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521B1 -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521B1
KR102087521B1 KR1020180161485A KR20180161485A KR102087521B1 KR 102087521 B1 KR102087521 B1 KR 102087521B1 KR 1020180161485 A KR1020180161485 A KR 1020180161485A KR 20180161485 A KR20180161485 A KR 20180161485A KR 102087521 B1 KR102087521 B1 KR 10208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door lock
digital door
change
wireless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수
Original Assignee
(주)하이원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원플러스 filed Critical (주)하이원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16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G07C9/0066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di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Abstract

본 발명은 입주 전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거주자의 정상 입주 전, 작업자에 의해 각 세대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장치이고; 도어의 실내 측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에 구비되며, 외부의 무선 리모컨으로부터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의 실외측에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의 키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키패드에 입력되는 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셋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공사 중인 아파트나 오피스텔, 업무용 빌딩 등의 도어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작업자가 빠른 시간에 변경할 수 있으며, 각 세대별 비밀번호를 상이하게 할 수 있어 외부인의 무단 침입으로 인한 물건이 파손되거나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A Password changing apparatus of 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각 세대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실제 거주자가 입주하기 이전의 공사기간에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현관문이나 빌딩 등의 각종 사무실용 출입문 등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은 기계적인 메카니즘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계식 방식의 도어락 장치가 지닌 취약성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도어를 개폐하는 수단으로도 기구적인 구조의 키(열쇠)로부터 벗어나 각종 방식의 카드나 지문과 같은 생체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면서도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도어록에는 기본적으로 키패드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키패드는 기구적인 키패널 구조나 또는 터치방식의 키패널 구조 등 여러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제조시에 비밀번호가 셋팅되고, 실제 사용자는 비밀번호 변경기능을 통해 원하는 번호로 비밀번호를 변경, 셋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지털 도어록을 구매한 경우, 또는 도어에 이미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반복적으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방식은 다양하다 할 것이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키패드의 숫자를 입력하는 방식에서, 근래에는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10-2012-0089968호는 입력하는 숫자를 광을 이용하여 번호입력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7-0047797호는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의 잠금해제여부를 결정하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하는 방법들은 세대에 거주자가 실제 입주한 상태에서 거주자가 비밀번호를 변경, 셋팅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전부이다.
따라서, 아파트나 오피스텔에 대한 공사가 진행중인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공사 관계자나 작업자만이 각 세대를 출입할 수 있으며 작업자만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공사중인 상황에서는 관계자나 작업자만이 세대 출입을 위해서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조작하게 된다. 이때 비밀번호는 일반적으로 제조시에 기본적으로 셋팅된 비밀번호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셋팅된 비밀번호를 작업자가 그대로 사용하는 이유는 각 세대마다 도어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이다. 즉, 비밀번호 변경을 위해서는 공사 관계자나 작업자가 각 세대를 방문한 상태에서 도어 내측의 마련된 내부 케이스를 분리한 다음 비밀번호를 변경하게 되는데, 이는 세대수에 따라 비밀번호 변경에 필요한 시간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는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이 세대수가 많은 경우 더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현재 대부분의 공사 진행중인(즉, 입주자가 입주하기 전) 아파트나 오피스텔의 도어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는 일반적으로 제조시에 셋팅된 번호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3자에게 비밀번호가 쉽게 노출될 수 있고 또한 모든 세대의 비밀번호가 동일하기 때문에, 무단침입으로 인한 각종 문제가 초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공사중인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세대 내에는 조명, 싱크대, 붙박이장, 수납장, 책장, 거실장 등과 같은 고가의 물품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데, 무단 침입하는 외부인에 의해 이러한 물품이 파손되거나 분실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실제 입주 전의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주 전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 거주자가 입주한 이후에는 작업자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 기능을 제거하여, 기본적인 디지털 도어록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거주자가 입주하기 이전의 공사중인 세대마다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작업자가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밀번호 변경 시간의 단축에 따른 작업능률 개선, 그리고 이로인한 세대 내부의 물품이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의 정상 입주 전, 작업자에 의해 각 세대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장치이고; 도어의 실내 측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에 구비되며, 외부의 무선 리모컨으로부터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그리고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의 실외측에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의 키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키패드에 입력되는 