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527B1 - 배관 구조물 - Google Patents

배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527B1
KR102086527B1 KR1020190172555A KR20190172555A KR102086527B1 KR 102086527 B1 KR102086527 B1 KR 102086527B1 KR 1020190172555 A KR1020190172555 A KR 1020190172555A KR 20190172555 A KR20190172555 A KR 20190172555A KR 102086527 B1 KR102086527 B1 KR 102086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ipe
driving
main body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화수
Original Assignee
하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화수 filed Critical 하화수
Priority to KR102019017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16L3/22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each pipe being supported by a separate element fastened to the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구조물로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배관(10); 상기 제1 배관과 이웃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배관(20); 상기 제1 배관과 이웃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배관(30); 및 상기 제1 배관(10) 내지 상기 제3 배관(3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 방지수단(35)을 포함하는 배관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배관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낙하, 파손 등의 부정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 구조물{PIPING STRUCTURE}
본 발명은 배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배관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낙하, 파손 등의 부정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용도로 건물 상에 구비되는 배관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온 기술이다. 이러한 배관들은 다수로 구비되어 일정한 하중을 가지고 있어 낙하와 떨림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적으로는 클램핑 수단을 통하여 천장에 결속시키는 기술들은 다수 존재하지만 근복적으로 그 결속력을 강화하고 낙하와 떨림 등을 확정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기술은 여전히 부재하거나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배관 구조물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5183호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배관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낙하, 파손 등의 부정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 구조물로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배관(10); 상기 제1 배관과 이웃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배관(20); 상기 제1 배관과 이웃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배관(30); 및 상기 제1 배관(10) 내지 상기 제3 배관(3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 방지수단(35)을 포함하는 배관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배관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낙하, 파손 등의 부정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배관 구조물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배관 구조물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배관 구조물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배관(10); 상기 제1 배관과 이웃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배관(20); 상기 제1 배관과 이웃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배관(30); 및 상기 제1 배관(10) 내지 상기 제3 배관(3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 방지수단(3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배관(10) 내지 상기 제3 배관(30)이 거치되는 거치부(40)와, 상기 거치부(40)를 거치하여 천장부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모듈(41)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모듈(41)은, 통하여 천장과 연결되는 베이스판(60)과, 상기 베이스판(60)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40)가 안착되는 안착체(4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60)과 천장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기둥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둥부(50)는, 상기 천장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기둥구동부(51)와, 상기 베이스판(6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기둥구동부(52)와,상기 제1 기둥구동부(51)와 상기 제2 기둥구동부(52) 사이에 구비되는 다각의 바 형상체인 지지체(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둥구동부(51)는 천장에서 일정범위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기둥구동부(52)는 천장에서 상기 제1 기둥구동부(51)에 대응하여 일정범위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거치부(40)는 양단부에 각각 상방과 하방간에 함입홈(SH)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53)는, 상기 제1 기둥구동부(51) 및 상기 제2 기둥구동부(52)의 위치 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함입홈(SH)들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함입홈(SH)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기둥구동부(51)와 상기 제2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기반으로 둘레방향 회전하여 상기 거치부(40)에 대한 고정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배관 구조물은, 상기 결속모듈(41)의 상기 베이스판(60)의 하부를 