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971B1 - 날염직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날염직물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6971B1 KR102086971B1 KR1020190129136A KR20190129136A KR102086971B1 KR 102086971 B1 KR102086971 B1 KR 102086971B1 KR 1020190129136 A KR1020190129136 A KR 1020190129136A KR 20190129136 A KR20190129136 A KR 20190129136A KR 102086971 B1 KR102086971 B1 KR 102086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fabric
- reflective layer
- forming
- bi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염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사지(10)의 표면에 이형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와; 이형층(20)에 수지재질의 보호층(30)을 형성하는 단계(S2)와; 이미지층(40)에 다수의 글라스비드가 혼합된 비드혼합조성물을 도포하여 반사층(50)을 형성하는 단계(S4)와; 반사층(50)에 직물 원단(F)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바인더층(60)을 형성하는 단계(S5)와; 바인더층(60)을 직물 원단(에 위치시킨 후 전사지(10)에 고열 및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이미지층(40) 및 반사층(50)을 직물 원단(F)에 전사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날염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패턴으로 재귀 반사를 유도하여 기능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착용자의 개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날염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날염(textile printing)이란 염료나 안료등의 색소를 직물에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착색하여 다양한 색상 및 이미지를 발현할 수 있는 염색기법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대표적으로 염료날염과 안료날염이 있다.
염료날염은 대상이 어떠한 섬유로 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그 섬유를 필요한 견뢰도(堅牢度)와 색상으로 착색하기에 적절한 염료를 고르고, 이것을 풀감(糊料)으로 끓여서 적당하게 넣어 점성이 있는 액에 다른 착색용 약제와 함께 넣고 잘 섞은 다음(이렇게 해서 만들어지는 것을 날염풀이라고 한다), 이것을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대로 음각(陰刻)한 날인 롤러 또는 무늬대로 개공(開孔)을 만든 스크린을 써서 섬유물에 날인한 뒤, 건조, 증열(蒸熱), 수세하여 무늬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안료날염은, 안료, 합성수지(초기축합물), 용제(溶劑), 물 등으로 날염풀을 만들고, 이것을 날인 롤러 또는 스크린을 써서 날염하고자 하는 섬유물에 날인한 뒤, 가볍게 건조시킨 다음 높은 온도의 건열(乾熱)로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방식으로 날염된 직물은 티셔츠, 운동복등 다양한 목적의 야외복으로 제작되어 착용자의 개성을 돋보이게 된다.
한편, 점차로 개개인의 개성이 더욱 존중되는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의류에도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는 물론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노력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능성이 부각될 수 있는 날염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에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특정 패턴으로 재귀 반사를 유도함으로써 기존 직물과 대비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의류로 제작되었을때 착용자의 개성을 현저히 부각시킬 수 있는 날염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날염직물 제조방법은, 전사지(10)의 표면에 이형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이형층(20)에 수지재질의 보호층(30)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보호층(30)에 염료가 인쇄된 인쇄패턴(41) 및 염료가 인쇄되지 않은 구멍패턴(42)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층(40)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이미지층(40)에 다수의 글라스비드가 혼합된 비드혼합조성물을 도포하여 반사층(50)을 형성하는 단계(S4); 상기 반사층(50)에 직물 원단(F)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바인더층(60)을 형성하는 단계(S5); 및 상기 바인더층(60)을 직물 원단(F)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전사지(10)에 고열 및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층(40) 및 반사층(50)을 직물 원단(F)에 전사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드혼합조성물(B)은, 글라스비드, 바인더수지, 분산제, 소포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드혼합조성물(B)은, 상기 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글라스비드 1 ∼ 3 중량부, 상기 바인더수지 20 ~ 40 중량부, 상기 분산제 0.5 ~ 0.9 중량부, 상기 소포제 0.3 ~ 0.5 중량부 혼합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50)은, 원통형 롤러(R1)가 상기 비드혼합조성물(B)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전사지(10)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비드는, 큰 제1직경(D1)의 제1글라스비드(51a)와 작은 제2직경(D2)의 제2글라스비드(51b)로 구성되고, 상기 제1글라스비드(51a)의 제1직경(D1)은 상기 제2글라스비드(51b)의 제2직경(D2)에 비하여 1 ~ 1.6 배 범위의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층(60), 반사층(50) 및 이미지층(40)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층(30)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핀홈(70)을 형성하는 단계(S6)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S6)는, 상기 바인더층(60)의 상부면에 다수의 핀(P)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원통형 핀롤러(R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패턴으로 재귀반사를 유도하는 반사층(50)을 가짐으로써, 기존 직물과 대비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날염직물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날염직물로 제조된 의류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개성을 