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898B1 -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 Google Patents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898B1
KR102085898B1 KR1020180143628A KR20180143628A KR102085898B1 KR 102085898 B1 KR102085898 B1 KR 102085898B1 KR 1020180143628 A KR1020180143628 A KR 1020180143628A KR 20180143628 A KR20180143628 A KR 20180143628A KR 102085898 B1 KR102085898 B1 KR 102085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soot
unit
filt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승
Original Assignee
이종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승 filed Critical 이종승
Priority to KR1020180143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그을음이나 오일 가스를 여과시켜 정화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연기만이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 정화부를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오일 가스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여과하고 정화시켜, 유해요소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로 인해 사람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험에 빠뜨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을음이나 오일 가스 배출로 인해 실내 및 실외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Fish roaster with smoke pur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생선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연기에 포함되는 그을음 가스(예; 일산화탄소와 먼지 모양의 검은 미세먼지)와 오일(기름기)를 여과시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생선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을 구울 때, 가스렌지에 석쇠나 후라이팬 등을 올려 놓고 가스렌지로부터 제공되는 화력을 이용하여 생선을 올려 놓고 굽게 된다. 이러한 조리 방법은 화력을 적절히 조절해 가면서 생선의 겉과 속이 골고루 익도록 적절한 시기에 뒤집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조리 기술에 따라 생선의 맛이 크게 좌우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생선만을 전용으로 굽기 위한 생선 구이기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생선 구이기는 전열선이 내장된 히팅 파이프로 이루어진 조리실 내에 생선을 투입한 후 히터를 작동시킴으로서 생선 구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생선 구이기는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연기에는 먼지 모양의 검은 가루인 그을음이 섞여 있는데, 이러한 그을음이 정화되지 않고 후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 것이며, 이에 따라 그을음이 섞여 배출되는 연기로 인해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생선 구이기는 후드의 배출 용량이 제한적인 관계로, 연기에 섞인 그을음이 배출되지 않을 경우, 배출되지 않은 그을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리실 내벽면에 달라 붙어 고형화되는 문제가 있고, 이 경우 생선 구이기를 재사용할 때 발생하는 뜨거운 공기가 조리실 내벽면에 달라 붙은 고형화된 그을음을 다시 가열하게 되면서 그 가열에 따라 발생하는 그을음 연기는 유독 가스로서 주방으로 퍼져 실내 및 실외 환경을 오염시키고, 특히 거주자의 신체 및 정신 건강을 위태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연기 배출을 반사판을 통해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가 개시되기에 이르렀지만, 이러한 생선 구이기는 반사판에 달라 붙은 그을음을 생선 구이기를 사용할때마다 사용자가 수시로 제거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4005호(공고일 2005.08.25.) 등록특허공보 제10-1179967호(공고일 2012.09.07.)-연기배출차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그을음이나 오일 가스를 여과시켜 정화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연기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는, 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조리실과 제어실을 가지며, 상기 격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실측에는 외부로의 연기 배출을 위한 배기구를 형성하여둔 구이 본체; 상기 제어실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로부터 그을음 제거하는 정화부; 상기 제어실측에 형성되며, 상기 정화부로부터 그을음이 제거된 인체에 무해한 연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구이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제어실측에 형성되면서 입력패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정화부의 작동은 물론 상기 송풍부의 구동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화부는, 상기 연통구에 연결되는 유입관, 그리고 토출구를 가지는 밀폐형의 제 1 챔버; 상기 제 1 챔버의 상단측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에 포함되는 그을음을 연소 작용으로 1차 제거하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를 통과하면서 연소 작용으로 그을음이 1차 제거되는 연기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분해 작용으로 2차 제거하는 필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석영관 히터인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히팅부를 통과하는 연기로부터 연소작용으로 제거되지 않은 잔존하게 되는 그을음을 포집하는 포집 필터; 및, 상기 포집 필터에 의해 포집되는 그을음을 촉매 작용으로 분해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촉매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 필터는 상기 촉매 필터를 감싸도록 상기 촉매 필터의 외곽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포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이거나 스폰지 또는 유리섬유인 것이다.
