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774B1 -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774B1
KR102084774B1 KR1020190130922A KR20190130922A KR102084774B1 KR 102084774 B1 KR102084774 B1 KR 102084774B1 KR 1020190130922 A KR1020190130922 A KR 1020190130922A KR 20190130922 A KR20190130922 A KR 20190130922A KR 102084774 B1 KR102084774 B1 KR 10208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oove
connecting piece
mai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선민
Original Assignee
서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선민 filed Critical 서선민
Priority to KR102019013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를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두 용기의 사용과 보관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100)는 이종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와,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메인홈부(130)와, 상기 메인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제2용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메인돌부(140)와,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1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Container of seperately keeping two kinds of liquids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를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두 용기의 사용과 보관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는 단일 종류의 액체가 담겨지게 되며, 뚜껑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액체의 수용과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용기들은 사용시 편의나 사용목적에 따라 함께 보관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미용실에서 사용되는 퍼머약의 경우에는 모발의 상태에 따라 정상모발용과 손상모발용으로 구분하여 각기 다른 용기에 보관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평상시 사용빈도가 매우 높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정상모발용 퍼머액이 수용된 용기와 손상모발용 퍼머액이 수용된 용기를 함께 보관하여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사용목적에 따라 퍼머약이 수용된 용기들과 염색약이 수용된 용기들을 서로 구분하여 정리 및 보관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사용시 편의나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용기들을 정리 및 보관해 놓았다 하더라도, 실제 사용 중에는 다른 용기들과 쉽게 뒤섞이게 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필요시 해당 용기를 쉽고 빠르게 구별해 내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면서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각 용기들의 디자인이 서로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임시방편으로 해당 용기들을 끈이나 밴드로 한데 묶어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사용 중 끈이나 밴드가 끊어지면서 용기들을 떨어뜨리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용기들은 손에 쥐고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직경은 작고 높이는 크게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사용자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작은 외력에도 용기가 쉽게 쓰러지게 되므로 취급 및 보관이 어렵다.
자칫, 쓰러질 때의 충격으로 뚜껑이 열릴 경우에는 보관 중인 액상의 내용물이 단시간에 대량으로 유출되고 주변을 크게 오염시키게 되므로 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3767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종액체를 분리 수용할 수 있고 세워서 보관시 작은 외력에도 쉽게 쓰러지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는 이종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제1용기와 제2용기와,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메인홈부와, 상기 메인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제2용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메인돌부와, 상기 메인홈부와 메인돌부의 수직하부에서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하단 모서리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피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은 일단이 상기 제1용기의 피난홈의 내측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용기의 피난홈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편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접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눕혀져 일직선 상태로 보관될 때 중앙을 기준으로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편이 상부를 향해 접혀지도록 상기 접철부의 저면을 따라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홈부에 대응되는 보조돌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종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제1용기와 제2용기가 연결편에 의해 항상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나 사용목적에 따라 해당 용기들을 함께 정리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용기와 제2용기가 함께 세워져 보관되기 때문에 단일의 용기에 비하여 바닥면적이 크게 증대되면서 세워서 보관시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되어 안전한 보관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인홈부와 메인돌부의 수직하부에서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구비하므로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바닥에 눕혀서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의 사용상태도 사시도로서, 제1용기와 제2용기가 접철부를 중심으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직선 상태로 눕혀서 보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를 다중으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편에 고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저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100)는 이종액체를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된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용기(110)는 각각 액체를 수용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상단에 결합된 뚜껑(112)과, 상기 뚜껑(112)에 형성되어 몸체부(11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13)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1)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손으로 눌러서 수용된 액체를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13)에는 배출구(113)를 개폐시키는 마개(114)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개(114)가 뚜껑(112)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서, 배출구(113)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될 경우 배출구(113)가 밀폐되고 배출구(113)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113)가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배출구(113)를 개폐시킬 수 있는 마개라면 그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2용기(120)는 상술한 제1용기(110)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용기(110)의 몸체부(111) 외측면에는 메인홈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120)의 몸체부(121)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홈부(130)에 대응되는 메인돌부(1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돌부(140)가 메인홈부(130)에 끼워지면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의 하단에는 연결편(150)이 부착된다. 상기 연결편(150)은 양단이 각각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의 마주하는 외측면 하단 중, 상기 메인홈부(130)와 메인돌부(140)의 수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준다. 상기 연결편(150)은 외부의 충격에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150)은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서로 반대쪽으로 회전시켜 일직선 상태로 배치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진다. 이 경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바닥에 눕혀서 보관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메인홈부(130)와 메인돌부(140)의 수직하부에 위치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피난홈(160,17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150)의 일단은 상기 제1용기(110)의 피난홈(160)의 내측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용기(120)의 피난홈(170)의 내측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피난홈(160,170)이 형성되면,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 사이에 연결편(150)이 점유하는 공간을 배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는 하부가 벌어지지 않고 서로 밀착된 상태로 세워져 보관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한 손으로 두 용기를 쥐고 사용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의 하부가 벌어지지 않아 약한 충격이나 외력에도 상기 메인홈부(130)로부터 메인돌부(140)가 쉽게 이탈되면서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분리되는 사고가 방지된다.
