 쐐기유닛(15)을 배치하고, 하부판(11) 상면의 종 방향 타측에 형성된 제2 제한턱(16)과 받침유닛(13) 사이에 제2 쐐기유닛(17)을 배치하는 단계(제2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종 방향 일측은 SEA SIDE(바다측)일 수 있고, 종 방향 타측은 LAND SIDE(육지측)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종 방향 일측은 교량 시점측 또는 교량 종점측일 수 있다.
또한, 본 프리세팅 방법은, 받침유닛(13)이 목표 위치로 이동되면, 슬라이드면(111)에 대한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받침유닛(13)을 고정하는 단계(제3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의 제1 및 제2 쐐기유닛의 종 방향 길이(폭)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 쐐기유닛 각각이 받침유닛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배치된 것을 상측에서 내려다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쐐기유닛(15)은 종 방향 길이(w1)를 제1 길이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쐐기유닛(15)은 종 방향 길이를 횡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빗면(1511, 1521)이 형성된 한 쌍의 쐐기(151, 152)를 빗면끼리 접촉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쐐기유닛(15)의 종 방향 길이는 제1 쐐기유닛(15)의 폭(width)이라고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1 쐐기유닛(15)은 종 방향 일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1512)과,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된 빗면(1511)을 갖는 일측쐐기(151) 및 종 방향 타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1522)과 종 방향 일측을 향하고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되며 일측쐐기(151)의 빗면(1511)과 대향하는 상태로 적어도 일부 접촉되는 빗면(1521)을 갖는 타측쐐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길이 범위는 제1 쐐기유닛(15)의 일측쐐기(151)의 최소 폭(최소 종 방향 길이)과 타측쐐기(152)의 최소 폭(최소 종 방향 길이)의 합보다 크고, 제1 쐐기유닛(15)의 일측쐐기(151)의 최대 폭(최대 종 방향 길이)과 타측쐐기(152)의 최대 폭(최소 종 방향 길이)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쐐기유닛(15)은 한 쌍의 쐐기(151, 152)가 빗면끼리 접촉되는 정도에 따라 종 방향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쐐기(151, 152)의 빗면(1511, 1521)끼리의 접촉 정도가 증가할수록 제1 쐐기유닛(15)의 종 방향 길이는 줄어들 수 있고, 한 쌍의 쐐기(151, 152)의 빗면(1511, 1521)끼리의 접촉 정도가 감소할수록 제1 쐐기유닛(15)의 종 방향 길이는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쐐기유닛(15)은 제1 길이 범위 내에서 종 방향 길이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참고로, 한 쌍의 쐐기(151, 152)의 빗면(1511, 1521)끼리의 접촉 정도는 일측쐐기(151) 및 타측쐐기(152) 중 하나 이상의 횡 방향 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2 쐐기유닛(17)은 종 방향 길이(w2)를 제2 길이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쐐기유닛(16)은 종 방향 길이를 횡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빗면(1511)이 형성된 한 쌍의 쐐기(151)를 빗면끼리 접촉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쐐기유닛(17)의 종 방향 길이는 제2 쐐기유닛(17)의 폭(width)이라고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2 쐐기유닛(17)은 종 방향 일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1512)과,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된 빗면(1511)을 갖는 일측쐐기(151) 및 종 방향 타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1522)과 종 방향 일측을 향하고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되며 일측 쐐기(151)의 빗면(1511)과 대향하는 상태로 적어도 일부 접촉되는 빗면(1521)을 갖는 타측 쐐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길이 범위는 제2 쐐기유닛(17)의 일측쐐기(151)의 최소 폭(최소 종 방향 길이)과 타측쐐기(152)의 최소 폭(최소 종 방향 길이)의 합보다 크고, 제2 쐐기유닛(17)의 일측쐐기(151)의 최대 폭(최대 종 방향 길이)과 타측쐐기(152)의 최대 폭(최소 종 방향 길이)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2 쐐기유닛(17)은 한 쌍의 쐐기(151, 152)가 빗면끼리 접촉되는 정도에 따라 종 방향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쐐기(151, 152)의 빗면(1511, 1521)끼리의 접촉 정도가 증가할수록 제2 쐐기유닛(17)의 종 방향 길이는 줄어들 수 있고, 한 쌍의 쐐기(151, 152)의 빗면끼리의 접촉 정도가 감소할수록 제2 쐐기유닛(17)의 종방향 길이는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쐐기유닛(17)은 제2 길이 범위 내에서 종 방향 길이 변경이 가능하다.