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898B1 -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 Google Patents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898B1
KR102084898B1 KR1020190152096A KR20190152096A KR102084898B1 KR 102084898 B1 KR102084898 B1 KR 102084898B1 KR 1020190152096 A KR1020190152096 A KR 1020190152096A KR 20190152096 A KR20190152096 A KR 20190152096A KR 102084898 B1 KR102084898 B1 KR 10208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late
fixed
turbine casing
fastening bolt
fixed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길수
한승우
정화준
노철우
오승태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4Antivibr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3Flange connections; Bol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D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05D2230/232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질량판 조립체는, 터빈 케이싱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에 안착되는 조절 질량판; 상기 조절 질량판이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서 상기 리브에 고정되는 고정 질량판; 및 상기 고정 질량판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구를 통과하며 상기 고정 질량판에 체결되고, 상기 조절 질량판을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MASS PLATE ASSEMBLY AND TURBINE CAS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사용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의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해, 물을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가열해 기화시킨 뒤, 이로부터 발생한 증기를 증기터빈에 제공하여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대용량의 증기터빈의 경우 작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굉장히 클 수 있다. 특히 터빈 케이싱의 고유진동수가 터빈 회전체에서 비롯되는 가진진동수와 일치하여 공진이 일어나는 경우, 이에 의한 고진동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증기터빈의 케이싱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 중, 흡음재를 증기터빈의 케이싱에 설치해 고유진동수를 변경하여 가진진동수와 고유진동수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진동의 흡수를 위한 흡음재 설치시 이를 제대로 고정하지 않으면 유격으로부터 비롯된 다른 소음과 진동에 의한 터빈 케이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으면 질량부가에 의한 진동수 변경 효과가 미비하다.
반면 견고한 고정만을 목표로 흡음재를 터빈 케이싱에 용접하는 등의 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열변형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진동수 변화 등의 환경변화로 흡음재 변경이 필요할 경우, 이를 변경하는 작업이 굉장히 어렵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체가 용이하되 견고하게 터빈 케이싱에 고정될 수 있는 고유진동수 변경을 위한 질량판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량판 조립체는, 터빈 케이싱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에 안착되는 조절 질량판; 상기 조절 질량판이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서 상기 리브에 고정되는 고정 질량판; 및 상기 고정 질량판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구를 통과하며 상기 고정 질량판에 체결되고, 상기 조절 질량판을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는, 터빈 회전체가 내장되고,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를 구비하는 터빈 케이싱; 상기 터빈 케이싱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조절 질량판; 상기 조절 질량판을 가리며 상기 리브에 고정되는 고정 질량판; 및 상기 고정 질량판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구를 통과하고, 상기 조절 질량판을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빈 케이싱에 견고하게 조립된 질량판 조립체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고유진동수가 변경되는 환경 변화에도 흡음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구조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에 설치된 질량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에 설치된 질량판 조립체를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조절 질량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절 질량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질량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 질량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질량판을 터빈 케이싱에 조립한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질량판에 체결 볼트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1)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 조립체(1)는, 터빈 케이싱(20)과 질량판 조립체(10)를 포함한다. 또한 질량판 조립체(10)는, 조절 질량판(11), 고정 질량판(12) 및 체결 볼트(30)를 포함한다. 도면과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x, y, z축은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상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좌우방향이란 도면에서 도시된 y축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고, 상하방향은 z축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고, 전후방향이란 x축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터빈 케이싱(20)
터빈 케이싱(20)은 터빈 회전체를 내장하는 구성요소이다. 터빈 케이싱(20)은 실질적으로 원기둥을 종으로 절반 자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빈 케이싱(20)의 외측면은, 원기둥의 측면과 같이 아치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면(21)과, 실질적으로 반원형 또는 원환의 일부분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전후면(22)을 가질 수 있다.