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셋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의 정상 입주 전, 작업자에 의해 각 세대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장치이고; 키패드가 구비되며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리모컨;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 구비되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비밀번호 입력모드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모드에서 상기 무선 리모컨의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된 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셋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주자가 정상 입주한 후에는 무선 리모컨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 기능을 제거하는 구성을 더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다양한 실시 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케이스를 분리한 후 정상적인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버튼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무선 리모컨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기능이 제거된다. 또는 내부 케이스에 마련된 별도의 버튼조작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리모컨이 RF 신호세기를 조절하는 신호세기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신호세기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요청신호의 전송거리를 셋팅하면 둘 이상의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에 의하면, 거주자나 사용자가 실제 입주하기 이전(즉, 공사중이거나 준공 이전 상태)의 아파트나 오피스텔, 업무용 빌딩 등의 도어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작업자가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세대를 방문하고 케이스를 분해한 후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쉽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중인 세대에 외부인의 무단 침입으로 인한 물건 파손, 도난 등의 문제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기대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의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공사중인 아파트나 오피스텔의 각 세대의 도어, 업무용 빌딩 등의 사무실용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작업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경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공사중이란 의미는 각 세대나 사무실에 거주자(직원)의 입주나 출입이 불가한 상태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100)은 도어(A)의 실외 측에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110)와, 도어(A)의 실내 측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120)를 포함하며, 내부 케이스(120)에 연동된 상태에서 출입문의 일정 지점에 단속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케이스(110)에는 개폐부재(130)의 잠금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실외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112)가 마련된다. 물론, 이러한 외부 케이스(110)는 키패드(112) 이외에도 출입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인식수단(114), 지문 등의 생체를 인식하는 생체인식수단(116)이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내부 케이스(120)에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개폐부재의 잠금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개방버튼(122)이 마련된다. 그리고 내부 케이스(120)는 거주자(사용자)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이나 배터리 교체 등을 위해 덮개(120a)가 분리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내부 케이스(120)에는 소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 안착부(미도시)가 기구적으로 마련되며, 초기화 버튼(124)이나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버튼(126) 등도 마련된다. 또한 비밀번호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3), 디지털 도어록의 동작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CPU)(121) 등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21)는 무선 리모컨(10)에 의해 발생하는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에 따라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거나, 이러한 무선 리모컨(10)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 기능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내부 케이스(120)에는 작업자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이하, 요청신호라 약칭하여 설명하기로 함)를 수신하는 수신부(128)가 마련된다. 다만 수신부(128)는 내부 케이스(120)에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고 외부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부에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무선 리모콘(10)이 제공된다. 이러한 무선 리모콘(10)은 비밀번호 변경 키이(14)와 함께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키패드(12)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비밀번호 변경 키이(14)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키패드(12)의 소정 키이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키패드(12)를 이용한 비밀번호 조작은 특정 키이를 누른 후에 소정 자릿수의 번호를 입력하거나 단지 미리 지정된 소정 자릿수의 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작업자는 공사기간에 각 세대 도어(A)에 마련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케이스를 개방하지 않고 단지 각 세대를 방문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무선 리모컨(10)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 기능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 디지털 도어록(100)에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공사가 완료된 후 작업자가 임의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면 안되기 때문이며, 반드시 각 세대에 거주하는 거주자만이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디지털 도어록(100)에는 상기한 기능을 제거하기 위한 버튼(129)이 별도로 마련된다. 