한편, 상기 연결편(150)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접철부(15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접철부(151)를 중심으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직선 상태로 눕혀 보관할 때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의 바닥이 벌어지지 않고 긴밀히 밀착되므로 보관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편(150)이 항상 개방된 상부를 향해 접혀지도록 상기 접철부(151)의 저면을 따라 홈부(1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편(150)이 하부를 향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일, 연결편(150)이 하부로 접혀지게 되면,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연결편(15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접철부(151)가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의 바닥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일직선 상태를 이루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100)는 이종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연결편(150)에 의해 항상 함께 보관 및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나 사용목적에 따라 이종액체가 수용된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함께 정리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다른 용기들과의 뒤섞임이 방지된다.
아울러,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함께 세워져 보관되므로 단일의 용기에 비하여 바닥 면적이 증대되므로 세워서 보관시 쉽게 쓰러지지 않아 안정된 보관이 보장된다.
한편, 상기 제1용기(11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홈부(13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홈부(135)에 대응되는 보조돌부(145)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직선 상태로 눕혀서 보관할 때, 상기 보조돌부(145)로 인하여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바닥을 타고 구르지 않아 매우 안정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기(110)의 보조홈부(135)에 다른 제2용기(120a)의 보조돌부(145a)를 끼워 결합시키거나, 제2용기(120)의 보조돌부(145)에 또 다른 제1용기(110b)의 보조홈부(135b)를 끼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100)를 다중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용기들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정리 및 보관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150)에는 고리(180)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편(150)에는 상기 고리(180)가 통과하는 관통공(155)이 상기 접철부(151)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55)은 고리(180)가 피난홈(160,170)의 내측과 외측으로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고리(180)가 형성되면,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직선 상태로 눕힌 다음 고리(180)를 벽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용기(110)의 보조홈부(135)에 다른 제2용기(120a)의 돌부(140a)를 끼워 결합시키거나 제2용기(120)의 보조돌부(145)에 다른 제1용기(110a)의 홈부(130a)를 끼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100)를 다중으로 결합시켜 보관할 수도 있어 편리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용기(110)의 보조홈부(135)에 다른 제2용기(120a)의 보조돌부(145a)를 끼워 결합시키거나 제2용기(120)의 보조돌부(145)에 다른 제1용기(110a)의 보조홈부(135a)를 끼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100)를 다중으로 결합시켜 보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고리(180)는 관통공(155)을 따라 상하로 유동되므로 최상단에 위치한 고리(180)는 벽에 걸 수 있도록 상부로 이동시키고 하부에 위치하는 고리(180a)들은 해당 피난홈(160,17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부로 이동시켜 정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110...제1용기
120...제2용기 130...메인홈부
135...보조홈부 140...메인돌부
145...보조돌부 150...연결편
151...접철부 152...홈부
160,170...피난홈

Claims (4)

  1. 이종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제1용기와 제2용기;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메인홈부;
    상기 메인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제2용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메인돌부; 및
    상기 메인홈부와 메인돌부의 수직하부에서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편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접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눕혀져 일직선 상태로 보관될 때 중앙을 기준으로 접혀지며;
