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459B1 -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459B1
KR102086459B1 KR1020180078978A KR20180078978A KR102086459B1 KR 102086459 B1 KR102086459 B1 KR 102086459B1 KR 1020180078978 A KR1020180078978 A KR 1020180078978A KR 20180078978 A KR20180078978 A KR 20180078978A KR 102086459 B1 KR102086459 B1 KR 102086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unit
project
spe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350A (ko
Inventor
최창구
Original Assignee
최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구 filed Critical 최창구
Priority to KR102018007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빌라 등 주택을 건축할 때 기획, 설계, 자재, 견적, 영업, 시공 등 각 분야별 업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협업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를 생성 및 연결하고 소통(matching)하여 전체적인 프로젝트 총액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은,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모델 등급에 대응된 비용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적용할 지역 수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적용할 평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지역 수준과 상기 선택된 평형에 매칭된 모델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모델 등급에 매칭된 비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 프로젝트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협업할 수 있으며, 협업을 통해 서로 소통하여 전체적인 프로젝트 총액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ing collaboration type architecture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라 등 주택을 건축할 때 기획, 설계, 자재, 견적, 영업, 시공 등 각 분야별 업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협업이 되도록 함으로써, 건축 관련 데이터의 생성과 연결 및 소통(matching)을 통해 전체적인 프로젝트 총액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관련 프로젝트는 참여자들 간의 원활한 협업을 유도하여 최적화 된 성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정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 관련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시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건축 관련 프로젝트는 영업 단계와 설계 단계, 견적 단계, 공사 단계 등이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하나의 단계가 마무리되어야 다음 단계가 진행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전체 공정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하나의 단계에 오류가 발생하면 다른 단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해당 오류를 해결하고 다시 진행해야 함에 따라 전체 공정이 지연되고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계 업무가 프로젝트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설계 프로세스의 요소별 관리의 중요성이 간과되었다. 왜냐면 설계업무는 지적 창작활동으로서 설계 프로세스 자체가 관리의 대상이라는 개념이 성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서는 설계 프로세스를 관리하면, 시간과 비용 및 투입인력 감소 효과를 창출할 수 있고, 나아가 발주자를 포함한 프로젝트 참여주체의 대다수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이 정립되고 있다.
한편, 건축설계 관리는 제한된 프로젝트 예산과 시간의 범위 내에서 최고 품질의 성과물을 만들어내는 한 과정이라는 개념으로 정립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 안에서는 엔지니어링 부문과 같이 특정 해당 업무에만 국한되어 설계 프로세스에 개입하는 업무주체에게 설계업무 전후로 생성되는 정보 및 의사결정 사항이 용이하게 전달되지 못해 건축설계 부문과의 협업이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1599호(공개일자 : 2018년03월05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나 빌라 등 주택을 건축할 때 기획, 설계, 자재, 견적, 영업, 시공 등 각 분야별 업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협업이 되도록 함으로써, 건축 관련 데이터의 생성과 연결 및 소통(matching)을 통해 전체적인 프로젝트 총액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은,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 모델 등급 및 모델 등급에 대응된 비용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입력부에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이 적용되는 지역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부에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이 적용되는 평형 수준을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입력된 지역의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에 매칭되는 모델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설정된 모델 등급에 대응된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델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는, 입력된 평형 수준과 지역 수준 및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데이터에 근거해 건축용도 정보와 사업지역 정보, 사업개요 정보 및 평형 정보가 포함되는 프로젝트 카드(Project Card)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프로젝트 카드에 근거해 단위평면 면적표와 각 실 정보, 통계 자료, 사업지명이 포함되는 유닛 카드(Unit Card)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유닛 카드에 근거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SPEC CARD)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에 대해, 영역에 따라 세대 내부와 세대 외부 및 특화 세대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 내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세대 내부의 영역에 대해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세대 외부의 영역에 대해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특화 세대의 영역에 대해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세대 내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에 해당하는 아이템(Item)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세대 외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특화 세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설정된 모델 등급에 대응된 가격을 단가로 결정하고, 프로젝트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를 연결하여, 스펙 카드 별로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스펙카드 별로 비용을 각각 산출한 후 각 스펙 카드의 비용들을 모두 합산하여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획 단말기, 설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설계 단말기, 자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재 단말기, 견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견적 단말기, 영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업 단말기 및 건축시공 데이터를 제공하는 건축 단말기와 각각 연동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기획 데이터에 근거해 건축용도 정보와 사업지역 정보, 사업개요 정보 및 평형 정보가 포함되는 프로젝트 카드(Project Card)를 생성하는 프로젝트 카드 생성부; 생성된 프로젝트 카드에 근거해 단위평면 면적표와 각 실 정보, 통계 자료, 사업지명이 포함되는 유닛 카드(Unit Card)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하는 유닛 카드 생성부; 생성된 유닛 카드에 근거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SPEC CARD)를 생성하는 스펙 카드 생성부; 및 프로젝트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를 연결하고,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는, 영역에 따라 세대 내부와 세대 외부 및 특화 세대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 내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는, 세대 내부의 영역에 대해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는, 세대 외부의 영역에 대해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는, 특화 세대의 영역에 대해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는, 세대 