참고로, 한 쌍의 쐐기(151, 152)의 빗면(1511, 1521)끼리의 접촉 정도는 일측쐐기(151) 및 타측쐐기(152) 중 하나 이상의 횡 방향 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 방향 길이 변화(폭의 증감)가 가능한 제1 쐐기유닛(15)과 제2 쐐기유닛(17)을 이용해 본 프리세팅 방법 받침유닛(13)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받침유닛(13)을 종 방향 일측의 목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의 제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2 단계에서 제1 쐐기유닛(15)은 상부구조물(91)에 대한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일측으로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도록 받침유닛(13)으로부터 종 방향 일측으로 제1 간격(S1)만큼 이격된 이동 유도 상태로 배치되고, 제2 쐐기유닛(17)은 상부 구조물에 대한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타측으로의 상대적 이동을 제한하도록 받침유닛(13)에 접촉되거나, 받침유닛(13)으로부터 제1 간격(S1)보다 작은 제2 간격만큼 이격된 이동 제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단계에서, 제1 쐐기유닛(15)은 그의 종 방향 길이가 제1 제한턱(14)과 받침유닛(13) 사이의 거리에서 제1 간격(S1)을 뺀 값으로 설정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쐐기유닛(17)은 그의 종 방향 길이가 제2 제한턱(16)과 받침유닛(13)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값(도 3 참조) 또는 제2 제한턱(16)과 받침유닛(13) 사이의 거리에서 제2 간격을 뺀 값으로 설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간격(S1)은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목표 위치까지의 필요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S1)은 받침유닛(13)이 목표 위치에 위치하기 위해 종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와 오차가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간격은 0 또는 상부구조물(92)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 범위의 크기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간격은 0임이 바람직하지만, 시공 오차에 따라 소정의 값을 갖게 될 경우, 제1 간격(S1)보다 작음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 간격이 제1 간격(S1)보다 클 경우, 받침유닛(13)은 목표한 종 방향 일측 방향과 반대되는 종 방향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온도 상승시 상부구조물이 종방향 타측으로 신장(확장)되는 타측 신장 상태인 경우에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에 의해 받침유닛을 종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프리세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상부구조물(92)이 온도 상승시 받침유닛(13)이 배치된 하부구조물(91)을 기준으로 종 방향 타측으로 길이 신장되는 타측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단계는 낮 시간대(Day time)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밤 시간대(Night time)에 수행(도 4 참조)될 수 있고, 제3 단계는 제2 단계보다 하루 이상 경과된 날의 밤 시간대에 수행(도 7 참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구조물(92)이 타측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은 밤 시간대에 제2 단계를 위해 세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밤 시간대 이후의 낮 시간대에 온도가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상부구조물(92)의 종 방향 타측으로의 길이 신장이 이루어지더라도 받침유닛(13)은 제2 쐐기유닛(17)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어, 받침유닛(13)을 제외한 상부구조물(92)만이 종 방향 타측으로 길이 신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낮 시간대 이후의 밤 시간대에 온도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상부구조물(92)은 종 방향 일측으로 길이 수축될 수 있으며, 이동이 제한되는 종 방향 타측과 달리 종 방향 일측에는 제1 간격(S1)이 형성(도 4 참조)되어 있으므로, 상부구조물(92)의 길이 수축과 연동하여 받침유닛(13)은 종 방향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목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일측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진 밤 시간대로부터 하루 이상 경과된 날(예를 들면 다음 날)의 밤 시간대에 제3 단계가 수행되어 받침유닛(13)은 고정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온도 상승시 상부구조물이 종방향 일측으로 신장되는일측 신장 상태인 경우에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에 의해 받침유닛을 종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프리세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상부구조물(92)이 온도 상승시 받침유닛(13)이 배치된 하부구조물(91)을 기준으로 종 방향 일측으로 길이 신장되는 일측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단계는 낮 시간대에 수행될 수 있고, 제3 단계는 제2 단계보다 하루 이상 경과된 날의 낮 