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583B1 - 방화문의 방화캡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방화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583B1
KR102088583B1 KR1020180143637A KR20180143637A KR102088583B1 KR 102088583 B1 KR102088583 B1 KR 102088583B1 KR 1020180143637 A KR1020180143637 A KR 1020180143637A KR 20180143637 A KR20180143637 A KR 20180143637A KR 102088583 B1 KR102088583 B1 KR 102088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ap
door
fire preven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고
지춘자
Original Assignee
최재고
지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고, 지춘자 filed Critical 최재고
Priority to KR102018014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1Profile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방화문에서 도어힌지가 설치되는 쪽에 해당되는 수직프레임과 그에 대응되는 문틀프레임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발생시 방화문의 차열성능을 높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방화문이 받는 풍압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방화문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캡장치에서, 방화캡장치를 구성하는 방화캡이 인너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브래킷에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방화캡장치를 구성하는 방화핀이 문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조절되게 구성함으로써 시공작업시 방화캡의 설치위치에 다소 어긋나더라도 방화핀의 위치조절에 의하여 방화캡에 대한 방화핀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시공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방화캡에 대한 방화핀의 출입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화문의 방화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방화문의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인너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ㄷ"형 고정브래킷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인너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공을 통하여 상기 인너프레임과 고정브래킷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내주면에 리벳으로 고정되게 체결되는 방화캡과; 상기 방화캡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문틀프레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되며, 외측단부에 방화문의 개폐동작시 방화캡의 내외로 출입되는 방화핀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방화핀몸체의 외측단면의 편심된 위치에는 면상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위치조절편이 돌설되며; 상기 방화핀몸체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문틀에 형성된 체결공의 전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위치조절편과 동일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방화핀몸체의 후면으로부터는 체결볼트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체결볼트부에는 너트가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방화문의 방화캡장치{Device of fireproofing cap for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의 방화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에서 도어힌지가 설치되는 쪽에 해당되는 수직프레임과 그에 대응되는 문틀프레임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발생시 방화문의 차열(遮熱)성능을 높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방화문이 받는 풍압(風壓)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방화문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캡장치에서, 방화캡장치를 구성하는 방화캡이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방화캡장치를 구성하는 방화핀이 문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조절되게 구성함으로써 시공작업시 방화캡의 설치위치에 다소 어긋나더라도 방화핀의 위치조절에 의하여 방화캡에 대한 방화핀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시공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방화캡에 대한 방화핀의 출입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의 방화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의 수직프레임과 문틀프레임의 서로 맞닿는 위치에는 화재발생시 방화문의 차열(遮熱)성능을 높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방화문이 받는 풍압(風壓)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방화문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캡장치가 설치된다.
이 같은 방화문의 방화캡장치는 방화문에서 도어힌지가 설치되는 쪽에 해당되는 수직프레임상에 설치되는 방화캡과, 상기 방화캡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단되는 문틀프레임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방화문의 개폐동작에 따라 방화캡의 내외로 출입되는 방화핀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방화캡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방화문의 수직프레임면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장착공을 타공한 후 방화캡을 장착공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운 다음 가장자리를 스폿용접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였으며, 상기 방화캡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문틀프레임에는 방화핀을 스크류방식으로 체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캡장치에서는 방화캡의 설치위치와 방화핀의 설치위치가 서로 약간이라도 어긋나는 경우에 방화문의 개폐동작시 방화핀이 방화캡 내외로 제대로 출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방화핀을 탈거한 후 다시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방화문의 방화캡에 관한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8-0119838호(명칭: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속이 빈 상태의 문짝형상으로 문틀후레임에 힌지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테두리부재의 내측으로 보강부재가 고정부착된 상태로 방화문 본체의 내부로 단열재가 채워지는 방화문 본체에 있어서, 상기 문틀 후레임의 상부 내측을 향해 위치 고정되며, 하부가 트여진 상태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채워져 상온에서는 고체상태를 유지하되 화재에 의해 고열이 전달될 때 용융되어 슬리브의 외부로 유출되는 용융부재와, 상기 용융부재에 감싸진 상태로 상온에서 슬리브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화재로 용융부재가 용융, 이탈되면 그 하중으로 낙하되는 로킹핀과, 상기 방화문 본체에 로킹핀의 낙하위치로 설치되며, 로킹핀의 하단 일부가 끼워 받쳐지게 하여, 슬리브 사이에서 걸려지게 하는 고정포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화재 발생시 실내측 고열에 의해서 방화문이 변형되면서 화염이 실외로 분출되는 경우를 차단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구성이 까다다로운 것은 물론, 시공작업시 방화캡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고정포켓의 설치위치와 슬리브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 재시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8-0119838호,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방화문에서 도어힌지가 설치되는 쪽에 해당되는 수직프레임과 그에 대응되는 문틀프레임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발생시 방화문의 차열성능을 높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방화문이 받는 풍압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방화문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캡장치에서, 방화캡장치를 구성하는 방화캡이 인너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브래킷에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방화캡장치를 구성하는 방화핀이 