내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Item)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는, 세대 외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는, 특화 세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모델 등급에 따른 가격 정보를 기준으로 스펙 카드에 근거해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에 매칭되어 있는 모델 등급을 설정하고, 설정된 모델 등급에 매칭되어 있는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스펙 카드에 포함된 아이템(Item) 별 정의 및 분류된 데이터와 수준별 단가 데이터, 유닛 카드에 포함된 1 개당 유닛 정보와 스펙별 수량, 프로젝트 카드에 포함된 사업지 기본정보와 사업지역 수준에 따라 단가와 수량을 곱하여 합산하고, 합산된 결과에 세대수를 곱하여 다시 합산하되, 공간과 공정별 유닛 마감비용과 테마별 단지 특화비용을 합산하여 프로젝트 스펙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스펙 카드에 근거해 각 평형 별로 마감 수준과 1세대 비용 및 분양 평단가, 평형별 세대수를 이용해 각 평형 별 세대수 합을 산출하고, 여기에 특화세대 증가비와 외부특화 합을 이용해 단지 총계를 산출하며,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특화 항목 비용들을 합산하고 세대내부 합계와 세대외부 합계 및 특화 총계를 이용해 스펙 카드의 공정별 및 영역별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유닛 카드에 근거해,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유닛 공간별 항목에 따른 비용들을 합산하고,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유닛 공정별 항목에 따른 비용들을 합산하며,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유닛 예산별 항목에 따른 비용들을 합산하여, 각 유닛 카드별 총액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스펙 카드 생성부는, 유닛 카드에 따라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창호와 도장, 타일, 도배, 가구, 가전, 수전, 위생, 조명을 포함하는 아이템으로 분류하고, 각 아이템 내에서 하나 이상의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유닛 카드에 따라 설계 데이터에서 특정 제1 공간의 크기를 줄여 인접하는 다른 제2 공간의 크기를 넓히고, 제3 공간의 위치를 이동하는 설계 변경이 입력된 경우에, 아이템 별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변경된 각각의 공간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는 각 아이템 별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각 아이템 별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스펙 카드를 상기 유닛 카드에 연결하고, 변경된 하나 이상의 스펙 카드에 근거해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은,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획 단말기, 설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설계 단말기, 자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재 단말기, 견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견적 단말기, 영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업 단말기 및 시공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공 단말기와 각각 연동하는 시스템의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프로젝트 카드 생성부가 기획 데이터에 근거해 건축용도 정보와 사업지역 정보, 사업개요 정보 및 평형 정보가 포함되는 프로젝트 카드(Project Card)를 생성하는 단계; 유닛 카드 생성부가 생성된 프로젝트 카드에 근거해 단위평면 면적표와 각 실 정보, 통계 자료, 사업지명이 포함되는 유닛 카드(Unit Card)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하는 단계; 스펙 카드 생성부가 생성된 유닛 카드에 근거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Spec Car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프로젝트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를 연결하고,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에 대한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 프로젝트에 있어서 기획, 설계, 자재, 견적, 영업, 시공 등 각 분야별 업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동 시간대에 협업할 수 있다.
또한, 설계와 자재, 견적, 영업, 시공에 관한 각 장치들이 협업을 통해 다수의 데이터를 생성 및 연결하고 각 장치 간에 서로 소통하여 전체적인 프로젝트 총액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스펙 카드에 따라 사업 지역을 적용하고, 조절하며, 대안을 제시하고, 관리 및 분석을 통해 주거 상품의 마감 및 특화 수준을 분류하여 표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및 특화 아이템 위주의 스펙 카드와 유닛 카드를 이용해 미래 주거시장 공략 기반으로 고객이 직접 선택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품종 상품의 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펙 카드와 유닛 카드 및 프로젝트 카드를 이용해 실시간 전체 공사비를 예측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건축 사업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리모델링 시장(시스템 욕실 포함)고 부가 주거상품(소품, 서비스 등)의 사업화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전체 공사비의 예측이 가능하고, 실시간 사업성 분석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상황 변화에 대응한 신속한 시뮬레이션으로 주택의 수주 및 상품 구성시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 관련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시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에 해당하는 예와 그에 대한 관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에 대한 지역과 평형을 입력받아 등급 및 가격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관리 카드를 생성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카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닛 카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펙 카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펙 카드 내에서 영역과 공간 및 분야에 따라 아이템 총 개수를 분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펙 카드와 유닛 카드 및 프로젝트 카드의 정보들을 연결하여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내부의 스펙 아이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펙 카드의 원본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프로젝트 총액을 산출하기 위해 프로젝트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를 연결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닛카드에 근거해 설계 데이터로부터 단위세대 평면도를 가져와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도에서 하나의 아이템 중심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도에서 폴리라인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전용면적이 초과되는 오류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도에서 실명과 치수를 기입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도에서 제1 공간을 줄이고 제2 공간을 넓히며 제3 공간의 위치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별 분석 및 영역별 총액을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닛 공간별, 공정별, 예산별 총액을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BIM 및 단지배치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이 일반적인 부동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평면 이미지만으로 다양한 옵션의 리모델링 공사비를 자동으로 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설계 단말기(110), 견적 단말기(120), 공사 단말기(130), 자재 단말기(140), 영업 단말기(150)와 각각 연동하는 통합 관리 서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a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획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획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계 단말기(110)는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설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계 단말기(110)는 캐드(CAD)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단말기일 수 있다.
견적 단말기(120)는 건축의 재료나 자재 등의 단가에 관한 견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견적 단말기(120)는 엑셀(EXCEL)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단말기일 수 있다.
공사 단말기(130)는 건축 프로젝트에 관한 시공 데이터 또는 공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사 단말기(130)는 시공이나 공사에 관련된 자세한 일정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단말기일 수 있다.