현저히 부각시킬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날염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전사지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이형층에 보호층 및 이미지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이미지층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반사층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드혼합조성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이미지층을 구성하는 제1글라스비드와 제2글라스비드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의 반사층에 직물 원단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바인더층, 반사층 및 보호층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핀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핀홈을 형성하기 위한 핀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핀롤러에 의하여 전사지에 메트릭스 배열 형태로 핀홈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전사지에 형성된 바인더층을 직물 원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사지의 배면에 고열 및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단계에 의하여, 직물 원단에 반사층, 이미지층 및 보호층이 전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이형층에 보호층 및 이미지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이미지층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반사층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드혼합조성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이미지층을 구성하는 제1글라스비드와 제2글라스비드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의 반사층에 직물 원단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바인더층, 반사층 및 보호층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핀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핀홈을 형성하기 위한 핀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핀롤러에 의하여 전사지에 메트릭스 배열 형태로 핀홈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전사지에 형성된 바인더층을 직물 원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사지의 배면에 고열 및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단계에 의하여, 직물 원단에 반사층, 이미지층 및 보호층이 전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날염직물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날염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전사지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형층에 보호층 및 이미지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이미지층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반사층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드혼합조성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이미지층을 구성하는 제1글라스비드와 제2글라스비드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반사층에 직물 원단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7은 도 6의 바인더층, 반사층 및 보호층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핀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핀홈을 외주면에 다수의 핀이 형성된 핀롤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전사지에 형성된 바인더층을 직물 원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사지의 배면에 고열 및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단계에 의하여, 직물 원단에 반사층, 이미지층 및 보호층이 전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단계에 의하여 제작된 직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날염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프트 재질의 종이로 된 전사지(10)의 표면에 이형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를 수행한다.
단계(S1)에 있어 이형층(20)은, 이형조성물을 전사지(10)의 일측 표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이형조성물은, 실리콘계 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스테아린산, 왁스 및 용제가 혼합되어 구현되며, 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콘계 수지 40 ~ 60 중량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40 ∼ 50 중량부, 스테아린산 5 ∼ 10 중량부 및 왁스 5 ∼ 10 중량부 혼합한 후, 140 ~ 150℃ 로 반응시켜 액상화함으로써 완성된다.
단계(S1)에 있어서, 이형조성물이 상기 조성비를 벗어날 경우, 후술할 보호층(30)을 전사지(T)에서 깔끔하게 이형시키지 못하게 되어 보호층(30)의 표면이 거칠어지게 된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층(20)에 수지재질의 보호층(30)을 형성하는 단계(S2)를 수행한다.
보호층(30)은 후술할 이미지층(40) 및 반사층(5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우레탄 수지 180 내지 250 중량부, 가교제 3 내지 5 중량부, 방염제 32 중량부를 혼합하여 구현된다.
다음, 보호층(30)에 특정 색상을 가지는 염료를 스크린 방식으로 인쇄하여, 염료가 인쇄된 인쇄패턴(41) 및 염료가 인쇄되지 않은 구멍패턴(42)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층(40)을 형성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이때 구멍패턴(42)은 다양한 패턴으로 구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등의 패턴 형태를 가진다.
상기 단계(S3)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멍패턴(42)은 후술할 재귀 반사하는 반사층(50)을 노출시키고, 인쇄패턴(41)은 반사층(50)을 차폐하여 재귀 반사가 일어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염료 고유의 색상을 표현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패턴(41) 및 구멍패턴(42)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층(40)에 다수의 글라스비드(51)가 혼합된 비드혼합조성물(B)을 도포하여 반사층(50)을 형성하는 단계(S4)를 수행한다.