문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조절되게 구성함으로써 시공작업시 방화캡의 설치위치에 다소 어긋나더라도 방화핀의 위치조절에 의하여 방화캡에 대한 방화핀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시공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화문의 방화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캡에 대한 방화핀의 출입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의 방화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화문의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인너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ㄷ"형 고정브래킷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인너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공을 통하여 상기 인너프레임과 고정브래킷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내주면에 리벳으로 고정되게 체결되는 방화캡과; 상기 방화캡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문틀프레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되며, 외측단부에 방화문의 개폐동작시 방화캡의 내외로 출입되는 방화핀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방화핀몸체의 외측단면의 편심된 위치에는 면상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위치조절편이 돌설되며; 상기 방화핀몸체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문틀에 형성된 체결공의 전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위치조절편과 동일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방화핀몸체의 후면으로부터는 체결볼트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체결볼트에는 너트가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방화캡장치를 구성하는 방화캡이 인너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방화캡장치를 구성하는 방화핀이 문틀프레임에 대하여 위치조절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작업시 방화캡과 방화핀의 설치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방화핀의 위치조절에 의하여 방화캡에 대한 방화핀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공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이와 같은 방화핀의 위치조절에 따라 방화캡과 방화핀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짐에 따라 방화캡에 대한 방화핀의 출입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방화캡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방화캡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방화캡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동작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방화캡장치에서 방화캡이 수직프레임 내측에 매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설치되고, 방화핀이 문틀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방화캡장치에서 방화핀의 위치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방화캡장치(10)에서는 방화문의 수직프레임(20)의 내측에 방화캡(40)이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방화캡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문틀프레임(30)에는 방화문의 개폐동작시 상기 방화캡의 내외로 출입되는 방화핀(50)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방화문의 수직프레임(2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인너프레임의 내측에 "ㄷ"형 고정브래킷(22)이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방화캡(40)은 수직프레임(20)과 인너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공(21)을 통하여 상기 인너프레임과 고정브래킷(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2)의 내주면에 리벳(41)으로 고정되게 체결된다.
상기 방화캡(40)의 몸체 앞쪽의 둘레면상에는 수직프레임(20) 내면에 밀착된 인너프레임과 고정브래킷(2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의 둘레면에 끼워져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기(4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화캡(40)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문틀프레임(30)상의 체결공(31)을 통해서는 별도의 방화핀(50)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화핀(50)의 위치가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방화핀(50)의 외측단부에는 방화문의 개폐동작시 방화캡(40)의 내외로 출입되는 방화핀몸체(51)가 형성된다.
또, 상기 방화핀몸체(51)의 외측단면의 편심(偏心)된 위치에는 면상에 드라이버홈(52a)이 형성된 위치조절편(52)이 돌설되고, 상기 방화핀몸체(51)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문틀프레임(30)에 형성된 체결공(31)의 전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5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위치조절편(52)과 동일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방화핀몸체(51)의 후면으로부터는 뒷쪽으로는 체결볼트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부(54)에는 너트(55)가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방화캡장치(10)를 구성하는 방화캡(4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방화문에서 도어힌지가 설치되는 쪽의 수직프레임(20)의 면상에 형성되는 장착공(21)을 통하여 방화캡(40)을 삽입하여 방화캡(40)의 몸체가 상기 수직프레임(20)의 내면에 밀착되게 배치된 인너프레임과 고정브래킷(22)에 ㅇ으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방화캡(40)의 몸체의 바닥면과 고정브래킷(22)을 리벳(41)으로 체결하면, 수직프레임(20)에 대한 방화캡(4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방화캡(40)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문틀프레임(30)에 형성된 체결공(31)을 통하여 방화핀(50)을 설치하면 되는데, 먼저, 상기 체결공(31)을 통하여 방화핀(50)을 구성하는 체결볼트부(54)를 내측으로 끼운 다음 체결볼트부(54)의 뒷부분에 너트(55)를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키면, 상기 방화핀(50)을 방화핀몸체(51)이 후단 가장자리에 돌설된 환령의 걸림턱(53)이 체결공(31)의 전면 가장자리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문틀프레임(30)상에 방화핀(50)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방화캡(40)과 방화핀(50)이 미리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방화핀(50)이 방화캡(40)과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었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화핀몸체(51)의 전면의 편심된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된 위치조절편(52)의 드라이버홈(52a)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끼우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편심되게 돌출된 위치조절편(52)상의 드라이버홈(52a)에 드라이버를 끼워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방화핀몸체(51)의 위치가 상하좌우로 미세하게 조절되면서 방화캡(40)과 어긋난 상태에서 바른 위치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캡(40)이 수직프레임(20)의 내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고정브래킷(22)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방화핀(50)이 문틀프레임(30)에 대하여 위치조절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작업시 방화캡(40)과 방화핀(50)의 설치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방화핀(50)의 위치조절에 의하여 방화캡(40)에 대한 방화핀(50)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어 시공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은 방화핀(50)의 위치조절에 따라 방화캡(40)과 방화핀(50)의 설치위치가 서로 정확하게 맞추어짐에 따라 방화캡(40)에 대한 방화핀(50)의 출입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방화문의 방화캡장치
20 : 수직프레임 21 : 장착공
22 : 고정브래킷 30 : 문틀프레임
31 : 체결공 40 : 방화캡
41 : 리벳 42 : 걸림돌기
50 : 방화핀 51 : 방화핀몸체
52 : 위치조절편 52a : 드라이버홈
53 : 걸림턱 54 : 체결볼트부
55 : 너트.