또한, 상기 촉매 필터는, 허니컴(honeycomb) 구조 또는 기포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촉매층;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허니컴 구조를 이루는 상기 베이스층은 알루미늄, 철, 니켈, 면 재질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기포 구조를 이루는 상기 베이스층은 부직포인 것이다.
또한, 상기 촉매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저온 촉매제 또는 광촉매제를 도포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제 1 챔버의 토출구측에 인접하는 유입구와,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토출관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 1 챔버의 하단측에 배치되는 제 2 챔버; 상기 제 2 챔버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에 흡입 압력을 가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그을음이 제거된 정화된 연기를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기 배기구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출관 내부에는 배출되는 연기의 오염 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오염감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팅부와 상기 모터의 온 또는 오프 구동 또는 온 구동시의 강약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토출관 내부에는 그을음이 제거된 정화된 연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 상기 연기를 최종 필터링하도록 지름이 2.5㎛ 이하인 메쉬망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그을음이나 오일 가스를 여과시켜 정화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연기만이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 정화부를 구성함으로써,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오일 가스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여과하고 정화시켜, 유해요소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로 인해 사람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험에 빠뜨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을음이나 오일 가스 배출로 인해 실내 및 실외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생선 구이기의 제어실에 적용되는 연기 정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연기 정화 장치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이 포함된 연기를 인체에 무해한 연기로 전환시키는 흐름을 보인 연기 정화 장치의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생선 구이기의 제어실에 적용되는 연기 정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연기 정화 장치에 대한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는, 구이 본체(10), 정화부(20), 송풍부(30), 제어부(40), 입력패널(50)을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오염감지부(60)와 메쉬망(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이 본체(10)는 격벽(11)에 의해 조리실(a1)과 제어실(a2)로 분할된 것으로, 상기 격벽(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실(a2)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구(13)는 물론 상기 정화부(20) 및 상기 송풍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40)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리실(a1)에는 생선이 올려지는 그릴부(10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연통구(12)는 상기 조리실(a1)에서 생선 구이가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연기를 상기 제어실(a2)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조리실(a1)에는 상기 조리실(a1)내에서 상기 그릴부(100)에 올려진 생선 구이를 가능하게 하는 전열부(미도시)가 구성됨은 물론, 상기 전열부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그 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는 통상의 생선 구이기에 범용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정화부(20)는 상기 연통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로부터 그을음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실(a2)측에 형성되며, 제 1 챔버(21), 히팅부(22), 필터부(2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챔버(21)는 상기 연통구(12)에 연결되는 유입관(21a), 그리고 토출구(21b)를 가지는 밀폐형 구조물인 것이다.
상기 히팅부(22)는 상기 제 1 챔버(21)의 상단측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며, 상기 유입관(21a)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에 포함되는 그을음을 연소 작용으로 1차 제거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히팅부(22)는 생선 구이기에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되는 석영관 히터이고, 상기 전원 공급 여부는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히팅부(22)는 상기 조리실(a1)에서의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연기에 포함되는 그을음(예; 일산화탄소와 미세먼지)를 연소시켜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석영관 히터는 우수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으로서 고온 내성의 성질을 가지면서 1100℃에서 장시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는 최대 사용 온도는 단시간에 1450℃ 까지 도달할 수 있고, 불화 수소산을 제외한 내식성과 다른 산과의 반응이 거의 없으며, 내산성 비율 특히, 고온에서 스테인리스 강과 세라믹이 우수하고, 열 안정성이 우수하며, 열팽창 계수가 매우 작고, 심한 온도 변화에도 견딜 수 있으면서 약 1000 ℃까지 가열되어 상온의 물에 보관이 가능하며, 전기 절연성이 좋고, 저항값은 일반 유리의 약 1,000배로서 우수한 전기 절연 재료이며, 고온에서도 절연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입력패널(50)의 입력신호(예;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신호 또는 생선 구이 모드 선택 키이 신호 등)에 따라 상기 제어부(40)가 전열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조리실(a1)에서의 생선 구이가 진행될 때, 상기 제어부(40)에서 연기 정화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히팅부(22)의 히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23)는 상기 히팅부(23)를 통과하면서 연소 작용으로 그을음이 1차 제거되는 연기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분해 작용으로 2차 제거하는 것으로, 포집 필터(231)와 촉매 필터(23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포집 필터(231)는 상기 히팅부(22)를 통과하는 연기로부터 연소작용으로 제거되지 않은 잔존하게 되는 그을음을 포집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촉매 필터(232)를 감싸도록 상기 촉매 필터(232)의 외곽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기포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이거나 스폰지 또는 유리섬유인 것이다.