자재 단말기(140)는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자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 단말기(140)는 건축 자재나 재료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단말기일 수 있다.
영업 단말기(150)는 주택이나 빌라 등을 분양하기 위한 영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업 단말기(150)는 분양 일정이나 홍보 자료 등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단말기일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60)는 건축 프로젝트에 이용되는 각 단말기들과 각각 연동하여,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이 적용되는 지역과 평형 수준을 입력받고, 이에 매칭되는 등급을 설정한 후 등급에 대응된 가격(단가)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프로젝트에 이용되는 골조나 창호, 벽지, 가구 등의 자재나, 거실이나 주방, 식당, 안방, 침실, 욕실 등의 공간이나 각 실이 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에 해당하는 예와 그에 대한 관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에서, 자재와 공간(실) 등은 실명이 포함된 스펙(SPEC)으로 관리하고, 24평이나 33평, 판상형, 탑상형 등은 마감 물량이 있는 유닛(Unit)으로 관리하며, 단지규모와 주차, 커뮤니티, 조경 등은 중요한 단지정보가 포함된 프로젝트(Project)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은 각 공간에 설치되는 문, 창문, 가구, 타일, 창호, 도장, 도배, 가전, 수전, 조명, 엘리베이터 등이 될 수 있고, 발코니 공간, 세대공통 공간, 단지공통 공간, 각 세대 공간, 부대 공간, 복리시설 공간, 옥외 공간, 주차장 공간, 그리고 수전이나 배전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160)는 설계 단말기(110), 견적 단말기(120), 공사 단말기(130), 자재 단말기(140), 영업 단말기(150)와 각각 연동하여 협업함으로써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에 대해 스펙과 유닛 및 프로젝트 관리를 통해 전체적인 프로젝트 총 비용을 빠른 시간 내에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160)는, 데이터베이스(310), 입력부(320), 제어부(330), 저장부(340) 및 표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10)는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 모델 등급 및 모델 등급에 대응된 비용(가격)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330)는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하거나 매칭하거나 저장하는 등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받은 데이터 또는 제어부(33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350)는 처리 결과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통합 관리 서버(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을 다음과 같이 실행할 수 있다.
먼저, 입력부(320)에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이 적용되는 지역을 입력받을 수 있다(S410).
이어, 입력부(320)에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이 적용되는 평형 수준을 입력받을 수 있다(S420).
이어, 제어부(330)가 입력된 지역의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에 매칭되는 모델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S430).
즉, 제어부(330)는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되어 있는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 모델 등급 및 모델 등급에 대응된 비용(가격) 정보에 근거해 지역과 평형에 매칭되는 모델 등급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어, 제어부(330)가 설정된 모델 등급에 대응된 가격(단가)을 결정할 수 있다(S440).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이 침실 도어록이고, 사용자로부터 지역으로 "아산 ΟΟ"라는 기타 지방(C4)을 입력받고, 평형으로 "34평"대(R5)를 입력받으면, 통합 관리 서버(160)는 두 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B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에 대한 지역과 평형을 입력받아 등급 및 가격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통합 관리 서버(160)는 아산 ΟΟ 아파트의 34평형대 침실도어록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등급에 해당하는 15,000원으로 가격(단가)을 결정해 모든 세대에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과정에서, 모델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S4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카드(Project Card)를 생성하는 단계(S610)와, 유닛 카드(Unit Card)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하는 단계(S620) 및 각각의 스펙 카드(SPEC CARD)를 생성하는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관리 카드를 생성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프로젝트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S610)는, 제어부(330)가 입력받은 평형 수준과 지역 수준 및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데이터에 근거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도 정보와 사업지역 정보, 사업개요 정보 및 평형 정보가 포함되는 프로젝트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카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로젝트 카드는 각 단지 별로 생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번호와 사업지명, Revision, 용도구분, 사업구분, 분양월, 지역, 지역수준을 포함하고, 여기에 사업개요와 평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사업개요는 대지면적, 아파트(본동, 지하주차장, 기타 부속동), 상가, 전체연면적, 용적률, 난방형식, 세대수, 본동수, 평균점수, 평균평점, 주차대수(지상/지하), 세대당 대수, 단지레벨차, 특이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평형정보는 분양면적, 평형 Type, 세대수, 비율, 천장고, 바닥수, 외계단수, Filoty수, 1층 특화수, 다락방수, 복층 특화수, 동현관 내부, 동현관 외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유닛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S6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프로젝트 카드에 근거해 제어부(33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평면 면적표와 각 실 정보, 통계 자료, 사업지명이 포함되는 유닛 카드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할 수 있다. 