    상기 연결편이 상부를 향해 접혀지도록 상기 접철부의 저면을 따라 홈부가 형성된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2. 이종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제1용기와 제2용기;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메인홈부;
    상기 메인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제2용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메인돌부; 및
    상기 메인홈부와 메인돌부의 수직하부에서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하단 모서리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피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은 일단이 상기 제1용기의 피난홈의 내측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용기의 피난홈의 내측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편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접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눕혀져 일직선 상태로 보관될 때 중앙을 기준으로 접혀지며;
    상기 연결편이 상부를 향해 접혀지도록 상기 접철부의 저면을 따라 홈부가 형성된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홈부에 대응되는 보조돌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KR1020190130922A 2019-10-21 2019-10-21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KR10208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22A KR102084774B1 (ko) 2019-10-21 2019-10-21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22A KR102084774B1 (ko) 2019-10-21 2019-10-21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774B1 true KR102084774B1 (ko) 2020-03-04

Family

ID=6978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922A KR102084774B1 (ko) 2019-10-21 2019-10-21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7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958U (ja) * 1983-03-16 1984-09-26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結合容器
JPS6044714U (ja) * 1983-09-05 1985-03-29 ビッグウエイ株式会社 折り曲げ可能な化粧料容器
KR101037679B1 (ko) 2010-04-14 2011-05-31 (주)하모닉스 실시간 끊김없는 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13156372A (ja) * 2012-01-27 2013-08-15 Sharp Corp 連結式容器
KR20150124206A (ko) * 2014-04-28 2015-11-05 안우성 이종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958U (ja) * 1983-03-16 1984-09-26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結合容器
JPS6044714U (ja) * 1983-09-05 1985-03-29 ビッグウエイ株式会社 折り曲げ可能な化粧料容器
JPS6310105Y2 (ko) * 1983-09-05 1988-03-25
KR101037679B1 (ko) 2010-04-14 2011-05-31 (주)하모닉스 실시간 끊김없는 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13156372A (ja) * 2012-01-27 2013-08-15 Sharp Corp 連結式容器
KR20150124206A (ko) * 2014-04-28 2015-11-05 안우성 이종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7173C (fi) Foerpackning foer lagring och utmatning av fluider
US5152432A (en)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bottle with a frangible end fitting
ES2638653T3 (es) Recipiente con tapa resellable
JP4397527B2 (ja) 容器及びそのような容器とカバーからなる組み合わせパッケージ
JP4839227B2 (ja) 貯蔵空間を有するパウチ容器用キャップ
BR9815145A (pt) Embalagem para dispensar uma substância escoável.
JP2010502522A (ja) 保護蓋付き封止体
MX9703136A (es) Bolsa grande compresible para liquido a granel.
JPH03124550A (ja) 折り曲げ形成可能な輸送用コンテナ
US20100133281A1 (en) Storage container with a collapsible bellows unit
KR101247124B1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KR102084774B1 (ko) 이종액체 분리 수용 용기
CA1258255A (en) Suspendable dispenser pack container for flowable substances, such as liquids, pastes, powder and fine granules
KR20140022330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US6352178B1 (en) Flexible container
CA2116909A1 (en) Outlet stopper
US5489046A (en) Squeezable dispenser with a recessed bottom spout
KR20150138156A (ko) 어린이-안전형 포장 및 압출가능 튜브의 조합체 및 그 이용 방법
KR20100125488A (ko) 접철식 용기
NZ204276A (en) Container closure with nestable pouring spout and airvent
CN211281908U (zh) 一种干湿分离包装瓶
KR102053266B1 (ko) 포장용 상자
KR20220050153A (ko) 이종 화장품 혼합 용기
JP4001988B2 (ja) 液剤混合容器
KR10209939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