시간대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구조물(92)이 일측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도 8을 참조하면,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은 낮 시간대에 제2 단계를 위해 세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낮 시간대 이후의 밤 시간대에 온도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상부구조물(92)의 종 방향 타측으로의 길이 수축이 이루어지더라도 받침유닛(13)은 제2 쐐기유닛(17)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어, 받침유닛(13)을 제외한 상부구조물(92)만이 종 방향 타측으로 길이 수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밤 시간대 이후의 낮 시간대에 온도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상부구조물(92)은 종 방향 일측으로 길이 신장될 수 있으며, 이동이 제한되는 종 방향 타측과 달리 종 방향 일측에는 제1 간격(S1)이 형성(도 8 참조)되어 있으므로, 상부구조물(92)의 길이 신장과 연동하여 받침유닛(13)은 종 방향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목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도 11을 참조하면,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일측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진 밤 시간대로부터 하루 이상 경과된 날(예를 들면 다음 날)의 낮 시간대에 제3 단계가 수행되어 받침유닛(13)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밤 시간대(Night time)는 상부구조물(92)이 가장 많이 길이 수축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대이고, 낮 시간대(Day time)는 상부구조물(92)이 가장 많이 길이 신장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대일 수 있다.또한, 제2 단계는 받침유닛(13)이 목표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구조물(92)이 타측 신장 상태에 있고 제2 단계가 밤 시간대에 수행되어, 받침유닛(13)이 종 방향 일측으로 이동되었는데도, 받침유닛(13)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2 단계는 제2 단계가 수행되었던 밤 시간대로부터 하루 이상 경과된 날(예를 들면 다음 날)의 밤 시간대에 재차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제2 단계가 다시 수행될 때에는 제2 쐐기유닛(17)의 종 방향 길이(폭)를 늘려 받침 유닛(13)의 종 방향 타측으로의 이동을 제한(0 또는 제2 간격만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제2 쐐기유닛(17)의 종 방향 길이(폭)는 받침 유닛(13)이 종 방향 일측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늘려 둘 수 있다. 이렇게 제2 쐐기유닛(17)의 종 방향 길이를 조정한 다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다시 거치면, 받침 유닛(13)은 종 방향 일측의 목표 위치에 도달하거나, 목표 위치를 향해 더욱 이동될 수 있다. 제2 단계의 재수행에도 불구하고 받침 유닛(13)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2 단계는 받침 유닛(13)이 목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부구조물(92)이 일측 신장 상태에 있고 제2 단계가 낮 시간대에 수행되어, 받침유닛(13)이 종 방향 일측으로 이동되었는데도, 받침유닛(13)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2 단계는 제2 단계가 수행되었던 낮 시간대로부터 하루 이상 경과된 날(예를 들면 다음 날)의 낮 시간대에 재차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제2 단계가 다시 수행될 때에는 제2 쐐기유닛(17)의 종 방향 길이(폭)를 늘려 받침 유닛(13)의 종 방향 타측으로의 이동을 제한(0 또는 제2 간격만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제2 쐐기유닛(17)의 종 방향 길이(폭)는 받침 유닛(13)이 종 방향 일측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늘려 둘 수 있다. 이렇게 제2 쐐기유닛(17)의 종 방향 길이를 조정한 다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다시 거치면, 받침 유닛(13)은 종 방향 일측의 목표 위치에 도달하거나, 목표 위치를 향해 더욱 이동될 수 있다. 제2 단계의 재수행에도 불구하고 받침 유닛(13)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2 단계는 받침 유닛(13)이 목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는, 제2 쐐기유닛(17)을 이동 제한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받침유닛(13)을 고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제2 단계에 의해 받침유닛(13)이 종 방향 일측으로 제1 간격(S1) 이동되면, 받침유닛(13)은 종 방향 일측으로는 제1 쐐기유닛(15)과 접촉되지만, 종방향 타측으로는 제2 쐐기유닛(17)과의 사이에 제1 간격(S1)과 대응하는 여유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쐐기유닛(17)의 종 방향 길이를 상기 여유 간격과 대응하는 종 방향 길이만큼 증가시키면 제2 쐐기유닛(17)은 종 방향 타측이 제2 제한턱(16)에 접촉되고 종 방향 일측이 받침유닛(13)에 접촉되는 형태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받침유닛(13)은 그의 종 방향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쐐기유닛(15) 및 그의 종 방향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쐐기유닛(17)에 