터빈 케이싱(20)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연장되는 리브(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23) 중 전후면(22)에 배치되는 리브(23)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리브(231)와, 수평 리브(231)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리브(2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리브(231)와 수직 리브(23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 리브(231)와 수직 리브(23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리브(231)는 제1 수평 리브(2311)와, 제1 수평 리브(2311)보다 상측 및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수평 리브(2312)를 포함하고, 수직 리브(232)는 제1 수직 리브(2321)와, 제1 수직 리브(2321)보다 상측 및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수직 리브(232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수평 리브(2311)가 제1 수직 리브(2321)와 제2 수직 리브(2322)를 연결할 수 있다. 각 리브(23)는 터빈 케이싱(20)의 전후면(22)의 좌우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될 수 있으나, 리브(23)의 개수와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20)에 설치된 질량판 조립체(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케이싱(20)에 설치된 질량판 조립체(10)를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더 참조하여 질량판 조립체(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질량판 조립체(10)는 조절 질량판(11), 고정 질량판(12) 및 체결 볼트(3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터빈 케이싱(20)에 접촉 및 결합되어 터빈 케이싱(20)의 고유진동수를 변화시키는 흡음재 또는 고유진동수 변화로부터 진동을 저감시키는 흡진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유진동수는 전체 터빈 케이싱 조립체(1)의 강성(stiffness)을 질량으로 나눈 값의 제곱근으로 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질량판 조립체(10)는 터빈 케이싱(20)의 전후면(22)에 형성된 리브(23) 및 리브(23)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질량판 조립체(10)가 포함하는 조절 질량판(11)과 고정 질량판(12)은, 탄소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23)에 설치되는 질량판 조립체(10)는, 기존의 흡음재 및 흡진재 구성에 비해 설치면적이 작고 손쉬운 질량변경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질량판 조립체(10) - 조절 질량판(11)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조절 질량판(112)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절 질량판(11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여 조절 질량판(11)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절 질량판(11)은, 터빈 케이싱(20)의 공진회피를 통한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터빈 케이싱(20)의 외측면에 접촉하며 수평 리브(231)에 안착되는 질량판이다.
조절 질량판(11)은 조절 본체(1111, 1121)와 눈(eye) 모양의 러그(1112, 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본체(1111, 1121)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고정 질량판(12)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절 본체(1111, 1121)가 수평 리브(231)에 안착될 수 있다.
러그(1112, 1122)는 조절 본체(1111, 11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하는데, 고정 질량판(12)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러그(1112, 1122)는 조절 질량판(11)을 용이하게 작업자가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러그(1112, 1122)에는 러그(1112, 1122) 구멍이 형성되어, 크레인 등의 장치를 이용해 용이하게 터빈 케이싱(20)으로부터 조절 질량판(11)을 이탈시키거나, 터빈 케이싱(20)에 접촉 및 안착시킬 수 있다. 러그(1112, 1122)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를 가져, 곡선형의 테두리를 가질 수 있다.
조절 질량판(11)은 체결 볼트(30)에 의해서 터빈 케이싱(20)의 외측면을 향해 가압되어 터빈 케이싱(20)과 접촉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질량판(12)에 의해 일부분이 가려져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조절 질량판(11)은 제1 조절 질량판(111)과 제2 조절 질량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질량판(111)은 제1 수평 리브(2311)에 안착되고, 제2 조절 질량판(112)은 제2 수평 리브(2312)에 안착될 수 있다. 각 수평 리브(231)에는 각 조절 질량판(111, 112)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각 조절 질량판(111, 112)의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전체 질량판 조립체(10)의 질량을 제어하기 위해, 제2 조절 질량판(112)이 제1 수평 리브(2311)에 더 안착될 수도 있다.
제1 조절 질량판(111)은 2개의 제1 러그(111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조절 질량판(112)은 1개의 제2 러그(112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러그(1112)에는 제1 러그 구멍(111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러그(1122)에는 제2 러그 구멍(1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절 질량판(111)은 제1 조절 본체(1111)를 가지고, 제2 조절 질량판(112)은 제2 조절 본체(1121)를 가지되, 제1 조절 본체(1111)의 세로 길이를 가로 길이로 나눈 값은 제2 조절 본체(1121)의 세로 길이를 가로 길이로 나눈 값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조절 질량판(112)이 제1 조절 질량판(111)과 비교하여 더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질량판 조립체(10) - 고정 질량판(12)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질량판(12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 질량판(122)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질량판(121)을 터빈 케이싱(20)에 조립한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여 고정 질량판(12)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정 질량판(12)은, 조절 질량판(11)이 터빈 케이싱(2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서 리브(23)에 고정되는 질량판이다. 따라서 조절 질량판(11)의 일부분을 고정 질량판(12)이 외측으로부터 덮을 수 있다.