Claims (1)

  1. 방화문의 수직프레임(2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인너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ㄷ"형 고정브래킷(22)과;
    상기 수직프레임(20)과 인너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공(21)을 통하여 상기 인너프레임과 고정브래킷(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2)의 내주면에 리벳(41)으로 고정되게 체결되는 방화캡(40)과;
    상기 방화캡(40)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문틀프레임(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되며, 외측단부에 방화문의 개폐동작시 방화캡(40)의 내외로 출입되는 방화핀몸체(51)가 형성되고, 상기 방화핀몸체(51)의 외측단면의 편심된 위치에는 면상에 드라이버홈(52a)이 형성된 위치조절편(52)이 돌설되며;
    상기 방화핀몸체(51)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문틀프레임(30)에 형성된 체결공(31)의 전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53)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위치조절편(52)과 동일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방화핀몸체(51)의 후면으로부터는 체결볼트부(5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체결볼트부(54)에는 너트(55)가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방화캡장치.
KR1020180143637A 2018-11-20 2018-11-20 방화문의 방화캡장치 KR10208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37A KR102088583B1 (ko) 2018-11-20 2018-11-20 방화문의 방화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37A KR102088583B1 (ko) 2018-11-20 2018-11-20 방화문의 방화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583B1 true KR102088583B1 (ko) 2020-04-20

Family

ID=7046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637A KR102088583B1 (ko) 2018-11-20 2018-11-20 방화문의 방화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698B1 (ko) * 2023-02-16 2023-09-06 주식회사 우리도어 방화문 설치용 열변형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36Y1 (ko) * 2015-12-23 2018-09-10 탁우찬 방화도어용 고정 스토퍼
KR20180119838A (ko) 2017-04-26 2018-11-05 조준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36Y1 (ko) * 2015-12-23 2018-09-10 탁우찬 방화도어용 고정 스토퍼
KR20180119838A (ko) 2017-04-26 2018-11-05 조준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698B1 (ko) * 2023-02-16 2023-09-06 주식회사 우리도어 방화문 설치용 열변형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400B1 (ko) 방화문 자동 화재 안전핀
US8061762B2 (en) Vehicle door and a side impact beam
KR102088583B1 (ko) 방화문의 방화캡장치
KR102154233B1 (ko) 방화문용 열 변형 방지기구
JP5991824B2 (ja) 扉用防火装置
US8955194B2 (en) Fire door hinge with fusible pin
KR19990036550A (ko) 도어클로즈용 도어의 걸림장치
GB2263879A (en) Rivet setting device
CN210948126U (zh) 一种用于防火窗的温感、定位、闭窗装置
TW202210703A (zh) 用於門操作器的安裝托架
US7581768B2 (en) Anti-effraction safety system for door and window frames
JP2015190309A (ja) 窓ステー
KR101985631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2121020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 장치
KR101919082B1 (ko) 방화문의 개폐 조절장치
KR100722289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경첩
KR20060005311A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PL204765B1 (pl) Tuleja do mocowania części okucia na profilu skrzynkowym
KR200410728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0487136Y1 (ko) 방화도어용 고정 스토퍼
JP2000257330A (ja) ドアヒンジ装置
KR20070078363A (ko) 창문 레일 및 브래킷 조립체
KR20070038195A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체결장치
KR100618537B1 (ko)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JP2008025227A (ja) 仮設足場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仮設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