반사층(50)은, 광이 조사될 때, 조사 방향으로 광을 반사하는 재귀 반사(retro-reflection)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반사층(50)을 구현하기 위한 비드혼합조성물(B)은, 글라스비드, 바인더수지, 분산제, 소포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구현된다. 이때, 비드혼합조성물(B)은, 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글라스비드 1 ∼ 3 중량부, 바인더수지 20 ~ 40 중량부, 분산제 0.5 ~ 0.9 중량부, 소포제 0.3 ~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구현된다.
글라스비드는 구형 형태를 가지는 글라스 재질의 마이크로 구슬로서, 직경은 10~100 ㎛ 의 범위, 본 실시예에서는 50 ㎛ 의 크기의 직경을 가진다. 바인더수지는, 비닐계 수지, 특히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사용하며, 광의 투과성이 우수하도록 투명하다. 분산제(deflocculationg agent)는, 글라스비드가 바인더수지 내에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솔벤트, 이산화티타늄, 헥사메타인산 나트륨, SDBS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소포제는 바인더 수지 내에서 광을 차단하는 기포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디이소부틸케톤(Diisobutylketone), 이소부타놀(isobutanol), 탄화수소(hydrocabone), 폴리실록산(Polysiloxa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용제는 바인더수지가 글라스비드를 입체적으로 고착시킬 수 있도록 용해시키며, 자일렌(Xylene), 아이소뷰탄올(Isobutan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Acetate), 아세트산 뷰틸(Butyl Acet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비드혼합조성물(B)은 상기 조성비를 가지게 됨으로써, 단계(S4)에 의하여, 투명한 바인더수지에 의하여 글라스비드가 안정적으로 바인딩된 상태를 유지하고, 광이 조사될 때 조사 방향으로 광을 재귀 반사할 수 있는 반사층(50)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비드혼합조성물(B)이 상기 조성비를 벗어날 경우, 글라스비드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게 되고, 또한 글라스비드를 바인딩하는 바인더수지가 고르게 용해되지 않으며, 또한 광을 차단하는 기포가 발생되어 글라스비드가 충분한 재귀반사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게 한다.
상기 반사층(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롤러(R1)가 비드혼합조성물(B)을 가압한 상태에서 전사지(10)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구현한다. 이 경우, 원통형 롤러(R1)는 다수의 글라스비드(51)가 1 개층이 될 때까지 비드혼합조성물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지층(40) 상에 1 개층을 이루는 글라스비드(51) 두께만큼 반사층(5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즉, 원통형 롤러(R1)를 이용하여 비드혼합조성물(B)을 가압 펼침으로써, 재귀 반사를 가능하게 하면서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사층(50)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반사층(50)은 두께가 최소화됨으로써, 본 발명의 날염직물이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반사층(50)을 이루는 글라스비드(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제1직경(D1)의 제1글라스비드(51a)와 작은 제2직경(D2)의 제2글라스비드(51b)로 구성된다. 이때 제1글라스비드(51a)의 제1직경(D1)은 제2글라스비드(51b)의 제2직경(D2)에 비하여 1 ~ 1.6 배 범위의 크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반사층(50)을 구성하는 제1,2글라스비드(51a)(51b)는 현실적으로 크기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1 개층을 이룸과 동시에 최적의 재귀 반사를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제2글라스비드(51b)의 직경이 제1글라스비드(51a)의 직경보다 1.6 배 이상 작게 되면, 반사층(50)을 구성하는 바인더수지(52)의 상부면(52a)과 제2글라스비드(51b)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고, 이 경우 외부 광이 비스듬하게 조사될 때 바인더수지(52)에서 굴절이 발생됨과 동시에 투과 과정에서 광이 소실되어 제2글라스비드(51b)에서의 재귀반사 효과가 반감된다. 즉, 제2글라스비드(51b)에서의 재귀 반사 효과가 저하됨으로써, 반사층(50) 전체에서의 재귀 반사 기능이 낮아지는 것이다.