의해 이동 제한(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에서, 받침유닛(13)이 종 방향으로 이동 제한되게 제1 쐐기유닛(15)과 제2 쐐기유닛(17)을 배치하고 난 다음에는,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 각각의 일측쐐기 및 타측쐐기에서 교량받침(1)(예를 들면 하부판)보다 횡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온 돌출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에서, 받침유닛(13)이 종 방향으로 이동 제한되게 제1 쐐기유닛(15)과 제2 쐐기유닛(17)을 배치하고 난 다음에는, 제1 쐐기유닛(15)과 제2 쐐기유닛(17) 각각의 일측쐐기와 타측쐐기 사이에 고정용 접착제를 투입하여 일측쐐기와 타측쐐기를 상호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쐐기유닛(15)은 제1 길이 범위의 최소값이 제1 제한턱(14)과 받침유닛(13) 사이의 거리에서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목표 위치까지의 이동 필요 거리를 뺀 값 이하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쐐기유닛(15)은 받침유닛(13)과의 사이에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목표 위치까지의 이동 필요 거리 이상의 간격을 형성하고 배치되어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목표 위치까지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다만, 제2 쐐기유닛(17)은 제2 길이 범위의 최대값이 제2 제한턱(16)과 받침유닛(13) 사이의 거리에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목표 위치까지의 이동 필요 거리를 합한 값 이상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유닛(13)이 종 방향 일측으로 이동되어 종 방향 목표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 제2 쐐기유닛(17)은 종 방향 길이가 증가되어 받침유닛(13)의 종 방향 타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이동 제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은 제3 단계에서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에 의해 받침유닛(13)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길이 범위의 최대값, 제2 길이 범위의 최대값 및 받침 유닛(13)의 종 방향 길이의 합이 제1 제한턱(14)과 제2 제한턱(16) 사이의 거리 이상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쐐기(151, 152)에서 상호 접촉되는 빗면(1511)의 각도 및 표면 재질은 상부구조물(92)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시, 상부구조물(92)로부터 받침유닛(13)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빗면(1511)의 상호 접촉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마찰 저항이 형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은 각각이 이동 제한 상태일 때, 받침유닛(13)이 상부구조물(92)의 신축(신장 및 수축)에 따라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해야 하는데, 만약, 제1 쐐기유닛(15)과 제2 쐐기유닛(17) 각각의 한 쌍의 쐐기(151, 152)의 빗면(1511, 1521) 사이의 마찰력이 약할 경우, 한 쌍의 쐐기(151, 152)가 서로에 대해 어긋나며 받침유닛(13)의 이동을 허용하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쐐기(151, 152)에서 상호 접촉되는 빗면(1511)의 각도 및 표면 재질은 상부구조물(92)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시, 상부구조물(92)로부터 받침유닛(13)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빗면(1511)의 상호 접촉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마찰 저항이 형성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프리세팅 방법은, 하부판(11) 상면에 슬라이드면(111)을 형성하여 낮과 밤 사이의 온도차에 의한 교량 상부구조물(92)(이를테면, 교량 상판)의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하는 것을 활용하는 것(다시 말해, 받침유닛(13)의 하측에 슬라이드면(sliding pad)(111)을 설치하고 낮과 밤 사이 온도 차에 의해 교량이 자연적으로 이완 및 수축하는 점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하부판(11) 상면에 슬라이드면(111)을 형성하고, 상부판(12)과 슬라이드면(111) 상에 교량받침(13)을 배치하여 교량받침(13)과 하부판(11)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고, 사전 변형을 만족시키며 받침유닛(13)을 고정할 수 있도록 종 방향 길이 변화가 가능한 제1 및 제2 쐐기유닛(15, 17)을 활용하여 교량받침(13)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교량받침(13)과 상부구조물(92) 사이에 계획한 프리세팅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는 교량받침(Bearing)의 이동이 불가하여 교량받침의 정위치 고정을 위해 대용량 Jack으로 데크(Deck) 전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었고, 교각(Pier)별 순차적 설치가 필요했으며, 양생 중 교량받침 강결을 위한 특수 가고정 장치가 필요했으며, 이에 따라, 시공이 어렵고 대용량 Jack의 임대 비용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공사 규모에 따르지만, 약 1.5 Mil.USD가 필요할 수 있었다.