각 평형이 25평형, 34평형, 40평형, 46평형 이렇게 4 개의 평형이라고 하면, 각 평형 별로 유닛 카드를 생성하므로 모두 4 개의 유닛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닛 카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유닛 카드는 코드(CODE), 전용, 주동 유형, 코어형식, 일련번호, 개정번호, 사용빈도, 전면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평면 면적표는 주거전용면적, 주거공용면적, 중심선면적, 외벽면적, 계단실면적, 전실복도면적, 서비스초과, 단위용적면적, 서비스면적, 초고층추가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계자료는 베이(Bay)수, 침실수, 욕실수를 포함하고, 각 실 정보는 공용/가사 공간으로 거실, 주방/식당을 포함하고, 침실 공간은 안방, 침실1, 침실2를 포함하며, 욕실 공간은 공용욕실과 부부욕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S630)는, 생성된 유닛 카드에 근거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펙 카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스펙 카드는 설계, 견적, 시공 데이터를 기준으로 정의, 범위, 기준, 조건에 관한 정보와, 상품기획과 수주, 마케팅을 위한 30등급 분포 정보, 그리고 자재 및 견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스펙 카드는 구분 항목에 세대내부, 대분류 항목에 창호, 중분류 항목에 철재창호, 아이템명 항목에 세대현관문, 단가수 항목에 3개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S630)는,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에 대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에 따라 세대 내부와 세대 외부 및 특화 세대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 내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펙 카드 내에서 영역과 공간 및 분야에 따라 아이템 총 개수를 분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 세대 내부의 영역에서 각 공간은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0에서, 세대 외부의 영역에서 각 공간은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0에서, 특화 세대의 영역은 각 공간에 대해 1층세대 공간, 최상층세대 공간, 측세대 공간,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S630)는, 세대 내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각 공간, 즉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에 해당하는 아이템(Item)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세대내부의 거실에 대해서는 건축이 11개, 전기가 6개로 총 17개의 아이템이므로 17개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고, 주방은 건축이 26개, 설비가 5개, 전기가 3개로 총 34개의 아이템이므로 34개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현관은 건축이 13개, 전기가 2개로 총 15개의 아이템이므로 15개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세대내부 공간은 건축 분야에 127개의 스펙카드와 설비 분야에 38개의 스펙카드, 전기 분야에 29개의 스펙카드, 조경 분야에 1개의 스펙카드, 미정 분야에 37개의 스펙카드, 총 232개의 스펙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S630)는, 세대 외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각 공간, 즉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세대 외부의 단지공통에 대해서는 건축에 1개의 스펙카드, 설비에 1개의 스펙카드, 전기에 5개의 스펙카드를 생성할 수 있고, 부대 및 복리시설에 대해서는 건축에 7개의 스펙카드, 전기에 1개의 스펙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세대 외부는 각 공간 별로 71개의 아이템이 적용되므로 총 71개의 스펙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S630)는, 특화 세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각 공간, 즉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특화 세대의 1층 세대에 대해서 건축에 3개의 스펙카드, 최상층 세대에 대해 건축에 3개의 스펙카드, 측세대의 건축에 1개의 스펙카드, 예비로 4개의 스펙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특화세대는 모두 11개의 아이템이므로, 총 11개의 스펙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S440)는, 제어부(330)가 설정된 모델 등급에 대응된 가격을 단가로 결정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를 연결하여, 스펙카드 별로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스펙카드 별로 비용을 각각 산출한 후 각 스펙 카드의 비용들을 모두 합산하여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펙 카드와 유닛 카드 및 프로젝트 카드의 정보들을 연결하여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스펙카드와 유닛 카드 및 프로젝트 카드를 생성한 제어부(330)는 도 10에 도시된 세대 내부 232개의 스펙카드와 특화세대 11개의 스펙카드 및 세대외부 71개의 스펙카드를 합한 총 314개의 스펙카드에 대해 각 스펙카드의 비용들을 산출한 후 총 314개의 스펙카드들의 비용들을 합산하여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1200)은, 프로젝트 카드 생성부(1210), 유닛 카드 생성부(1220), 스펙 카드 생성부(1230) 및 제어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입력부와 저장부 및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트 카드 생성부(1210)는 기획 데이터에 근거해 건축용도 정보와 사업지역 정보, 사업개요 정보 및 평형 정보가 포함되는 프로젝트 카드(Project Card)를 생성할 수 있다.
유닛 카드 생성부(1220)는 생성된 프로젝트 카드에 근거해 단위평면 면적표와 각 실 정보, 통계 자료, 사업지명이 포함되는 유닛 카드(Unit Card)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할 수 있다.
스펙 카드 생성부(1230)는 생성된 유닛 카드에 근거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SPEC CARD)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40)는 프로젝트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를 연결하고,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2에서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1200)은, 설계 단말기(110)와 견적 단말기(120), 공사 단말기(130), 자재 단말기(140) 및 영업 단말기(150)와 각각 연동하여 서로 간에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2에서, 스펙카드 생성부(1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영역에 따라 세대 내부와 세대 외부 및 특화 세대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 내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로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펙카드 생성부(1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 내부의 영역에 대해,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0에서 세대내부의 거실에 대해서는 건축이 11개, 전기가 6개로 총 17개의 아이템이므로 17개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고, 주방은 건축이 26개, 설비가 5개, 전기가 3개로 총 34개의 아이템이므로 34개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현관은 건축이 13개, 전기가 2개로 총 15개의 아이템이므로 15개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고, 공용욕실은 건축이 8개, 설비가 6개, 전기가 1개로 총 15개의 아이템이므로 15개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안방은 건축이 12개, 전기가 2개로 총 14개의 아이템이므로 14개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세대내부 공간은 건축 분야에 127개의 스펙카드와 설비 분야에 38개의 스펙카드, 전기 분야에 29개의 스펙카드, 조경 분야에 1개의 스펙카드, 미정 분야에 37개의 스펙카드, 총 232개의 스펙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세대내부 232개의 스펙 아이템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 도장, 타일, 도배, 가구, 가전, 수전, 배전, 위생, 조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 내부의 스펙 아이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 내부의 스펙 아이템은 차별화 아이템 순으로 공간명을 추가하여 더 늘릴 수도 있다.