고정 질량판(12)은, 터빈 케이싱(2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조절 질량판(11)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양단이 리브(23)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질량판(12)은. 리브(23)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리브(23)가 가지는 면 중 전방 또는 후방을 바라보는 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 질량판(12)은, 리브(23)에 용접을 통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으나, 리브(23)와 고정 질량판(12)을 서로 고정시키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질량판(12)은 조절 질량판(11)을 터빈 케이싱(20)에 접촉시키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고정 질량판(12)에 형성된 볼트 체결구를 체결 볼트(30)가 통과할 수 있고, 고정 질량판(12)에 체결된 체결 볼트(30)는 조절 질량판(11)을 터빈 케이싱(20)에 대해 가압하여 접촉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조절 질량판(11)은 체결 볼트(30)와 터빈 케이싱(20) 사이에 샌드위치 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질량판(12)은 제1 고정 질량판(121)과 제2 고정 질량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질량판(121)은 제1 조절 질량판(111)에 대응되는 리브(23)에 결합되어, 제1 조절 질량판(1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고정 질량판(122)은 제2 조절 질량판(112)에 대응되는 리브(23)에 결합되어, 제2 조절 질량판(11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고정 질량판(121)은 제1 수직 리브(2321)와 제2 수직 리브(2322)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결합될 수 있고, 제2 고정 질량판(122)은 제2 수직 리브(2322)와 제2 수평 리브(2312)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 질량판(12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질량판(122)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므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너트(40)는 볼트 체결구를 통과한 체결 볼트(30)가 더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 체결구의 둘레에 결합되되, 고정 질량판(12)과 상기 체결 볼트(30)의 헤드(31)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 너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너트(40)의 내주면에는 체결 볼트(30)의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 볼트(30)가 체결될 수 있다. 동시에 고정 너트(40)는 고정 질량판(12)에 결합되므로, 고정 질량판(12)과 체결 볼트(30)를 서로 체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 너트(40)는 고정 질량판(12)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구의 둘레에 배치되므로, 고정 너트(40)의 개수는 볼트 체결구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볼트 체결구와 고정 너트(40)가 복수 개 배치되는 상황을 도시하였고, 그 고정 방법은 용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볼트 체결구의 직경은, 체결 볼트(3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볼트(30)의 몸체(32)가 볼트 체결구는 그냥 통과하고, 고정 너트(40)에만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질량판(12)이 상술한 것과 같이 고정 너트(40)와 결합됨에 따라, 조절 질량판(11)의 개수를 조절해 터빈 케이싱 조립체(1)에 추가되는 질량의 크기를 변화시킬 경우, 단순히 체결 볼트(30)를 고정 너트(40)로부터 풀고 조절 질량판(11)을 추가하거나 감소시킨 뒤 다시 체결 볼트(30)를 체결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만일 고정 너트(40)의 내측에 위치한 암나사산이 손상되는 경우, 고정 너트(40)만을 제거해서 새로운 고정 너트(40)로 교환하면 되고, 전체 고정 질량판(12)을 교체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질량판 조립체(10) - 체결 볼트(30)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질량판(12)에 체결 볼트(30)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체결 볼트(30)는 고정 질량판(12)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구를 통과하고, 조절 질량판(11)을 터빈 케이싱(20)의 외측면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체결구이다. 체결 볼트(30)는 헤드(31)와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32)를 가질 수 있다. 체결 볼트(30)가 고정 너트(40)에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30)의 헤드(31)는 고정 질량판(12)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체결 볼트(30)의 몸체(32)의 말단은 조절 질량판(11)에 접촉하여 조절 질량판(11)을 터빈 케이싱(20)에 대해 가압하고 있을 수 있다.
질량판 조립체(10)는 보조 너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너트(50)는 체결 볼트(30)가 고정 너트(40)에 체결되어 조절 질량판(11)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 질량판(12)과 조절 질량판(11) 사이에 위치하고, 체결 볼트(30)에 더 체결되는 너트이다. 따라서 고정 너트(40)와 보조 너트(50)가 고정 질량판(1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이중 너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체결 볼트(30)가 터빈의 운전 중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질량판 조립체(10)는 와셔(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셔(60)는 보조 너트(50)와 고정 질량판(12) 사이에 배치되며, 체결 볼트(30)가 관통하는 환형 스프링 또는 평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셔(60)가 보조 너트(50)의 작용을 도와, 체결 볼트(3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터빈 케이싱 조립체
10 : 질량판 조립체
11 : 조절 질량판
12 : 고정 질량판
20 : 터빈 케이싱
21 : 원기둥면
22 : 전후면
23 : 리브
30 : 체결 볼트
31 : 체결 볼트의 헤드
32 : 체결 볼트의 몸체
40 : 고정 너트
50 : 보조 너트
60 : 와셔
111 : 제1 조절 질량판
112 : 제2 조절 질량판
121 : 제1 고정 질량판
122 : 제2 고정 질량판
231 : 수평 리브
232 : 수직 리브
1111 : 제1 조절 본체
1112 : 제1 러그
1113 : 제1 러그 구멍
1121 : 제2 조절 본체
1122 : 제2 러그
1123 : 제2 러그 구멍
2311 : 제1 수평 리브
2312 : 제2 수평 리브
2321 : 제1 수직 리브
2322 : 제2 수직 리브

Claims (11)

  1. 터빈 케이싱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에 안착되는 조절 질량판;
    상기 조절 질량판이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서 상기 리브에 고정되는 고정 질량판; 및
    상기 고정 질량판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구를 통과하며 상기 고정 질량판에 체결되고, 상기 조절 질량판을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질량판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 질량판에 의해 가려지는 조절 본체 및 상기 고정 질량판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조절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러그를 포함하는, 질량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구를 통과하는 체결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 체결구의 둘레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 질량판과 상기 체결 볼트의 헤드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 너트를 더 포함하는, 질량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고정 질량판에 용접되는, 질량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구에 체결된 체결 볼트에 더 체결될 수 있되, 상기 고정 질량판과 상기 조절 질량판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너트를 더 포함하는, 질량판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너트와 상기 고정 질량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질량판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구의 직경은, 상기 체결 볼트의 직경보다 큰, 질량판 조립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질량판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질량판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질량판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질량판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질량판은,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조절 질량판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양단이 상기 리브에 결합되는, 질량판 조립체.