반면에, 본 프리세팅 방법에 의하면, 데크의 이동 없이도, 각 교량받침 위치에서 교량받침이 직접 슬라이드면(111) 및 상부구조물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에 따라 이동(위치 조정)되어 제1 및 제2 쐐기유닛(15, 17)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 교량받침의 정위치 고정이 각 교각에서 직접적으로 가능하고, 설치 순서에 제약이 없으며, 양생 중 bearing sliding(교각받침의 이동)이 구현될 수 있어 고정 장치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시공 편의성이 확보되고 예산 절감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프리세팅 방법에 의하면, 유압잭을 사용하지 않고도 프리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유압잭 활용시 특정부위에 집중되는 하중을 배제할 수 있어 변형 유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프리세팅 방법은 장대교량의 교량받침 프리세팅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프리세팅 방법에 의하면 대형 유압잭 등의 장비 활용 없이도 장대교량의 교량받침이 경제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Pier별 순차적 설치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 순서에 제약 없으며, 순간적인 하중이 걸리지 않기에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에 따라 프리세팅이 가능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이하 '본 교량받침'이라 함)(1)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교량받침의 설명과 관련하여 앞서 살핀 본 프리세팅 방법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교량받침(1)은 교량의 하부구조물(91)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면에 슬라이드면(111)이 형성되는 하부판(11), 하부판(11)의 상면의 종 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1 제한턱(14) 및 하부판(11)의 상면의 종 방향 타측에 형성된 제2 제한턱(16)을 포함하는 하부판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교량받침(1)은 교량의 상부구조물(92)에 대하여 고정되는 상부판(12)을 포함하는 상부판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교량받침(1)은 하부판(11)과 상부판(12)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유닛(13)을 포함한다. 또한, 본 교량받침(1)은 제1 제한턱(14)과 받침유닛(13)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쐐기유닛(15)을 포함한다. 또한, 본 교량받침(1)은 제1 제한턱(14)과 받침유닛(13)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쐐기유닛(17)을 포함한다.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 각각은 종 방향 길이를 횡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빗면(1511, 1521)이 형성된 한 쌍의 쐐기(151, 152)를 빗면끼리 접촉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 각각은 한 쌍의 쐐기(151, 152)가 빗면끼리 접촉되는 정도에 따라 종 방향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 각각은 종 방향 일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1512)과,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된 빗면(1511)을 갖는 일측쐐기(1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쐐기유닛(15) 및 제2 쐐기유닛(17) 각각은 종 방향 타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1522)과 종 방향 일측을 향하고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되며 일측 쐐기(151)의 빗면(1511)과 대향하는 상태로 적어도 일부 접촉되는 빗면(1521)을 갖는 타측 쐐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쐐기(151, 152)에서 상호 접촉되는 빗면(1511)의 각도 및 표면 재질은 상부구조물(92)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시, 상부구조물(92)로부터 받침유닛(13)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빗면(1511)의 상호 접촉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마찰 저항이 형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면(111)은 받침유닛(13)에서 상부구조물(92)을 지지하는 받침면(131)에서 발생되는 마찰보다 작은 마찰이 발생하는 마찰계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교량받침
11: 하부판
111: 슬라이드면
12: 상부판
13: 받침유닛
131: 받침면
14: 제1 제한턱
15: 제1 쐐기유닛
151: 쐐기
1511: 빗면
1512: 플랫면
152: 쐐기
1521: 빗면
1522: 플랫면
16: 제2 제한턱
17: 제2 쐐기유닛
91: 하부구조물
92: 상부구조물

Claims (18)

  1.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대하여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대하여 고정되는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유닛을 포함하는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받침유닛이 접촉되는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상기 받침유닛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면이 형성된 상기 교량받침을 상기 하부구조물과 상기 상부구조물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상부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받침유닛이 상대적으로 종 방향 일측의 목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구조물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하부판의 상면의 종 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1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제1 쐐기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판 상면의 종 방향 타측에 형성된 제2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제2 쐐기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받침유닛이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드면에 