한편, 스펙카드 생성부(1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 외부의 영역에 대해,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1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화 세대의 영역에 대해,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1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 내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Item)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1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 외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1230)는, 특화 세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펙카드 생성부(1230)는, 유닛 카드에 따라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창호와 도장, 타일, 도배, 가구, 가전, 수전, 위생, 조명을 포함하는 아이템으로 분류하고, 각 아이템 내에서 하나 이상의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펙 카드의 원본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펙 카드 원본 데이터 테이블은 스펙 카드의 영역에 관한 세대내부와 세대외부 및 특화세대로 구분되고, 대분류와 중분류, 코드(Code), 아이템(Item), 공간, 단위, 대상, 단가수, 번호(No), 관심도, 사양, 번호(No), 각 사양에 따른 등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한편, 도 12에서 제어부(1240)는,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모델 등급에 따른 가격 정보를 기준으로 스펙 카드에 근거해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에 매칭되어 있는 모델 등급을 설정하고, 설정된 모델 등급에 매칭되어 있는 가격을 단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산 ΟΟ 아파트의 34평대 침실도어록 스펙카드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10)에 S 등급 모티스 Type 70,500원, A 등급 모티스 Type 29,000원, B 등급 레버형 15,000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24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아산 ΟΟ 지역이라는 기타지방(C4)과 34평대(R5)를 입력받으면, 스펙카드 원본 데이터 테이블에 근거해 기타지방(C4)과 34평대(R5)에 매칭되는 B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40)는 아산 ΟΟ 아파트의 침실도어록 아이템에 대해 단가를 B 등급에 해당하는 15,000원으로 결정하여, 아산 ΟΟ 지역의 34평대 아파트의 모든 세대에 각각 B 등급 침실도어록 15,000원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펙 카드에 포함된 아이템(Item) 별 정의 및 분류된 데이터와 수준별 단가 데이터, 유닛 카드에 포함된 1 개당 유닛 정보와 스펙별 수량, 프로젝트 카드에 포함된 사업지 기본정보와 사업지역 수준에 따라 단가와 수량을 곱하여 합산(Σ)하고, 합산된 결과에 세대수를 곱하여 다시 합산(Σ)하되, 공간과 공정별 유닛마감(아이템 232개) 비용과 테마별 단지 특화(아이템 82개) 비용을 합산하여 프로젝트 스펙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스펙 카드에 근거해 각 평형 별로 마감 수준과 1세대 비용 및 분양 평단가, 평형별 세대수를 이용해 각 평형 별 세대수 합을 산출하고, 여기에 특화세대 증가비와 외부특화 합을 이용해 단지 총계를 산출하며,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특화 항목 비용들을 합산하고 세대내부 합계와 세대외부 합계 및 특화 총계를 이용해 스펙 카드의 공정별 및 영역별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유닛 카드에 근거해,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유닛 공간별 항목에 따른 비용들을 합산하고,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유닛 공정별 항목에 따른 비용들을 합산하며,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유닛 예산별 항목에 따른 비용들을 합산하여, 각 유닛 카드별 총액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프로젝트 총액을 산출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펙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를 연결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아이템의 단가를 산출하여, 하나의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전체 스펙카드에 대한 각 스펙카드의 아이템 개수에 따른 스펙 카드별 총액들을 합산하여 전체 프로젝트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프로젝트 총액을 산출하기 위해 프로젝트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를 연결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파트를 예로 들면, 도 15에서 프로젝트 카드는 하나의 아파트 단지에 대응되는 정보이고, 4 개의 유닛 카드는 하나의 단지를 이루는 4 개의 각 동에 각각 대응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각 유닛 카드에는 세대내부의 아이템 개수에 따른 232 개의 스펙 카드가 각각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240)는 하나의 유닛 카드에 232 개의 스펙 카드가 대응되어 있고, 4 개의 유닛 카드이므로 세대내부 928 개의 스펙카드(232*4)와 특화세대 82개 스펙카드를 합하여 총 1,010 개의 스펙카드에 대한 각 스펙카드의 총액들을 합산하여 전체 프로젝트의 총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40)는 유닛 카드에 근거해 설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설계 단말기(110)로부터 설계 데이터를 가져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세대 평면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닛카드에 근거해 설계 데이터로부터 단위세대 평면도를 가져와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서, 제어부(1240)가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위세대 평면도는 캐드(CAD) 파일로서 캐드 내에서 약 2,000개 정도의 개체(Object)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40)는 단위세대 평면도에 대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내부 아이템 중 발코니 중심으로 15 개의 폴리라인으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도에서 하나의 아이템 중심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제어부(1240)는 폴리라인으로 공간을 구획함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면적이 초과되는 오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도에서 폴리라인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전용면적이 초과되는 오류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제어부(1240)는 단위세대 평면도에 대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선으로 표현된 공간에 사용자로부터 실명과 치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도에서 실명과 치수를 기입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제어부(1240)는 단위세대 평면도에서 단선으로 표현된 공간에 실명과 치수를 기입받게 됨으로써 실크기나 공간이 적절한지를 검토할 수 있다. 