물론 거주자에 의한 정상적인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버튼(126)이 조작되면 제거되도록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의 제거는, 무선 리모컨(10)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기능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제어부(121)가 무선 리모컨(10) 조작에 따른 비밀번호 요청신호를 수신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상태를 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리모컨(10)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이 삭제되거나 더 이상 활성화되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 즉, 저장부(123)에는 무선 리모컨(10)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데, 기능 제거를 요청하면 이러한 프로그램이 삭제되거나 무선 리모컨(10)을 통한 비밀번호 요청에 대해 더이상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다음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도어(A)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각 세대를 방문한 상태에서, 무선 리모컨(10)의 소정 키이(비밀번호 변경키이)(14)를 조작하여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요청신호는 소정 이격된 디지털 도어록(100)의 수신부(128)로 전송될 것이고, 수신부(128)는 이러한 요청신호를 제어부(121)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128)는 평상시에는 대기모드상태이고 요청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만 활성화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신부(128) 역시 소정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디지털 도어록(100)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21)는 상기 요청신호를 전달받으면, 외부 케이스(120)의 키패드(112)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활성화 상태는 제어부(121)가 소정 알람을 울리거나 키패드(112)에 조명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작업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활성화 상태는 작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활성화 상태에서, 작업자는 키패드(112)의 숫자버튼을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비밀번호의 입력은 예를 들면 시작버튼 + 비밀번호 + 종료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입력된 비밀번호는 저장부(123)에 저장되고 이후 새로운 비밀번호가 입력되기까지 사용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무선 리모컨(10)과 디지털 도어록(100)에 구비된 키패드(112)의 조작만으로 현재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많은 세대의 비밀번호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100)에 구비된 키패드(112)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 변경하고 있지만, 무선 리모컨(10)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를 보면 무선 리모컨(10)에도 키패드(12)가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상기의 실시 예와 같이 외부 케이스(110)에 마련된 키패드(112)를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무선 리모컨(10)에 키패드(120)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무선 리모컨(10)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설명하면, 작업자는 세대를 방문한 상태에서 무선 리모컨(10)의 비밀번호 변경키이(14)을 조작하여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요청신호는 디지털 도어록(100)에 구비된 수신부(128)를 통해 제어부(121)로 전달된다.
그러면 제어부(121)는 디지털 도어록(100)을 평상모드에서 비밀번호 입력모드로 모드 전환하게 되며, 모드 전환시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밀번호 입력모드가 설정되며, 작업자는 무선 리모컨(10)에 마련된 키패드(12)의 버튼을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이렇게 입력된 비밀번호는 제어부(121)가 무선 수신하여 저장부(123)에 저장함과 아울러 새로운 비밀번호로 셋팅한다.
상기 비밀번호의 변경, 셋팅은 다른 방법으로 충분히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세대를 방문한 상태에서 무선 리모컨(10)을 조작하여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와 함께 변경하고자 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종료 버튼을 순서대로 누르면, 제어부(121)는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저장부(123)에 저장하면서 새로운 비밀번호로 셋팅하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도 작업자가 세대를 방문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빠르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하고 있는 무선 리모컨(10)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은 각 세대에 거주자가 입주한 후에는 사용할 수 없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거주자가 입주를 한 후에는 자신이 원하는 비밀번호로 변경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밀번호 변경은 실질적으로 내부 케이스(120)의 덮개(120a)를 분리한 후 비밀번호 변경버튼을 조작한 후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거주자가 내부 케이스(120)에 마련된 비밀번호 변경버튼(126)을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하면, 무선 리모컨을 이용한 비밀번호 변경기능은 제거된다. 즉, 공사가 완료된 후 거주자 자신이 비밀번호를 변경하면, 제어부(121)는 상기 무선 리모컨(10)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 기능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상기 기능을 제거한다는 것이다. 물론 내부 케이스(120)에 마련된 별도의 버튼(129)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기능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튼 129은 무선 리모컨(10)에 의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거하기 위해 특화된 버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리모컨(10)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기능은 저장부(123)에 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 수 있는 바, 상기 기능의 제거는 프로그램이 삭제되거나 더 이상 수행되지 못한 상태가 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사가 완료된 이후, 또는 거주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비밀번호가 변경된 이후에는 작업자는 무선 리모컨(10)을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더라도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사중인 아파트나 오피스텔, 업무용 빌딩의 각 도어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의 초기 셋팅된 비밀번호를 쉽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 변경에 따른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각 세대마다 다른 비밀번호를 가지기 때문에 비밀번호 누출에 대한 위험성을 줄일 수 있어 외부인에 의한 무단침입으로 인하여 물품이 파손되거나 도난당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을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작업자가 무선 리모컨을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할 때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리모컨이 한 세대(가구, 사무실)의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으로 한정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1대의 무선 리모컨으로 둘 이상의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도 가능하다.