대한 상기 받침유닛의 종 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받침유닛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쐐기유닛은, 상기 상부구조물에 대한 상기 받침유닛의 종 방향 일측으로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받침유닛으로부터 종 방향 일측으로 제1 간격만큼 이격된 이동 유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쐐기유닛은, 상기 상부구조물에 대한 상기 받침유닛의 종 방향 타측으로의 상대적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받침유닛에 접촉되거나, 상기 받침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만큼 이격된 이동 제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받침유닛의 종 방향 목표 위치까지의 이동 필요 거리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2 간격은 0 또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 범위의 크기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물이 온도 상승시 상기 받침유닛이 배치된 상기 하부구조물을 기준으로 종 방향 일측으로 길이 신장되는 일측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밤 시간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낮 시간대에 수행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보다 하루 이상 경과된 날의 낮 시간대에 수행되며,
    상기 상부구조물이 온도 상승시 상기 받침유닛이 배치된 상기 하부구조물을 기준으로 종 방향 타측으로 길이 신장되는 타측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낮 시간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밤 시간대에 수행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보다 하루 이상 경과된 날의 밤 시간대에 수행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밤 시간대는 상기 상부구조물이 가장 많이 길이 수축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대이고,
    상기 낮 시간대는 상기 상부구조물이 가장 많이 길이 신장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대인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쐐기유닛은 종 방향 길이를 제1 길이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길이 범위의 최소값이 상기 제1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받침유닛의 종 방향 목표 위치까지의 이동 필요 거리를 뺀 값 이하가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쐐기유닛은 종 방향 길이를 제2 길이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길이 범위의 최대값이 상기 제2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의 거리에 상기 받침유닛의 종 방향 목표 위치까지의 이동 필요 거리를 합한 값 이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쐐기유닛에 의해 상기 받침유닛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쐐기유닛은 상기 제1 길이 범위의 최대값, 상기 제2 길이 범위의 최대값 및 상기 받침유닛의 종 방향 길이의 합이 상기 제1 제한턱과 상기 제2 제한턱 사이의 거리 이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쐐기유닛 각각은,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빗면이 형성된 한 쌍의 쐐기를 빗면끼리 접촉시키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쐐기유닛 각각은, 한 쌍의 쐐기가 빗면끼리 접촉되는 정도에 따라 종 방향 길이가 변경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쐐기 유닛 각각은,
    종 방향 일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과, 종 방향 타측을 향하고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된 빗면을 갖는 일측 쐐기; 및
    종 방향 타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과, 종 방향 일측을 향하고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쐐기의 빗면과 대향하는 상태로 적어도 일부 접촉되는 빗면을 갖는 타측 쐐기를 포함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쐐기에서 상호 접촉되는 빗면의 각도 및 표면 재질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시, 상기 상부구조물로부터 상기 받침유닛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빗면의 상호 접촉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마찰 저항이 형성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시 상기 받침유닛에서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면에 형성되는 정지마찰력에 대응하는 크기인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면은 상기 받침유닛에서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보다 작은 마찰이 발생하는 마찰계수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받침유닛이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1회 이상 수행되는 것인,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14.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으로서,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면에 슬라이드면이 형성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면의 종 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1 제한턱 및 상기 하부판의 상면의 종 방향 타측에 형성된 제2 제한턱을 포함하는 하부판부;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대하여 고정되는 상부판을 포함하는 상부판부; 및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유닛;