상기 방식으로 제조되는 반사층(50)은, 이미지층(40)의 구멍패턴(42)을 통하여 노출됨으로써 구멍패턴(42) 형태의 재귀반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인쇄패턴(41)에서는 그 인쇄패턴 고유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50)에 직물 원단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바인더층(60)을 형성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단계(S5)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인더층(60)은, 후술할 전사공정시 반사층(50)을 직물 원단(F)에 견고하게 고착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바인더층(60)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수지나 폴리염화비닐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층(60), 반사층(50) 및 이미지층(40)을 관통하여 보호층(30)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핀홈(70)을 형성하는 단계(S6)를 수행한다. 이러한 단계(S6)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핀홈(70)은, 직물 원단(F)에 최종적으로 염착되는 보호층(30), 이미지층(40) 및 반사층(50)에 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완성되는 날염직물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상기 단계(S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층(60)의 상부면에 다수의 핀(P)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원통형 핀롤러(R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구현된다. 회전되는 핀롤러(R2)의 핀(P)은 바인더층(60), 반사층(50), 이미지층(40)을 관통하여 보호층(30)까지 침투한 다수의 핀홈(70)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지에 형성되는 다수의 핀홈(70)은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층(60)을 원단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전사지(10)에 고열 및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층(40) 및 반사층(50)을 직물 원단(F)에 전사하는 단계(S7)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원단(F)에 반사층(50), 이미지층(40) 및 보호층(30)이 전사된다.
상기한 일련의 단계(S1)~(S11)에 의하여, 구멍패턴(42)은 반사층(50)이 노출되어 재귀반사가 이루어지게 하고, 인쇄패턴(41)은 반사층(50)을 차폐함과 동시에 염료 고유의 색상을 표시하는 직물 원단(F)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패턴으로 재귀반사를 유도하는 반사층(50)을 가짐으로써, 기존 직물과 대비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날염직물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날염직물로 제조된 의류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개성을 현저히 부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전사지 20 ... 이형층
30 ... 보호층 40 ... 이미지층
41 ... 인쇄패턴 42 ... 구멍패턴
50 ... 반사층 51 ... 글라스비드
51a ... 제1글라스비드 51b ... 제2글라스비드
52 ... 바인더수지 60 ... 바인더층
70 ... 핀홈
30 ... 보호층 40 ... 이미지층
41 ... 인쇄패턴 42 ... 구멍패턴
50 ... 반사층 51 ... 글라스비드
51a ... 제1글라스비드 51b ... 제2글라스비드
52 ... 바인더수지 60 ... 바인더층
70 ... 핀홈
Claims (7)
- 전사지(10)의 표면에 이형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이형층(20)에 수지재질의 보호층(30)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보호층(30)에 염료가 인쇄된 인쇄패턴(41) 및 염료가 인쇄되지 않은 구멍패턴(42)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층(40)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이미지층(40)에 다수의 글라스비드가 혼합된 비드혼합조성물을 도포하여 반사층(50)을 형성하는 단계(S4);
상기 반사층(50)에 직물 원단(F)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바인더층(60)을 형성하는 단계(S5); 및
상기 바인더층(60)을 직물 원단(F)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전사지(10)에 고열 및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층(40) 및 반사층(50)을 직물 원단(F)에 전사하는 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패턴(42)에 의해 상기 반사층(50)을 노출시켜 재귀반사를 일어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인쇄패턴(41)에 의해 상기 반사층(50)을 차폐시켜 재귀반사를 일어나지 않게 하고,
상기 비드혼합조성물(B)은 글라스비드, 바인더수지, 분산제, 소포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구현되되, 상기 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글라스비드 1 ∼ 3 중량부, 상기 바인더수지 20 ~ 40 중량부, 상기 분산제 0.5 ~ 0.9 중량부, 상기 소포제 0.3 ~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구현되고,