즉, 도 19에서 실외기실, 욕실 크기가 당사 기준과 상이하고, 다용도실 출입문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40)는 유닛 카드에 따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 데이터에서 특정 제1 공간의 크기를 줄여 인접하는 다른 제2 공간의 크기를 넓히고, 제3 공간의 위치를 이동하는 설계 변경이 입력된 경우에, 아이템 별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변경된 각각의 공간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도에서 제1 공간을 줄이고 제2 공간을 넓히며 제3 공간의 위치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어부(1240)는 도 20에서 전면라인을 펴고, 욕실과 실외기실, 다용도실 등을 회사 기준 사이즈에 맞추고, 과도한 주방(제1 공간)의 크기를 줄여 알파 공간인 팬트리(제2 공간)의 크기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대피공간(제3 공간)을 뒤로 보내어 안방의 채광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캐드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스트렛치를 하면 치수가 따라 움직이도록 변경함으로써 구조 변경 편집이 용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개선된 평면도에 문과 창문, 가구를 회사 기준에 맞게 완성하여 설계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40)는 유닛 카드를 위한 캐드 데이터를 간략화하여, 캐드 정보만으로 세대마감의 물량을 최대한 간편하게 또는 자동으로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펙카드 생성부(1230)는 각 아이템 별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전술한 과정과 같이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40)는 각 아이템 별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스펙 카드를 유닛 카드에 연결하고, 변경된 하나 이상의 스펙 카드에 근거해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240)는 변경된 스펙 카드와 유닛 카드 및 프로젝트 카드를 연결하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별 분석 및 영역별 총액과, 특화 비용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별 분석 및 영역별 총액을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서, 공정별 분석 및 영역별 총액의 경우, 제어부(1240)는 마감수준과 1세대비용, 분양평단가, 평형별 세대수, 세대수 반영합, 특화세대 증가비(1층/최상층 특화 등)에 대해, 34.5평과 42.5평, 45.5평, 54.2평으로 계산하여 합계로서 외부특화 합과 단지 총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특화 비용의 경우, 제어부(1240)는 공간특화, Safety, Convinience, Energy Saving, Environment, Health/Refresh, IT, Noise Control, 조경식재, 조경시설물, 미술장식품, 부대/복리시설, 외부 조명특화, 기타 외부특화에 대해, 34평형과 42평형, 45평형, 54평형, 세대내부 합계, 세대외부 합계, 특화 총계 등으로 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변경된 스펙 카드와 유닛 카드 및 프로젝트 카드를 연결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공간별, 공정별 및 예산별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닛 공간별, 공정별, 예산별 총액을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에서, 제어부(1240)는 유닛 공간별 분석의 경우, 세대공통, 거실, 안방, 침실, 주방, 드레스실, 현관, 욕실, 발코니, 예비 공간에 대해, 34평형과 42평형, 45평형, 54평형으로 각각 총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유닛 공정별 분석의 경우, A 창호와 B 도장, C 타일, D 수장, E 가구, F 가전, G 위생기기, H 금속, J 조명, K 성능, L 세대특화 공정에 대해, 34평형과 42평형, 45평형 및 54평형 별로 총합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40)는 유닛 예산별 분석의 경우, 건축과 설비, 전기, 조경 및 미정 분야에 대해, 34평형과 42평형, 45평형 및 54평형 별로 각각의 총합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은, 프로젝트 카드 생성부(1210)가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데이터에 근거해 건축용도 정보와 사업지역 정보, 사업개요 정보 및 평형 정보가 포함되는 프로젝트 카드(Project Card)를 생성할 수 있다(S2310)
이어, 유닛 카드 생성부(12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프로젝트 카드에 근거해 단위평면 면적표와 각 실 정보, 통계 자료, 사업지명이 포함되는 유닛 카드(Unit Card)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할 수 있다(S2320).
이어, 스펙 카드 생성부(12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유닛 카드에 근거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Spec Card)를 생성할 수 있다(S2330).
이어, 제어부(1240)가 프로젝트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를 연결하고,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에 대한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S23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및 특화 아이템 위주의 스펙 카드와 유닛 카드 및 프로젝트 카드를 생성하고, 외부에 있는 슬림한 BIM(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시스템에 해당하는 유닛 팩토리(Unit Factory) 및 단지배치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BIM 및 단지배치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유닛 팩토리 및 단지배치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실시간 전체 공사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실시간 사업성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전체 공사비를 예측할 때, 나머지 손익 정보도 함께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유닛 팩토리와 단지배치 지원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제외 항목에 대해 기존 계획예산 체계와 결합함으로써 실시간 전체 공사비를 예측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마감 및 특화 아이템 위주의 스펙 카드와 유닛 카드를 활용함으로써 미래 주거 시장 공략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즉, 고객이 직접 선택하는 맞춤형 다품종 상품의 제공이 용이하고, 인테리어 리모델링 시장(시스템 욕실 포함)과 부가 주거상품(소품, 서비스 등)을 사업화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실시간 사업성 분석을 통해 다양한 상황 변화에 대응한 신속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수주 및 상품 구성시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부동산 사이트(예를 들어, www.r114.co.kr)에서 제공하는 아파트 평면도 이미지만으로 다양한 옵션의 리모델링 공사비를 바로 산정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이 일반적인 부동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평면 이미지만으로 다양한 옵션의 리모델링 공사비를 자동으로 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에서, 일반적인 부동산 사이트에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아파트 평면도를 보고 있다가 리모델링 공사비 산출 메뉴를 실행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평면도에서 각 실 공간, 즉 침실과 거실, 주방/식당, 발코니, 욕실 등의 공간에 대한 수치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각 라인 상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각 이미지에 대해 하나의 픽셀(Pixel) 당 수치(mm)가 대응되어 있어, 사용자가 평면도에 대한 리모델링 공사비 산출 메뉴를 실행하면, 해당 평면도 이미지에 대한 픽셀 당 수치를 이용하여 각 공간의 라인 길이에 따른 수치를 산정하여 즉시로 화면 상에 출력해 주는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해당 아파트 평면도에 대응되어 있는 프로젝트 카드와 유닛 카드 및 스펙 카드들을 연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아파트 평면도에 해당하는 단지의 유닛 카드와, 세대내부의 스펙 카드, 세대외부의 스펙 카드 및 특화세대의 스펙 카드에 근거해 아이템 개수에 따른 각 스펙 카드들의 비용들을 합산함으로써, 해당 아파트 평면도의 평형에 맞는 리모델링 공사비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나 빌라 등 주택을 건축할 때 기획, 설계, 자재, 견적, 영업, 시공 등 각 분야별 업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협업이 되도록 함으로써, 건축 관련 데이터의 생성과 연결 및 소통(matching)을 통해 전체적인 프로젝트 총액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설계 단말기 120 : 견적 단말기