상기 촉매 필터(232)는 상기 포집 필터(231)에 의해 포집되는 그을음을 촉매 작용으로 분해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층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는 허니컴(honeycomb) 구조 또는 기포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층(232a)과, 상기 베이스층(232a)의 표면에 형성되는 촉매층(232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허니컴 구조를 이루는 상기 베이스층(232a)은 알루미늄, 철, 니켈, 면 재질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이고, 기포 구조를 이루는 상기 베이스층(232a)은 부직포인 것이다.
상기 촉매층(232b)은 상기 베이스층(232a)의 표면에 저온 촉매제 또는 광촉매제를 도포시켜 형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저온 촉매제 또는 광촉매제는 열에너지 또는 광물이나 산소에 의해 강한 산화 활성 그룹으로 전환되는 것이고, 이는 연기에 포함되는 강한 그을음 가스를 분해할 때 그 성질이 변화하지 않고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포집 필터(231)에 의해 그을음이 포집될 때, 포집되는 상기 그을음은 상기 송풍부(30)에 제공되는 흡입 압력에 따라 상기 촉매 필터(232)로 전달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촉매 필터(232)는 포집된 그을음을 촉매 작용으로 분해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송풍부(30)는 상기 제어실(a2)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화부(20)로부터 그을음이 제거된 인체에 무해한 연기를 상기 배기구(13)를 통해 상기 구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며, 제 2 챔버(31), 송풍팬(32), 그리고 모터(3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챔버(31)는 상기 제 1 챔버(21)의 토출구(21b)측에 인접하는 유입구(31a)와, 상기 배기구(13)와 연결되는 토출관(31b)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 1 챔버(21)의 하단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송풍팬(32)은 시로코팬으로서 상기 제 2 챔버(31)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23)에 포함되는 포집필터(231)와 촉매필터(232)에 흡입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필터부(23)에 의해 그을음이 제거된 정화된 연기를 상기 토출관(31b)을 통해 상기 배기구(13)로 송풍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모터(33)는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팬(32)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토출관(31b)의 내부에는 배출되는 연기의 오염 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40)에 출력하는 상기 오염 감지부(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오염 감지부(6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팅부(22)와 상기 모터(33)의 온 또는 오프 구동 또는 온 구동시의 강약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오염 감지부(60)는 미세 먼지 농도(PM 2.5)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인 것이다.
한편, 상기 토출관(31b)의 내부에는 그을음이 제거된 정화된 연기가 상기 배기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 상기 연기를 최종 필터링하도록 지름이 2.5㎛ 이하인 메쉬망(70)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우선 그릴부(100)에 구이할 생선을 올려놓은 후 이를 구이 본체(10)에 집어 넣는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구이 본체(10)의 외부 입력패널(50)을 조작하여 생선 구이를 시작하면, 상기 입력패널(50)의 신호 입력에 따라 제어부(40)는 전열장치를 작동시키는 한편, 정화부(20)에 포함되는 히팅부(22)와 송풍부(30)에 포함되는 모터(33)를 가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히팅부(22)와 상기 모터(33)는 동시에 가동되거나 또는 상기 전열장치가 작동하여 생선 구이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연기가 발생되는 시점에서 상기 히팅부(22)와 상기 모터(33)가 시차를가동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열장치의 작동으로부터 조리실(a1)내에서 생선 구이가 진행되고 이러한 생선 구이로부터 유해물인 그을음이 포함되는 연기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그을음을 포함하는 연기는 격벽(1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구(12)를 통해 제어실(a2)측으로 빠져나가면서, 정화부(20)에 포함되는 밀폐형 구조를 이루는 제 1 챔버(21)의 유입관(21a)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2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챔버(21)의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석영관 히터인 히팅부(22)가 가열동작하게 되면서, 유입되는 연기에 포함되는 그을음(일산화탄소와 미세먼지)를 연소시켜 제거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히팅부(22)를 통과하는 연기는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그을음은 상기 히팅부(22)를 통과할 때 모두가 완전 연소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따라, 상기 히팅부(22)의 하단에는 필터부(23)로서 포집필터(231)와 촉매필터(232)를 적용하여둔 것이며, 상기 포집필터(231)는 완전 연소되지 