    상기 제1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제한턱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쐐기유닛을 포함하는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쐐기유닛 각각은,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빗면이 형성된 한 쌍의 쐐기를 빗면끼리 접촉시키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쐐기유닛 각각은, 한 쌍의 쐐기가 빗면끼리 접촉되는 정도에 따라 종 방향 길이가 변경되는 것인,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쐐기유닛 및 상기 제2 쐐기 유닛 각각은,
    종 방향 일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과, 종 방향 타측을 향하고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된 빗면을 갖는 일측 쐐기; 및
    종 방향 타측을 향하는 편평한 플랫면과, 종 방향 일측을 향하고 쐐기의 종 방향 길이를 횡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는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쐐기의 빗면과 대향하는 상태로 적어도 일부 접촉되는 빗면을 갖는 타측 쐐기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쐐기에서 상호 접촉되는 빗면의 각도 및 표면 재질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일일 온도변화에 따른 종 방향 길이 변화시, 상기 상부구조물로부터 상기 받침유닛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빗면의 상호 접촉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마찰 저항이 형성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면은 상기 받침유닛에서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보다 작은 마찰이 발생하는 마찰계수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인,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KR1020180165130A 2018-12-19 2018-12-19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KR10208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130A KR102088819B1 (ko) 2018-12-19 2018-12-19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130A KR102088819B1 (ko) 2018-12-19 2018-12-19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819B1 true KR102088819B1 (ko) 2020-03-13

Family

ID=6993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130A KR102088819B1 (ko) 2018-12-19 2018-12-19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37B1 (ko) 2021-12-16 2022-06-29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프리세팅 가능한 펜들럼 교량받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2593A2 (en) * 1999-12-01 2001-06-14 The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Seismic isolation bearing
JP3860892B2 (ja) * 1997-10-09 2006-12-20 横浜ゴム株式会社 スライド式橋桁支承体の取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29412B1 (ko) * 2007-10-08 2008-05-15 주식회사비스타이엔씨 교량용 탄성받침
KR101326640B1 (ko) * 2013-07-10 2013-11-08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오토프리세팅이 가능한 탄성받침, 그 시공방법
KR101682634B1 (ko) * 2016-09-29 2016-12-05 윤현숙 이중쐐기를 이용한 교량 인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0892B2 (ja) * 1997-10-09 2006-12-20 横浜ゴム株式会社 スライド式橋桁支承体の取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1042593A2 (en) * 1999-12-01 2001-06-14 The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Seismic isolation bearing
KR100829412B1 (ko) * 2007-10-08 2008-05-15 주식회사비스타이엔씨 교량용 탄성받침
KR101326640B1 (ko) * 2013-07-10 2013-11-08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오토프리세팅이 가능한 탄성받침, 그 시공방법
KR101682634B1 (ko) * 2016-09-29 2016-12-05 윤현숙 이중쐐기를 이용한 교량 인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37B1 (ko) 2021-12-16 2022-06-29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프리세팅 가능한 펜들럼 교량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08B1 (ko)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압출공법
RU2472893C2 (ru) Безбалластный путь с бетонным полотном
KR102088819B1 (ko) 교량받침의 프리세팅 방법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교량받침
KR20080030662A (ko) 교량 구조물의 고정 주행 트랙
US3998499A (en) Steel bearings with polychloroprene and fluorocarbon resin
JP2010048054A (ja) 載置工法及び接合構造
KR20040088399A (ko) 무거운 하중을 움직이기 위한 장치
KR101949248B1 (ko) 프리셋팅 장치가 부착된 탄성받침
JP2017040040A (ja) ポストスライド装置
JP2008285931A (ja) 支承の高さ調整装置
Hoppe et al. Jointless bridge design at the Virgi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U184151U1 (ru) Подвижный сдвиговой упор
KR20200095274A (ko)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JP2015101866A (ja) 橋梁の制振補強構造
JP6245857B2 (ja) 橋梁の遊間における架設材の支持装置
JP7050553B2 (ja) 構造物用支承装置
KR101953013B1 (ko) 교좌장치의 변위 보정장치
JP6664968B2 (ja) 制振ダンパー及び累積塑性変位測定器
KR100952182B1 (ko) 탄성 교좌장치의 설치방법
JP5457997B2 (ja) 橋梁用伸縮装置
JP2017075476A (ja) 伸縮装置
US2603317A (en) Building structure
Burdet Thermal effects in the long-term monitoring of bridges
JP6479371B2 (ja) 制震架構の接合部構造
JP6438202B2 (ja) 免震建築物のせり出し部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