  11. 터빈 회전체가 내장되고,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를 구비하는 터빈 케이싱;
    상기 터빈 케이싱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조절 질량판;
    상기 조절 질량판을 가리며 상기 리브에 고정되는 고정 질량판; 및
    상기 고정 질량판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구를 통과하고, 상기 조절 질량판을 상기 터빈 케이싱의 외측면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질량판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 질량판에 의해 가려지는 조절 본체 및 상기 고정 질량판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조절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러그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KR1020190152096A 2019-11-25 2019-11-25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KR10208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96A KR102084898B1 (ko) 2019-11-25 2019-11-25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96A KR102084898B1 (ko) 2019-11-25 2019-11-25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898B1 true KR102084898B1 (ko) 2020-03-04

Family

ID=6978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96A KR102084898B1 (ko) 2019-11-25 2019-11-25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85B1 (ko) * 2020-11-23 2022-02-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리브의 설계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818Y1 (ko) * 1998-10-23 2001-04-16 전주범 세탁기 방진장치
JP2009235971A (ja) * 2008-03-26 2009-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ール部材、蒸気タービン及び共振回避方法
KR20130021055A (ko) * 2011-08-22 2013-03-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저주파수 차음용 동흡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818Y1 (ko) * 1998-10-23 2001-04-16 전주범 세탁기 방진장치
JP2009235971A (ja) * 2008-03-26 2009-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ール部材、蒸気タービン及び共振回避方法
KR20130021055A (ko) * 2011-08-22 2013-03-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저주파수 차음용 동흡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85B1 (ko) * 2020-11-23 2022-02-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리브의 설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898B1 (ko)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JPH0757073B2 (ja) 電気機器鉄心支持装置及び電気機器鉄心組立装置
KR20110120832A (ko) 휨 최소화를 위한 볼트 및 너트의 요철 형상
JP2010284074A (ja) ステータ組立体におけるキーバーの動きを制御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JP2013536366A (ja) タービンケーシングにシールド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取り付けアセンブリ
US8419369B2 (en) Axial flow hydraulic turbine with fixed blades bolted-on
US7368845B2 (en) Electrical machine with a rotor and stator
KR102047287B1 (ko) 축방향 홈을 가지는 디스크의 압축기 블레이드 체결 기구
JP2015116121A (ja) ステータフレームにステータコアを支持するばねアセンブリ
JP2022541034A (ja) 低応力の結合フランジを備えたタービンハウジングおよびこのようなタービンハウジングを備えた排ガスタービン
US8235669B2 (en) Axial flow hydraulic turbine with blade mounting
JP2007120462A (ja) 蒸気タービンケーシング締結装置および蒸気タービン
US5110256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flow guide to a steam turbine for retrofit of longer rotational blades
US11686423B2 (en) Tool for removing and installing bearings and method for changing a bearing
JP2009024631A (ja) ガスタービン設備
KR102345365B1 (ko) 과회전 방지 기능을 가진 풍력발전기
KR101892985B1 (ko) 전기 기계
JP6686862B2 (ja) フランジ接合されたタワー構造体の制振装置及びタワー構造体
JPH10299411A (ja) 蒸気タービンノズル支持装置
JP2010185551A (ja) 舶用発電設備におけるプリセット方式の防振支持装置、舶用発電設備および舶用発電設備の据え付け方法
CN208431036U (zh) 具有用于防止旋转锁旋松的锁定板的转子
KR101888463B1 (ko) 트랙터용 원판쟁기
KR20210002683A (ko) 원심력에 최적화된 접촉면을 갖는 회전자
JP2019173900A (ja) 締結構造
CN113614314A (zh) 用于发电机的基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