상기 글라스비드는 큰 제1직경(D1)의 제1글라스비드(51a)와 작은 제2직경(D2)의 제2글라스비드(51b)로 구성되고, 상기 제1글라스비드(51a)의 제1직경(D1)은 상기 제2글라스비드(51b)의 제2직경(D2)에 비하여 1 ~ 1.6 배 범위의 크기를 갖고,
상기 바인더층(60), 반사층(50) 및 이미지층(40)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층(30)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핀홈(70)을 형성하는 단계(S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S6)는, 상기 바인더층(60)의 상부면에 다수의 핀(P)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원통형 핀롤러(R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직물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50)은,
원통형 롤러(R1)가 상기 비드혼합조성물(B)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전사지(10)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직물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9136A KR102086971B1 (ko) | 2019-10-17 | 2019-10-17 | 날염직물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9136A KR102086971B1 (ko) | 2019-10-17 | 2019-10-17 | 날염직물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6971B1 true KR102086971B1 (ko) | 2020-03-09 |
Family
ID=6980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9136A KR102086971B1 (ko) | 2019-10-17 | 2019-10-17 | 날염직물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697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3638U (ja) * | 2002-10-25 | 2003-05-16 | 日本ダム株式会社 | 模様付きの再帰反射テープ |
KR20130120779A (ko) * | 2012-04-26 | 2013-11-05 | 한철대 | 오픈타입 비드 제조방식을 이용한 인쇄 반사 시트 |
KR20170029290A (ko) * | 2015-09-07 | 2017-03-15 | 주원테크 주식회사 | 신규한 배면 전사 인쇄용 조성물과 전사 전용지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패턴이 구현된 배면 전사 인쇄물의 제조방법 |
KR20170143322A (ko) * | 2016-06-21 | 2017-12-29 | 김혜진 | Pe원단 나염용 잉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e원단의 나염방법 |
-
2019
- 2019-10-17 KR KR1020190129136A patent/KR1020869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3638U (ja) * | 2002-10-25 | 2003-05-16 | 日本ダム株式会社 | 模様付きの再帰反射テープ |
KR20130120779A (ko) * | 2012-04-26 | 2013-11-05 | 한철대 | 오픈타입 비드 제조방식을 이용한 인쇄 반사 시트 |
KR20170029290A (ko) * | 2015-09-07 | 2017-03-15 | 주원테크 주식회사 | 신규한 배면 전사 인쇄용 조성물과 전사 전용지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패턴이 구현된 배면 전사 인쇄물의 제조방법 |
KR20170143322A (ko) * | 2016-06-21 | 2017-12-29 | 김혜진 | Pe원단 나염용 잉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e원단의 나염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4193107A1 (ko) | 직물 또는 피혁 제품의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인쇄된 인쇄물 | |
EP0581614B1 (en) | Transfer printing of flocked fabric | |
US4153412A (en) | Process for printing reflective sheet material | |
CN110709557B (zh) | 升华印刷 | |
JP2003280049A (ja) | 機能性ファイバーおよび機能性ファイバーを用いた織編物 | |
KR102086971B1 (ko) | 날염직물 제조방법 | |
JPH06258604A (ja) | 絵付コンタクト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 |
KR840006033A (ko) | 불투명한 안료의 날염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날염된 직물 | |
JPH0268372A (ja) | 染色方法 | |
KR102210801B1 (ko) | 재박리 가능한 디지털 프린팅 트리코트 시트의 제조 방법 | |
JPH0978473A (ja) | 布地の印刷染色方法 | |
KR101515322B1 (ko) | 기능성 원단 날염 방법 | |
CN107780262A (zh) | 一种印花方法 | |
KR930006936B1 (ko) | 변색성포지의 제조방법 | |
KR101768023B1 (ko) | 컬러 엠보 원단의 제조방법 | |
JP2003013374A (ja) | デジタル捺染方法 | |
CN103057258A (zh) | 一种印花平面调整装置 | |
EP0581537A1 (en) | Pearlescent flocked fabric | |
KR100412427B1 (ko) | 나염처리방법 | |
TWI615529B (zh) | 多色透明植絨織物及其製造方法 | |
US20200277717A1 (en) | Method of producing a processed material | |
KR20120057926A (ko) |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 | |
KR20170081833A (ko) | 흡수성 및 염색성이 향상된 기능성 타월 및 그 제조 방법 | |
JPH05287686A (ja) | 立体模様転写シート | |
JPH11124780A (ja) | 立体模様を有する起毛製品及びその製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