130 : 공사 단말기 140 : 자재 단말기
150 : 영업 단말기 160 : 통합 관리 서버
310 : 데이터베이스 320 : 입력부
330 : 제어부 340 : 저장부
350 : 표시부 1200 :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1210 : 프로젝트 카드 생성부 1220 : 유닛 카드 생성부
1230 : 스펙 카드 생성부 1240 : 제어부

Claims (15)

  1.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 모델 등급 및 모델 등급에 대응된 비용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이 적용되는 지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이 적용되는 평형 수준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된 지역의 지역 수준과 상기 입력된 평형 수준에 매칭되는 모델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설정된 모델 등급에 대응된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모델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평형 수준과 상기 지역 수준 및 상기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데이터에 근거해 건축용도 정보와 사업지역 정보, 사업개요 정보 및 평형 정보가 포함되는 프로젝트 카드(Project Car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프로젝트 카드에 근거해 단위평면 면적표와 각 실 정보, 통계 자료, 사업지명이 포함되는 유닛 카드(Unit Card)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유닛 카드에 근거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SPEC CARD)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에 대해, 영역에 따라 세대 내부와 세대 외부 및 특화 세대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 내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로 분류하며,
    상기 세대 내부의 영역에 대해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세대 외부의 영역에 대해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하며,
    상기 특화 세대의 영역에 대해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세대 내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에 해당하는 아이템(Item)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세대 외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하며,
    상기 특화 세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모델 등급에 대응된 가격을 단가로 결정하고,
    상기 프로젝트 카드와, 상기 유닛 카드 및 상기 스펙 카드를 연결하여, 스펙 카드 별로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스펙카드 별로 비용을 각각 산출한 후 각 스펙 카드의 비용들을 모두 합산하여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
  6.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획 단말기, 설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설계 단말기, 자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재 단말기, 견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견적 단말기, 영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업 단말기 및 건축시공 데이터를 제공하는 건축 단말기와 각각 연동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획 데이터에 근거해 건축용도 정보와 사업지역 정보, 사업개요 정보 및 평형 정보가 포함되는 프로젝트 카드(Project Card)를 생성하는 프로젝트 카드 생성부;
    상기 생성된 프로젝트 카드에 근거해 단위평면 면적표와 각 실 정보, 통계 자료, 사업지명이 포함되는 유닛 카드(Unit Card)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하는 유닛 카드 생성부;
    상기 생성된 유닛 카드에 근거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SPEC CARD)를 생성하는 스펙 카드 생성부; 및
    상기 프로젝트 카드와, 상기 유닛 카드 및 상기 스펙 카드를 연결하고,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카드 생성부는,
    영역에 따라 세대 내부와 세대 외부 및 특화 세대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 내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로 분류하며,
    상기 세대 내부의 영역에 대해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세대 외부의 영역에 대해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하며,
    상기 특화 세대의 영역에 대해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공간으로 분류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카드 생성부는,
    상기 세대 내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거실, 주방, 현관, 공용욕실, 안방, 부부욕실, 드레스실, 욕실공통, 침실, 일반발코니, 주방발코니,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Item)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세대 외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단지공통, 부대 및 복리시설, 엘리베이터, 옥외, 주동, 지하주차장, 세대공통,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하며,
    상기 특화 세대의 영역 내에서 분류된 1층세대, 최상층세대, 측세대, 예비의 각 공간 별로 건축 분야, 설비 분야, 전기 분야, 조경 분야, 예비 분야에 따라 각 분야의 아이템 개수에 해당하는 스펙 카드를 각각 생성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의 모델 등급에 따른 가격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스펙 카드에 근거해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역 수준과 평형 수준에 매칭되어 있는 모델 등급을 설정하고, 설정된 모델 등급에 매칭되어 있는 가격을 결정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펙 카드에 포함된 아이템(Item) 별 정의 및 분류된 데이터와 수준별 단가 데이터, 상기 유닛 카드에 포함된 1 개당 유닛 정보와 스펙별 수량, 상기 프로젝트 카드에 포함된 사업지 기본정보와 사업지역 수준에 따라 단가와 수량을 곱하여 합산하고, 합산된 결과에 세대수를 곱하여 다시 합산하되, 공간과 공정별 유닛 마감비용과 테마별 단지 특화비용을 합산하여 프로젝트 스펙 총액을 산출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펙 카드에 근거해 각 평형 별로 마감 수준과 1세대 비용 및 분양 평단가, 평형별 세대수를 이용해 각 평형 별 세대수 합을 산출하고, 여기에 특화세대 증가비와 외부특화 합을 이용해 단지 총계를 산출하며,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특화 항목 비용들을 합산하고 세대내부 합계와 세대외부 합계 및 특화 총계를 이용해 상기 스펙 카드의 공정별 및 영역별 총액을 산출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닛 카드에 근거해,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유닛 공간별 항목에 따른 비용들을 합산하고,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유닛 공정별 항목에 따른 비용들을 합산하며, 각 평형 별로 하나 이상의 유닛 예산별 항목에 따른 비용들을 합산하여, 각 유닛 카드별 총액을 각각 산출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 카드 생성부는, 상기 유닛 카드에 따라 상기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창호와 도장, 타일, 도배, 가구, 가전, 수전, 위생, 조명을 포함하는 아이템으로 분류하고, 각 아이템 내에서 하나 이상의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닛 카드에 따라 상기 설계 데이터에서 특정 제1 공간의 크기를 줄여 인접하는 다른 제2 공간의 크기를 넓히고, 제3 공간의 위치를 이동하는 설계 변경이 입력된 경우에, 아이템 별로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변경된 각각의 공간에 맞게 적용하고,