받쳐 고정시키기 위한 보강받침모듈(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받침모듈(70)은 본체(71)와, 상기 본체(71)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판(60)의 제1 장착홈(LH1)에 삽입되는 제1 장착모듈(6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홈(LH1)은, 제1-1 장착공간부(LH11)와, 상기 제1-1 장착공간부(LH11)의 상방으로 단차지며 확관되는 제1-2 장착공간부(LH12)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장착모듈(61)은, 제1 연결부재(611)와, 상기 제1 연결부재(61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 구동체(612)와, 상기 제1 구동체(612)로부터 양측으로 유동되는 제1 걸림체(6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체(612)는, 상기 제1-1 장착공간부(LH11)를 경유하여 상기 제1-2 장착공간부(LH12)에 도달한 후, 상기 제1 걸림체(613)를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동시켜 상기 제1-2 장착공간부(LH12)상의 내주면 하부의 제1 걸림턱부(P1)에 안착된다.
상기 제1 걸림체(613)는 상기 제1 걸림턱부(P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체(612)상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2 장착공간부(LH12)상의 내벽 적어도 일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1 동작상태로 동작된다.
상기 제1 연결부재(611)는, 상기 제1 동작상태 이후 상기 본체(71)로 후퇴 유동되어, 상기 베이스판(60)과 상기 본체(71) 사이의 결속력을 부여한다.
상기 보강받침모듈(70)은, 상기 본체(7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체(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용체(80)는, 상기 본체(71) 하부에 접하는 하부몸체부(81)와, 상기 하부몸체부(81) 일측에서 수평방향과 상직방향 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의 일측에 접하는 제1 회동몸체부(81)와, 상기 하부몸체부(81) 타측에서 수평방향과 상직방향 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의 타측에 접하는 제2 회동몸체부(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동몸체부(81)는 높이 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에 기형성된 제1 측면장착홈(SH1)으로 제1 측면돌출체(822)를 돌출시켜 삽입되도록 하는 제1 측면구동체(821)와, 높이 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에 기형성된 제2 측면장착홈(SH2)으로 제2 측면돌출체(824)를 돌출시켜 삽입되도록 하는 제2 측면구동체(82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회동몸체부(82)는 높이 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에 기형성된 제3 측면장착홈(SH3)으로 제3 측면돌출체(832)를 돌출시켜 삽입되도록 하는 제3 측면구동체(831)와, 높이 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에 기형성된 제4 측면장착홈(SH4)으로 제4 측면돌출체(834)를 돌출시켜 삽입되도록 하는 제4 측면구동체(83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회동몸체부(81)와 상기 베이스판(60)사이에는 제1 단차공간부(RP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회동몸체부(82)와 상기 베이스판(60)사이에는 제2 단차공간부(RP2)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60)은, 하부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유동 가능한 제1 하부구동부(62)와, 상기 제1 하부구동부(62)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단차공간부(RP1)로 진입하여 상기 본체(71)를 가압하도록 하기 위한 제1 하부삽입체(63)와, 하부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유동 가능한 제2 하부구동부(64)와, 상기 제2 하부구동부(64)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단차공간부(RP2)로 진입하여 상기 본체(71)를 가압하도록 하기 위한 제2 하부삽입체(65)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판(60)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의 다수로 구비되는 제2 장착홈(LH2)에 삽입되는 다수의 제2 장착모듈(7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홈(LH2)은, 제2-1 장착공간부(LH21)와, 상기 제2-1 장착공간부(LH21)의 상방으로 단차지며 확관되는 제2-2 장착공간부(LH22)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장착모듈(72)은,제2 연결부재(721)와, 상기 제2 연결부재(721)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2 구동체(722)와, 상기 제2 구동체(722)로부터 양측으로 유동되는 제2 걸림체(7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구동체(722)는, 상기 제2-1 장착공간부(LH21)를 경유하여 상기 제2-2 장착공간부(LH22)에 도달한 후, 상기 제2 걸림체(723)를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동시켜 상기 제2-2 장착공간부(LH22)상의 내주면 하부의 제2 걸림턱부(P2)에 안착된다.
상기 제2 걸림체(723)는 상기 제2 걸림턱부(P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체(722)상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2 장착공간부(LH22)상의 내벽 적어도 일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2 동작상태로 동작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721)는, 상기 제2 동작상태 이후 상기 본체(71)로 후퇴 유동되어, 상기 베이스판(60)과 상기 본체(71) 사이의 결속력을 부여한다.
상기 배관 구조물은, 상기 제1 회동몸체부(81)와 상기 제2 회동몸체부(83)의 외주면 상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결박체 구동부(95)와, 상기 수평격발체 구동부(95)의 좌우측에 각각 연동되며, 상기 제1 회동몸체부(81)와 상기 본체(71)와 상기 제2 회동몸체부(83)의 외주면 둘레부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 가압하도록 장착되는 수평결박체(91)와, 상기 수평결박체(91)의 전면부와 후면부상 각각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판(60)의 상부를 하부로 누르도록 동작되는 제1 수직결박체(92)와,
상기 수평결박체(91)의 전면부와 후면부상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부(81)의 하부를 상부로 누르도록 동작되는 제2 수직결박체(93)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결박체(91)는 상기 수평결박체 구동부(95)에서 내측과 외측간에 전후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1 배관
20 : 제2 배관
30 : 제3 배관
40 : 거치부
50 : 연결기둥부