않은 그을음을 포집하고 이렇게 포집된 그을음이 송풍부(30)의 송풍시 발생하는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촉매필터(232)를 통과할 때 2차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촉매 필터(232)는 베이스층(232a)의 표면에 촉매층(232b)을 형성하여둔 것이므로, 상기 촉매층(232b)은 연기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촉매적으로 분해하여, 상기 연기에 포함되는 그을음을 2차 제거함은 물론, 상기 그을음이 제 1 챔버(21)의 토출구(21b)를 통해 배출시 그 배출에 따른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챔버(21)의 상기 토출구(21b)측에는 송풍부(30)에 포함되는 제 2 챔버(31)의 유입구(31a)가 인접되어 있고, 상기 제 2 챔버(31)내의 송풍팬(32)은 모터(3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있으므로, 상기 송풍팬(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챔버(31)의 토출관(31b)에서는 그을음이 1,2차에 걸쳐 제거된 정화된 연기를 토출하게 되며, 이렇게 토출된 정화된 연기는 배기구(13)를 거쳐 상기 구이 본체(10)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선 구이기에서는, 생선 구이시 발생하는 독성인 일산화탄소와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그을음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여과하고 정화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구이 본체(10)의 배기구(13)를 통해 연기가 배기되더라도, 상기 연기는 인체에 무해하게 되고, 이에따라 사람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험에 빠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그을음 가스의 배출에 따른 실내 및 실외의 환경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생선 구이기에서, 상기 토출관(31b)의 내부에는 오염 감지부(60) 및/또는 메쉬망(7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염 감지부(60)에서 배출되는 연기에 미세 먼지(PM 2.5)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40)에 출력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오염 감지부(6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팅부(22)와 상기 모터(33)의 온 또는 오프 구동 또는 온 구동시의 강약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메쉬망(70)은 지름이 2.5㎛ 이하이므로, 상기 토출관(31b)을 통해 상기 배기구(13)로 연기 배기가 이루어질 때 그 연기에 포함되는 지름 2.5㎛ 이상의 미세먼지가 혹시나 배기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구이 본체 11; 격벽
12; 연통구 13; 배기구
20; 정화부 21; 제 1 챔버
21a; 유입관 21b; 토출구
22; 히팅부 23; 필터부
231; 포집 필터 232; 촉매 필터
232a; 베이스층 232b; 촉매층
30; 송풍부 31; 제 2 챔버
31a; 유입구 31b; 토출관
32; 송풍팬 33; 모터
40; 제어부 50; 입력패널
60; 오염 감지부 70; 메쉬망
100; 그릴부 a1; 조리실
a2; 제어실

Claims (12)

  1. 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조리실과 제어실을 가지며, 상기 격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실측에는 외부로의 연기 배출을 위한 배기구를 형성하여둔 구이 본체; 상기 제어실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로부터 그을음 제거하는 정화부; 상기 제어실측에 형성되며, 상기 정화부로부터 그을음이 제거된 인체에 무해한 연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구이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제어실측에 형성되면서 입력패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정화부의 작동은 물론 상기 송풍부의 구동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정화부는, 상기 연통구와 연통되는 유입관과 토출구를 가지는 밀폐형의 제 1 챔버; 상기 제 1 챔버의 상단측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에 포함되는 그을음을 연소 작용으로 1차 제거하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를 통과하면서 연소 작용으로 그을음이 1차 제거되는 연기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분해 작용으로 2차 제거하는 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제 1 챔버의 토출구측에 인접하는 유입구와,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토출관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제 1 챔버의 하단측에 배치되는 제 2 챔버; 상기 제 2 챔버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에 흡입 압력을 가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그을음이 제거된 정화된 연기를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기 배기구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관 내부에는 그을음이 제거된 정화된 연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 상기 연기를 최종 필터링하도록 지름이 2.5㎛ 이하인 메쉬망, 그리고 배출되는 연기의 오염 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오염감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팅부와 상기 모터의 온 또는 오프 구동 또는 온 구동시의 강약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석영관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히팅부를 통과하는 연기로부터 연소작용으로 제거되지 않은 잔존하게 되는 그을음을 포집하는 포집 필터; 및,