즉 무선 리모컨의 요청신호 도달범위에 따라 무선 리모컨과 제일 가깝게 위치한 도어와 인접되어 있는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으로도 상기 요청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 이럴 경우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받은 둘 이상의 디지털 도어록 역시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복도식 아파트나, 각 도어가 가깝게 밀집된 사무실용 빌딩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무선 리모컨에 요청신호의 전송거리를 셋팅할 수 있는 신호세기 조절부가 구비되면, 상기 신호세기 조절부에 의해 비밀번호의 변경을 원하는 둘 이상의 디지털 도어록을 선택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절부는 무선 리모컨의 RF신호세기를 조절하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무선 리모컨 110: 외부 케이스
112: 키패드 120: 내부 케이스
120a: 덮개 121: 제어부
122: 개방버튼 123: 저장부
124: 초기화버튼 126: 비밀번호 변경버튼
128: 수신부 129: 비밀번호 변경기능 제거버튼

Claims (5)

  1. 거주자의 정상 입주 전, 작업자에 의해 각 세대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장치이고;
    도어의 실내 측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에 구비되며, 외부의 무선 리모컨으로부터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의 실외측에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의 키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키패드에 입력되는 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셋팅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 리모컨의 RF 신호세기를 조절하는 신호세기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거주자에 의해 정상적인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버튼이 조작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비밀번호 변경 기능을 수행한 프로그램이 제거되거나 더 이상 활성화되지 않게 되어, 상기 무선 리모컨를 이용한 비밀번호 변경기능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게 하고,
    상기 신호세기 조절부가 조작되면 RF 신호의 전송거리 안에 위치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동시에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2. 거주자의 정상 입주 전, 작업자에 의해 각 세대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장치이고;
    키패드가 구비되며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리모컨;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 구비되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비밀번호 입력모드를 활성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 리모컨의 RF 신호세기를 조절하는 신호세기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모드에서 상기 무선 리모컨의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된 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셋팅하며,
    거주자에 의해 정상적인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버튼이 조작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비밀번호 변경 기능을 수행한 프로그램이 제거되거나 더 이상 활성화되지 않게 되어, 상기 무선 리모컨를 이용한 비밀번호 변경기능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게 하고,
    상기 신호세기 조절부가 조작되면 RF 신호의 전송거리 안에 위치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동시에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1485A 2018-12-14 2018-12-14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KR10208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485A KR102087521B1 (ko) 2018-12-14 2018-12-14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485A KR102087521B1 (ko) 2018-12-14 2018-12-14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521B1 true KR102087521B1 (ko) 2020-03-10

Family

ID=6980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485A KR102087521B1 (ko) 2018-12-14 2018-12-14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5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138A (ja) * 2002-10-31 2004-05-27 Kenji Ando リモコン式ドアロックシステム
KR200433964Y1 (ko) * 2006-09-30 2006-12-14 유경수 도어 개폐 장치
KR20110099969A (ko) * 2010-03-03 2011-09-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자동차 스마트키 리모컨의 무선주파수 신호 세기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138A (ja) * 2002-10-31 2004-05-27 Kenji Ando リモコン式ドアロックシステム
KR200433964Y1 (ko) * 2006-09-30 2006-12-14 유경수 도어 개폐 장치
KR20110099969A (ko) * 2010-03-03 2011-09-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자동차 스마트키 리모컨의 무선주파수 신호 세기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9252B (zh) 一种全自动数控门禁系统
KR100751922B1 (ko) 다기능 디지털 도어
CN108475447A (zh) 用于控制对物理空间的访问的系统和方法
US20100026487A1 (en) Security system control panel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13924569A (zh) 认证输入设备
KR101340148B1 (ko) 디지털 도어락
KR20210043875A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102239274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102087521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변경장치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0800050B1 (ko)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설정/해제 시스템
TWI729657B (zh) 保全系統
KR20230100067A (ko) 비밀번호와 리듬 입력에 기초하는 사용자 인증장치 및 그 방법
BALASUBRAMANİAN et al. Smart Multi Verification Based Security System
JP6796804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TWI715391B (zh) 保全系統
KR20080028595A (ko)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및 제어방법
JP2004218293A (ja) 暗証番号入力式錠装置
KR102161199B1 (ko)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KR10223927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200363941Y1 (ko) 비밀번호와 지문입력을 이용하는 도어락 장치
JP6125816B2 (ja) 電気錠システム
JP7486090B2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