Claims (2)

  1. 배관 구조물로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배관(10);
    상기 제1 배관과 이웃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배관(20);
    상기 제1 배관과 이웃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배관(30); 및
    상기 제1 배관(10) 내지 상기 제3 배관(3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 방지수단(3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10) 내지 상기 제3 배관(30)이 거치되는 거치부(40)와,
    상기 거치부(40)를 거치하여 천장부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모듈(41)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모듈(41)은,
    통하여 천장과 연결되는 베이스판(60)과,
    상기 베이스판(60)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40)가 안착되는 안착체(45)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60)과 천장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기둥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둥부(50)는,
    상기 천장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기둥구동부(51)와,
    상기 베이스판(6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기둥구동부(52)와,
    상기 제1 기둥구동부(51)와 상기 제2 기둥구동부(52) 사이에 구비되는 다각의 바 형상체인 지지체(5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둥구동부(51)는 천장에서 일정범위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기둥구동부(52)는 천장에서 상기 제1 기둥구동부(51)에 대응하여 일정범위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40)는 양단부에 각각 상방과 하방간에 함입홈(SH)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53)는,
    상기 제1 기둥구동부(51) 및 상기 제2 기둥구동부(52)의 위치 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함입홈(SH)들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함입홈(SH)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기둥구동부(51)와 상기 제2 기둥구동부(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기반으로 둘레방향 회전하여 상기 거치부(40)에 대한 고정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배관 구조물은,
    상기 결속모듈(41)의 상기 베이스판(60)의 하부를 받쳐 고정시키기 위한 보강받침모듈(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받침모듈(70)은
    본체(71)와,
    상기 본체(71)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판(60)의 제1 장착홈(LH1)에 삽입되는 제1 장착모듈(6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홈(LH1)은,
    제1-1 장착공간부(LH11)와, 상기 제1-1 장착공간부(LH11)의 상방으로 단차지며 확관되는 제1-2 장착공간부(LH12)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장착모듈(61)은,
    제1 연결부재(611)와, 상기 제1 연결부재(61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 구동체(612)와, 상기 제1 구동체(612)로부터 양측으로 유동되는 제1 걸림체(6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체(612)는,
    상기 제1-1 장착공간부(LH11)를 경유하여 상기 제1-2 장착공간부(LH12)에 도달한 후, 상기 제1 걸림체(613)를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동시켜 상기 제1-2 장착공간부(LH12)상의 내주면 하부의 제1 걸림턱부(P1)에 안착되며,
    상기 제1 걸림체(613)는 상기 제1 걸림턱부(P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체(612)상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2 장착공간부(LH12)상의 내벽 적어도 일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1 동작상태로 동작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611)는,
    상기 제1 동작상태 이후 상기 본체(71)로 후퇴 유동되어, 상기 베이스판(60)과 상기 본체(71) 사이의 결속력을 부여하며,
    상기 보강받침모듈(70)은,
    상기 본체(7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체(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체(80)는,
    상기 본체(71) 하부에 접하는 하부몸체부(81)와,
    상기 하부몸체부(81) 일측에서 수평방향과 상직방향 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의 일측에 접하는 제1 회동몸체부(81)와,
    상기 하부몸체부(81) 타측에서 수평방향과 상직방향 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의 타측에 접하는 제2 회동몸체부(8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몸체부(81)는
    높이 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에 기형성된 제1 측면장착홈(SH1)으로 제1 측면돌출체(822)를 돌출시켜 삽입되도록 하는 제1 측면구동체(821)와,
    높이 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에 기형성된 제2 측면장착홈(SH2)으로 제2 측면돌출체(824)를 돌출시켜 삽입되도록 하는 제2 측면구동체(8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회동몸체부(82)는
    높이 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에 기형성된 제3 측면장착홈(SH3)으로 제3 측면돌출체(832)를 돌출시켜 삽입되도록 하는 제3 측면구동체(831)와,
    높이 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71)에 기형성된 제4 측면장착홈(SH4)으로 제4 측면돌출체(834)를 돌출시켜 삽입되도록 하는 제4 측면구동체(833)가 구비되는 배관 구조물.
  2. 삭제
KR1020190172555A 2019-12-21 2019-12-21 배관 구조물 KR10208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555A KR102086527B1 (ko) 2019-12-21 2019-12-21 배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555A KR102086527B1 (ko) 2019-12-21 2019-12-21 배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527B1 true KR102086527B1 (ko) 2020-03-09

Family

ID=6980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555A KR102086527B1 (ko) 2019-12-21 2019-12-21 배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5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26B1 (ko) * 2007-05-02 2008-02-27 주식회사 한일정공 천장형 배관 가대
KR101515183B1 (ko) 2013-10-11 2015-04-24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배관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26B1 (ko) * 2007-05-02 2008-02-27 주식회사 한일정공 천장형 배관 가대
KR101515183B1 (ko) 2013-10-11 2015-04-24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배관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1660B (zh) 夹持机构
JP5948288B2 (ja) 太陽電池パネル体
CN104779532A (zh) 用于开关柜机架的支架型材以及该支架型材的紧固夹
JP5365937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装置
KR102086527B1 (ko) 배관 구조물
CN102338138A (zh) 可调式固定装置
KR100710835B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JPWO2014010026A1 (ja) 太陽電池パネル用架台
KR200459446Y1 (ko) 개량 배관지지가대
CN105346946A (zh) 一种输送装置
CN105366292A (zh) 一种振动输送机
KR20180001748A (ko) 다단구조를 포함하는 용접지그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KR101770393B1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JP2023006179A (ja) ソーラーパネル撓み防止用支持具
JP6279952B2 (ja) 柵ビームの支柱取付金具
JP3192543U (ja) 外装ルーバーの取付構造及び取付金具
JP2013159971A (ja) ソーラーパネルの取付金具
JP4556216B2 (ja) 太陽電池アレイ用モジュール装着装置
JP4410810B2 (ja) フェイスガラスの支持構造
KR101665056B1 (ko) 고각도용 안테나 체결 장치
CN218326554U (zh) 一种石油管道安装的可调支架
KR200452177Y1 (ko)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EP2091120A1 (en) Suspension structure anchorable to a ceiling for support brackets of cable duct systems
JP3228582U (ja) 太陽電池パネル用架台、太陽電池パネル把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