    상기 스펙카드 생성부는 각 아이템 별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 아이템 별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스펙 카드를 상기 유닛 카드에 연결하고, 상기 변경된 하나 이상의 스펙 카드에 근거해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15.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획 단말기, 설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설계 단말기, 자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재 단말기, 견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견적 단말기, 영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업 단말기 및 시공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공 단말기와 각각 연동하는 시스템의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프로젝트 카드 생성부가, 상기 기획 데이터에 근거해 건축용도 정보와 사업지역 정보, 사업개요 정보 및 평형 정보가 포함되는 프로젝트 카드(Project Card)를 생성하는 단계;
    유닛 카드 생성부가, 상기 생성된 프로젝트 카드에 근거해 단위평면 면적표와 각 실 정보, 통계 자료, 사업지명이 포함되는 유닛 카드(Unit Card)를 각 평형 별로 생성하는 단계;
    스펙 카드 생성부가, 상기 생성된 유닛 카드에 근거해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을 마감 및 특화 수준의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스펙 카드(Spec Car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프로젝트 카드와, 상기 유닛 카드 및 상기 스펙 카드를 연결하고, 상기 시각적 인지 가능 대상에 대한 단가와 수량, 세대수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액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법.
KR1020180078978A 2018-07-06 2018-07-06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78A KR102086459B1 (ko) 2018-07-06 2018-07-06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78A KR102086459B1 (ko) 2018-07-06 2018-07-06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50A KR20200005350A (ko) 2020-01-15
KR102086459B1 true KR102086459B1 (ko) 2020-03-09

Family

ID=6915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978A KR102086459B1 (ko) 2018-07-06 2018-07-06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359A (ko) 2020-01-15 202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87B1 (ko) * 2006-08-07 2007-12-1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택성능등급별 표준설계지침에 의한 건축구성요소의성능등급, 건축구성요소 제시안의 비용 결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2457B2 (ja) * 1994-10-24 1999-08-09 株式会社茜建築コンサルタント 建築費用算出支援装置
KR20100121846A (ko) * 2009-05-11 2010-11-19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건축 프로젝트의 마감공사비 산정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1599A (ko) 2016-08-22 2018-03-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Bcf를 이용한 건설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87B1 (ko) * 2006-08-07 2007-12-1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택성능등급별 표준설계지침에 의한 건축구성요소의성능등급, 건축구성요소 제시안의 비용 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50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en et al. Fundamentals of residential construction
US20150324940A1 (en) 3D Interactive Construction Estimating System
Lee et al. Customer interactiv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apartment unit design
JP2007102400A (ja) 住宅のコンピュータ見積システムおよび住宅の見積方法
JPH1139390A (ja) 建築コスト管理方法
Noguchi et al. A ‘mass custom design’approach to upgrading conventional housing development in Mexico
KR102086459B1 (ko) 건축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738555B (zh) 一种智能家居装饰设计系统
Bu Hamdan A framework for multi-criteria lifecycle assessment of building syst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S20040073492A1 (en) Techniques for building construction and marketing
KR100441978B1 (ko) 실적공사비를 이용한 건축공사비 산출 및 분석 시스템
Falcone Designing Single-Family Residences: A Study of the Positive Impact of Interior Design in Creating New Home Value
Kendall Developments toward a residential fit-out industry
Ingvaldsen et al. Productivity studies in Nordic build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JP2001147946A (ja) 建物設計装置
JP2006039817A (ja) 建物プラン分析システム及び建物プラン分析方法
JP7442432B2 (ja) 建築物のネット通販システム
KR20020092339A (ko) 주택 사전설계 및 예약분양 시스템
KR20190088645A (ko) 건축자재db를 활용한 디자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campa et al. Assessing the Transformability of Public Housing through BIM. Sustainability 2021, 13, 5431
Khalkhali Applying a life cycle approach in designing flexible housing
Skripkiūnas et al. Architectural factors influencing a housing market value: a theoretical framework
Ryu Sustainable building refurbishment: process based approaches with the Hotel Klaus K refurbishment case.
Sharafutdinova BIM in practice
Ngowtanasuwan An application of mathematical model for decision in building plan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