    상기 포집 필터에 의해 포집되는 그을음을 촉매 작용으로 분해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촉매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필터는 상기 촉매 필터를 감싸도록 상기 촉매 필터의 외곽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포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이거나 스폰지 또는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필터는,
    허니컴(honeycomb) 구조 또는 기포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촉매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허니컴 구조를 이루는 상기 베이스층은 알루미늄, 철, 니켈, 면 재질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8. 제 6 항에 있어서,
    기포 구조를 이루는 상기 베이스층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저온 촉매제 또는 광촉매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43628A 2018-11-20 2018-11-20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KR10208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28A KR102085898B1 (ko) 2018-11-20 2018-11-20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28A KR102085898B1 (ko) 2018-11-20 2018-11-20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898B1 true KR102085898B1 (ko) 2020-03-06

Family

ID=6980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628A KR102085898B1 (ko) 2018-11-20 2018-11-20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6013A1 (de) * 2020-07-07 2022-01-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Grill und verfahr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718A (ja) * 1998-05-14 1999-11-2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調理器
JP2002263006A (ja) * 2001-03-07 2002-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KR200394005Y1 (ko) 2005-06-09 2005-08-25 박종오 생선구이기
JP2008067804A (ja) * 2006-09-13 2008-03-27 Sanyo Electric Co Ltd グリル装置
KR101179967B1 (ko) 2010-02-12 2012-09-07 제이씨텍(주) 생선구이기
JP2018143660A (ja) * 2017-03-08 2018-09-20 日機装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718A (ja) * 1998-05-14 1999-11-2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調理器
JP2002263006A (ja) * 2001-03-07 2002-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KR200394005Y1 (ko) 2005-06-09 2005-08-25 박종오 생선구이기
JP2008067804A (ja) * 2006-09-13 2008-03-27 Sanyo Electric Co Ltd グリル装置
KR101179967B1 (ko) 2010-02-12 2012-09-07 제이씨텍(주) 생선구이기
JP2018143660A (ja) * 2017-03-08 2018-09-20 日機装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6013A1 (de) * 2020-07-07 2022-01-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Grill und verfahr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265A (en) Recycling cooking oven with catalytic converter
US9157639B2 (en) Cooking oven comprising exhaust gas purification assembly
US6058924A (en) Vented recycling oven with separate catalytic converter
US20090050129A1 (en) Catalytic converter unit and method for treating cooking emissions
KR102085898B1 (ko) 연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생선 구이기
CN112617625B (zh) 一种烹饪器具及烹饪器具清洁方法
CN207262497U (zh) 一种用于商业厨房节能的油烟净化一体机
JPH0271032A (ja) 排煙浄化装置
KR102229350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7880892U (zh) 一种除油烟装置及电烤箱
JPS60171317A (ja) エアクリ−ナ付き石油スト−ブ
KR20100132473A (ko) 연소가스의 저감 및 재연소 장치
JP3805328B2 (ja) 排煙機能付ロースター
JP3317119B2 (ja) フィッシュロースタ
JP3509739B2 (ja) 調理器
JPH08182488A (ja) 焙煎調理用器具の消煙装置
JPS59202331A (ja) 加熱調理器
JPS5922650A (ja) 触媒ユニツト
JPS609216B2 (ja) 加熱調理器
JPH0823412B2 (ja) 気体浄化装置
JPS55110835A (en) Cooking device
WO2003081143A1 (en) Gas appliance with flash suppressor
JP2008023512A (ja) 脱煙脱臭装置付き石窯
JP2000304355A (ja) 温風暖房機
CN109404995A (zh) 一种用于商业厨房节能的油烟净化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